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backfire == 역효과를 낳다, (갑자기) 폭발음을 내다, 역화를 일으키다 == [[테크모]]의 [[슈팅 게임]] == [youtube(VdHep5f13Ck)] == [[데이터 이스트]]의 [[레이싱 게임]] == [youtube(x3tpBOMzLyw)] == [[러시아]]의 전술 [[폭격기]] [[Tu-22M]]의 [[NATO 코드명]] == [[Tu-22M]] 문서 참고. == [[유희왕]]의 지속 함정 카드 == [[파일:バックファイア.jpg]] || 한글판 명칭 ||'''백파이어'''|| || 일어판 명칭 ||'''バックファイア'''|| || 영어판 명칭 ||'''Backfire'''|| |||| 지속 함정 || ||||①: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화염 속성 몬스터가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질 때마다 발동한다. 상대에게 500 데미지를 준다.|| 효과 발동 조건은 매우 널널하여 전투 파괴, 효과 파괴에 모두 대응하고 강제 효과라 타이밍을 놓칠 일도 없다. 1턴에 발동 횟수의 제약도 없어 한 턴에 여러 번 대미지를 입힐 수도 있다. 이 카드를 여러 장 깔아 놓거나 [[악몽의 고문실]]과 조합되면 처음에는 별로 신경쓰지 않던 상대도 슬슬 위협적이라고 느끼게 될 수준까지 간다. 엔드 페이즈에 파괴되는 [[폭염집합체 가이아 소울]]이나 파괴에 특화된 [[염왕]] 계통과 쓰면 은근히 짭짤하게 LP를 깎아먹을 수 있다. [[여우불(유희왕)|여우불]]로 매 턴 전투에 대한 벽을 세워 놓는다거나 하는 것도 유효하다. 연속 자폭이 가능한 [[UFO 터틀]]과 [[가면룡]]을 전부 때려박고 마무리로 [[드레드 드래곤]] 같은 걸 또 때려박아주면 ~~물론 자기도 데미지를 많이 입겠지만~~ 3500 데미지를 먹일 수 있다. 필드에 꼭 있어야 하는 그런 카드는 아니기 때문에 [[싸이크론]]으로 파괴되더라도 전술에 크게 지장이 오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문제는 역시 저 '꼭 있어야 하는 그런 카드는 아니다'라는 것.(…) 있어서 나쁠 카드는 아니고 쓰기가 불편한 것도 아니지만, [[염왕]]처럼 아주 작정하고 매 턴 자기 몬스터를 날려먹는 덱이 아닌 이상은 대개 이것보다 더 확실하고 크게 상대에게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카드에 먼저 손이 가기 마련이다. 화염 속성 덱에서 자리가 남으면 넣는 정도의 카드. 참고로 이 카드와 [[데몬 이터(유희왕)|데몬 이터]], [[암흑의 만티코어]]를 이용한 원턴콤보가 있다. 일러스트에서는 [[흉악범-촙맨]]이 [[대목인18|화염목인18]]을 박살냈다가 화염 세례를 받고 있다. 이 카드를 의식해서 나온 듯한 카드인 [[킥파이어]]에서도 비슷한 맥락의 일러스트를 볼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천공의 성역]] || AST-KR046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작열하는 대지]]- || SD3-KR031 || [[노멀]] || 한국 || || || [[하이 그레이드 팩]] Vol.2 || HGP2-KR158 || [[노멀]] || 한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염왕의 급습]]- || SD24-KR031 || [[노멀]] || 한국 || || || [[천공의 성역]] || 308-046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수록[br]절판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작열하는 대지|작열의 대지]]- || SD3-JP031 || [[노멀]] || 일본 || 절판 || || [[하이 그레이드 팩|EXPERT EDITION]] Vol.2 || EE2-JP158 || [[노멀]]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염왕의 급습]]- || SD24-JP031 || [[노멀]] || 일본 || || || [[소울 버너(스트럭처 덱)|ソウルバーナー]] || SD35-JP038 || [[노멀]] || 일본 || || || [[천공의 성역|Ancient Sanctuary]] || AST-046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작열하는 대지|Blaze of Destruction]] || SD3-EN031 || [[노멀]] || 미국 || || || [[하이 그레이드 팩|Dark Revelation]] Vol.2 || DR2-EN158 || [[노멀]]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염왕의 급습|Onslaught of the Fire Kings]] || SDOK-EN031 || [[노멀]] || 미국 || || == 자동차의 현상 == 자동차에서 백파이어는 엔진 내에서 혼합기가 실린더에 들어가기도 전에 기화기 부근에서 점화되어서 흡기구의 공기가 역류해버리는 현상이다. 이 현상이 발생하면 엔진에서 이상한 소리가 나며 흰 연기가 나오기도 한다. 굉장히 위험한 현상이므로 자기가 몰고 있는 차에서 이런 현상이 생기면 즉시 수리하러 가야된다. 흔히들 백파이어가 미처 연소되지 못한 연료가 배기구에서 배출되면서 점화되는 현상이라고 알고 있는데, 정확히 이것은 '애프터 파이어'이며 연료가 제대로 연소되지 못한채로 배출되며 불타는 것이다. 다만 양쪽 다 엔진셋팅의 실패로 일어나는것은 똑같다. 고성능 차량이 이 현상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운전의 재미를 위한 주행모드로 맞추고 주행하였을 경우에만 나오는 것이 보통이고, 트랙 주행용 주행모드에선 나오지 않는다. 트랙모드에서 애프터파이어가 나오는것은 엄연한 셋팅실패가 맞다.[* 그러면 [[미쓰비시 랜서 에볼루션]]의 미스 파이어링 시스템(안티 터보 랙 시스템)은 뭐냐고 할 수 있는데, 이쪽은 터보랙을 줄이기 위한 시스템이지, 연소 실패가 아니다.] == [[EZ2ON REBOOT : R]]의 수록곡 == [[Backfire]] 문서 참조 [[분류: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