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한자어: 白蓮敎 간체자: 白莲教 영어: White Lotus [[불교]]에 바탕을 둔 [[중국]]의 민간 종교. == 역사 == 백련교는 [[북송|송나라]]부터 등장하는데 창시자는 모자원이다. 일명 명교(明敎)로도 불린다. [[원나라]] 말기 [[홍건적]]에도 관련되어 있다. 교리는 현세를 부정하고 내세지향적이라 기존의 질서를 거부하는 [[미륵 신앙]]과 가까운 형태였다. 이들은 [[마니교]]의 영향을 받고 이들의 교리를 흡수해, [[영지주의|현세는 거짓이므로 진짜 세계로 가야 한다고 믿었기에]], 속세의 정권도 부정하였다. 이들은 비밀을 유지하며 암암리에 유지되고 성장하고 있었기에 정보가 지극히 부족하다. 현재 알려진 것도 백련교도의 난 당시 신도들을 잡아다 고문하는 과정에서 나온 것이 전부이다. 기본적인 교리는 [[미륵 신앙]]에 기반을 두고 있으나, 일반적인 미륵 신앙과 다른 점은 [[마니교]]의 영향으로 절대자 사상이 있어, '''한번도 윤회를 겪지 않은''' 여신 '무생노모'(無生老母)가 최고의 절대자이고 무생노모가 인간 세상에 대리자인 [[미륵]]을 내려보내 인간 세상을 구원하여 이상향인 '진공가향'(眞空家鄉)을 세운다는 것이 기본 교리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백련교도들은 '진공가향 무생노모'라는 8자 진언을 외우는 것이 의무였다. 백련교는 중국 역사에서 두 번 큰 역할을 하는데, 첫번째는 14세기 [[원나라]]가 망하고 [[명나라]]가 세워질 때 이른바 [[홍건적의 난]]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명의 태조 [[주원장]]도 백련교도[* 주원장이 이은 [[곽자흥]]의 군벌은 본디 다른 백련교도와는 사뭇 이질적인 독립군벌이라 다른 백련교도들로부터 경원시되어 견제 및 공격까지 받았으며 세력 확장에 어려움을 겪고 입지가 좁아지고 있었다. 그 결과 이러한 상황에서 탈피하려 북진하는 백련교의 세력에서 이탈, 아예 강남으로 진출하게 되었다. 그 이전에도 같은 백련교끼리 싸우는 등 사이가 별로였지만 강남 진공 이후로는 명목상으로만 교도였을 뿐이다.]로 출발하여 중국을 통일하고 명을 세웠다. 그러나 주원장은 명나라를 세우자 백련교의 세가 더 이상 커지는 것을 경계하여 백련교를 탄압하였고, 백련교는 [[가정제]]의 폭정 시기 일부 교도가 [[알탄 칸]]에게로 망명하기도 했다. 두번째는 18세기 말 [[청나라]]에서 일어난 이른바 [[백련교도의 난]]인데 이 때도 이민족인 만주족의 지배에 대항하여 한족을 중심으로 저항하는 세력으로 청나라의 쇠퇴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후에도 백련교도는 여러 일파로 나뉘어 여러차례 청나라에 반대하는 [[비밀결사]]로 조직되었고 이중 한 분파는 천리교라고 하여 무려 [[가경제]]를 암살하려고 백주 대낮에 [[자금성]]에 침입하는 테러사건을 벌이기도 한다. 반면 청나라에 포섭된 분파는 나중에 [[의화단]]의 모태가 되기도 하였다. 한족(漢族)들이 이민족들에게 대항할 때 정신적 구심점이 되었던 종교이기도 했다. 상당히 오랜 기간 존속했는데 송나라부터 청나라까지 길게 있었다. 비밀결사 성격이 있어서 구조도 파악하기 힘들었다는 것을 보면 평소엔 조용히 지내거나 지하로 숨어들어서 긴 세월 숨어 있다가 난세에 세를 회복해서 나온 걸로 보인다. == 대중 매체에서 == === [[무협]]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명교)] 유독 실제 역사를 바탕으로 쓰거나 아예 역사적 사건은 안드로메다로 날려버리고 쓴 한국 무협에서 두루 사랑받는 단체이기도 하다. 아마도 주원장을 도와 명을 건국했으나 마지막 순간에 배신당했다는 비운의 이미지가 복수라는 무협의 전통적인 테마에 어울려서인듯 하다. 그러나 무협지에서는 정말 정통적인 경우에도 명교[* [[의천도룡기]]의 영향.]로 등장하고 신무협에는 마교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백련교라고 불리는 경우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보통 무림의 혼란을 통해 종국에는 왕조를 무너뜨리고 백련교의 나라를 세우려는 야심가 집단으로 등장한다. === [[모탈 컴뱃 시리즈]] === 白蓮教, White Lotus Society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White_Lotus_Old.png]] || [[파일:attachment/WhiteLotus.png]] || || 원래 시간선 || 대체 시간선 || [[파일:external/img15.deviantart.net/mortal_kombat_x__shaolin_monks__by_ogloc069-d9246af.png]] 소림승들 [[파일:external/img15.deviantart.net/mortal_kombat_x__ios__monk__by_ogloc069-d91tpdp.png]] (보편적인) 백련교 승려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Kai_whitelotus_staff.jpg]] 백련교 승려의 극 현재 대중매체에서 제법 비중있게 다루어진 경우는 모탈 컴뱃 시리즈의 백련교가 대표적인 듯. 위대한 쿵 라오([[쿵 라오]]의 조상)가 쇼칸족 왕자 [[고로(모탈 컴뱃)|고로]]에게 패해 살해당한 후, [[라이덴(모탈 컴뱃)|라이덴]]에 의해 설립된 중국의 비밀 결사. 지구를 위협하는 건 아웃월드인 뿐만 아니라 아웃월드 제국에 속해 있는 다른 막강한 이종족들 또한 지구를 위협할 수 있다는 걸 라이덴은 깨달았고, 이걸 보다 더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백련교를 설립하였다. (예외로 뛰어난 재능과 고결한 마음을 갖추었다는 전제하에) 일원이 되려면 굳이 빛의 형제단이여만 가능하다는 제한은 없지만 빛의 형제단 일원이 백련교에 가입하려면 가장 특출난 재능을 보유하고 투철한 사명감을 지닌 이들만이 가입할 수 있다. 오랫동안 비멤버들에게는 철저하게 베일에 싸인 조직이었지만 [[리우 캉]]이 지구의 챔피언이 된 이후에는 [[소냐 블레이드]]의 특수부대 등 지구를 수호하는 다른 조직들도 이 결사대를 알게 되었다. 가입 조건은 지구 어느 국적이든 불문이되, 토종 지구인(100% [[어스렐름]] 출신)이어야만 한다. [[에데니아]]가 어스렐름과 동맹임에도 백련교에 에데니아 출신이 없는 건 이 때문. [[린 쿠에이]]나 적룡단과는 달리 종신 의무는 아니며 일원이 바라면 언제든지 탈퇴할 수 있다. 이러고도 조직의 비밀이 지켜진 게 신기할 정도였다. 은근히 수난을 많이 당하는 조직이기도 한데, [[모탈 컴뱃 2]]에서는 [[샤오 칸]]의 명령으로 바라카가 지휘하는 타카탄 군대의 급습을 당해 리우 캉, 쿵 라오, [[카이]]를 제외한[* 카이는 당시 수련 목적으로 세계 여행중이었기 때문에 화를 면했다. 하지만 [[쿵 라오]]의 요청으로 [[슈진코]]가 아웃월드에서 여행하는 카이를 찾아 복귀해달라고 전했고 이는 카이가 모탈 컴뱃 4에서 데뷔하는 계기가 된다.] 결사단 일원들이 거의 궤멸되다시피 했고, 살아 남은 극소수의 잔존 일원들이 백련교를 재건하려고 할 때마다 샤오칸, [[신녹]], [[오나가]]의 위협을 받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다가 소멸되었다 부활한 라이덴이 엘더 갓들에 대한 신뢰를 잃고 지구 수호에 직접 개입함으로 인해 존재 목적이 애매해진 상태다. 그래도 [[모탈 컴뱃 9]]에선 스토리가 과거로 돌아가 모든게 리셋되었다. 일단 9 시점부터는 발전의 가능성이 있었지만 X 시점에서 최고 전력이었던 [[리우 캉]]과 [[쿵 라오]]가 적으로 돌아서는 바람에 그것도 어려워졌다. 하지만 이 둘의 흑화보다 더 큰 문제가 생겼는데, 백련교 [[라이덴(모탈 컴뱃)|창설자]]가 흑화하여 극단주의자로 성향이 변모해버려서 조직의 질적 하락이 예상된다. 미래가 불안해진 상태다. 하지만 [[모탈 컴뱃 11]]에서는 비록 여러가지 수난이 있었지만, 네더렐름에서 어스렐름-아웃월드 동맹의 일원으로서 크로니카 세력을 대항했으며 화염신이 된 리우 캉에 의해 리부트 된 새로운 시간선의 [[모탈 컴뱃 1]]에서는 리우 캉이 어스렐름의 전사들을 불러모아 똑같이 훈련시키고, 선택받은 자를 시험으로 공정하게 선별했다. 이 결사단의 최강자는 리우 캉이었으나 그가 사역마가 된 뒤로 [[쟈니 케이지]]가 타이틀을 물려받았다. 스토리 담당 브라이언 차드와의 문의에서 인증된 내용이었으며 해당 사진이 쟈니 케이지의 아버지 로버트 칼튼이냐는 질문에 쟈니라고 대답했다. === [[황비홍(영화)]] === 시리즈 2편인 [[남아당자강]]에서 제법 비중있는 악역 무리로 등장한다. 여기서의 백련교도는 청나라보단 서양에 대한 적대적 행동을 주로 취한다. 그림과 시계 등 물건은 물론 [[달마시안]]도 서양 개라는 이유로 [[화형|산 채로 불태웠으며]][* 물론 달마시안이 죽는 장면이 직접적으로 나오진 않는다.] 영국 영사관 앞에서 서양인의 모양을 한 인형을 불태우는 시위를 하기도 하고, 의학 세미나가 열리던 와중에는 불화살을 쏴대기도 했다. 양이모 소전이 당시 중국인들에겐 낮선 기기인 [[카메라]]로 백련교도들의 가두행진을 촬영하자 '서양년을 죽여라!' 라며 습격, 납치하려다가 황비홍에게 된통 털렸다. 양학을 가르치고 있는 교회인 동문관을 공격하여 그 곳 관련인들을 죽이는 것으로도 모자라 심지어 '''[[인피|사람가죽]]'''까지 벗겨 전시하는 만행을 저지르기도 한다. 다만, 어린 학생들은 찾지 못한 모양인지 뒤에 들어온 황비홍 일행의 손에 무사히 구출된다.[* 이 아이들은 일단 영국 영사관으로 옮겨졌다가 나중에 무사히 고향으로 보내어지게 된다.] 보수파임에도 영사관의 경비를 맡았던 청나라 관리 납란원술의 암묵적 지원하에 영사관을 습격, 많은 수의 경비병력과 서양인들을 살해했으나 황비홍 일행의 활약으로 패퇴하였다. 이후 백련교를 뿌리뽑기 위해 신도로 지원하는 척 들어온 황비홍과[* 백련교 역시 황비홍을 신도로 받아 들이는 척 하고 의식 중에 죽이려고 했으나 실패한다.] 권총을 뽑아 든 육호동에 의해 백련교도들은 맥을 못추고, 이어 등장한 [[백련교주(동음이의어)|백련교주]]인 구궁진인은 진무대제 흉내를 낸 황비홍과의 결투 끝에 신단의 석상 손가락에 관통되어 죽어[* 구궁진인은 자신에겐 총알도 안 통한다면서 활개를 쳤고, 육호동이 쏜 권총탄도 튕겨내는 모습을 보였지만, 사실은 무공이나 신공도 아니고 그저 철판으로 배와 가슴을 가린 것에 불과했다.] 신도들은 망연자실 울기만 한다. 이때 육호동이 광기에 가득 찬 백련교도들을 보며 '모든 중국인들이 다 저렇다면 무슨 희망이 있겠느냐'라고 하는게 인상 깊다. 사실 영화를 보면 미신에 빠져 광기에 물든 백련교도들이 한심한 정도를 넘어 절망스럽게 느껴질 법 하다. 영화를 보신 분들이라면 간파했겠지만 이 백련교도들의 만행은 사실상 [[의화단 운동|의화단이 벌인 짓거리]]이다. === [[백련교(전생검신)]] === 문서 참조. [[분류:중국의 종교]][[분류:사교]][[분류:개별 종교]][[분류:황비홍(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