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사무처장)] ||<-2> '''{{{#fff 제24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br]{{{+1 배기찬}}}[br]裵基燦'''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width=100%]]}}} || ||<|2> '''출생''' ||[[1963년]] [[5월 2일]] ([age(1963-05-02)]세) || ||[[경상북도]] [[칠곡군]] || || '''학력''' ||[[대구칠곡초등학교|대구칠곡국민학교]] {{{-2 (졸업)}}} [br][[칠곡중학교]] {{{-2 (졸업)}}} [br][[달성고등학교]] {{{-2 ([[졸업]])}}} [br][[서울대학교 인문대학]] {{{-2 (동양사학 / [[학사]])}}} [br][[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 (정책학 / [[석사]])}}} || || '''약력''' ||한국사회연구소 연구원 [br]이수인 국회의원 정책비서관 [br]김원기 국회의장 정책비서관 [br][[도쿄대학]] 동양문화연구소 객원연구원 [br][[하버드 대학교]] 객원연구원 [br][[노무현]] 해양수산부장관 정책자문관 [br]제16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기획조정분과 전문위원 [br][[대통령비서실]] 정책실 정책관리행정관 [br][[국가균형발전위원회]] 자문위원 [br]청와대 국정과제팀장 [br]청와대 정책실 정책조정비서관 [br]충남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초빙교수 [br]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br]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사무처장 ||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 == 생애 == 1963년 5월 2일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태어났다. [[대구칠곡초등학교]]([[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4/23/2009042300152.html|62회]])와 [[칠곡중학교]], [[달성고등학교]], 1986년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동양사학과]](82학번)를 졸업하고 2007년 2월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정책학]] 전공으로 [[행정학]] [[석사]] 학위[*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10950476|노무현 정부의 국정과제위원회 연구 : 동북아구상과 동북아위원회를 중심으로]](2007. 2).]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 졸업 후 1980년대 말 한국사회연구소에 연구원으로 들어가 국제관계 및 [[남북관계]]를 연구했고, 1990년부터 [[이수인]] 전 국회의원과 [[김원기]] 전 국회의장의 정책비서관으로 일했다. 1995년 7월 [[일본]] [[도쿄대학]] 동양문화연구소에서 객원연구원으로 있으면서 '동아시아 패권체제와 코리아'를 주제로 연구를 진행했다. 또한 1996년 8월부터 [[미국]] [[하버드 대학교]]에서 객원연구원으로 있으면서 '북한의 체제변화를 위한 국제협력'을 주제로 연구를 진행했다. 이후 국회 외무통일위원회 등에서 정책을 다루었고, [[이수인]] 국회의원, [[김대중]] 대통령 후보, [[김원기]] 국회의장 등의 정책비서관으로 재직했다. 2000년 이후 [[노무현]] [[해양수산부장관]] 정책자문관을 거쳐 노무현 [[제16대 대통령 선거]] 경선 후보 TV토론 팀장, 노무현 [[제16대 대통령 선거]] 후보 정책팀장 겸 리더십팀장, 제16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기획조정분과 전문위원, [[대통령비서실]] 정책실 정책관리행정관 및 자문위원,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자문위원, 청와대 국정과제팀장 등으로 재직하면서 노무현 대통령 및 [[참여정부]] 전반의 국정리더십과 정책현안, 국정비전, 국정과제를 기획하고 추진했다. 2004년에는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북구 을(대구)|대구광역시 북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안택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6년 이후 청와대 정책실 동북아시대위원회 비서관, 정책실 정책조정비서관, 통일외교안보실 동북아비서관으로서 국정목표인 '평화와 번영의 동북아시대'를 관장했고, 2007년 10월 남북정상회담 수행원으로서 [[10.4 남북공동선언]]을 작성하는 데 일조했다. 2007년 12월 19일 치러진 [[제17대 대통령 선거]] 이후에는 [[충남대학교/대학원|충남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초빙교수, 미국 [[시애틀]] 북한연구센터 책임자 등으로 근무하다가 2012년 귀국했다. 2013년 통일코리아협동조합을 설립했고, 이후 이사장으로 있으면서 [계간 통일코리아], [유코리아뉴스]를 발행하고, 전국을 순회하며 화해·협력과 통일에 대해 강의했다. 문재인 정부 들어서는 문재인 대통령 EU·독일 특사대표단, 청와대 안보실 자문위원, 2018 남북정상회담 전문가 자문단 등을 맡았다. 2020년 12월 23일,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사무처#s-3|사무처장]]에 내정되었다. 2021년 12월 3일, 신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사무처#s-3|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에 김창수 국가안보실 통일정책비서관이 내정되었고 12월 9일부로 이임하였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1271B5> {{{#ffffff 연도}}} ||<#1271B5> {{{#ffffff 선거 종류}}} ||<#1271B5> {{{#ffffff 소속 정당}}} ||<#1271B5> {{{#ffffff 득표수 (득표율)}}} ||<#1271B5> {{{#ffffff 당선 여부}}} ||<#1271B5> {{{#ffffff 비고}}}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대구 북구 을) || [include(틀:열린우리당)] || 40,002 (34.60%) || 낙선 (2위) || || == 둘러보기 == [Include(틀:2018 남북정상회담 전문가자문단)]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달성 배씨]][[분류:칠곡군 출신 인물]][[분류:1963년 출생]][[분류:참여정부/인사]][[분류:문재인 정부/인사]][[분류:달성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출신]][[분류: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사무처장]][[분류:충남대학교 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