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부산광역시의 산]][[분류:익산시]][[분류:전라북도의 산]][[분류:이름이 같은 산]] [목차] == [[부산광역시]]의 산 == === 개요 === [[파일:external/t1.daumcdn.net/20160511180301996mqoa.jpg]]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부산)|연산동]]과 [[수영구]] [[망미동]]에 걸쳐 있는 [[산]]. 정상부는 해발 256.3m로 [[목포시]] [[유달산]]보다 조금 높고 [[서울특별시]] [[남산(서울)|남산]]보다 조금 낮은 정도다. 부산 중심부의 한복판에 위치한 산답게 등산로가 곳곳에 포진되어 있고 운동할 수 있는 시설이 정상 부근까지 설치되어 있어, 현재는 사실상 주민 체육공원 정도의 기능을 수행하는 산이다. ==== 역사 ==== 국가지정문화재 [[대한민국의 사적|사적]] 제539호인 [[부산 연산동 고분군]]이 배산 서북부 야트막한 언덕에 자리하고 있다. 무덤에서 출토된 유물의 성격으로 볼 때 이 지역의 수장들이 묻힌 유적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부산 [[동래]] 지역으로 비정되고 있는 [[거칠산국]][* 거칠(荒)+산(嶺)으로 오늘날 [[황령산]]의 어원이 되었다.]이 [[탈해 이사금]] 때 인물인 거도에 의해 이미 [[신라]]에 복속된 것을 감안하면 [[가야]]의 정치적 중심지로 보기는 어렵고 일찌감치 신라의 일부로 편입된 지역이지만 신라의 영향력이 그리 강하지는 않았던지 지역 수장들의 영향력이 오래 유지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2016년]] 5월 이 산에 있는 고성터인 '''배산성지'''(부산시 기념물 제4호)가 부산에서 가장 오래된 석성 터로 보인다는 [[부산박물관]]의 발굴조사 [[http://media.daum.net/culture/others/newsview?newsid=20160511180303008|결과]]가 나옴에 따라 7세기에 축성된 기장산성보다 이전에 상당한 노동력과 기술력을 동원할 수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이전에는 이 산성이 토성이었을 것으로 추정되었지만 이 발굴 조사에서 기단보축에다 기와 건물의 흔적까지 발견되었고, 현재도 남아있는 거칠산국 우물터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 집수지(호안석축) 유적까지 발견되는 등 고대-신라시대 부산 지역사 연구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산으로 자리매김해 가고 있다. 거기다 2020년 1월에는 배산성지가 삼국시대식 축성법과 통일신라식 축성법이 혼재되어 있는 특이케이스라는 사실이 발견되어 학계의 관심을 모으는 중.[[http://kookje.co.kr/mobile/view.asp?gbn=v&code=0500&key=20200117.22002006641#cb|기사]] 이후에는 [[동래]]현의 치소지가 이 산의 남쪽에 들어섰다. 현재의 [[망미동]] 부산지방[[병무청]]이 위치한 자리에 동래현 치소지가 있었으며 후에 [[동래부]]가 지금의 [[동래구]] [[칠산동]]으로 옮겨가기 전까지 [[동래]] 지역의 중심으로 기능했다.[* 이 자리는 현재 배산의 일부라고 보기 어려운데 도시개발로 인해 배산 동쪽이 끊어졌기 때문이다.] 또한 고려 [[의종(고려)|의종]] 때 측신 정서가 동래로 귀양 왔을 때는 이 산의 동북쪽 끝자락에 '''과정'''이라는 정자를 짓고 오이를 키우며 왕의 부름을 기다리기도 했고 이 결과 우리 문학사상 유일의 작가가 알려진 [[고려가요]]인 [[정과정]]이 탄생했다. 이 노래가 충신연주지사(연군가)의 시조격으로 [[정철]]의 가사문학에(!) 영향을 준 작품임을 감안하면 그야말로 [[만악의 근원]]인 셈. ~~쪼끄만 동네 야산 주제에 전국 수험생들을 괴롭히는 주범이라니~~ 지금은 도시개발에 따라 배산 동쪽이 끊어지는 바람에 [[정과정]] 유적은 배산의 일부라기보다는 [[수영강]]변의 유적으로 알고 있는 것이 찾기가 쉽지만 이 영향으로 [[토곡]]을 가로질러 [[온천천]]을 따라가는 길의 이름이 [[과정로]]로 명명되어 있으니 의외로 역사적으로 의의가 깊은 산이다. 2018년 10월 대형 건물터가 발굴됐다.[[https://news.v.daum.net/v/20181016080020432?f=m|#]] <동래부지>(1740)에는 '''척산(尺山)'''이라는 이름의 산이 등장하는데, 아마도 이 산을 일컫는 말로 추정된다. ==== 명칭 ==== 순우리말로 [[훈독]]하면 '''잔메'''다. 잔 배(盃) 자에 메 산(山) 자를 쓰기 때문이다. 주변 사람들은 흔히 '산'을 덧붙여 '잔메 산'이라고 부른다. 어원적으로 [[겹말]]인 셈이다. 이 산의 이름이 잔메가 된 데에는 인근 주민들의 말로는 산세가 '술잔을 엎어 놓은 모양'이어서라고 하지만 [[부산대학교]] 유동석 교수는 위에서 설명된 성 유적의 흔적과 관련지어 이 산의 이름에 잔 배 자를 쓰는 것이 모양 때문이 아니라 '잣('성'의 옛말)'이 '메'와 만나 [[자음동화]](그 중에서도 [[비음화]])가 이루어지고, 한자 표기로는 잔 배 자를 쓰는 바람에 잔메가 되었다고 주장하며 단순히 산의 모양에 집중할 것이 아니라 '성이 있었던 옛 중심지'로서의 산의 기능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연산1동]] 쪽의 일각에서는 '''묘봉산'''이라는 이름을 밀기도 한다. 동네 야산 치고는 봉우리가 제법 울퉁불퉁하고 가파른 편이라 봉우리가 멋있게 생겼다는 뜻인 듯하지만, 실상은 [[연산중학교(부산)|연산중학교]] 축제 이름인 '묘봉제'나 체육관 이름인 '묘봉관', [[쌍미천로]] 쪽에서 배산으로 들어가는 길인 [[묘봉산로]]를 제외하면 누가 아는 사람도 별로 없는 이름이다. ==== 주변 지리 ==== 주봉인 배산 정상부를 포함해 산의 대부분이 [[연제구]] [[연산동(부산)|연산동]]에 포함되고 나머지 부분은 [[수영구]] [[망미동]]과 살짝 인접해 있다. 옛 배산 영역 전체를 두고 이야기한다면 [[망미동]]과는 살짝 접해 있는 수준이 아니라 망미동 전역이 배산 자락이 되고 [[정과정]] 유적지가 있는 [[수영강]] 서안까지가 모두 배산이었다. 남쪽으로는 연산6동, 연산3동을 사이에 두고 [[금련산]]과 마주보고 있으며 예전에는 [[백양산]]과 [[쇠미산]]처럼 연결되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무래도 부산의 대표적 인구포화지역인 [[토곡]]과 [[망미동]]을 끼고 있다 보니 문자 그대로 산을 빙 둘러 가며 각종 [[아파트]], [[학교]] 및 교육시설, [[공공기관]] 등이 자리잡고 있다. 아파트는 [[페르마의 대정리|너무 많아서 적을 여백도 없을 지경이니]]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자세한 설명은 패스하고]](...) 초등학교는 배산초, 연동초, 동명초, 연일초가 각각 산의 동서남북을 끼고 들어서 있고, 중학교 역시 망미중, 연제중, 연산중, 연일중, 연천중이 원을 그리며 들어서 있다. ~~초등학교보다 중학교가 더 많은 것 같은 건 [[기분 탓]]이 아니다~~ 고등학교도 [[부산외국어고등학교|부산외고]], [[남일고]], 연제고의 3개교가 들어서 있으며 [[특수학교]]인 [[동암학교]], 2년제 전문대학인 [[부산경상대학교]]까지 배산을 끼고 있어 초,중,고,대,특수학교까지 그야말로 학교에 관해선 있을 건 다 있는 산이다.[* 비슷한 예로 [[백양산]]이 있다.] 따라서 등산로가 학교 입구인 경우가 많다.[* 예를들어 망미동 [[남일고등학교]]로 내려가는 등산로가 하나 있다.] 물론 부산은 [[금정산]], [[금련산]], [[승학산]], [[장산]], [[백양산]], [[구덕산]], [[엄광산]], [[윤산]], [[봉래산(부산)|봉래산]] 등 대학을 끼고 있는 산이 유독 많기는 하지만 언급된 다른 산의 규모와 배산의 규모를 비교하면 잘 쳐줘야 [[매미]]와 [[파리(곤충)|파리]] 정도의 차이니(...) 배산이 얼마나 붐비는지를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달리 말하면 배산자락까지 산동네가 들어서있다는 말.. 거기다 부산과학교육원, 부산영재교육진흥원, 부산교육연수원[* 이 건물들은 모두 과거 [[KAIST 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 현재 [[부산진구]] [[당감동]]으로 이전됨.]와 [[부산과학고등학교]][* [[금정구]] [[구서동]]으로 이전됨.]의 부지였다.], [[부산소방재난본부]] 같은 공공기관들은 덤. ==== 교통편 ==== ===== 시내버스 ===== * [[부산 버스 54|54번]], [[부산 버스 100-1|100-1번]] - [[연산터널]]을 통해 아예 배산을 관통 * [[부산 버스 36|36번]], [[부산 버스 49|49번]], [[부산 버스 86|86번]], [[부산 버스 87|87번]], [[부산 버스 99|99번]], [[부산 버스 105|105번]], [[부산 버스 189-1|189-1번]] - 북쪽 [[연산8동]], [[연산9동]] 방면 및 서쪽 [[연산역(부산)|연산역]] 방면 * [[부산 버스 5-1|5-1번]], [[부산 버스 20|20번]], [[부산 버스 51|51번]], [[부산 버스 62|62번]], [[부산 버스 63|63번]], [[부산 버스 131|131번]], [[부산 버스 141|141번]] - 남쪽 [[배산역]], 망미동 방면 * [[부산 버스 100|100번]] - [[충렬사역]] 방면에서 연안교를 넘어와 북쪽 [[과정로]]를 따라 배산을 끼고 동쪽 [[토곡]]까지 진입한 다음 그대로 [[수영강]]을 건너간다. * [[부산 버스 57|57번]] - [[충렬사역]] 방면에서 연안교를 넘어와 북쪽 [[과정로]], 동쪽 [[토곡]], 남쪽 망미동 및 [[배산역]]을 돌아 [[양정역(부산)|양정역]] 방향으로 나간다. 즉 배산의 서쪽 [[연산교차로]] 방면만 제외하고 배산을 한 바퀴 싹 돌고 나가는 셈. ===== 도시철도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연산역(부산)|연산역]]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연산역(부산)|연산역]], [[물만골역]], [[배산역]] [* [[망미역]]은 배산 옛 동쪽 부분(주공아파트)과는 가깝지만 현재 의미에서의 배산과는 거리가 좀 있다.] ==== 사건 사고 ==== 2001년 한 여대생의 변사체가 발견되었는데 아직까지도 풀리지 않은 [[미제 사건]]이다. 자세한건 [[부산 배산 여대생 피살사건]] 참조. == [[전라북도]] [[익산시]]의 산 == === 개요 === [[전라북도]] [[익산시]] 모현동과 신동의 경계에 위치한 산으로, [[연일 정씨]] 문중의 소유인 사유지이다. [[해발고도]]는 95m. === 상세정보 === 2개의 봉우리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각 큰 배산, 작은 배산이라고 부르며 각각의 정상에는 연주정과 배산정이 세워져 있다. 또한 배산근린공원이 조성되어 있어서 여기서 매년 벚꽃축제가 열린다. 등산로는 큰 배산 기준 3곳으로 하나는 배산근린공원을 통해 동굴을 지나는 루트, 근린공원 또는 배산체육공원에서 둘레길을 통해 북쪽의 계단을 타고 올라간 뒤 밧줄을 타고 올라가는 루트, 그리고 남쪽의 약수터를 통해 올라가는 루트가 있다. 배산은 동쪽에 [[호남선]]과 [[호남고속선]]이 지나서 시간만 맞으면 지나가는 열차를 구경할수도 있다. 맑은 날에는 [[군산]]과 [[논산]]까지 보이기도 한다. === 주변 정보 === 서쪽으로는 배산체육공원이 있고, 남쪽으로는 [[배산지구]]와 익산경찰서, 익산우체국이 위치해 있다. 동쪽으로는 호남선, 호남고속선이 지나가는데 호남고속선이 건설되기 이전에는 건널목이 있었지만, 호남고속선이 건설되면서 복복선이 되고 방음벽까지 설치되어 현재는 건널목 남쪽에 지어진 육교가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