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카운터 함정 카드. [[파일:attachment/BattlersPride.jpg]] || 한글판 명칭 ||||||||'''배틀러즈 프라이드'''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戦士の誇り(バトラーズ・プライド)'''|| || 영어판 명칭 ||||||||'''Battler's Pride'''|| |||||||||| 카운터 함정 || ||||||||||전투 및 배틀 페이즈를 종료시키는 효과 몬스터의 효과 / 마법 / 함정 카드가 발동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과 효과를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 [[유희왕 ZEXAL]] 59화에서 [[고슈]]가 사용한 카드. '전사의 긍지'라고 일본어로 쓰고 배틀러즈 프라이드라는 루비가 달려 있다. 작중에서는 [[츠쿠모 유마]]가 발동한 [[배틀 브레이크]]를 무효화하는 데 사용했다. 실제로 발매된다면 [[공격 무력화]] 같은 건 물론이요 은근히 막기 까다로운 [[배틀 페이더]]나 [[속공의 허수아비]]까지 노 코스트로 막을 수 있는 성능이긴 하지만 그런 카드들의 범용성 문제로 아무래도 메인 덱에 넣기는 꺼려지는 효과다. 사이드 덱에 넣고 비전투계 덱이나 배틀 페이더로 제물을 마련하려는 [[제왕(유희왕)|제왕]] 덱을 견제할 수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어찌 되었든 이 카드는 '''발매되지 않았다.''' 그 반면 이 카드로 무효화한 배틀 브레이크는 유마가 이전부터 몇 번 쓰다가 한 번도 발동에 성공한 적이 없는(…) 카드인데, 오랫동안 OCG가 안 되고 있다가 저 59화 방영 이후 갑자기 [[어비스 라이징]]에서 OCG화되었다. ~~이게 다 주인공의 카드가 아니기 때문이다.~~ OCG화되지도 않고 그냥 1화 써먹고 지나간 카드치고는 일러스트가 상당히 비범한데, [[라이트레이 그레퍼]]가 [[듀얼 터미널]]의 [[만악의 근원]]인 [[벨즈]]들과 맞서고 있는 모습이다! 일러스트에 나온 벨즈는 벨즈 헤리오로프 2마리, 벨즈 오란타 1마리에 심지어 [[인벨즈|인벨즈 마디스]]의 모습까지 보인다. 이 일러스트는 듀얼 터미널의 설정을 이야기할 때 중요할 수 있다. 우선 [[젬나이트|젬나이트 에메랄]]의 사념을 베껴 나온 벨즈 헤리오로프의 똑같은 개체 2마리가 있는 것으로 보아 숙주를 직접 감염시킨 것이 아닌 사념이 모습을 본떠서 나온 벨즈는 마구 찍어낼 수 있는 [[양산형]](…)일 수 있다. 또 여기 나온 인벨즈 마디스는 듀얼 터미널 14탄 당시 이전에 한번 멸망했던 인벨즈가 [[리추어]]를 이용해서 부활했다는 당시의 스토리 설명이 실제로 반영되어 나온 몇 안 되는 사례다. 또 듀얼 터미널 세계의 인물이 아닌 라이트레이 그레퍼가 벨즈와 싸우고 있는 걸로 보아 벨즈가 외부 세계로 진출했거나, 아니면 벨즈와의 결전 당시 외부 세계에서 이들을 소탕하기 위해 지원을 온 자들이 있었을 것 또한 짐작할 수 있다. 물론 이것은 모두 이 일러스트가 듀얼 터미널의 정식 설정이 맞을 때의 이야기이다. 모든 카드의 일러스트가 다 큰 의미를 담고 있는 것도 아니고, 특히 [[오버레이 리제너레이트]]처럼 듀얼 터미널의 몬스터들이 나와 있지만 명백히 말도 안 되는 장면이 그려져 있는 카드도 있기 때문이다. 이 카드도 단순히 [[IV(유희왕)|팬☆써비스]]일 가능성도 있다는 것. 다만 이 카드는 오버레이 리제너레이트처럼 딱히 말도 안 되는 상황인 것은 아니다. 14탄 당시 죽은 인벨즈들이 리추어의 술자들을 잡아먹고 부활했다는 설정은 실제로 카드로 나온 게 질기가스 하나밖에 없어서 공허하게 들릴 뿐이었는데, 오히려 이 카드가 그 실례를 하나 보여주고 있다. 라이트레이 그레퍼가 있는 것도 [[라이트레이]] 자체가 미국 코나미에 의하면 정의를 위하는 집단인지라 벨즈와 싸울 명분도 충분하고, [[다이 그레퍼]]는 안 그래도 리버스 디멘션 등에서 이차원을 왕래한 경력이 있는 인물인지라 이제 와서 이세계의 괴물들과 싸운다고 이상한 일이 아니다. 게다가 이 카드가 애니메이션에서 등장할 무렵 라이트레이 그레퍼는 TCG에서 나온지 불과 1개월 정도밖에 되지 않은 '''일본 미발매 카드'''였는데 그런 카드를 일부러 등장시킨 것이다. 어찌 되었든 이 카드에 대해서는 딱히 공식적인 해설이 없기 때문에 정확한 건 불명. 애초에 발매조차 되지 않았기에 더욱더 기대하기 힘들다. 이 카드가 뜬금없이 실제로 발매된다 해도 이미 DT 마스터 가이드까지 다 나와 버린 판에 더 이상 설명이 있을지는… 여담으로 저 일러스트에 나온 벨즈들은 실제 OCG에서 보면 모두 라이트레이 그레퍼를 파괴할 수 있는 카드들이라 그레퍼가 무슨 배짱으로 덤빈 건지는 알 수 없다(…) 마디스도 헤리오로프도 그레퍼를 그냥 전투로 파괴해 버릴 수 있으며, 유일하게 그레퍼보다 공격력이 딸리는 오란타도 자신의 효과로 그레퍼를 파괴할 수 있다. ~~[[어니스트(유희왕)|이놈]]이라도 있었나.~~ [[분류:유희왕/OCG화 되지 않은 카드/카운터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