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배승진의 역임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성남 FC/역대 주장)] }}}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422배승진.jpg|width=100%]]}}} || ||<-2> '''{{{#f5cd21 {{{+1 배승진}}} [br] {{{-2 裵乘振 | Bae Seung-Jin}}}}}}''' || || '''출생''' ||[[1987년]] [[11월 3일]] ([age(1987-11-03)]세) [br] [[울산광역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신체 조건''' ||182cm, 75kg || || '''주발''' ||오른발 || || '''포지션''' ||[[센터백]], [[수비형 미드필더]] || || '''등번호''' ||[[성남 FC]] - 14번 [br] [[경남 FC]] - 53번, 4번 [br] [[요코하마 FC]] - 13번 [br] [[인천 유나이티드 FC]] - 4번, 44번 [br] [[안산 경찰청]] - 2번 || || '''학력''' ||신산초 - [[오산중학교(서울)|오산중]] - [[오산고등학교(서울)|오산고]] - [[울산대학교|울산대]] || || '''프로 입단''' ||2007년 [[요코하마 FC]] || || '''소속팀''' ||[[요코하마 FC]] (2007~2008) [br] → {{{-1 [[자스파구사츠 군마]] (2008 / ^^임대^^)}}} [br] [[도쿠시마 보르티스]] (2009~2011) [br] [[요코하마 FC]] (2012~2013) [br] [[인천 유나이티드 FC]] (2014~2016) [br] → {{{-1 [[안산 경찰청]] (2015~2016 / ^^군 복무^^)}}} [br] [[성남 FC]] (2017) [br] [[요코하마 FC]] (2018) [br] [[경남 FC]] (2019~2022) || || '''기타''' ||[[한국프로축구선수협회]] (2020~ / ^^이사^^) || || '''국가대표'''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25]]]] 1경기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3]] / 2007)^^ || || '''가족''' ||[[아내]], [[딸]], 이종사촌 [[권순태]], 권순학 || || '''SNS''' ||[[https://www.instagram.com/bae.seung.ji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축구선수]]. 포지션은 [[센터백]], [[수비형 미드필더]]. [[한국프로축구선수협회]]의 이사직을 수행하고 있다. [youtube(R9PC_5WgWW4)] == 선수 경력 == === [[J리그]] 1기 === 2007년 [[J2리그]] 소속 [[요코하마 FC]]에서 프로에 데뷔했다. 요코하마에서 뛰던 중 [[FIFA U-20 월드컵]]에 출전하기도 했으나 리그에서는 단 1경기도 뛰지 못했고, 2008년 군마로 임대되며 프로 데뷔전을 치렀으나 결국 임대 복귀 후 방출당했다. [[파일:external/footballk.net/300px-%EB%B0%B0%EC%8A%B9%EC%A7%84.jpg]] 그러나 바로 이듬해에 [[도쿠시마 보르티스]]에 입단해서 3년 간 93경기 5골을 넣는 등 좋은 활약을 펼친 덕분에 2012년 한때 그를 방출했던 요코하마 FC에서 그를 다시 영입하였고, 돌아온 요코하마에서도 2년 간 73경기 5골을 넣으며 주전으로 맹활약했다. 이로 인해 다음 시즌 요코하마 FC의 주장으로 임명될 예정이었다. === [[K리그]] 1기 === [[파일:external/www.incheonutd.com/20140092.png|width=50%]] 그러나 2014년을 앞두고 입대할 나이가 다 차게 되면서 최종적으로는 군 복무를 위해 [[K리그]]에 발을 들였고[* 규정 상 상무나 경찰에 입대하기 위해선 K리그 소속으로 경기에 나선 이력이 있어야 한다. 이 때문에 해외에서 데뷔한 선수들 중에는 입대 바로 이전 시즌을 [[K리그]]에서 뛰면서 한 시즌이라도 이력을 확보하고 입대하는 경우가 많다.] [[전북 현대 모터스]]로 이적한 [[김남일]]의 대체 선수를 찾고 있던 [[인천 유나이티드]]에 입단하였다. 인천으로 온 후에는 일본에서 주로 소화하던 [[수비형 미드필더]]보다는 [[센터백]] 역할을 자주 맡았지만 초기의 기대만큼 큰 활약을 하지는 못하고 평범한 모습을 보였으며, 여름에는 부상으로 시즌 아웃 판정을 받으면서 11경기를 소화했다. 당시 평가로는 수비적인 부분에서는 괜찮았으나 그 이상을 보여 주지는 못했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이후 [[안재준]]과 함께 [[안산 경찰청]]에 입대했고, 안산에서의 첫 시즌에서 배승진은 [[신형민]], [[안재준]]과 함께 수비 라인을 형성하며 주전으로 낙점되어 총 33경기에 출전하였다. 이전에 비해 경기 감각을 끌어올릴 만한 기회로 작용했으나, 시즌 초에 안재준과 함께 한 경기에서 동반 경고 누적 퇴장을 당하는 개그를 연출하기도 했다. 그러나 다음 시즌인 2016년에는 [[조성진(축구선수)|조성진]], [[김은선]], [[최보경]] 등 우수한 수비형 미드필더 겸 센터백 자원들이 대거 입대하며 안재준과 함께 위험한 상황에 놓였고, 실제로 시즌 초에는 신형민, 안재준에게까지 밀리며 서브 명단에도 들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조성진이 부상으로 아웃되고 김은선, 안재준의 몸 상태도 의문이 생기면서 배승진은 다시 기회를 받게 되는데, 2015 시즌에는 주로 수비로 뛰었다면 2016 시즌에는 미드필더로 주로 기용되는 상황이다. 결국 7월 27일 [[부천 FC 1995]]를 상대로 K리그 데뷔골을 기록하며 팀의 승리에 기여했다. 2016년 9월 2일 전역했으며 9월 5일 [[인천 유나이티드]] 훈련에 복귀했다. 복귀 직후 [[FC 서울]]을 상대로 바로 선발로 투입되었으며, 뛰어난 경기력을 보이며 팀의 승리에 공헌했다. 이후로는 로테이션 자원으로 간간히 출전해 팀의 잔류에 기여하면서 시즌을 마감했다. [[파일:external/imgnews.naver.net/SK004_20161219_121201_99_20161219112603.jpg]] 그리고 시즌 종료 후, [[박용지]]와의 1:1 트레이드를 통해 [[성남 FC]]로 이적했다. [[http://www.incheonutd.com/fanzone/list_view.asp?tgbn=BBS_NOTICE&page=1&year=2016&idx_key=3860|#]] 등번호는 [[상주 상무]]로 입대한 [[정선호(축구인)|정선호]]의 번호인 14번을 물려받았다. 이적과 동시에 [[김두현|두목까치]]의 뒤를 이어 주장을 맡았다. 3년 만에 다시 나온 수비수 [[주장]]이다.[* 예전 수비수 주장은 [[제주 유나이티드]]로 이적한 [[박진포]]. [[여담]]으로, 둘은 [[동갑|나이도 같다.]]] 그러나 부상 등의 이유로 시즌 개막 이후 22경기를 치르는 동안 11경기에만 출전했다. 팬들의 기대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조금 더 컨디션을 끌어올릴 필요가 있겠다. 배승진이 소화할 수 있는 센터백 및 수비형 미드필더 자리는 지금 연제운-오르슐리치, 안상현-이후권이 주전 경쟁에서 한발 앞서 있는 양상이다. [[마린 오르슐리치|오르슐리치]]가 부상으로 시즌을 마감한 상태에서도 정작 자신이 주장 완장을 차고 나오기는 커녕 주전 출전도 못 하는 안쓰러운 상황. 오히려 김두현의 출전이 더 많았다. === [[요코하마 FC]] 2기 === 결국 시즌이 끝난 뒤 자신이 데뷔했던 팀인 [[요코하마 FC]]로 복귀하면서 친정 팀으로 돌아가게 되었다. [[http://naver.me/G5WoudV1|#]] 처음에는 완전히 주전 자리를 잡지 못하고 가끔씩 선발로 나오다가 중반부터 주전으로 등극했고, 여름 이적 시장에서 같은 한국인 선수인 [[정충근]]이 [[파지아노 오카야마]]로 임대되고 난 후에도 꾸준히 출장하고 있었지만 9월 16일 경기를 마지막으로 출장 기록이 끊겼고 그대로 시즌을 마감했다. === [[경남 FC]] === 시즌 종료 후 [[경남 FC]]로 이적한다는 기사가 나왔다. [[https://sports.new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529&aid=0000030097|#]] [[전북 현대 모터스]]로 떠난 [[최영준(축구선수)|최영준]]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영입한 것으로 보인다. 2019 K리그 1 16라운드 [[성남 FC]]전에서 후반 4분 엄청난 롱 크로스로 [[뤽 카스타이뇨스|룩]]의 선제골을 어시스트했다. 경남에서의 첫 공격 포인트. 2021시즌 경남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FA컵 포함해 17경기 출전. 시즌 후 경남과 재계약을 했다. [[https://www.goal.com/kr/%EB%89%B4%EC%8A%A4/%E1%84%8B%E1%85%A9%E1%84%91%E1%85%B5%E1%84%89%E1%85%A7%E1%86%AF-%E1%84%80%E1%85%A7%E1%86%BC%E1%84%82%E1%85%A1%E1%86%B7-%E1%84%87%E1%85%A2%E1%84%89%E1%85%B3%E1%86%BC%E1%84%8C%E1%85%B5%E1%86%AB-%E1%84%8B%E1%85%B5%E1%84%8C%E1%85%A2%E1%84%86%E1%85%A7%E1%86%BC-%E1%84%8B%E1%85%B5%E1%84%8B%E1%85%B4%E1%84%92%E1%85%A7%E1%86%BC%E1%84%80%E1%85%AA-%E1%84%8C%E1%85%A2%E1%84%80%E1%85%A8%E1%84%8B%E1%85%A3%E1%86%A8/blt0ea1172fa242d90d|#]] 2022 시즌을 앞두고 경남의 부주장으로 선임됐다. 6라운드 안산 원정에서 주장 완장을 달고 풀타임 출전했지만 2실점의 빌미가 되는 등 좋지 못한 활약을 보였고, 결국 이 경기를 끝으로 출전하지 못하고 있다. 그 뿐 아니라, 부상까지 당하며 부주장직을 수행하지 못하는 중이다. 그로 인해 기존 주장 윌리안이 대전 이적 이후에 이광진에게 주장직이 가게 된 것으로 보인다. 시즌이 끝난 2022년 11월 4일 현역 은퇴를 발표했다. ===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 [[2007 FIFA U-20 월드컵]] 대표팀 명단에 승선하며 청소년 대표팀을 경험했지만 이후로는 대표팀과 인연이 없다. == 플레이 스타일 == 볼 컨트롤 능력과 스피드를 겸비했고 지능적인 인터셉트 플레이가 많고 태클도 즐겨하는 스타일이다. 그리고 센터백와 수비형 미드필더까지 소화할 수 있는 유틸리티 플레이어다. 화려함을 가진 선수는 아니지만, 후방에서 팀의 살림꾼 역할을 하며 궂은 일을 도맡고 중심을 잡아 줄 수 있는 선수다. 거기에 J리그에서 뛸 때는 외국인 선수임에도 주장 후보로까지 거론됐을 정도로 통솔력 또한 인정받았다. == 여담 == * 인천 유나이티드에서는 '''[[승짱]]'''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는데, 이는 일본 시절부터 쓰였던 애칭이라고 한다. 또 배승진이 일본에서 뛰던 당시에는 원조 승짱인 '''[[이승엽]]'''이 [[NPB]]에서 뛰고 있었기 때문에,[* 다만 배승진이 2007년 데뷔했을 때 이승엽은 [[도쿄]]의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뛰고 있었고, 배승진이 [[요코하마시|요코하마]]와 [[군마현|군마]]를 거쳐 [[도쿠시마현|도쿠시마]]로 이적했을 때 이승엽은 [[오사카부|오사카]]의 [[오릭스 버팔로스]]에서 뛰었기 때문에 서로의 연고지가 같았던 적은 없었다.] 같은 승이 들어간다는 이유로 자연스럽게 승짱이라는 별명이 생겼던 것으로 보인다. * [[가시마 앤틀러스]]에서 뛰고 있는 [[골키퍼]] [[권순태]]와 이종[[사촌]] 지간이라고 한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254&aid=0000000440|#]] 비록 프로 데뷔 후 같은 팀에 소속된 적은 없지만 가끔 사적으로 만나서 식사도 하는 등 꾸준히 친분을 유지하고 있다. [[https://www.instagram.com/p/BMgyTlWh5h4/|#]] * 2018년 12월 16일 결혼을 했으며, 결혼 다음날인 12월 17에 호텔에서 신혼여행 출발을 앞둔 상황에 갑작스러운 심정지로 목숨이 위험했던 남성을 보고 신속히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등 대처를 하여 구해준 사실이 드러나면서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안겨주었다. [[https://sports.new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529&aid=0000030031|#]] 이에 대해 배승진 본인은 '''"사람 살리는 게 중요하지, 제가 누군지가 뭐가 중요하겠어요."''' 라고 말하면서 겸손한 모습을 보였다. [각주] [[분류:1987년 출생]][[분류:울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축구선수]][[분류:더스파구사쓰 군마/은퇴, 이적]][[분류:도쿠시마 보르티스/은퇴, 이적]][[분류:인천 유나이티드 FC/은퇴, 이적]][[분류:경찰 축구단/전역]][[분류:성남 FC/은퇴, 이적]][[분류:요코하마 FC/은퇴, 이적]][[분류:경남 FC/현역]][[분류:성남 FC/역대 주장]][[분류:오산고등학교(서울) 출신]][[분류:울산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FIFA U-20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07 FIFA U-20 월드컵 캐나다 참가 선수]][[분류:2007년 데뷔]][[분류:2022년 은퇴]][[분류:수비수]][[분류:센터백]][[분류:수비형 미드필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