[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방탄소년단)] [include(틀:방탄소년단)]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보이 밴드 [[방탄소년단]]의 연혁을 주요 성과 위주로 작성한 문서다. == 2013~2017 == === [[틀:방탄소년단/SKOOL|SKOOL]] era === [include(틀:방탄소년단/SKOOL)] * [[https://youtu.be/rBG5L7UsUxA|"No More Dream"]]을 통해 [[2013년]] [[데뷔]]했다. [[힙합]] [[아이돌]] [[콘셉트]]의 독특한 [[이미지]]와 칼군무를 통해 주목을 받았다. * 중소 기획사 소속이기 때문에 [[방송]] 출연 및 프로모션 규모에도 한계가 있어서, [[SNS]]를 통해 직접 콘텐츠를 제공하고 [[A.R.M.Y|팬들]]과 소통하는 것에 치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데뷔]] 전에도 [[트위터]]와 [[유튜브]] 등을 통해 로그 [[영상]]을 올리며 [[A.R.M.Y|팬들]]과 꾸준한 소통을 지향했다.] 멤버들 모두 [[1990년대]]생이라 --디지털 원어민-- [[스마트폰]], [[SNS]] 사용에 익숙하다는 점도 한몫을 했다. 이를 토대로 [[데뷔]] 2년차인 [[2014년]]부터 조금씩 [[팬덤]]을 형성하여 음반 판매량과 [[유튜브]] 조회수에서 조금씩 두각을 드러냈으나 유독 [[음원]]에서 부진한 성적을 보였다.[* 원래 보이그룹이 걸그룹과 비교하면 팬덤 중심인 경우가 많아 음원보다 음반에서 강세를 보이는 편이다. 하지만 [[2010년대]] 후반부터는 음원 차트의 신뢰도 하락, 유튜브의 중요성 부각, 음원 차트 개혁으로 인한 차트인의 어려움 등 복합적 이유가 작용해 현재 아이돌들은 보이 밴드 걸그룹 막론하고 팬덤을 먼저 다지는 쪽으로 노선이 잡혔다.] * 이때 당시 [[방탄소년단]]의 활동 전략을 살펴보면 철저한 '국내 시장 겨냥'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외국인 멤버가 단 한 명도 없으며[* 심지어 수도권 출신이 진하고 RM이 끝이다. 진은 [[과천시]]에서 태어났지만 10살때부터 [[송파구]]에서 자랐으며 RM은 서울 [[동작구]] 출신이나 경기도 [[일산신도시|일산]]에서 성장했다.] [[타이틀곡]]에서도 국내 [[10대]] [[청소년]]들에게 공감이 갈 만한 [[가사]]를 선보였기 때문이다. --얌마 네 꿈은 뭐니-- --[[정국(방탄소년단)|??]]:알았어 엄마 지금 독서실 간다니까-- 하지만 [[2014년]] [[https://youtu.be/LHHjp3IMjMk|"상남자"]]와 [[https://youtu.be/43r6lXilbcQ|"Danger"]] 활동을 전후로 [[K-POP]] [[콘서트]]에 참석하면서 조금씩 해외 [[인지도]]를 쌓기 시작했다.[* 동남아, [[유럽]], [[미국]] [[K-POP]] [[콘서트]]에서 공연을 했다.] * [[2014년]] [[일본]]에서 《[[NO MORE DREAM]]》 [[일본]] 싱글을 내었으며, 이때 오리콘차트 3위를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2D&sid1=106&sid2=282&oid=421&aid=0000862699|기록했다]]. 첫 월드 투어는 [[2014년]] 2000여석 규모의 서울 예스24라이브홀에서 시작해 13개국 18개 도시에서 8만여 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국내 [[콘서트]] 규모는 올림픽홀(3000석), SK올림픽핸드볼경기장(5000석)을 거치며 점점 커졌다. * 이때의 방탄소년단은 '눈 여겨 볼 만한 신인'[* 당시 [[소년공화국]]과 신인상 경쟁을 벌이기도 했다. 심지어 당시에는 소년공화국이 팬덤면에서 살짝 더 컸다. 현재 두 팀의 위상 차이를 생각하면 그야말로 괄목상대.] 정도의 작은 밴드였었다. 방탄소년단 역대 타이틀 중 멜로디 라인이 조금 대중적이지 않다고 평가받는 정규 1집 《[[DARK&WILD]]》의 타이틀 곡 '[[Danger(방탄소년단)|Danger]]' 같은 경우에는 '''공개 한 시간 후 차트 아웃'''하는 등 상당한 위기를 겪기도 하였던 힘든 시기. 이 때는 밴드 전체가 그런 느낌을 받았었는지, 리더인 [[RM]]이 '이 때의 위기의식'을 초대형 아이돌로 뜨고 나서의 인터뷰에서 언급하기도 한다. === [[틀:방탄소년단/화양연화|화양연화]] era === [include(틀:방탄소년단/화양연화)] * [[2015년]] 완성도 높은 '화양연화(花樣年華)' [[앨범]] 시리즈를 발표하면서 반등의 기회를 얻는다.[* 왕가위 감독의 〈[[화양연화]]〉를 모티브로 제작된 [[앨범]] 시리즈로, [[영화]]와 마찬가지로 '인생에서 가장 아름다운 시절(청춘)' 그리고 '이별'을 다루고 있다. 다만 성인 남녀의 애틋한 [[사랑]]을 통해 청춘과 이별을 이야기한 [[영화]]와 달리, 방탄소년단은 [[소년]]에서 [[어른]]으로 성장해가는 '성장통'에 초점을 맞추어 어린 자기 자신 스스로와의 이별을 [[노래]]한 점이 특징이다. 이 시기 영상물에는 그 전과는 대비되는 '''아련함'''이 기본 정서로 깔려 있는 시리즈로 슬프면서도 아름다운 느낌을 잘 살려내었다. 진부한 [[사랑]] 이야기보다는 멤버들의 [[성장]] 이야기에 초점을 맞춘 것이 지금의 [[팬]]들을 확보하는데 큰 영향을 끼쳤다는 평.] * [[2015년]] [[4월]]에 발표된 타이틀 곡 [[https://youtu.be/DOuhvBJqKVY|"I NEED U"]]인데, 칼군무에 집중했던 이전 [[뮤직비디오]]와는 달리 스토리에 집중하는 [[영상]]을 선보여 눈길을 끌었다. 나아가 각 멤버별로 [[뮤직비디오]] 내에서의 [[캐릭터]]성을 부여하고, 이후 후속곡들과도 스토리가 연결되도록 --떡밥 제조를-- 하면서 콘텐츠의 수명을 늘려나가기 시작했다.[* 'I NEED U'의 컨셉트 사진들과 [[뮤직비디오]]의 다양한 해석은 각 분야 [[덕후]]들의 취향을 저격하며 --얘네 뭐지-- [[팬덤]]이 크게 확장되고 체계를 갖춰나가기 시작했다.] 실제로 "I NEED U"에서 처음 선보인 멤버별 상징물이 [[2017년]] 활동곡까지도 그대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슈가(방탄소년단)|슈가]]는 라이터, 석유, 불타는 [[피아노]] 등 '불(분노)'과 계속해서 이어지며, 반대로 [[지민]]은 욕조, 강 등 '물(슬픔)'과 연결되는 오브제가 반복적으로 제시된다.] --어서와 입덕은 처음이지-- 이러한 연장된 스토리성은 덕질의 재미를 붙여주었으며 현실 무대와도 연결이 계속 되기 때문에 2.5차원을 파는 듯한 느낌을 주게 되기도 한다. 다시 칼군무에 집중한 [[https://youtu.be/H8lYMWZD5P8|"쩔어(DOPE)"]] [[뮤직비디오]] 또한 --어서와 방탄은 처음이지-- [[유튜브]]에서 높은 조회수를 기록하며 기세를 이어갔다. 당시 [[유튜브]]에서 퍼지기 시작한 '[[리액션 비디오]][* 말 그대로 시청자의 [[리액션]]을 녹화한 [[영상]]을 뜻한다.] 유행에 힘입어 입소문을 타기 시작한 것. 멤버들마다 어울리는 각종 직업의 슈트와 제복, 완벽한 칼군무는 세계 모든 [[덕후]]들의 취향을 저격하기 적합했다. 이후 이어지는 스토리 "RUN"과 "Young Forever" 또한 무서운 상승세를 보이며 국내외 투어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2016년]] [[5월]] 서울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 1만 2000석.]에서 시작된 아시아 투어는 10개 도시 14회 공연 전석 매진으로 14만 4000여 명을 동원했다. * 이 시기의 특징을 꼽자면 래퍼 라인[* [[RM]], [[슈가(방탄소년단)|슈가]], [[제이홉]].]을 필두로 멤버들이 직접 프로듀싱/작곡/작사에 참여하는 경향이 이어졌다는 것, 그리고 타이틀 곡과 [[안무]]의 완성도가 급격히 상승한 점을 들 수 있다. "I NEED U"와 "RUN"의 경우 해외 팝 트렌드에도 발빠르게 반응한 곡들임을 알 수 있으며, 해외에서는 보기 드문 칼군무까지 더해지면서 해외 [[팬]]들 사이에서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 무엇보다도 음반 판매량이 급증했다. 가온 차트 기준으로 [[2014년]]에 나온 정규 앨범 《[[DARK&WILD]]》의 판매량이 간신히 10만 장을 기록했을 정도로 기본적인 보이그룹 정도의 판매량을 기록했으나, [[2015년]]에 나온 세 번째 미니앨범 《[[화양연화 pt.1]]》이 20만 장을 돌파했고, 《[[화양연화 pt.2]]》는 2015년 연간 판매량 27만 장을 기록했다. 화양연화 시리즈의 리패키지 앨범 《[[화양연화 Young Forever]]》은 초동 16만 장 돌파로 역대 남자아이돌 초동 5위를 기록했다. * 《[[화양연화 pt.2]]》 [[빌보드 차트/기록/한국|빌보드]] 171위 기록 (첫 빌보드 진입) * 《[[화양연화 Young Forever]]》 [[빌보드 차트/기록/한국|빌보드]] 107위 기록 (2연속 진입) * 《[[화양연화 Young Forever]]》 [[미국]] [[아이튠즈]] 메인 차트 34위, 그리고 메인 [[뮤직비디오]] 차트 1위를 기록 * [[일본]] 싱글 《[[FOR YOU(방탄소년단)|FOR YOU]]》, 《[[I NEED U(앨범)|I NEED U]]》, 《[[RUN(방탄소년단 앨범)|RUN]]》 오리콘 1위 달성[[http://tvdaily.asiae.co.kr/read.php3?aid=14580284961088404010|*]][* [[2016년]] [[9월 7일]] 발매한 [[일본]] 정규 2집 《[[YOUTH]]》는 해외 [[힙합]] 최초 주간 앨범 1위를 달성했으며, 나아가 오리콘 싱글 연간차트에서 《[[RUN(방탄소년단 앨범)|RUN]]》 45위, 앨범 연간 차트에서 《[[YOUTH]]》는 48위를 기록했다.] * 흥미로운 점은 국내보다 상대적으로 해외에서의 반응이 컸다는 사실이다. [[http://www.instiz.net/pt/3359698&green=1|뉴스에이드에서 진행한 초통령 투표]]에서 당당히 1위를 차지하며 대세 아이돌 타이틀을 얻기도 했지만, 여전히 국내의 대중적 인지도는 해외 인기도에 비해 생각만큼은 높지 않은 편이었다. 반면 Soompi 같은 해외 [[K-POP]] [[팬덤]]의 동향을 꾸준히 살펴본 사람들이라면 느끼겠지만 근래에 방탄소년단만큼 반응이 좋은 [[아이돌]] 밴드는 상당히 드문 편이다. [[유튜브]]에 새 뮤직비디오가 올라오고 나서 [[리액션 비디오]]와 Cover Dance와 [[V LIVE]] 구독자 수 등 해외 [[K-POP]] [[덕후]]들이 주로 하는 활동을 보면 방탄소년단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 이에 대해서는 몇 가지 이유를 들 수 있는데, 가장 주요한 것은 [[K-POP]] 외국 [[팬]]들에게 가장 크게 [[어필]]하는 요소인 퍼포먼스와 [[뮤직비디오]] 퀄리티를 꽤 깔삼하게 뽑아낸다는 점이다. '화양연화' 시리즈의 성공으로 이전 정규 1집 《[[DARK&WILD]]》의 타이틀곡 "[[Danger(방탄소년단)|Danger]]" 활동 전후의 [[안무]] [[영상]]이 해외 유튜버들 사이에서 재발굴되기도 했는데, 마치 묘기를 구경하는 것 마냥 멍하니 칼군무를 보는 [[리액션]] [[영상]]이 많은 것은 덤.[* [[리액션 비디오]] 중 가장 큰 채널(FBE - [[리액션 비디오]]들은 많지만 이 채널은 [[K-POP]]만 다루는 게 아닌 애니, [[일본의 음악|J-POP]], [[미국]] 유행 등 여러 반응들을 다루는 채널이다.)에서는 가장 반응이 좋은 음악 밴드들 중 하나였는데 특히 비디오 중간에 나오는 격한 군무에서 반응이 상당히 좋았다. 특히 방탄소년단이 들어간 건 [[K-POP]] [[리액션]] 중에서도 다섯 번째였으니 첫 번째에 비해 얼마나 반응이 좋아졌는지 비교하면서 보는 것도 재미 요소.] * 나아가 [[데뷔]] 초에 [[SNS]]를 적극 활용해 온 덕에 [[유튜브]], [[트위터]] 등지에 어마어마한 양의 콘텐츠가 있어 [[대한민국|한국]] 방송 시청이 어려운 해외 팬들도 걱정없이 [[덕질]]이 가능하다는 것이 강점을 발휘했다.[* 여기에 [[팬]]들이 [[영상]]과 [[사진]]을 재편집하여 올리는 2차 저작물까지 포함하면 여타 [[K-POP]] [[아이돌]] 대비 방대한 콘텐츠 양을 자랑한다.] 오히려 [[대한민국|한국]] 방송들은 저작권이 걸려 다 내리게 되는데 자체제작 컨텐츠면 그런 거 없으니 아이러니하게도 해외 [[팬]]들 입장에서는 오히려 [[덕질]]할 요소가 무궁무진했던 것. 이것이 [[뮤직비디오]]로 접하면서 흥미를 가지고 [[유튜브]] 개인 방송으로 본격적으로 [[팬]]이 되는 [[입덕]] 루트를 제공했다. 방송 출연 기회가 적은 탓에 [[SNS]]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해왔다는 것을 감안하면 사람 인생은 참으로 모를 일. 방탄소년단은 데뷔 연차에 비해 라디오, TV 방송 출연이 상당히 적고 이마저도 해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 이후의 것이 대부분이다. 오죽 방송 출연이 적었으면 해외에서 각종 기록을 깨부수고 돌아와도 정작 [[방송]] [[카메라]] 앞에서 어수룩하게 대처하다가 분량을 챙기지 못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했다.[* [[아이돌스타 육상 선수권대회|계주에서 1등을 했는데]] 통편집 당하고, 긴장한 나머지 물을 들이키다 방송 도중에 화장실을 찾아가는 등. --그게 데뷔 4년차였다는 것이 함정-- 물론 초대 게스트나 진행자 없이, 방탄소년단 멤버들이 스스로 진행하는 자체 [[예능]] 방송에서는 날아다닌다.] * 또한 어떻게 보면 앞의 '그저 그런 중소 [[아이돌]]'일 때의 시절이 있고 그 때의 비디오부터 지금까지 비디오, 즉, 어수룩한 중소기획사 신인에서 크나큰 곳에서 콘서트를 하고 해외 투어를 도는 인기 [[아이돌]]이 되기까지 성장 과정이 생생하게 찍혀 있어 '''컨텐츠 자체가 밴드의 스토리텔링''' 역할을 하게 된다. 또 재미있게도 처음부터 이 밴드의 테마가 청춘, 젊음, 저항 등이었기 때문에 어수룩하던 신인이 열정과 노력으로 차차 능숙한 프로 [[아이돌]]로 성장해가는 이야기가 '''[[컨셉트]]와도 기가 막히게 맞아 떨어지면서 또 다른 관전 포인트를 더해준다.''' --자체 성장 비디오-- * 이 기세에 힘입어 [[유튜브]]에서 조회수 '''1억뷰''' 이상을 기록한 [[뮤직비디오]]를 다수 보유하는 기염을 토하게 된다. '[[쩔어(방탄소년단)|쩔어]]' [[뮤직비디오]]는 1년 4개월(489일)만인 [[2016년]] [[10월 25일]]에 '''1억뷰'''를 돌파했으며 2년 2개월(787일) 만에 '''2억뷰'''를 돌파했다. [[2016년]] [[5월]] 공개한 '[[불타오르네|불타오르네 (FIRE)]]' [[뮤직비디오]]는 264일만인 [[2017년]] [[1월 21일]] '''1억뷰'''를 돌파했다. 이로써 역대 1억 뷰 최단 기록상 '쩔어'는 7위, '불타오르네'는 4위에 랭크되었다. 또한 빌보드 닷컴의 [[2015년]] 연말 결산 기사에서는 '''[[RUN(방탄소년단)|RUN]]'''이 베스트 [[K-POP]] 20 중 3위를 차지했다. [[http://www.billboard.com/articles/columns/k-town/6828140/best-k-pop-songs-2015|링크]] * 여러모로 굉장한 폭발력을 가져다 주었던 컨셉과 활동으로 인해, 이 때를 기점으로 팬들이 본격적으로 무섭게 붙기 시작한다. 인기가 인기를 불러오는 궤도에 올라타기 시작한 게 이 활동으로, 보통 '''방탄소년단이 언제부터 떴냐?'''에 대한 일답을 꼽자면 '''국내는 '[[I NEED U]]', 해외는 '[[쩔어(방탄소년단)|쩔어]]' '''를 이야기하며 그 특유의 아련한 감성과 함께 아이돌로서의 가시적인 성과[* 지상파 첫 1위는 '[[I NEED U]]', [[유튜브]] 첫 '''1~2억뷰''' 돌파 기록은 '[[쩔어(방탄소년단)|쩔어]]'가 해냈다.]와 반응이 드러나기 시작했던 시기이기 때문에 국내외 팬들에게 특별한 의미를 갖는, 거의 성역화된 활동시리즈이며, 그 이후에 수많은 유입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팬덤에게 방탄소년단의 정체성이나 다름없는 컨셉.[* 실제로 이후 이 시리즈를 향후 이어나가는 데에 있어서 컨텐츠가 예상치 못한 방향을 틀자 팬덤의 반발이 있기도 했다.] 그리고 실제 그룹색도 화양연화 기점으로 많이 바뀌기도 했다.[* 화양연화 전에는 힙합 아이돌로서의 색깔이 확연했다면 이때부터는 힙합과 다른 장르를 접합시킨 음악으로 노선이 바뀌었다.] === [[WINGS]] era === * [[2016년]] [[10월]] 정규 2집 《[[WINGS]]》를 발표했다.[* 이에 실질적인 화앙연화 이후의 활동 시기는 [[2016년]] [[10월]]을 기점으로 계산한다.] 초동으로만 35만 장을 달성하여 자체 기록을 다시 갈아치웠으며 이는 역대 남자 아이돌 초동 3위이다. 정규 2집 [[WINGS]]는 [[2016년]] [[10월]] 한 달간 68만 1924장의 판매량으로 [[가온 차트]] 집계 이래 월간, 연간 앨범 차트뿐만 아니라 누적 집계까지 통틀어 최고 기록을 세웠다. 또한 [[미국]]을 비롯해 97개 [[아이튠즈]] 앨범 차트에서 1위를 달성했으며, 빌보드 등 주요 외신이 기사를 쏟아내며[[https://www.youtube.com/watch?v=7nOUDLxGayg|#]] 국내 [[언론]]에서도 '대세돌'이라는 칭호를 붙이기 시작했다. * [[2016년]] 《[[WINGS]]》 [[앨범]] 누적 판매량 71만 4614장 기록했다. [[http://sports.donga.com/3/all/20170210/82807962/1|#]][[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70213001659548|#]][* 이는 [[가온 차트]] 집계 이래 가장 높은 수치이며, [[데뷔]] 앨범 ‘[[2 COOL 4 SKOOL]]’ 판매량(2만 4000여 장)에 비해 30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이다.] * [[2016년]] [[10월 15일]], [[K-POP]] [[앨범]] 사상 처음으로 UK차트에 진입(62위).[[http://www.soompi.com/2016/10/15/btss-wings-history-as-first-korean-album-uks-official-chart/|#]] * [[2016년]] [[10월 17일]], [[미국]] [[빌보드]] 200(Billboard 200)(메인 앨범차트)에서 최고 26위 기록 (3연속 빌보드 진입)[* 이는 [[빌보드]] 200 차트 역사상 [[한국]] 가수의 최고 기록에 해당하며, 역대 [[아시아]] [[가수]] 기록 중에서도 두 번째에 해당한다. [[http://www.billboard.com/articles/columns/k-town/7542131/bts-wings-highest-charting-best-selling-kpop-album-billboard-200|빌보드 기사 (영문)]]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610181009140410|한국어 기사]].] * 월드 앨범 차트에서 1위를 기록하며 19주 연속 톱10에 머무는 진기록도 이어갔다. * [[빌보드]] 연간 '월드 앨범 아티스트' 차트 5위[* [[한국]] [[가수]] 역대 최고 순위.], 연간 '월드 앨범' 차트에서 정규 2집 '[[WINGS]]'로 6위, '[[화양연화 pt.2]]'로 9위 기록.[* [[K-POP]] [[앨범]] 최고 순위 겸 톱10 안에 2개의 [[앨범]]을 진입시킨 첫 사례이다.] * 연간 '[[트위터]] 톱 트랙' 차트에서 '불타오르네(FIRE)' 26위, 'Save ME' 36위, 연간 '소셜 50 아티스트' 차트에서 34위. * [[2017년]] [[2월]] 지난 《[[WINGS]]》 앨범에서 다 하지 못한 이야기를 정규 2집 리패키지 앨범 《[[YOU NEVER WALK ALONE|WINGS 외전 : YOU NEVER WALK ALONE]]》을 발매했다. * '빌보드 200' 차트에 앨범 네 장 연속 이름을 올리는 신기록을 세웠다.[* 《[[화양연화 pt.2]]》로 171위, 지난해 5월 발표한 《[[화양연화 Young Forever]]》로 107위, 같은해 10월 발표한 《[[WINGS]]》로 26위.] * 월드앨범 차트에서도 《[[YOU NEVER WALK ALONE|WINGS 외전 : YOU NEVER WALK ALONE]]》은 무난하게 1위를 차지했다.[* 방탄소년단이 이 차트에서 기록한 세번째 1위] 《[[WINGS]]》는 10위에 오르며 한 밴드가 두 장의 앨범을 톱10에 진입시키는 값진 성과를 냈다. [[http://star.spotvnews.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13870|*]] * [[2017년]] [[2월]] 'WINGS' 콘서트는 [[서울특별시|서울]] [[고척 스카이돔]][* 2만석 전석. 2회분 4만석.] 전석 매진을 기록했으며, 해외 투어는 [[팬]]들의 요청으로 추가된 1회 공연까지 포함해 전석이 매진되었다.[* 특히 북미 콘서트는 티켓 판매 1시간도 채 되지 않아 전석 매진을 기록하여 현지 [[언론]]들의 주목도 받았다.] * [[2017년]] [[빌보드]] 뮤직 어워드 톱 소셜 아티스트 부문 수상했다.[* 지난해 [[3월 18일]]부터 올해 [[3월 16일]]까지 앨범 및 디지털 노래 판매량, 스트리밍, 라디오 방송 횟수, 공연 및 소셜 참여 지수 등의 데이터와 [[5월 1일]]부터 진행된 글로벌 팬 투표를 합산해 최종 수상자를 가린다. 해당 부문에 [[저스틴 비버]], [[아리아나 그란데]], [[셀레나 고메즈]], [[숀 멘데스]] 등과 함께 후보에 올랐다. [[http://img.theqoo.net/img/iPmUg.jpg|투표 방법]]] [* 참고로 이 부문 수상자는 [[2010년]] 신설된 이후 [[2016년]]까지는 모두 [[저스틴 비버]]였다.] 이 내용은 빌보드 본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img.theqoo.net/img/TXbRY.png|*]] * 데뷔 초부터 꾸준히 활동해온 --[[떡밥]]소년단-- [[SNS]] 활동 또한 성장세와 맞물려 시너지를 일으켰다. 《[[WINGS]]》 타이틀 '[[피 땀 눈물]]'의 [[https://youtu.be/hmE9f-TEutc|뮤직비디오]]가 공개 '''40시간 55분만'''에 조회수 '''1000만뷰'''를 기록하는 기염을 토했다. [[https://twitter.com/SerieTV46/status/887709993226706945|관련 기사]] 정규 2집 리패키지 《[[YOU NEVER WALK ALONE]]》의 타이틀곡 '[[봄날(방탄소년단)|봄날]]'은 '''26시간 37분만'''에 '''1000만뷰'''[* '[[피 땀 눈물]]'의 '''40시간 55분''' 기록을 무려 '''14시간 18분가량 단축'''시켰다.]를, 서브 타이틀 '[[Not Today]]'의 [[https://youtu.be/9DwzBICPhdM|뮤직비디오]]는 약 '''21시간 37분만'''에 조회수 '''1000만뷰'''를 기록했다. 이는 [[K-POP]] [[아이돌]] 사상 최단 기록으로, 기존 방탄소년단 자체 기록[* "[[봄날(방탄소년단)|봄날]]" [[뮤직비디오]]로 [[영상]] 공개 후 '''26시간 37분만'''에 '''1000만뷰'''를 기록했다.]에서 '''약 5시간 단축한 것'''이다. * 또한, 그 앞의 문단에서 언급한 것처럼 해외 시장 반응이 비교적으로 더 좋은 편이었다면 화양연화에서부터 시작된 가파른 성장세가 이어져 '''《[[WINGS]]》부터는 본격적으로 국내에서도 남돌 최상위권 규모 팬덤을 구축'''하기에 이른다. 그 예로 대표적으로 《[[WINGS]]》 앨범이 나왔을 당시 [[음원]] 사이트 이용자 수 폭주와 줄세우기 현상, 화양연화 때보다도 더 좋아진 [[음반]] 판매량을 들 수 있겠다. 또한 비활동기에도 [[음반]] 판매량을 데뷔 앨범부터 최근에 낸 YNWA까지 여러 앨범들을 줄세우기하는 현상을 보여주면서 국내에서도 [[팬덤]]적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성장세[* 이제와서 1-2년 전 음반이 팔린다는 것은 팬덤 유입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수치이다. [[https://youtu.be/dMAFm0mSNE4|#]] 참고.]를 기록하는 중. 그 인기를 증명이라도 하듯, 2017년 초반 3개월 연속 아이돌 브랜드 평판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 [[팬덤]] 성장세는 해외에서도 마찬가지라 [[2016년]] 말에 330만 팔로워를 기록했던 [[트위터]]가 [[2017년]] [[4월]]에 500만 팔로워를 기록한 후 겨우 한 달 뒤인 [[5월]]에 600만을 찍은 걸 보면 알 수 있다. 또한 [[뮤직비디오]] 역시 최근 나온 [[뮤직비디오]]뿐만 아니라 과거에 나온 [[뮤직비디오]] 모두 같이 지속적으로 뷰가 오르는 중. 빌보드 소셜 후보에 오르고 나서 실트를 탄 것이 홍보 효과가 되는 듯하다. * 한국 보이 밴드로는 최초로 빌보드 뮤직 어워드(BBMAs)로부터 [[https://mobile.twitter.com/bts_bighit/status/861702042477150208|참석 초청]]을 받았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12&aid=0002918149|관련기사]] * 이후 현지 시각 [[2017년]] [[5월 21일]],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빌보드 뮤직 어워드에서 한국 K팝 그룹으로서는 최초로 수상의 영광을 안게 된다. 수상 부문은 '''소셜 미디어 아티스트'''로 자그마치 '''3억'''개의 트위터 해쉬태그(#BTSBBMAs) 투표를 받으며 [[http://edition.cnn.com/2017/05/22/entertainment/k-pop-bts-billboard-music-awards/|당당히 1위를 차지했다.]] 총 투표의 [[https://www.dramafever.com/news/bts-becomes-the-first-k-pop-group-to-win-a-billboard-music-award/|약 75% 정도를 받았다고 한다.]] * 어떤 팬들은 2017 빌보드 시상식이 마치 [[WINGS]] 투어 콘서트의 현장같았다고 한다. 왜냐하면 멤버들이 움직이기만 해도 엄청난 환호성이 나왔다고. 물론 그 주변에 있었던 방탄소년단을 모르는 관객들은 누구 때문에 환호가 터져나오는 것인지 어리둥절해하고 말이다. [[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705230100183290013344&servicedate=20170522|#]], [[http://osen.mt.co.kr/article/G1110650095|#]] [[https://twitter.com/mondomizel1/status/866489698776043520|수상 소감 트윗]][* 빌보드 [[http://img.theqoo.net/img/YWliA.jpg|베스트]][[http://img.theqoo.net/img/ySztb.jpg|드레서]]로도 뽑혔다.] * {{{#1677d5 '''STARCAST'''}}} BBMAs, 라스베가스 25시 {{{-3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20&aid=0000011359|SC]] {{{#aaaaaa (2017.05.26) }}} }}} * Behind The Scenes '''Billboard Music Awards 2017''' {{{-3 [[https://youtu.be/KAMMRWfrsT8|⚭]] {{{#aaaaaa (2017.05.30) }}} }}} * 미국의 소프트파워야 워낙 독보적인 1위지만 대중음악계 또한 워낙에 압도적인 규모라 외국 출신 아티스트(언어문화권이 같은 영국, 캐나다, 호주출신은 예외)가 수상하는 일은 거의 없으며 특히 영어권이 아니라면 그 가능성이 더욱 희박했다. 8-90년대 미국 팝시장까지 침범하며 인기절정이던 유로팝 또한 아티스트의 국적은 스웨덴, 독일, 벨기에 등으로 다양했지만 대부분의 곡은 영어로 작사되었다. 북미권에서 많은 비영어권 가수들이 탑클래스 위치까지 갔던 것은 6-70년대까지였다. 현재의 라틴팝을 제외하면 말이다. 2010년대부터 [[리키 마틴]], [[샤키라]], [[제니퍼 로페즈]]등을 필두로, 히스패닉들만 듣던 라틴팝이 기존의 영미팝을 잡을 만큼 커져서 현재는 영어권, 스페인어권의 두 언어권으로 나뉜다고 보면 된다. 따라서 K-POP은 아직까지 아시아권에서만 유력한 장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었기 때문에 사실상 방탄소년단의 수상은 불가능하다고 점치는 분위기가 팽배했다. [[https://www.buzzfeed.com/tanyachen/bts-win-and-asian-representation?utm_term=.nuYv3VWzV#.lpgokrlZr|관련 기사]] [[http://www.huffingtonpost.kr/2017/05/24/story_n_16776676.html?utm_id=naver|번역]][* 하지만 링크로 걸린 관련 기사의 내걸린 트윗의 상당수가 무척이나 부정적인데다 "한국인이 수상했다고 뭔 호들갑??"이나 "아무도 K-POP 나부랭이 따위는 듣지 않으니까 신경끄셈" 같은 트윗도 보인다..][* 하지만 이러한 언급조차 없던 과거와 비교하면, 이들이 부정적으로나마 반응을 보이는 것도 긍정적이라 할 수 있다. 더욱이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이들이 생긴 만큼, 방탄소년단을 좋게 보는 팬들도 늘어나고 있는 건 당연하다. 저런 반응에 기분이 나쁠 수 있겠지만, 전체적인 상황을 보고 긍정적으로 생각하자.] * 소셜 미디어 아티스트상의 수상과 관련하여 빌보드 K-POP 전문 기자인 제프 벤자민이 팟캐스트에서 언급한 내용 또한 주목할 만하다. 내용인 즉슨, 영어권 밖의 예술가들이 미국에서 열리는 시상식에서 상을 받을 때 일어나는 어색한 분위기는 제법 일반적인 현상인데, 방탄소년단의 경우는 본인들의 영리한 대처와 팬덤의 뜨거운 환호 덕분에 타국의 시상식에서도 자연스럽고 여유로운 행동을 보일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는 비영어권 문화도 소위 주류 사회 및 문화로 인정받는 영어권에서 통할 수 있으며, 문화의 벽을 무너뜨리는 역할을 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다.([[https://www.youtube.com/watch?v=9B2J5OTY_Mw|팟캐스트 번역 영상]]). == 2017~2020 == === [[틀:방탄소년단/LOVE YOURSELF|LOVE YOURSELF]] era === [include(틀:방탄소년단/LOVE YOURSELF)] ==== [[LOVE YOURSELF 承 'Her'|承 'Her']] ==== * [[2016년]] 말부터 시작[* 이 때부터 이미 유명 유튜버가 방탄소년단을 다룬다거나 유명인사가 팔로우하는 등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했다.]하여, 빌보드 수상기점으로는 전환점을 맞는데, 기존에는 K-POP 팬덤 내부 지분 + 일부 유튜브 입소문에 의한 유입을 다 먹어가는 느낌이었다면 이제는 아예 K-POP 팬덤 외부에서로부터의 반응이 이어진다. 그걸 볼 수 있는 게 일단 팔로워 수가 또한 '[[DNA(방탄소년단)|DNA]]' 컴백 시점에서는 월드 실시간 트렌드를 쉽사리 찍을 수 있었고 그 컴백 뮤직비디오로 '''역대 24시간 조회수 10위 안에 드는''' 주목도(K-POP 밴드 뮤비 24시간 조회수 2000만 돌파)를 보여준다. 이 때 미국 유튜브 트렌딩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그리고 이 앨범을 기점으로 버블링에서 머물고 있던 걸 뚫고 '''빌보드 200과 핫 100에 동시 차트인, 특히 핫 100은 7주, 200은 14주 차트인'''을 기록하고 보수적이라는 '''UK 차트마저 뚫는''' 기염을 토한다. 그 결과 피플지에서 '''전세계에서 가장 인기있는 보이그룹'''이라는 평가와 함께 '''AMAs에 퍼포머로서 출연, 엘렌쇼와 지미 키멜쇼, 레잇레잇쇼 출연''' 등 공식 미국진출을 하지 않은 것을 생각하면 놀라운 행보를 보인다. 단순하게만 말하자면, 이 활동기에는 윙즈 외전 이후 꽤 긴 공백기 동안 트위터 팔로우 수의 증가세로 해외 팬들의 무시무시한 유입을 직접 지표로 확인할 수 있었던 시기였다. 그 증거로 빌보드 200, 빌보드 핫100 모두 자체 최고 기록을 경신했고 싸이를 제외하고 빌보드 차트 내에서도 'K-POP 최고 기록 = 방탄소년단 기록'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이외에도 보수적인 UK 차트에 최초로 진입하고, K-POP 그룹 뮤직비디오 사상 최초 24시간 조회수 2000만뷰 돌파 등 유례없는 미주에서의 뜨거운 반응을 나타내는 지표들이 이곳 저곳에서 나타나 국내외 팬들--과 국뽕들--을 놀라게 했다. * 단순하게만 말하자면, 이 활동기에는 《[[YOU NEVER WALK ALONE|WINGS 외전 : YOU NEVER WALK ALONE]]》 앨범 이후 꽤 긴 공백기 동안 트위터 팔로우 수의 증가세로 해외 팬들의 무시무시한 유입을 직접 지표로 확인할 수 있었던 시기였다. 그 증거로 빌보드 200, 빌보드 핫100 모두 자체 최고기록을 경신했고 싸이를 제외하고 빌보드 차트 내에서도 'K-POP 최고 기록 = 방탄소년단 기록'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이외에도 보수적인 UK 차트에 최초로 진입하고, K-POP 그룹 뮤직비디오 사상 최초 24시간 조회수 2000만뷰 돌파 등 유례없는 미주에서의 뜨거운 반응을 나타내는 지표들이 이곳 저곳에서 나타나 국내외 팬들--과 국뽕들--을 놀라게 했다. 또한 AMAs에 초대되어 마지막에서 두 번째 순서로 공연한 것[* 피날레공연은 전설적인 가수 [[다이애나 로스]].]이 언론에 타면서 국뽕돌이라는 별칭을 얻게 된 시기이기도 하다. 이 방송 직후 이틀 내리 방탄소년단은 실검에서 내려가지 않았고 지상파 뉴스와 조중동 + 한겨레 신문 한 면을 단독으로 차지할만큼 상당히 화제가 되었다. * 워낙 해외인기에 대비해서 상대적으로 덜 주목 받는 면이 있지만, 국내 팬덤 지표를 나타내는 '''음반 역시 동일 바코드의 리패키지와 외국어판 제외 16년만에 god 이후 처음으로 단일앨범 누적 판매량이 140만장을 돌파'''했고 [[2018년]] [[3월 13일]] 기준 이 단일 앨범 판매량이 140만장을 넘어 총 누적 판매량 160만장이라는 신기록을 수립했다. 그래서 올해만 방탄소년단은 2 컴백(YNWA)으로 200만장 넘게 파는 성과를 올린다. * [[2017년]] [[9월]] 2018년까지 이어질 LOVE YOURSELF 시리즈의 첫번째 앨범인 미니 앨범 5집 《[[LOVE YOURSELF 承 'Her']]》를 발매했다. 방탄소년단은 꾸준히 빌보드 핫100 진입이 목표라고 밝힌 바 있는데, 올해 LOVE YOURSELF 시리즈의 시작과 함께 그 꿈을 이뤘다. 방탄소년단은 [[11월 24일]] DJ 스티브 아오키(Steve Aoki), 래퍼 디자이너(Desiigner)와 협업한 《[[LOVE YOURSELF 承 'Her']]》 앨범의 수록곡 '[[MIC Drop]]'의 리믹스 버전을 발표한다. * 《[[LOVE YOURSELF 承 'Her']]》는 선주문량 112만 장이라는 사상 최대 주문량을 기록. 아마존에서 한국 가수로서는 처음으로 정식 유통 경로를 거쳐 사전 예약 판매가 진행되었으며 .아마존 베스트셀러 1위를 차지했다. * 《[[LOVE YOURSELF 承 'Her']]》로 방탄소년단 최초로 밀리언셀러를 달성했는데, 이는 단일 앨범으로 달성한 밀리언셀러라 의미가 크다.[* god 이후 16년 만] 앨범 발매 13일 만에 120만 3533장 기록[* 월간 최다 판매량], '''가온 연간차트 기준 149만 3443장의 판매고'''를 올리며 사상 최다 판매량을 기록. 초동 75만장[* 역대1위-윙스 외전 초동 37만 3705장보다 2배가 넘는 수치], 첫 날 판매량만 45만 5888장이었다. 가온앨범연간차트 1위, 3위를 차지함과 더불어 데뷔 이후 발매한 모든 앨범이 차트인했다. 이러한 기록을 보면 아직도 데뷔 앨범부터 현재 앨범까지 팬 유입이 꾸준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LOVE YOURSELF 承 'Her']]》로 [[2017년]] 한터차트 연간 1위를 차지했다. 출하량에서 반품량을 뺀 수치만을 기록하는 가온차트와 달리 한터가맹점 실판매량만으로 순위를 매기는 한터차트에서 101만장이라는 어마어마한 기록을 달성했다. 2월에 발매한 앨범을 포함한 단 2개의 앨범만으로 150만장을 넘겼으며 다른 그룹과 달리 리패키지가 없었음에도 17년에 모든 앨범을 합산하여 176만장의 판매량을 기록했다. 작년 윙스에 이어 '''2년 연속 연간 1위'''를 차지하는 쾌거를 이뤘다. * '[[DNA(방탄소년단)|DNA]]' 뮤직비디오는 '''[[K-POP]] 밴드 최단 기간 유튜브 조회수 1000만뷰~2억 5000만뷰''''''였'''었다.[* [[BLACKPINK]]의 '[[뚜두뚜두 (DDU-DU DDU-DU)]]'가 기록을 깼다. 하지만 이 기록 역시 [[방탄소년단]] 본인들 '[[Butter]]'에 의해 깨졌다.] 참고로 '''[[K-POP]] 밴드 최초 24시간 내에 2000만 뷰를 기록'''[* 20시간 48분만에 '''2000만뷰'''를 기록했다.]했다. 빌보드와 마찬가지로 아이돌 유튜브 기록들을 모두 석권한 상황이'''었'''다.[* [[BLACKPINK]]의 '[[뚜두뚜두 (DDU-DU DDU-DU)]]'가 기록을 깼다. 하지만 이 기록 역시 [[방탄소년단]] 본인들 '[[Butter]]'에 의해 깨졌다.] [[K-POP]] 밴드 최초로 '''6억뷰'''[* 4~6억뷰] 돌파, 보이그룹 최초로 '''{{{#ff0000 10억뷰}}}'''를 달성하는 진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 빌보드 최고 기록만 간략하게 정리하자면 '''메인 차트 2개 중 한 개인 빌보드 200은 최고 순위 7위''', 그리고 그 메인 두 개 중 조금 더 중요한 '''Hot 100은 '[[DNA(방탄소년단)|DNA]]' 67위, '[[MIC Drop]] remix' 28위'''를 최고 순위로 기록했다. 또한 지속력도 놀라운 것이, 반짝일거라는 몇몇의 악의어린 예상과 다르게 '''빌보드 200은 30주 차트인[* 비연속], Hot 100은 '[[DNA(방탄소년단)|DNA]]' 4주, '[[MIC Drop]] remix' 10주 차트인'''을 기록했다. * [[2017년]] [[9월]] 방탄소년단의 앨범 《[[LOVE YOURSELF 承 'Her']]》가 미국 빌보드 200차트 7위, K팝 가수는 물론 아시아 아티스트로서도 최고 순위로, 앨범 다섯 장 연속으로 빌보드 차트에 이름을 올리는 신기록을 세웠다.[* 기존 아시아 최고 순위는 [[2010년]] [[5월 29일]]자 차트에서 필리핀 출신 채리스 펨핀코의 ‘채리스’가 기록한 8위였다.] * [[2017년]] [[9월]] 방탄소년단의 곡 '[[DNA(방탄소년단)|DNA]]'가 미국 빌보드 핫100에서 85위, 1주일 후 갱신된 차트에서는 67위를 자치했다.[[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21&aid=0002328827|#]] 싸이를 이은 역대 한국 가수 2위 기록. (아이돌 밴드로는 1위) * [[2017년]] [[10월 3일]] 미국 빌보드 메인차트 핫 100과 빌보드 200 차트에 동시에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12&aid=0002962547|진입했다.]] * '빌보드 200'에 14주 연속 진입하며[* 7위, 25위, 35위, 15위(아마존물량출고), 86위, 75위 2018년 1월 18일 기준], 핫100 4주 연속 진입[* 85위(5일치데이터집계), 67위] 전무후무한 기록을 남겼다. * 빌보드 소셜 50 차트 [[2016년]] [[10월 29일]]자 1위로 최초 진입한 이후 통산 57번째 1위를 달성했다. * 한국 가수 최다 아이튠즈 석권. 《[[LOVE YOURSELF 承 'Her']]》 발매 직후, 아이튠즈 73개국에서 글로벌 톱 앨범 차트 1위에 올랐다. * 타이틀곡인 '[[DNA(방탄소년단)|DNA]]'가 아이튠즈 29개국가 글로벌 톱 송 차트 1위를 차지했다. * [[9월 22일]]자 UK 차트 앨범 부문 14위, 타이틀곡 ‘DNA’로 싱글 부문 90위에 랭크되었다. 지난해 10월 《[[WINGS]]》 앨범으로 국내 가수 최초 UK 앨범차트(62위) 진입 이후 11개월 만이며, 연속 2장 차트에 입성했다. [[http://star.hankookilbo.com/#!/home/SVCPost_350313401389056/detail|#]] * 방탄소년단의 공식 트위터 계정은 11월 13일 한국인 계정 중 최초로 트위터 팔로워 수 1천만 명을 넘어섰다. * '[[MIC Drop]] Remix' 버전이 공개된 후 '''66개국에서 [[아이튠즈]] 송차트(메인차트) [[http://img.theqoo.net/img/qTREK.jpg|1위]]를 했다.''' [[http://img.theqoo.net/img/cwmNd.png|1위 지도(파란색은 10위내에 들어갔거나 들어가 있는 곳)]] 핫100 28위 진입을 시작으로 7주 연속 차트인[* 28위, 71위, 76위, 79위, 82위, 66위, 74위]에 성공하며[* [[2018년]] [[1월 18일]] 기준] 자체기록을 갱신하고 있다. 미국 인기 드라마 ‘실리콘 밸리’ 시즌5 공식 티저 배경음악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 빌보드 연말 결산 차트 2017에서 '''톱 아티스트''' 부문 [[https://www.billboard.com/charts/year-end/2017/top-artists|10위]]와 '''톱 아티스트 - 듀오/그룹''' 부문 [[https://www.billboard.com/charts/year-end/2017/top-artists-duo-group|2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두 부문 모두 한국 가수로는 최고 기록이다. * 방탄소년단은 이러한 영향력을 사회 공헌 활동까지 확대하여 UN 산하 국제기구인 [[유니세프]]의 한국위원회와 공식 파트너십을 체결하여 #LOVEMYSELF (러브마이셀프) 캠페인을 전개하며 #ENDviolence를 후원한다. #ENDviolence는 [[2013년]]부터 진행한 유니세프의 글로벌 프로젝트로 전세계 어린이과 청소년들이 폭력없는 세상에서 안전하고 건강한 미래를 맞이할 수 있도록 돕는 캠페인이며, 이와 협약한 방탄소년단 #LOVEMYSELF 캠페인은 ‘자신을 먼저 사랑하고, 그 사랑으로 타인을 사랑하여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자’는 의미로서 최소 2년동안 #ENDviolence와 함께하며 개인·가족·사회·정부·이해관계자들이 아동과 청소년에 대한 폭력을 범국가적 문제로 인지하고 폭력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도록 폭력 방지에 사회 구성원 모두의 참여를 독려하는 글로벌 장기 프로젝트이다. 캠페인의 일환으로 방탄소년단과 빅히트는 'LOVE MYSELF' 펀드를 설립해 유니세프한국위원회에 5억 원을 우선 기부했다. 또 향후 2년 간 전개되는 ‘LOVE YOURSELF’ 시리즈 앨범 판매 순익의 3%, 캠페인 공식 굿즈 판매 순익 전액, 일반인 후원금 등으로 기금을 마련해 ‘#ENDviolence’ 캠페인을 후원한다.[* 캠페인은 방탄소년단(빅히트)측에서 먼저 구상, 파트너사로 유니세프한국지사를 선택했다.] [[https://www.love-myself.org|LOVE MYSELF]] * [[2017년]] [[11월 19일]] 오후 8시(현지시간) 미국 LA 마이크로소프트 극장에서 열리는 제45회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American Music Awards, 이하 AMAs)'에 참석했다. 단순히 시상식에 참석하는 것뿐 아니라 케이팝그룹 최초로 무대에 올라 지난 9월 발매한 새 미니 앨범 LOVE YOURSELF 承 'Her'(러브 유어셀프 승 '허') 타이틀곡 'DNA' 공연을 선보였다.[* AMAs 퍼포머 라인업 공개 순서대로 [[켈리 클락슨|Kelly Clarkson]], [[핑크(가수)|P!NK]], [[데미 로바토|Demi Lovato]], '''BTS(방탄소년단)''', [[셀레나 고메즈|Selena Gomez]], [[나일 호란|Niall Horan]], [[칼리드|Khalid]], [[이매진 드래곤즈|Imagine Dragons]], [[크리스티나 아길레라|Christina Aguilera]]]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711040221250410|관련기사]] * 또한 AMAs 참석차 미국을 방문하는 기간 동안 여러 토크쇼 프로그램에 출연했는데, 배우 겸 코미디언인 [[제임스 코든]]이 진행하는 CBS채널의 유명 심야 토크쇼 ‘제임스 코든의 더 레이트 레이트 쇼(The Late Late Show with James Corden)’ 녹화에 참여해 라이브 무대를 가졌고, [[ABC(미국)|ABC]]채널의 ‘[[지미 키멜]] 라이브(Jimmy Kimmel Live)’에 출연하며 로스엔젤레스에서 미니 콘서트를 가졌으며, AMAs 후에 [[NBC(미국 방송)|NBC]]채널의 ‘[[엘렌 드제너러스]] 쇼(The Ellen DeGeneres Show, 엘렌쇼)’ 녹화에 참여했다. [[http://osen.mt.co.kr/article/G1110774721|#]] * 한국시간으로 [[2017년]] [[11월 20일]] 낮 12시가 넘은 시간, AMAs 공연으로 '''미국내 첫 TV 데뷔 무대'''를 이뤄냈다. [[http://theqoo.net/618016529|평론가 분석]] [[https://youtu.be/b44MSL6wSo8|청와대 참모들도 찾아봤다고 한다.]] * '''[American Music Awards 2017]''' DNA Live Performance {{{-3 [[https://youtu.be/rH1PVvFj8cE|⚭]] {{{#aaaaaa (2017.11.20) }}} }}} * 영미권 음악 전문 라디오 채널 [[배철수의 음악캠프]]에서 장기간의 파업을 끝낸 후 첫 복귀방송을 하던 11월 20일, [[배철수]]는 '이 날 AMAs 공연을 TV로 지켜봤다'며 방탄소년단에 대한 언급과 함께 가요인 방탄소년단의 '[[DNA(방탄소년단)|DNA]]'를 틀어주었다. [[배철수의 음악캠프]]에서는 간혹 게스트가 출연하는 경우 가요가 나오는 것을 제외하고는 팝음악 전문 채널이란 취지에 따라 신청곡 등 여타의 이유로 가요를 선곡하지는 않는다. 가장 최근 가요가 나왔던 경우는 [[K-POP]] 최초 빌보드 싱글차트에 올랐던 [[싸이]]의 강남 스타일로 방탄소년단의 DNA는 그 이후 5년여만이다. 사실 DNA가 빌보드 싱글차트 핫100에 진입하여 어느 정도 기대감은 가지고 있었으나 방송사인 [[MBC]]의 장기간 파업으로 인해 실제로 성사는 되지 않아 아쉬움이 있었다. * {{{#1677d5 '''STARCAST'''}}} AMAs… 방탄소년단의 압도적 파워 {{{-3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20&aid=0000015375|SC]] {{{#aaaaaa (2017.11.24) }}} }}} * AMAs이후 [[2017년]] [[11월 27일]]부터 미국 지상파방송 TV 프로모션이 방송을 타기 시작했다. ||
[[https://youtu.be/IOuFE-6Awos|⚭]][br]'''[[엘런 디제너러스#s-3|The Ellen DeGeneres Show]]''' on [[NBC(미국 방송)|NBC]][br]{{{#777777 ^^(2017.11.27)^^ }}}||[[https://youtu.be/pjscAFB-U4o|⚭]][br]'''[[지미 키멜#s-2|Jimmy Kimmel LIVE]]''' on [[ABC(미국)|abc]][br]{{{#777777 ^^(2017.11.29)^^ }}}||[[https://youtu.be/jLM2ibaRbrk|⚭]][br]'''[[제임스 코든#s-2.2|The Late Late Show]]''' on [[CBS(미국 방송)|CBS]][br]{{{#777777 ^^(2017.11.30)^^ }}}|| * [Behind The Scenes] '''American Music Awards 2017''' {{{-3 [[https://youtu.be/OMjMmULhl_M|⚭]] {{{#aaaaaa (2017.12.17) }}} }}} * [[2018년]] [[1월 1일]](대한민국 기준), 미국의 유명 신년맞이 쇼 "Dick Clark's New Year's Rockin' Eve"에서 무대를 펼쳤다. {{{-3 [[https://youtu.be/hF0I3_stmBs|Billboard News]]}}} * 미국 방송사 [[HBO]]의 시트콤 [[실리콘밸리(미국 드라마)|실리콘 밸리]]의 2018년 시즌5 티저에 '''MIC Drop'''{{{-3 ([[스티브 아오키|Steve Aoki]] Remix)}}}이 배경음악으로 사용되었다. 약간의 재밌는 사실은 주인공들의 회사이름이 '''Pied Piper'''{{{-3 ([[피리부는 사나이]])}}}[* [[LOVE YOURSELF 承 'Her']]의 5번 트랙이 '''Pied Piper'''이다.]로 방탄소년단과 뜻밖의 연결 고리가 있었다는 점이다. {{{-3 [[https://youtu.be/H7pYslGR6GU|Silicon Valley Season5 Teaser]]}}} * [[2018년]] [[2월 6일]]과 [[2월 9일]](대한민국 기준) 연이어 '''MIC Drop'''{{{-4 [[https://www.riaa.com/gold-platinum/?tab_active=default-award&ar=BTS&ti=MIC+DROP|⚭]]}}}과 '''DNA'''{{{-4 [[https://www.riaa.com/gold-platinum/?tab_active=default-award&ar=BTS&ti=DNA|⚭]]}}}가 미국레코드산업협회('''RIAA'''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로부터 '''골드'''[* RIAA는 음반 판매량에 따라 골드 앨범(50만 장), 플래티넘 앨범(1백만 장), 멀티 플래티넘 앨범(2백만 장), 다이아몬드 앨범(1천만 장)으로 자격을 인증하는데 음원의 경우 골드 인증을 받으려면 음반 판매량 50만장에 해당하는 유료 디지털 다운로드, 오디오 및 비디오 스트리밍을 기록해야 한다. 150건의 스트리밍은 1건의 유료 다운로드에 해당한다.] 인증을 받았다. [[https://youtu.be/noeZ1bd10sU|RIAA 인증의 의미]] ==== [[LOVE YOURSELF 轉 'Tear'|轉 'Tear']] ==== > '''The Biggest Boy Band in the World'''[* 2018년 출연한 GMA, 빌보드뮤직어워드, 엘렌쇼 등에서 칭한 표현.] > '''세계에서 가장 큰 보이 밴드''' >---- > [[더 가디언|가디언지]] 기사 中[[https://www.theguardian.com/music/2018/oct/11/how-bts-became-the-worlds-biggest-boyband|#]] * [[2018년]] [[5월 18일]] 《[[LOVE YOURSELF 轉 'Tear']]》 발매 직후 타이틀곡 '[[FAKE LOVE]]'는 6개 주요 음원사이트 실시간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며 그 저력을 다시 입증했다. 국내 차트뿐만 아니라 전 세계 65개 지역 [[아이튠즈]] ‘톱 앨범’ 차트에서 1위를, 타이틀 곡 [[FAKE LOVE]]는 52개 지역 ‘톱 송’ 차트에서 1위에 올랐다. 또한 앨범 전곡이 세계 최대 음악 스트리밍 업체 [[스포티파이]]의 ‘글로벌 톱 200’ 차트에 모두 진입하고 타이틀곡 '[[FAKE LOVE]]'는 차트에서 17위를 차지하며 한국 가수 최고 기록에 올랐다.[* 이전 기록은 방탄소년단이 2017년 9월, 이 차트에서 '[[DNA(방탄소년단)|DNA]]'로 41위를 차지하며 한국 가수 최초, 최고 기록을 세운 바 있다.] * 미국 3대 음악 시상식[* 아메리칸 뮤직 어워즈, [[빌보드#s-2]] 뮤직 어워즈, 그래미 어워즈] 중 하나인 [[빌보드#s-2]] 뮤직 어워즈에서 작년에 이어 2년 연속으로 Top Social Artist 후보에 올랐다. 이로써 [[빌보드#s-2]] 뮤직 어워드에서 같은 부문에 2년 연속으로 후보에 오른 최초의 한국 가수가 되었다. 그리고 [[2018년]] [[5월 21일]] 제52회 [[빌보드#s-2]] 뮤직 어워즈에서 '''Top Social Artist 부문을 한국 가수 최초로 2년 연속으로 수상'''했다.[* 방탄소년단을 제외하고 이 시상식에서 한국 가수가 수상하기는 [[2013년]] '[[강남스타일]]'로 '톱 스트리밍 송'의 비디오 부문상을 받은 [[싸이]]가 있다.] 또한 이 시상식에서 [[방탄소년단]]은 '[[FAKE LOVE]]' 컴백 무대를 가지게 되었는데, 이는 새 앨범의 글로벌 첫 번째 무대이자 아시아 가수 최초로 BBMAs를 통한 컴백 무대이다.[* 국내 팬들을 위해 [[엠넷]] 독점 생중계가 이뤄졌다.] * '''[Billboard Music Awards 2018]''' FAKE LOVE Live Performance {{{-3 [[https://youtu.be/UEpq6mmG6eE|⚭]] {{{#aaaaaa (2018.05.21) }}} }}} * BBMAs 참석 차 미국을 방문하는 기간동안 [[NBC(미국 방송)|NBC]] 채널의 ‘[[엘렌 드제너러스]] 쇼(The Ellen DeGeneres Show, 엘렌쇼)’와 [[제임스 코든]]이 진행하는 [[CBS(미국 방송)|CBS]] 채널의 유명 심야 토크쇼 ‘[[제임스 코든#s-2.2|제임스 코든의 더 레이트 레이트 쇼(The Late Late Show with James Corden)]]’의 녹화를 진행했다. ||
[br]'''[[엘런 디제너러스#s-3|The Ellen DeGeneres Show]]''' on [[NBC(미국 방송)|NBC]][br]{{{#777777 ^^(2018.05.26 GMT+9)^^ }}}||[br]'''[[제임스 코든#s-2.2|The Late Late Show]]''' on [[CBS(미국 방송)|CBS]] (Musical Guest)[br]{{{#777777 ^^(2018.06.12 GMT+9)^^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2 [[https://www.youtube.com/watch?v=NENZWhx_ThY|FULL]]}}}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16]]{{{-2 [[https://twitter.com/bts_bighit/status/1000144952725196801|오늘의방탄]]}}}||[[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2 [[https://www.youtube.com/watch?v=jHm2gaOsoRs|FULL]]}}}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16]]{{{-2 [[https://twitter.com/bts_bighit/status/1006778345697267718|오늘의방탄]]}}}|| * [[2018년]] [[5월 24일]] 타이틀 곡 [[FAKE LOVE]]는 약 '''27,400,000만 스트리밍'''이라는 기록을 세우며 '''[[빌보드 차트|빌보드 스트리밍 차트]]에 [[https://www.billboard.com/charts/streaming-songs/2018-06-02|7위]]로 진입'''했다. 한국 가수로서는 [[스눕 독]]이 피쳐링한 [[싸이]]의 "Hangover"이후 4년 만이다. * [[2018년]] [[5월 25일]] 영국 [[Official Charts|UK 오피셜 차트]]에서 ''''오피셜 앨범 차트 탑 100' 8위'''를 차지했다. 이는 '''한국 가수 최고'''의 기록이자 '''유일한 탑 10''' 기록이며 지난해 9월 [[LOVE YOURSELF 承 'Her']]로 세웠던 자체 기록인 14위을 경신한 것이다. * [[2018년]] [[5월 25일]] 영국 [[Official Charts|UK 오피셜 차트]]에서 타이틀곡 '[[FAKE LOVE]]'가 ''''오피셜 싱글 차트' 42위'''를 차지했다. 이는 '''한국 밴드 최고'''의 기록이다.[* 한국 가수 전체로는 [[싸이]]가 2012년 ‘[[강남스타일]]’로 1위에 오른 바 있다.] * [[2018년]] [[5월 28일]](미국시간 27일) 앨범 《[[LOVE YOURSELF 轉 'Tear']]》가 '''[[빌보드 차트#s-3|빌보드 200]] 차트에서 [[https://www.billboard.com/charts/billboard-200/2018-06-02|1위]]로 진입'''하는 기록을 세웠다. 이는 '''K팝 역사상 최초'''의 기록이다. * [[2018년]] [[6월 2일]] 타이틀 곡 '[[FAKE LOVE]]'는 '''[[빌보드 핫 100|빌보드 Hot 100]] 차트에서 [[https://www.billboard.com/charts/hot-100/2018-06-02|10위]]로 진입'''했다. 이는 '''K팝 역사상 최고'''의 기록이자 비영어 노래 중 Hot 100 차트 탑 10에 진입한 17번째의 곡이다. * [[2018년]] [[6월 13일]] 데뷔 5주년을 맞이해 [[빌보드#s-2]]에서는 평론가들이 뽑은 최고의 50개의 곡을 소개했다.[br]'''BTS' 50 Best Songs: Critics' Picks'''{{{-3 [[https://www.billboard.com/articles/columns/k-town/8460287/bts-top-50-songs-fifth-anniversary|Billboard]]}}} * [[2018년]] [[6월 28일]]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주간지)|타임]]이 선정한 '인터넷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25명의 인물'에 이름을 올렸다. * [[2018년]] [[7월]] [[닐슨#s-1]] 사운드스캔에 따르면 앨범 [[LOVE YOURSELF 轉 'Tear']]은 '''미국에서 9번째로 많이 팔린 앨범'''이자 '''가장 많이 팔린 외국 앨범'''이다.[[https://www.forbes.com/sites/tamarherman/2018/07/09/south-korean-group-bts-has-one-of-2018s-best-selling-physical-albums-in-the-u-s/#5ea1e5ff5e46|⚭]] * [[2018년]] [[8월 8일]](대한민국 기준) '''FAKE LOVE'''{{{-4 [[https://www.riaa.com/gold-platinum/?tab_active=default-award&ar=BTS&ti=FAKE+LOVE|⚭]]}}}가 미국레코드산업협회('''RIAA'''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로부터 '''골드''' 인증을 받았다. 이로서 방탄소년단은 RIAA로 부터 골드 인증을 받은 곡이 3개[* '[[DNA(방탄소년단)|DNA]]', '[[MIC Drop]]', '[[FAKE LOVE]]']가 되었다. ==== [[LOVE YOURSELF 結 'Answer'|結 'Answer']] ==== * 앨범 공개 직후 '''전 세계 65개 국가와 지역 [[아이튠즈]] ‘톱 음반’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 타이틀 곡 ''''[[IDOL(방탄소년단)|IDOL]]'은 66개 국가 및 지역 ‘톱 송’ 차트 정상'''을 기록했다. 미국 아이튠즈 ‘톱 송’ 차트에서는 전곡 ‘줄 세우기’는 물론 음반에 수록된 26곡 모두 ‘톱 50’에 이름을 올렸다. * 타이틀 곡 '[[IDOL(방탄소년단)|IDOL]]'의 뮤직비디오는 '''공개 24시간 후 '최다 조회수 1위'의 기록'''를 세웠'''었'''다.[* [[아리아나 그란데]]의 '''thank u, next'''의 폭발적인 인기와 함께 올라간 엄청난 뮤직비디오 조회수로 '''2위로 밀려났다.''' ] 당시 기준 '''한국 그룹 최단 시간 1억뷰 돌파 기록'''(4일 23시간 20분)을 세웠다. 1억뷰 돌파 기록은 지난 5월 ‘[[FAKE LOVE]]’로 세웠던 자체 기록을 경신한 것이다. 또한, 이 뮤직비디오 발매 후 세계 최단 기록 1000만 조회수를 달성하는 기록을 세웠'''었'''다.[* [[아리아나 그란데]]의 '''thank u, next''' 기록이 갈아치웠다.] * 앨범 발매 이후 ''''빌보드 200' 1위로 빌보드 차트에 진입'''했다. 한 해에 두 번 1위를 차지한 기록은 '''한국 아티스트 최초이자 외국어 앨범으로서도 최초의 기록'''이다. 또한 빌보드 역사에서 한해에 두 개의 음반을 '빌보드 200' 1위에 올린 19번째 뮤지션이 됐다. * 앨범 발매 이후 타이틀 곡 '[[IDOL(방탄소년단)|IDOL]]'은 ''''Hot 100' 11위로 빌보드 차트에 진입'''했다. 지난 6월에 10위로 진입한 '[[FAKE LOVE]]'에 뒤를 이어 케이팝 사상 두 번째로 높은 ‘핫 100’ 첫 진입 기록이다. * [[2018년]] [[8월 31일]] 영국 [[Official Charts|UK 오피셜 차트]]에서 타이틀 곡 '[[IDOL(방탄소년단)|IDOL]]'은 '''‘오피셜 싱글 차트’ 21위'''에 올랐다. 이는 지난 5월 ‘[[FAKE LOVE]]’로 세웠던 자체 기록(42위)를 경신한 것으로 '''케이팝 밴드 최고 기록'''이다. * [[2018년]] [[8월 31일]] 영국 [[Official Charts|UK 오피셜 차트]]에서 《[[LOVE YOURSELF 結 'Answer']]》 앨범은 리패키지 앨범임에도 불구하고 '''‘오피셜 앨범 차트’ 14위'''를 기록했다. * [[2018년]] [[9월 15일]]자로 '''빌보드 차트에서 한국 가수 최초로 3개 앨범[* 지난해 9월 발매한 《[[LOVE YOURSELF 承 'Her']]》, 5월 발매한 《[[LOVE YOURSELF 轉 'Tear']]》에 이어 《[[LOVE YOURSELF 結 'Answer']]》까지 3개 앨범 연속.]을 연달아 메인 차트[* '빌보드 200' 차트, 'Hot 100' 차트]에 진입'''시킨 기록을 세웠다. 이 주의 기록은 《[[LOVE YOURSELF 結 'Answer']]》는 ‘빌보드 200’ 8위, 'IDOL (Feat. [[Nicki Minaj]])'은 ‘Hot 100’ 81위에 이름을 올리며 2주 연속 차트인에 성공했다. * [[2018년]] [[11월 7일]] 발매된 《FAKE LOVE/Airplane pt.2》[* 《[[LOVE YOURSELF 轉 'Tear']]》의 ‘[[FAKE LOVE]]’, ‘Airplane pt.2’ 일본어 버전, ‘[[FAKE LOVE]]’ 일본어 버전 리믹스, 《[[LOVE YOURSELF 結 'Answer']]》의 ‘IDOL’ 리믹스 등 총 4곡이 수록되어 있다.]는 발매 첫날 데일리 싱글 차트에서 1위에 등극한 이후 '''45만 4829 포인트'''를 기록해 주간 싱글 차트 1위를 차지했다. 이는 '''해외 아티스트 최초 오리콘 차트에서 발매 첫 주 ‘40만 포인트’를 돌파'''한 기록이다. * [[2018년]] [[11월 9일]], 미국레코드산업협회('''RIAA'''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로부터 [[LOVE YOURSELF 承 'Her']] 앨범의 '''MIC DROP'''이 지난 2월 골드 인증을 받은 데에 이어 디지털 싱글 부문 첫 '''플래티넘[* 디지털 싱글 및 앨범 판매량에 따라 골드(50만 이상), 플래티넘(100만 이상), 멀티 플래티넘(200만 이상), 다이아몬드(1000만 이상)로 구분하여 인증한다.] 인증'''을, [[LOVE YOURSELF 結 'Answer']] 앨범의 '''IDOL'''이 '''골드''' 인증을 받으며 방탄소년단 노래 중 4번째 골드 싱글이 되었다. 또한 '''[[LOVE YOURSELF 結 'Answer']]''' 앨범이 '''골드''' 인증을 받았는데, 앨범 부문에서 골드 인증은 '''한국 가수 최초''' 기록이다. * [[2018년]] [[11월 12일]], 미국 '''[[빌보드 차트|빌보드]] ‘소셜 50’ 에서 100번째 1위'''를 달성하는 대기록을 세웠다. 이로써 [[빌보드 차트|빌보드]] ‘소셜 50’ 차트에 [[2016년]] [[10월 29일]] 1위로 첫 진입 후 통산 100번째 1위 기록을 보유하게 됐다. [[2010년]] [[12월]] 이 '''차트가 시작된 이래 두 번째 높은 기록이며, 그룹으로서는 처음'''이다. [[2017년]] [[7월 29일]]자 차트부터 현재까지 '''70주 연속 1위로 최장 기간 1위''' 기록도 이어가고 있다. * [[2018년]] [[12월 4일]], 미국 [[빌보드]]가 발표한 연말 차트(YEAR-END CHARTS)에 따르면 방탄소년단은 ''''탑 아티스트'에서 8위를 차지하며 한국 가수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이어 '탑 듀오/그룹' '''2위''', ''''빌보드 200' 앨범 3개 진입''', '탑 빌보드 200 아티스트' '''21위''', '인디펜던트 앨범' '''3개 진입''', ''''탑 인디펜던트 앨범 아티스트' 1위''', '월드 앨범' '''6개 진입''', ''''탑 월드 앨범 아티스트' 1위''', ''''탑 소셜 50 아티스트' 1위'''를 차지하는 대기록을 세웠다. 특히 '빌보드 200'에서 LOVE YOURSELF 起承轉結 시리즈[* 《[[LOVE YOURSELF 承 'Her']]》, 《[[LOVE YOURSELF 轉 'Tear']]》, 《[[LOVE YOURSELF 結 'Answer']]》]를 모두 진입시키는 기염을 토하며 한국 가수 최초이자 최고 기록을 세웠다. * [[2018년]] [[12월 6일]], 미국 [[블룸버그|블룸버그 통신]]이 뽑은 '''‘블룸버그 50(The Bloomberg 50)’에 한국 가수 최초로 선정'''됐다. 이날 발표된 ‘블룸버그 50’은 블룸버그 주간지 ‘블룸버그 비즈니스위크(Bloomberg Businessweek)’를 통해서도 발행된다. [[https://www.bloomberg.com/features/2018-bloomberg-50/#bts|링크]]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12&aid=0003106174|관련기사]] * [[2018년]] [[12월 6일]], 미국 [[트위터]] 본사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8년]] 방탄소년단(@BTS_twt)[[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17]]{{{-3 [[https://twitter.com/BTS_twt|⚭]]}}}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트윗된 계정'''으로 집계됐다. 또한 멤버 [[제이홉]]이 #InMyFeelingsChallenge 댄스 챌린지에 참여한 영상[[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17]]{{{-3 [[https://twitter.com/BTS_twt/status/1021325648659296256|⚭]]}}}은 무려 170만에 달하는 '마음에 들어요'를 기록하며,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마음에 들어요'을 받은 트윗'''에 올랐다. '''한국에서 가장 많이 리트윗된 골든 트윗'''도 방탄소년단이 차지했는데, 멤버 [[정국(방탄소년단)|정국]]이 가수 박원의 'all of my life'를 커버해 부른 영상[[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17]]{{{-3 [[https://twitter.com/BTS_twt/status/968572393718407168|⚭]]}}}으로 63만여 건의 리트윗을 기록했다. 이 외에도 '''미국에서 가장 많은 트윗을 기록한 셀러브리티 순위 1위, 뮤지션 순위 1위'''이자 일본, 브라질, 스페인, 멕시코에서도 가장 많이 언급된 트윗에 올랐다. * [[2018년]] [[12월 14일]], 미국 [[롤링 스톤|롤링스톤]]이 선정한 ‘2018 베스트 팝 앨범 20'에 《[[LOVE YOURSELF 轉 'Tear']]》 13위, ‘2018 베스트 송 50'에 《[[LOVE YOURSELF 轉 'Tear']]》의 타이틀곡 ‘[[FAKE LOVE]]’가 38위로 각각 올랐다. [[https://www.rollingstone.com/music/music-lists/best-pop-albums-2018-ariana-grande-768311/|2018 베스트 팝 앨범 20]] [[https://www.rollingstone.com/music/music-lists/50-best-songs-of-2018-764204/|2018 베스트 송 50]] [[http://www.kukinews.com/news/article.html?no=613675|관련기사]] * [[2019년]] [[2월 5일]], 방탄소년단[* 정확하게는 멤버 [[RM]]과 [[정국(방탄소년단)|정국]]이다.]이 피쳐링한 [[스티브 아오키]]의 곡 'Waste It On Me'가 뮤직 캐나다로부터 디지털 싱글 부문 골드 인증[* 디지털 싱글 부문의 골드는 '4만 유닛' 이상 달성시 수여받을 수 있는데, 150회의 스트리밍을 1유닛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캐나다 내에서 순수 600만회가 스트리밍을 넘어야 수여받을 수 있다.]을 받았다.[[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17]]{{{-3 [[https://twitter.com/GoldPlatCA/status/1092510857890811906|⚭]]}}} * [[2019년]] [[2월 5일]], '''한국 가수 최초로 61회 '[[그래미 어워드]]'의 시상자로 참석'''[* 시상자로 참석하는 것은 한국인 최초이고, 케이팝 가수로는 최초 참여이다. 참고로 한국인 최초 수상자는 성악가 [[조수미]]이다. 또한 사운드 엔지니어 [[황병준]]도 수상 경력이 있다.{{{-3 [[https://hificlub.co.kr/web10/board/brd_wz_view_n10.asp?pid=10232&lid=100&f_lid=100210&table=brd_10216&ishtml=n|⚭]]}}}--무려 2번이나 수상했다--]한다! 이로써 '''미국 3대 시상식[* 아메리칸 뮤직 어워즈, [[빌보드#s-2]] 뮤직 어워즈, [[그래미 어워즈]]]을 섭렵'''하게 되었다. 다른 시상식에 비해 특히나 보수적인 심사위원진이 특히 댄스 가수, 비영어, 유색인종에 호의적이지 않은 역사가 있기 때문에 시상자로 참석한다는 것이 더욱 의미가 있다. 수상자뿐만 아니라 시상자도 그 해에 인기가 높거나 음악적으로 영향력이 있는 사람만 초청하기 때문에[* [[2018년]] 그래미 어워드 시상자에는 [[토니 베넷]], [[데이브 샤펠]], [[켈리 클락슨]], 빅터 크루즈(NFL 선수), [[이브#s-3]](래퍼), [[스탠드업 코미디#s-3.2|짐 가피간]], [[케이티 홈즈]], [[닉 조나스]], [[애나 켄드릭]], [[앨리샤 키스]], [[존 레전드]], 세마 무어(배우), [[트레버 노아]], [[세라 실버먼]], [[헤일리 스타인펠드]], [[뉴 키즈 온 더 블록#s-1.2|도니 월버그]]가 있었다.] 작년 한 해 동안 세계적으로 끼친 영향력을 가늠해볼 수 있는 부분이다. 여담으로, 방탄소년단의 《[[LOVE YOURSELF 轉 'Tear']]》 앨범이 'Best Recording Package'에 현재 노미네이트 되어있기 때문에 이 부문의 시상 여부도 주목할만하다. 시상식은 [[2월 10일]] 미국 LA [[스테이플스 센터]]에서 열린다. * [Behind The Scenes] '''Grammy Awards 2019''' {{{-3 [[https://youtu.be/0a6F8bMQ9FE|⚭]] {{{#aaaaaa (2019.04.10) }}} }}} === [[틀:방탄소년단/MAP OF THE SOUL|MAP OF THE SOUL]] era === [include(틀:방탄소년단/MAP OF THE SOUL)] ==== [[MAP OF THE SOUL : PERSONA|PERSONA]] ==== * [[2019년]] [[4월 12일]], 《[[LOVE YOURSELF 結 'Answer']]》 앨범 이후 8개월의 공백기를 깨고 《[[MAP OF THE SOUL : PERSONA]]》 앨범으로 컴백했다. 앨범의 주제는 '''[[A.R.M.Y|팬]]에 대한 사랑'''으로 모든 트랙이 팬송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의 구성이었다. * 올해에도 빌보드 뮤직 어워드에 참가하여 톱소셜 아티스트와 톱 듀오&그룹 2관왕을 차지했다. 톱소셜 아티스트는 인기상이라고 볼 수 있다면 톱 듀오&그룹은 심사도 반영되기 때문에 드디어 방탄소년단이 미국시장에서 인정받았다고 볼 수 있다. * [[2019년]] [[10월]]엔 유명 영화감독 [[구스 반 산트]]가 영국 패션잡지 와의 인터뷰에서 '함께 작업해보고 싶은 배우'로 방탄소년단의 지민을 언급해 화제가 되었다. 심지어는 '''[[노르웨이]] 국왕 [[하랄 5세]]'''까지 방탄소년단 공연을 보고싶다고 [[문재인]] 대통령에게 말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RVG1vE-XatY|#]] 이 때문에 외국과의 정상회담에서 그 정상의 아들, 딸이 방탄팬이라는 말을 들을 수 있다. * '''최초의 [[멜론 뮤직 어워드]],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MAMA]], [[골든디스크어워즈|골든디스크 시상식]], [[서울가요대상]] 대상 싹쓸이''' * 《[[MAP OF THE SOUL : PERSONA]]》의 앨범 선주문 기간, [[3월 13일]]부터 [[3월 17일]]까지 총 5일간 판매되었던 본 앨범의 선주문량은 268만장이다. 이는 전 앨범이었던 《[[LOVE YOURSELF 結 'Answer']]》 앨범의 앨범 선주문량이었던 151만장에 비해서 +117만장의 추가 선주문량이라는 역대급 기록이다. 선주문 마지막 날인 11일에는 302만 1822장이라는 놀라운 기록을 달성했다. 그리고 앨범 발매 첫 날, 2시간만에 이전 기록이었던 초동 100만장을 돌파, 4시간 만에 '''147만 8815장'''을 팔아치우며 [[역대 보이그룹 음반 초동 순위]] 1위에 바로 등극했다. 초동은 최종 2,130,480장으로 마감되면서 초동 200만장을 넘겼다. 2019년 5월 9일 발표된 [[가온차트]]에서 발매 19일만에 '''3,229,032장'''을 판매해 4월 월간 앨범차트 1위를 [[http://pop.heraldcorp.com/view.php?ud=201905090933235203543_1|차지]]했다. [[2019년]] [[6월]] 기준 '''339만장'''을 판매해 [[김건모]]의 [[잘못된 만남]] 330만장 기네스 기록을 깨고 단일앨범 국내 최단기간 최다 음반 판매량 1위를 달성했다. * [[2019년]] [[4월 12일]] 19시 30분, 지니 뮤직 차트를 3위와 5위 제외 줄세우기했다. [[2019년]] [[4월 12일]] 21시 30분, 멜론차트에서 줄세우기를 했으며, 금일 저녁부터는 팬들의 화력으로 멜론 자체가 마비 되었다. 공개 당시 서버가 마비되어 18시에 공개되었지만 이례적으로 20시에 처음 차트에 진입하게 되었다. [[멜론(음원 서비스)|멜론]] 모바일 앱 서버가 다운되어 2시간 가까이 먹통이였고 8시쯤에 복구되었다. [[https://www.nocutnews.co.kr/news/5134435|#]] [[SBS]] 8시 뉴스에도 보도되었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220986&plink=ORI&cooper=NAVER|#]] [[https://www.melon.com/customer/announce/infomAnnounce.htm?seq=743|멜론 공지]] [[유튜브]]도 프리징이 걸리는 사태가 발생했다.멜론 일간차트 [[https://theqoo.net/1063969688|1위]]를 했다. [[4월 15일]] [[네이버 뮤직]] 1위에 오르면서 [[2019년]] 음원차트 최초 [[https://theqoo.net/1064747360|퍼펙트올킬]]을 달성했다. [[4월 22일]] 멜론 주간차트 [[https://theqoo.net/1071799042|1위]]를 했다. 멜론 주간차트 1위를 한이후 2위를 계속해서 유지하고 있다. [[박효신]]의 신보가 나온 이후 잠시 3위로 떨어졌지만 2위로 다시 올라와 유지중. 가온 디지털 차트에서도 3주 연속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이후 멜론 [[2019년]] 연간차트에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 (Feat. Halsey)|작은 것들을 위한 시]]'가 '''3위''', '소우주 (Mikrokosmos)'가 63위, 'Make It Right'이 90위에 들었다. 이전에도 '[[봄날(방탄소년단)|봄날]]'이나 [[DNA(방탄소년단)|지난 앨범]] [[FAKE LOVE|타이틀곡들]]이 연간차트 20위권 내로 들어오면서 크게 성장한 음원파워를 보여주었는데, 이번 앨범에서 결국 데뷔 후 처음으로 탑10 안으로 진입했다. * [[4월 12일]] 발매 직후 '''전 세계 86개 국가와 지역 아이튠즈 톱 음반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고, 타이틀곡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 (Feat. Halsey)|작은 것들을 위한 시]]'은 67개 국가 및 지역 ‘톱 송’ 차트 정상을 기록했다.[[http://www.sportsseoul.com/news/read/749576|#]] 또한 [[아이튠즈]] 프랑스 차트에서 1위부터 7위까지 줄세우기를 했다.[[https://theqoo.net/1062473093|#]] [[4월 12일]] [[애플뮤직]] US 차트에서 20위로 진했다. [[4월 13일]] 오후 6시 기준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pdogg2&no=19344|전곡이 차트인]]했으며 특히 타이틀곡 Boy With Luv은 [[https://twitter.com/btschartdata/status/1116995671083458560|일간 차트 59위]]를 차지했다. [[4월 13일]] [[스포티파이]] US 차트와 글로벌 차트에서 전곡이 차트인을 했으며 타이틀 곡 Boy With Luv은 4위를 차지했다.[[https://theqoo.net/1063340421|#]]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bts&no=3544055&page=2|##]] 또한 인도 차트에서 1위부터 6위, 11위까지 줄세우기를 했다.([[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bts&no=3544137|#]], [[https://theqoo.net/1063360148|10시간 반영 수치 정리]]) 4월 13일 [[애플뮤직]] 중국 차트에서 1위부터 7위까지 줄세우기를 했다.[[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bts&no=3544052|#]] 4월 14일 [[애플뮤직]] US 차트에서 38위를 유지 중이다. 팝 장르 차트에서는 Boy With Luv가 1위를 차지했으며, 전 수록곡이 20위 이내에 랭크되어있다. * 이번 앨범도 빌보드 앨범 차트 200 1위를 차지했다. [[https://m.yna.co.kr/view/AKR20190416022255005?section=entertainment/tv&site=n_home_headlines|#]] 2주차에서 빌보드 핫100차트는 40위를 기록하여 2주간 Top40 차트인에 성공했으며 빌보드 앨범 차트 200은 3위를 기록했다. 3주차에 빌보드 핫100차트는 40위로 순위 변동없이 유지했으며 이로써 3주 연속 Top40 차트인에 성공했다. 빌보드 앨범 차트 200은 7위를 기록했다. 4주차에 빌보드 앨범 차트 200 8위를 기록했다. * [[4월 16일]] 24시간 동안 가장 많이 본 유튜브 비디오, 24시간 동안 가장 많이 본 유튜브 뮤직비디오, K-POP 밴드 가운데 24시간 동안 가장 많이 본 유튜브 뮤직비디오 총 '''3가지 부문에서 [[기네스북|기네스]] 세계 신기록'''을 세웠다. [[http://star.mt.co.kr/stview.php?no=2019041911420026956|관련 기사]][* 현재 최고 기록은 본인들의 '[[Butter]]'.] * [[4월 16일]] 중간집계 결과 UK 앨범 차트 1위 확정 및 싱글 차트 8위라는 오피셜이 떴다.[[https://www.officialcharts.com/chart-news/bts-set-for-their-first-number-1-on-the-uk-s-official-albums-chart-with-map-of-the-soul-persona__26072/|#]] [[https://www.officialcharts.com/chart-news/internet-sensation-lil-nas-x-leads-the-race-for-this-week-s-number-1-single-with-old-town-road__26076/|##]] 4월 19일 예정대로 UK 앨범 차트 최종 1위를 차지했으며 싱글 차트에 boy with luv 13위, make it right 71위, Mikrokosmos 74위로 차트인했다.[[https://theqoo.net/1069619257|#]] 이 외에도 프랑스 앨범 차트 5위, 이탈리아 앨범 차트 5위 및 싱글 차트 60위, 아일랜드 앨범 차트 6위 및 싱글 차트 14위, 독일 앨범 차트 3위 및 싱글 차트 47위, 네덜란드 앨범 차트 2위 및 싱글 차트 58위, 스웨덴 앨범 차트 2위 및 싱글 차트 29위, 벨기에 앨범 차트 3위, 노르웨이 앨범 차트 3위 및 싱글 차트 31위, 스코틀랜드 앨범 차트 1위 및 싱글 차트 14위를 차지했다.[[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etc_program2&no=5689759|#]] [[https://twitter.com/BTSEuropeARMY/status/1118872047998906372|##]] [[4월 20일]] 일본 오리콘 앨범 차트 1위를 차지했다. [[https://theqoo.net/1070038173|#]] [[4월 23일]] 일본 초동은 최종 26만장을 넘기며 마감되었다.[[https://theqoo.net/1072971755|#]] 예상대로 빌보드 앨범 차트 200 1위에 최종 확정되었다.[* 1주 동안 총 23만장의 앨범 판매 점수를 얻었으며, 이중 실제 앨범판매량만 19만 6000장이라고 한다.][[https://www.billboard.com/articles/columns/chart-beat/8507977/bts-map-of-the-soul-persona-no-1-album-billboard-200-chart|#]] 빌보드 핫100에선 8위로 진입했다. 또한 수록곡 Make It Right이 핫100 95위로 진입하여 K-POP 그룹 최초로 핫100 멀티 차트인 기록을 세우게 되었다.[[https://entertain.v.daum.net/v/20190424075643643|#]] 4월 26일 역대 세계 초동 순위 2.514M로 [[https://theqoo.net/1075556793|6위]]에 등극했었다. * 앨범 발매 하루 뒤인 [[4월 13일]] [[SNL]] 뮤지컬 게스트로 출연하여 신곡 무대를 처음으로 선보였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215&aid=0000747603|#]] * 2019년 9월, 데뷔 이후 첫 1달 휴가를 받았다. 지친 멤버들을 보고 [[슈가(방탄소년단)|슈가]]가 건의한 것이었다고. ==== [[MAP OF THE SOUL : 7|7]] ==== * [[2020년]] [[2월 21일]] 정규 4집 《[[MAP OF THE SOUL : 7]]》으로 컴백했다. * 'Interlude : Shadow'의 트레일러가 [[1월 19일]] 유튜브 조회수 4300만 회를 달성했다. 이는 방탄소년단의 트레일러 영상 중 가장 조회수가 높았던 '[[LOVE YOURSELF 轉 'Tear'|Intro : Singularity]]'를 훨씬 넘는 조회수이다. * [[2월 18일]] 기준으로 선주문량이 '''400만 장'''이 넘었다. 지난 앨범의 선주문량 300만 장을 웃도는 기록으로 당연히 역대 최대치다. 또한 앨범 발매 '''1시간만에 초동 100만장을 돌파'''했다. [[http://www.hanteonews.com/ko/article/all?fc=3887|#]] [[2월 21일]] 19시 37분경 '''초동 213만장'''을 돌파하며 다시 한번 [[MAP OF THE SOUL : PERSONA|본인들이 보유하고 있던 초동 기록]]을 다시 경신했고 [[http://www.hanteonews.com/ko/article/all?fc=3890|#]] 최종적으로 초동 '''337만장'''이라는 엄청난 기록을 다시 한번 세우며 마감했다.[* 참고로 전 세계 초동 순위로 따져도 [[아델(가수)|아델]]의 [[25(음반)|25]]의 초동 판매량 약 570만장에 이은 '''세계 2위''' 기록이다.] 발매 9일 만에 앨범 판매량 411만 4843장이라는 대기록이자 신기록을 세우면서 자신들이 세운 기록을 다시 한번 넘어섰다. [[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2003120100094750005821&servicedate=20200312|#]] * [[1월 17일]]에 나온 선공개곡 'Black Swan'이 [[멜론(음원 서비스)|멜론]]에서 [[1월 18일]]에는 자정 00시 기준 1위를, 1월 19일 오전 02시 기준으로 2위에 올랐다.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 (Feat. Halsey)|작은 것들을 위한 시]]'가 3위, '소우주'가 5위, '[[봄날(방탄소년단)|봄날]]'이 6위를 하는 등 다른 노래들도 순위가 급상승했다. [[1월 27일]] 기준으로 4위에 머무르고 있다. [[2월 21일]] 음원 공개 직후 멜론 7시 실시간 차트 '''1, 2, 3위를 올킬하며 진입했고 신곡 20곡 중 15곡이 20위 안에 진입'''했다. 타이틀곡 '[[ON]]'은 멜론 '''이용자수 123,489명으로 진입 이용자수 역대 1위를 갱신'''했다. [[https://theqoo.net/1325759377|#1]] [[https://theqoo.net/1325762394|#2]] 하지만 [[2월 22일]] 타이틀곡 'ON'이 멜론 일간차트 2위를 찍고 서서히 내려오며 저번 작은 것들을 위한 시에 비해 비교적 저조한 순위를 기록했다.[*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 (Feat. Halsey)|작은 것들을 위한 시]]'의 기록이 매우 이례적이었던 것이며 사실상 대중성을 노리지 않은 노래가 일간 1위를 찍기 매우 어렵다. 참고로 'ON'의 경우 대중성을 고려한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이는 멜론 이용자 수의 전체적 감소, 매우 강력한 히트곡[* [[지코]]의 '[[아무노래]]'.] 그리고 사회적 분위기도 한 몫한 것으로 보인다. 사실 [[코로나19]]가 심각했던 [[2월|2]]~[[3월]]은 음원 차트 비수기였다.[* 하지만 다른 음악 모두에게 적용되는 리스크였다.] * '''비영어권 가수 최초로 세계 5대 음악시장'''[*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단일 앨범 동시 1위'''를 기록했고, [[1월 17일]] 선공개 된 Black Swan이 전 세계 '''94개국 아이튠즈 싱글 차트에서 1위'''를 달성했다.[* 기존 한국 가수 최고 기록은 [[싸이]]의 [[강남스타일]]의 86개 국가 및 지역 1위. 방탄소년단이 경신했다.][[https://theqoo.net/square/1301833064|#]] [[The Weeknd]]의 《[[After Hours]]》가 전체 음반판매량을 잠시 앞섰으나, 코로나 사태가 길어지는데도 꾸준히 팔려 [[2020년]] [[7월]] 1주에는 다시 미국에서 제일 많이 팔린 음반이됐다. [[2월 25일]] 일본에서 직수입 앨범 반매 첫날 227,204장으로 데일리 1위를 했다. [[3월 2일]] 초동 마지막날 '''37만 7천장'''으로 주간 1위를 했다. [[https://www.oricon.co.jp/news/2156593/full/|#]] * [[2월 21일]] 음원 공개 후 [[미국]] [[아이튠즈]]에서 송차트 1~20위 줄세우기를 했다.[[https://twitter.com/magic_shop_24hr/status/1231109252502056961/photo/1|#]] 그 외 [[프랑스]], [[호주]], [[터키]], [[요르단]] 아이튠즈 차트도 줄세웠다. 72개국 아이튠즈 1위를 했다. [[https://twitter.com/btschartdata/status/1230838587303907328?s=20|#]] 2월 22일 91개국 아이튠즈 앨범차트 1위를 했다. [[https://twitter.com/SerieTV46/status/1231024688110985216|#]] 타이틀곡인 ''''[[ON]]'이 아이튠즈 93개국 1위를 달성'''했다. 7월 6일 ''''Black Swan'이 아이튠즈 105개국 1위를 달성'''했다. '''[[정국(방탄소년단)|정국]]의 '시차'가 101개국 1위를 달성'''했다. '''[[진(방탄소년단)|진]]의 솔로곡 'Moon'은 아이튠즈 109개국 1위를 기록'''하여, 가장 많은 1위를 기록한 한국 아티스트 솔로 B사이드 트랙이 되었다. 방탄소년단의 곡 중에서는 3번째로 100개국 1위를 차지했다.[* [[뷔]]의 'Sweet Night'을 포함 하면 4번째] 또한 롤링스톤지 선정 가장 '''위대한 보이그룹 노래에 5위'''에 올라, '''한국 아티스트 최고 기록을 달성'''했다. '''[[지민]]의 'Filter'가 101개국 1위를 달성'''했다. 또한 [[뷔]]의 Inner Child도 아이튠즈 82개국 1위, [[제이홉]]의 Outro : Ego는 52개국 1위, [[슈가]]의 Interlude : Shadow는 48개국 1위, 지난 앨범에 공개된 인트로곡인 [[RM]]의 Intro : Persona 또한 58개국 1위를 기록하며 선방하고 있다. [[2020년]] [[8월 24일]] 기준으로 '''방탄소년단의 7개곡이 아이튠즈 100개국 1위 달성 기록을 넘어섰다.[* Sweet night(116개국 1위, '''1위'''), [[MAP OF THE SOUL : 7 ~ THE JOURNEY ~|Your eyes tell]](113개국 1위, '''2위'''), [[MAP OF THE SOUL : 7|Moon]](109개국 1위, '''3위'''), [[Dynamite]](108개국 1위, '''4위'''), Black Swan(105개국 1위, '''5위'''), [[MAP OF THE SOUL : 7|시차]], Filter(101개국 1위, '''공동 6위''')]''' [[2월 23일]] '''[[애플 뮤직]] 47개국 1위, [[아이튠즈]] [[https://twitter.com/btschartdata/status/1231538213451423749?s=19|94개국 1위]], [[스포티파이]] 하루 [[스트리밍]]량 커리어하이, [[유튜브]] 개편 후 24시간 전세계 1위, [[빌보드 차트]] 200 수치 커리어하이'''를 했다. * 빌보드 200 차트에서 첫 주 422,000 유닛으로 '''1위'''를 기록했다.[* 방탄소년단의 '''4번째 1위''' 음반이다.][* 참고로 전작 대비 두 배 가까운 첫 주 판매량을 나타내었다.] 빌보드 핫100 차트에서 타이틀곡인 '[[ON]]'이 '''4위'''로 데뷔했다. 이는 '''K-POP 사상 최고 순위의 차트 데뷔'''이다.[* [[강남스타일]]의 2위에 이어 두번째로 높은 순위이다.][* 전작 타이틀 곡들의 첫 주 에어플레이 점수에 비해 극도로 낮았던 '''악재를 딛고 오히려 최고순위를 기록'''했다.] 수록곡인 '시차'와 'Filter' 또한 각각 빌보드 핫100 84위, 87위로 데뷔하며 [[MAP OF THE SOUL : PERSONA|전작]]의 '''멀티 차트인 데뷔 기록을 갱신'''했다. 2주차에서 빌보드 핫100 차트는 '[[ON]]'이 68위를 기록했다.[* '[[IDOL(방탄소년단)|IDOL]]' 때와 마찬가지로 두 가지 버전의 음원 동시 발매가 스트리밍에 악영향을 끼치면서 나타난 순위 하락으로 추정된다.] 빌보드 200 차트는 3위를 기록했다. 3주차에선 빌보드 핫100 차트에서 타이틀곡 '[[ON]]'이 차트아웃했다. 빌보드 200 차트는 8위를 기록했다. 4주차 빌보드 200 차트에서 11위를 기록했다. * 미국 [[CBS(미국 방송)|CBS]]의 인기 토크쇼 [[제임스 코든#s-2.2|더 레이트 레이트 쇼 위드 제임스 코든]]에서 선공개곡 Black Swan의 첫 무대를 공개한다고 발표됐다. [[https://twitter.com/latelateshow/status/1218187031332843521|#]] 현지 시간으로 1월 28일 무대를 선보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wSNd02kVv8o|#]] * [[2020년]]에도 그래미 어워드에 참여하고 Old Town Road Remix 공연을 하며 '''한국인 최초 그래미 어워드 공연'''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 [[2020년]] 4월과 6월 위버스를 통해 선보인 BTS의 온라인 콘서트인 ‘방방콘’은 107개국에서 동시 접속자 수 '''75만 6000여명''', '''기획상품(MD) 매출 154억원''', '''티켓 매출 144억원'''을 벌어들였다. 8월 기준 위버스의 누적 가입자 수는 '''860만명''', 월간활성사용자(MAU)는''' 470만명'''(빌보드 1위 직전 수치)에 달한다.[[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9383430&memberNo=48871196|방탄 방방콘]] == 2020~현재 == === [[Dynamite]] & [[BE(방탄소년단)|BE]] === >'''현 시점에서 방탄소년단이 세계에서 가장 대단한 아티스트 중 하나라는 그들의 위상을 부인하는 것은 '고의적 무지'일 뿐이다.''' >---- > [[포브스]] 기사 中[[https://www.forbes.com/sites/bryanrolli/2020/08/31/bts-dynamite-no-1-final-frontier-superstardom/amp/?__twitter_impression=true|#]] 최근에 들어서 미국 등지는 음악에 대한 매너리즘에 빠져있었고, 이에 해외 팬들은 지금까지의 음악 엔터테인먼트의 새로운 방향을 추구하기 원했다. BTS로 나타나는 K-POP 만의 공연 연출은 이들에게 신선한 반응을 주었기에 해외 팬들에게서 큰 히트를 쳤다. 이런 폭발적인 반응으로 '''한국 가수 최초 빌보드 Hot 100 1위 달성'''이라는 대기록을 세우게 된다. 이후 1-2-2-1-2-1라는 순위 추이를 보이며 '''총 3주 1위'''라는 역사적인 기록을 세우게 된다. 또한 'Savage Love'와 'Dynamite'가 같은 기간에 1,2위를 차지하기도 했으며, [[2020년]] [[11월]]에는 '''《[[BE(방탄소년단)|BE]]》와 '[[Life Goes On]]'으로 빌보드 HOT100 / 200차트에 1위로 진입하는 기록을 세웠다.''' 한편 [[유튜브]]에서는 '''뮤직비디오가 세계 최초로 공개된 지 24시간 만에 1억 110만뷰를 기록'''하며 '24시간 동안 가장 많은 조회수를 기록한 유튜브 동영상', '24시간 동안 가장 많은 조회수를 기록한 유튜브 뮤직비디오', '24시간 동안 가장 많은 조회수를 기록한 케이팝 밴드의 유튜브 뮤직비디오' '''3개 부문이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 또한 [[K-POP]] 그룹 최초로 1년 내에 [[유튜브]] 조회수 '''{{{#ff0000 10억뷰}}}'''를 달성하며 [[K-POP]] 밴드 최고 기록을 다시 세웠다. ---- * [[8월 27일]] 13시 '[[Dynamite]]'가 영어곡으로서는 [[Let It Go]] 이후 최초로 '''모든 음원사이트[* [[Melon]], [[지니뮤직]], [[FLO]], [[VIBE]], [[벅스]]]와 [[아이차트]]에서 1위를 기록(PAK)'''[* 퍼펙트 올킬('''P'''erfect '''A'''ll '''K'''ill). 모든 음원사이트의 실시간 차트 및 일간 차트에서 1위를 하는 것을 말한다.]하게 되었다. 총 ''' 610시간 동안 PAK를 기록하여, 역대 최장기간 PAK 달성곡'''이 되었다.[* 종전 기록은 [[지코]]의 [[아무노래]]의 330시간.][[https://theqoo.net/square/1615478820|참고]] * [[멜론(음원 서비스)|Melon]]차트에서 '[[Dynamite]]'가 '''3연속(9월~11월) 월간 1위, 통산 11주 주간 1위, 통산 75일 일간 1위'''를 달성하여 [[멜론(음원 서비스)|Melon]]차트 역사상 '''최초 3회 월간 1위, 최초 두 자리수 주간 1위, 최다 일간 1위'''의 기록을 세웠다.[* 남자 아이돌은 여자 아이돌에 비해서 음원이 약한데 그것을 깨고 월간 차트 1위라는 기록을 세웠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발매된 지 16주가 넘었음에도 24Hits차트 3위 순위 유지를 하면서 대중들로부터 상당한 호응을 받고 있다. * 빌보드 Hot 100 차트 첫 주에 [[2017년]] [[9월]] 이래 최다 디지털판매량으로 진입하며[* 세일즈 30만, 스트리밍 3390만, 라디오 1160만이며 미국에서 첫 주 만에 판매량 50만으로 골드를 달성했다.[[https://twitter.com/billboardcharts/status/1300489280587026438|#1]] [[https://mobile.twitter.com/chartdata/status/1300490075474718720|#2]] ] 1위로 데뷔하면서 '''한국 가수 최초 Hot 100 차트 1위를 기록'''했다. 이로써 방탄소년단은 '''21세기 최초이자 역대 2번째로 Hot 100 차트에서 1위를 한 아시아 아티스트'''[* 종전 기록은 1963년 [[사카모토 큐]]의 3주 1위. 무려 '''57년 전''' 기록이다.], 1위로 데뷔한 역대 3번째 그룹, '''비영어권 최초로 Hot 100, Artist 100[* 2020년 9월 첫째주 1위], Billboard 200차트 모두 1위를 석권한 아티스트'''가 되었다. * 둘째 주와 다섯째 주에도 1위를 차지했고, 일곱째 주에는 [[Jason Derulo]]와 함께한 Savage Love (BTS Remix)가 1위를 차지하면서 '''Hot 100차트 2주 연속 1위''', '''4회 1위'''라는 '''한국 최초, 최고 기록'''을 세웠다. 이는 '''한국어 가사 최초 빌보드 1위'''의 기록일 뿐만 아니라 '''HOT 100차트 1위와 2위를 동시에 석권'''한 기록이기도 하다. 또한 다섯째 주에 Global 200, Global Excl. U.S., Social 50, Artist 100, World album 차트에서도 모두 1위를 달성하며 '''전세계 최초 HOT100, Global 200, Global Excl. U.S 차트 동시 1위, 비영어권 가수 최초 7개 부문 동시 1위'''를 한 그룹이 되었다. * 11주차에도 16위를 기록하면서 '''방탄소년단 곡으로서는 가장 오랜 기간 차트인''' 하게 되었다. 라디오 송즈 차트에는 셋째 주에 49위로 진입하면서 '''방탄소년단 곡으로는 처음으로 진입'''했고 이후 10위까지 상승하면서 '''자체 최고기록을 달성'''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순위는 자연스레 하락했으나, 라디오 에어플레이는 계속해서 증가하는 좋은 추이를 보이고 있다. * 발매 8시간만에 '''100개국에서 아이튠즈 1위'''를 차지하면서 전세계 최단 기록을 세웠다. [[https://twitter.com/chartdata/status/1296788328923246592|링크]] 이후 8월 26일 [[MAP OF THE SOUL : 7|Filter]] 역시 100개국 1위를 차지하게 되면서 [[방탄소년단]]은 '''아이튠즈 100개국 1위를 달성한 6개의 곡[* Dynamite, [[MAP OF THE SOUL : 7|시차]], [[MAP OF THE SOUL : 7|Moon]], [[MAP OF THE SOUL : 7|Black Swan]], Your eyes tell, [[MAP OF THE SOUL : 7|Filter]]][* [[뷔]]의 Sweet Night은 솔로곡이므로 제외.]을 보유한 최초의 아티스트'''가 되었다.[[https://twitter.com/chartdata/status/1296790506157092864|링크]] 또, 19시간만인 8월 22일 오전 8시 아이튠즈 104개국 1위를 차지하며 역사상 '''가장 빠르게 아이튠즈 104개국 1위를 달성'''한 아티스트가 되었다.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144/0000686701|링크]] * [[8월 22일]] [[애플뮤직]] US 실시간 Songs 차트 27위, US Daily Top 100 차트 34위를 차지하며 자체 최고기록을 경신했다.[*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 (Feat. Halsey)]]의 38위, 41위가 이전 최고 기록.] *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에서 4가지 부문[* Best Pop, Best group, Best K-pop, Best choreography]의 후보로 올랐다. 이곳에서 8월 31일 최초로 무대를 선보였으며, '''노미네이트 된 4가지 부문에서 모두 수상'''했다. * [[10월 15일]], 2020년에도 어김없이 빌보드 뮤직어워드에 참가했다. 이번에도 톱 소셜 아티스트와 톱 듀오/밴드 분야에 노미네이트 되었다. 아쉽게도 톱 소셜 아티스트 부분만 수상했다.[* Dynamite는 발매 시기 상 점수를 채점할 수 없는 곡이었기에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도 상을 받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다음 시상식에서는 상을 탈 가능성이 높다.] * 2020년 AMA 2부분[* Favorite Social Artist, Best Duo/Group]에 노미네이트 되었고, 노미네이트 된 부분에서 모두 수상했으며, 피날레 무대를 장식했다. * [[2020년]] [[11월 20일]]에 신보 BE 및 타이틀곡 '[[Life Goes On]]'으로 컴백했다. 잔잔한 노래에 스토리 형식 뮤직비디오 특성상 유튜브 조회수는 Dynamite에 미치지 못하는 편. 멜론 차트에서 전곡 차트인 및 24hits 최고 2위까지 기록했다. 이때 1위는 'Dynamite'였다. --집안싸움-- * [[2020년]] [[12월 5일]]자 [[빌보드 차트|Billboard Hot100]] 차트에서 수록곡 '[[Dynamite]]'가 14위에서 3위로 11계단 상승 했고, 'Blue & Grey'가 13위, 'Stay'가 22위, '내 방을 여행하는 법'이 69위, '잠시'가 70위, '병'이 72위를 기록하며 진입하면서, '''K-POP 최초로 모든 수록곡이 [[빌보드 차트|Billboard Hot 100]]에 진입'''했다. * 제63회 '''[[그래미 어워드]] Best Pop Duo/Group Performance''' 부문에 노미네이트 되었다. 이는 '''한국 가수 최초의 팝 부문 노미네이트 기록'''이다. [[https://twitter.com/BTS_twt/status/1331298544834076672|반응 1]] [[https://twitter.com/BTS_twt/status/1331311148965064706|다른 앵글]] [[https://twitter.com/BTS_twt/status/1331301461725118464|반응 2]] [[https://twitter.com/BTS_twt/status/1331367782034796545|3]] [[https://theqoo.net/1724350882|4]] 시상에서 공연, 공연에서 노미네이트까지 한 단계 한 단계 점진적으로 그래미의 문을 두드렸다는 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 오랜만에 GMA 등 방송에도 출연했다. * 2020년 12월 11일 [[타임(주간지)]]에서 '올해의 연예인'으로 선정되었다.[[https://time.com/entertainer-of-the-year-2020-bts/|#]] === [[Butter]] === * [[2021년]] [[5월 21일]] 디지털 싱글 ‘[[Butter]]’가 발매되었다. 댄스팝 기반의 신나고 경쾌한 분위기의 두번째 영어 곡이다. 7월 9일에 새 앨범[* [[https://youtu.be/CuklIb9d3fI]] ]을 낸다. [[https://entertain.v.daum.net/v/20210427001410423|#]] * 발매와 동시에 엄청난 기록들을 세웠는데, 공개 1시간이 채 되기 전에 '''2000만뷰'''를 넘는 신기록[* 13분만에 '''1000만뷰'''를, 54분만에 '''2000만뷰'''를 기록했다.]을 세운데 이어 기네스북에서 ''''유튜브에서 24시간 동안 가장 많이 본 뮤직비디오'''' 기록을 다시 세웠다. 종전 기록은 본인들의 곡 '[[Dynamite]]'의 '''1억 110만뷰'''였는데, 이를 넘어선 '''1억 820만뷰'''를 달성한 것. * 빌보드 HOT 100차트에서도 기록을 새로 썼는데, 발매 후 해당 차트에서 핫샷 데뷔해 '''무려 10주간 1위를[* 비연속] 차지하며 올해 빌보드 싱글 차트에서 가장 많이 1위를 차지한 노래'''가 됐다. 이는 미국 가수 [[올리비아 로드리고]]의 [[drivers license]] 8주연속 1위 기록을 깬 것이다. 이로 인해 방탄소년단은 역사상 4번째로 빌보드 HOT 100 핫샷 데뷔를 가장 많이 한 가수가 되었다. === [[Permission to Dance]] === [[2021년]] [[7월 9일]] 오후 1시에 발매되었으며 7월 11일 오전 1시 현재까지는 빌보드 차트에서 같은 방탄소년단 곡인 버터와 1,2위를 겨루며 자신과의 경쟁을 할 것이라고 예상한다. === [[Proof(방탄소년단)|Proof]] === [[2022년]] [[6월 10일]] 발매되는 [[앤솔러지]] 앨범이다. 2022년 6월 14일 공개된 BTS FESTA '찐 방탄회식'에 나온 비하인드에 의하면 원래는 활동을 할 생각으로 만든 앨범이 아니었다고 한다. 그래서 팬들이 기대하던 "[[Proof(방탄소년단)#s-2.2.1|달려라 방탄]]"의 퍼포먼스도 없을 것이라 언급했다. 다만 고민끝에 국내 가요프로 출연은 하기로 했다고. 또한 Proof 앨범으로 방탄소년단의 한 챕터를 마무리하고 '''당분간 개인 활동에 집중'''하기로 했다며 [[달려라 방탄]] 등의 단체 활동은 지속할 거라고 밝혔다. [[https://youtu.be/1t0iJ7F_k9Q|영상]] [[https://www.instiz.net/name_enter/84295402|요약1]] [[https://twitter.com/veinof94/status/1536693509834428417|요약2]] [[https://entertain.v.daum.net/v/20220615110601281|뷔 위버스]] [[https://entertain.v.daum.net/v/20220615232509035|정국 브이앱]] [[https://entertain.v.daum.net/v/20220616081653534|알엠 위버스]] 이후 진의 입대 소식이 나오게 되면서 개인 활동이 언급된 이유가 부각되었다. [[빅히트 뮤직]]은 "방탄소년단은 '''팀 활동과 개별활동을 병행'''하는 새로운 챕터를 시작하게 된다. 멤버 각자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성장하는 시간이 될 것이고, 향후 방탄소년단이 롱런하는 팀이 되기 위한 자양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위해 레이블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https://entertain.v.daum.net/v/20220615093205155|#]] 박지원 [[HYBE|하이브]] 대표는 "아티스트의 메시지는 앞으로의 지속적인 성장, 성숙을 위해 팀 활동과 개인활동을 병행함으로써 활동의 폭을 보다 다각적으로 넓혀나가겠다는 것. 방탄소년단의 팀 활동을 잠시 쉬어간다는 아티스트의 메시지는 완전한 활동 중단을 의미하지 않는다. '''팀 활동과 개인 활동을 조화롭게 진행'''할 예정이기에 활동의 범위는 오히려 더 다채롭게 확장되어 나갈 것이다. 아티스트로서 한 번 더 성장하고 도약할 수 있는 계기들이 마련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멤버 별 개인 활동 계획이 이미 수립되었거나 수립 중에 있고 곧 발표될 예정이며 개인 활동과 팀 활동은 상호 시너지 하에 진행될 것. 팀 활동의 경우 이미 Proof 앨범 활동이 본격적으로 진행 중이고, 이후 추가적인 팀 활동 계획 또한 수립 중에 있다"고 덧붙였다. [[https://entertain.v.daum.net/v/20220615201354607|#]] 2022년 12월 13일 맏형 [[진(방탄소년단)|진]]이 [[입대]]하면서 [[군백기]]가 시작됐다. 2023년 4월 18일, [[제이홉]]이 입대했다. 2023년 9월20일 방탄소년단 전체가 두 번째 제계약을 함으로써 팬덤 [[A.R.M.Y]]이름으로 기부하였다.[[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382/0001076837|#1]] [[https://v.daum.net/v/20230920174309564|#2]] [[https://www.yna.co.kr/view/AKR20230925090600005|#3]] 2023년 9월 22일 ,멤버 [[슈가(방탄소년단)|슈가]]가 [[사회복무요원]]으로 입대했다. 2023년 10얼 13일(현지시간 12일) [[방시혁]] 의장이 미국 [[할리우드]]에서 열린 ‘[[블룸버그]] 스크린타임’에서 초청 대담자로 나서 방탄소년단의 두번째 재계약에 대해 "방탄소년단과 사이는 좋지만 계약 협의 과정에서 원래 진통이 있고 그걸 해결하면서 더 친해졌다. 매니저로서 살아가는 인생에서 고통이 많은데 가장 큰 행복이었다"고 소회를 밝히면서 "2015년 발매된 [[화양연화(동음이의어)#s-2|화양연화]] 앨범이 발매 10주년을 맞으면 기념 앨범을 만들자는 얘기를 했었는데 결국 같이 만들 수 있게 됐다"며 준비 중인 프로젝트를 깜짝 발표했다. [[https://v.daum.net/v/20231013144302005|#1]] [[https://twitter.com/JJUNGKOOK_mona2/status/1712634372451639486|#2]]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방탄소년단, version=6176, title2=MAP OF THE SOUL : PERSONA, version2=695, title3=MAP OF THE SOUL : 7, version3=496, title4=Dynamite, version4=1099)] [[분류:방탄소년단]][[분류:아이돌/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