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0FF><:> '''{{{#fff {{{+2 백마고지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타크래프트 맵 백마고지.jpg|width=100%]]}}} || || '''타일셋''' || 정글 || || '''맵 크기''' || 128 x 96 || || '''제작자''' || [[김진태(레벨 디자이너)|김진태]] || || '''제작 일시''' || 2007년 || || '''밀리맵/유즈맵 여부''' || 밀리맵 || || '''타입''' || 고지형 난전맵 || || '''플레이어 수''' || 2 || || '''스타팅''' || 1시, 7시 || || '''본진''' || 9M+2G → 13M+2G[* 아래에 이유 후술.] || || '''앞마당'''[* 이 맵 기준 앞마당은 본진과 언덕을 사이에 둔 바깥 멀티이다.] || 6M+1G || || '''확장''' || 3M (2개), 5M+1G (2개), 6M+1G (2개), 7M (2개), 6M (2개) || || '''최신 버전''' || 1.2 || ||<-2> '''{{{#white 이 맵이 사용된 공식 리그}}}''' || ||<-2>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후기리그]][* 이벤트성 대회인 [[곰TV클래식#s-3.1|XNOTE-인텔센트리노 곰TV 스타 인비테이셔널]]에도 사용되었다.] || ||<-2> '''{{{#white 종족간 전적}}}'''[* [[Team Liquid/커뮤니티|팀리퀴드]] 기준 전적에서 신한은행 2007 프로리그 후기리그 전적만 기재.] || || 테란 : 저그 || 11:3 || || 저그 : 프로토스 || 8:4 || || 프로토스 : 테란 || 17:8 || [[스타크래프트]]의 맵. 맵 이름의 어원은 [[백마고지 전투]]. 제작자는 김진태. [[저프전/스타크래프트|저프전]]이 2:1이라 [[상성맵]]이라 여길 수 있으나, 동종전 수에서 [[프프전/스타크래프트|프프전]]이 [[테테전/스타크래프트|테테전]], [[저저전/스타크래프트|저저전]] 등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다.[* 프프전 20회, 테테전 8회, 저저전 2회.][* 그나마도 위 전적에 포함되지 않은 곰인비에서의 저프전 전적은 ZvsP = 0:3이기 때문에 합쳐지면 격차가 확 줄어버린다. 다른 종족전은 [[테프전/스타크래프트|PvsT]] = 4:2, [[테저전/스타크래프트|TvsZ]] = 1:0으로, 프로리그 전적과 합쳐져도 양상이 변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는 [[토스맵]]. [[저그]]가 [[프로토스]]에게 전적상 앞선다고 해도 [[테란]]에게 압살당하기 때문에 토스 저격으로 내밀기는 쉽지 않은 맵이다. 이 맵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기록한 선수는 7승 2패의 [[송병구]]다.[* 비공식전까지 포함 시 곰인비에서의 3승을 포함해 10승 2패.] 본진 미네랄이 많은 것도 한 몫 하지만, 본진 2가스인 점이 가장 크게 작용한다. [[데스페라도(스타크래프트)|데스페라도]]와 [[패러독스(스타크래프트)|패러독스]] 등과 함께 단 셋밖에 없는 본진 2가스 맵으로,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프로리그]]에 사용된 맵으로는 유일한 본진 2가스 맵이다. 테프전에서 프로토스가 [[전진 게이트]]를 찌르기용으로 준비할 수 있는데다[* 이후의 [[체인 리액션(스타크래프트)|체인 리액션]]과 거의 비슷한 뉘앙스라 보면 된다.] [[캐리어(스타크래프트)|캐리어]]를 활용하기 좋은 맵이어서 테란에 강세를 보였다. 테저전일 때 테란은 이 맵에서 저그 상대로 빠른 테크트리를 올리거나 [[메카닉 테란]]을 자주 시도했으며, 저그 입장에선 메카닉 테란을 상대로 멀티를 확보하기 쉽지 않아 꽤나 고전했다.[* 3시/9시 멀티는 다리 건너에서 포격당하면 [[답이 없다|답이 없고]], 11시/5시 멀티는 언덕 아래에서 포격하면 그만. 나머지 멀티는 개방적이라 [[시체매|벌처]]에 털리기 쉽다.] 이러한 [[단점]]들 때문인지 [[운고로 분화구(스타크래프트)|운고로 분화구]]와 더불어서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후기리그 단 한 시즌만 쓰이고 [[사장(동음이의어)#s-2|사장]]되었다. 본진에는 총 '''17덩이의 미네랄'''이 있으나 두 겹으로 쳐져 있어 일꾼이 뒤편의 미네랄을 캘 수 없기 때문에 플레이어는 처음에 9덩이의 미네랄을 본진에서 채취하게 되는데, 이 중 네 덩이의 미네랄이 빨리 소모되면서 뒤편의 여덟 덩이의 미네랄을 채취할 수 있게 되어 나중에는 13덩이의 미네랄을 캐게 된다. 본진의 미네랄이 이렇게 많기 때문에 본진 내부의 미네랄 멀티는 미네랄이 세 덩이밖에 안 되고, 저그가 [[3해처리]]를 펼치기 용이하게끔 타 종족은 바로 먹을 수 없도록 크립이 쳐져 있다. 이곳에서 벌어진 유명한 경기로는 [[조운|마자룡]]이란 [[별명]]이 붙은 계기가 된[* 이영호의 마인밭 + 탱크 대부대 앞으로 울트라를 꼬라박는 모습이 아두를 구하기 위해 단기필마로 조조군에 돌격한 조자룡을 연상시킨다는 의미로 붙은 별명.]~~[[마재윤]]~~ vs. [[이영호]]의 [[http://www.youtube.com/watch?v=o6yOe6jdkXc|경기]]가 있다. 그 외에도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후기리그에서 열린 [[박정석]]과 [[박문기]]의 [[https://youtu.be/l1DWFeIOcPg|경기]] 역시 보기 드문 대역전승이 나온 명경기다. 또한 [[탐사정|프로브]]를 네 기 남긴 채로 역전한 경기로 유명한 [[오영종]]과 [[이성은]]의 [[https://youtu.be/vrbkfZE3LHM|경기]] 역시 이 맵에서 나왔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백마고지 전투, version=53)] [[분류:스타크래프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