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한의 체제선전시설)] ||<-2> {{{-2 '''[[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량강도|{{{#white 량강도}}}]]의 [[프로파간다|{{{#white 체제선전시설}}}]]'''}}}[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북한|[[파일:북한 국장.svg|height=60]]]]||'''{{{+1 백두산지구 혁명전적지[br]白頭山地區 革命戰跡地}}}[br]{{{-2 Paektusan Revolutionary Battle Sites}}}'''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백두산 밀영 고향집.jpg|width=100%]]}}} || ||<-2> {{{-1 '''▲ 백두산 밀영 고향집의 모습'''}}} || || '''다른 이름''' ||백두산 밀영[br]백두산 밀영 고향집[br]백두산 밀영 사령부 || || '''목적''' ||✔ 북한 정권 체제정당성 확보[br]✔ [[김정일]]을 비롯한 [[백두혈통]] 우상화 || || '''상위 조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혁명사적지도국|혁명사적지도국]] || ||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41.862465666953746%2c128.15946765752804&zoom=8, 타입=satellite, 너비=100%, 높이=250)]}}} ---- {{{#!wiki style="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D1C27; color: white" '''백두산지구 혁명전적지'''}}} {{{-2 ([[량강도]] [[삼지연시]] 백두산밀영동)}}}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의 체제선전시설. 북한 정권이 [[소련]] [[우수리스크]]에서 태어난 [[김정일]]을 [[백두산]] 근처 밀영에서 태어난 것처럼 포장하기 위해서 만든 시설물로서, 북한 정권과 해당 주민들에게는 [[만경대고향집]]과 마찬가지로 '성지'처럼 떠받들여지고 있다. ''''백두산 밀영(白頭山 密營)\''''으로도 불린다. '[[금수산태양궁전]]', '[[만경대고향집]]' 등과 함께 북한 내 핵심 시설물에 해당된다. 북한을 방문한 [[대한민국]] 국민들에게는 [[만경대고향집]], [[금수산태양궁전]], [[대성산혁명렬사릉]], [[애국렬사릉]], [[조국해방전쟁참전렬사묘]],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과 마찬가지로, 방문시에 처벌받을 수 있다.[* [[대한민국]] [[국가보안법]]에 저촉될 위험성도 있다.] 애초에 대다수 [[한국인]]들은 [[김일성]], [[김정일]]이 어디서 태어났는지 모를 뿐만 아니라 관심이 없고,[* [[만경대고향집]]은 워낙 유명하다 보니 알고 있을 뿐이다.] 특히 여기는 북한학 전문가나 관련 분야 종사자, 북한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아니라면 존재 자체를 모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특히 더 조심해야 할 곳이다. 북한 내 비슷한 성격의 건축물로는 '[[만경대고향집]]'과 '[[회령고향집]]'이 있다.[* 참고로 이들은 '백두산 밀영'처럼 날조된 생가가 아닌 진짜 생가다.] == 특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백두산 밀영과 정일봉.jpg|width=100%]]}}} || || '''백두산 밀영 고향집과 정일봉''' || 통나무 [[귀틀집]] 건축물로서, 바로 뒤편에 [[정일봉]]이 있다. 집안에 이것저것 그럴 듯하게 가재도구를 가져다놓긴 했는데, [[김정일]]에게 권력 승계 과정에서 날조한 것에 불과해서 사료로서의 가치는 전혀 없다. 탈북한 [[황장엽]]의 증언에 따르면, [[김일성]]이 자기 빨치산 동료들에게 [[백두산]] 근처에 밀영 터를 찾아오라고 시켰다고 하며 그렇게 찾은 터 뒤편에 있는 봉우리인 장수봉을 손수 [[김정일]]의 이름을 따서 '[[정일봉]]'으로 이름 붙였다고 한다. [[http://www.cdnk.co.kr/board/bbs/board.php?bo_table=hwang1&wr_id=4&page=3|#]] 그리고 김정일은 1984년 6월에 자기 이름이 소련식 '유라'로 학적부에 등재된 모교를 손수 지시를 내려 폐교 처리했는데, 의미심장하게도 이와 비슷한 시기에 '백두산 밀영'이 북한 기록에 등장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리고 북한은 1986년에 백두산 밀영을 보다 현실감 있게 가장하기 위해 보존 전문가를 모스크바의 레닌박물관에 보내 생나무를 오래된 것처럼 처리하는 방법을 배우게 하고는 기 기법을 김정일의 '생가'를 날조하는 데에 요긴하게 썼고, 김정일의 (공식적인) 45세 생일 무렵인 1987년 2월에 이 '생가'를 완공하게 된다. 북한에는 수많은 소위 '혁명사적지'와 '혁명전적지'들이 존재하지만, 그 중에서 [[만경대고향집]]과 더불어 으뜸으로 치는 시설물이다. [[북한 원|북한 이천원]] 지폐 앞면의 도안이다. || [[남북의 창|[[파일:남북의 창 로고.png|width=80]] [[파일:남북의 썰 로고.png|width=60]]]] || [[SBS 나이트라인|[[파일:나이트라인 로고 틀용.png|width=20]] {{{#white '''한반도포커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5mzFKrlEVQ, width=100%, start=41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rKIKqb2I6o, width=100%)]}}} || || '''백두산 밀영[br](2022년 2월 25일 공개분)''' || '''김정일 출생의 비밀[br](2022년 11월 4일 방송분)''' || [[2022년]] [[11월 4일]], [[SBS 나이트라인]]의 '한반도포커스' 코너에서는 김정일 출생의 비밀에 대해서 다뤘는데, '북한도 김정일이 여기에서 태어났다는 걸 입증할 만한 근거를 갖지 못한 것으로 보이며 오히려 근거 없음을 합리화하는 대목만 등장한다는 점'[* 정확히는 "위대한 장군님의 탄생은 호적이 아니라 [[구호나무|백두산의 잎갈나무들의 구호]]로만 기록되었고 장군님의 존함과 생년월일은 출생증이 아니라 기억 속에만 새겨지게 됐습니다."이다. 물론 구호나무도 백두산 밀영처럼 모두 날조된 것이다.]을 지적했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957986|기사{{{-2 (SBS)}}}]] 그리고 '[[김정일]]이 생전에 여길 찾았음에도 [[1호 사진|기념사진 한 장]]도 찍지 않았다는 점'을 언급했다.[* 물론 북한에서는 이를 '우리 '장군님'께서 오로지 우리 인민들을 위해 사셨다는 증거'로 포장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모든 북한 주민들에게는 이 날조된 '유적'(?)이 '[[백두혈통|위대한 계승의 만대]]가 열린 역사의 집'으로 알려졌고, 살면서 한 번쯤은 반드시 방문해야 하는 곳처럼 되어 버렸다. [[https://www.yna.co.kr/view/PYH20220217022900042|기사{{{-2 (연합뉴스)}}}]] [[https://www.news1.kr/photos/view/?3984380|기사{{{-2 (뉴스1)}}}]] 남녀노소 할 거 없이 [[백두산]]과 함께 이곳을 들르고 있으며, [[북한]]측 보도에서는 높은 확률로 군복 차림을 한 [[배움의 천리길|앳된 어린아이들이 여길 방문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 그 밖의 시설물 == 북한 정권은 [[우상화/북한|우상화]]를 위해서 백두산 밀영 이외에도 [[백두산]] 장군봉[* 본래 명칭은 '병사봉(兵使峰)'이었다. 병사(兵使)는 [[병마절도사|'''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를 뜻한다. 그러나 [[1963년]] [[김정일]]이 이곳을 들르며 '[[김일성|수령님]]을 만든 산인데, [[병사#s-1|병사(兵士)]]가 아닌 [[장군#s-1|장군(將軍)]]이 되어야 한다(?)'고 우겨서 결국 장군봉으로 바뀌었다. [[https://www.asiae.co.kr/article/2018092009470484996|기사{{{-2 (아시아경제)}}}]] 알았어도 몰랐어도 '무식하다'는 소리를 피하기 어려운 일화이다.]과 [[정일봉]]-소백산-증암산 사이에 여러 개의 밀영을 세워뒀다. * 쌍두봉밀영 * 무두봉밀영 * 대각봉밀영 * 소연지봉밀영 * 간백산밀영 * 선오산밀영 * 곰산밀영 * 압록강안밀영 * 사자봉밀영 == 둘러보기 == [include(틀:북한의 역사)] [[분류:백두산]][[분류:김정일]][[분류:북한의 역사왜곡]][[분류:화폐의 도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