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백합(장르)/작품)] [목차] == 만화&애니메이션 == * [[가극 소녀!!]] * '''가르쳐주세요!''' * [[가브릴 드롭아웃]] * [[각자의 디데이]] - 도서원 → 김이로 * [[강력소녀]] * [[강철천사 쿠루미]] * [[개구리 중사 케로로]] - [[아즈마야 코유키]] → [[히나타 나츠미]] * [[개념]] * 개발해주세요 * '''[[갸루와 오타쿠는 서로 이해할 수 없어.]]''' * [[거미입니다만, 문제라도?]] - [[거미(거미입니다만, 문제라도?)|시라오리]]/아리엘 * '''[[거짓말쟁이 사츠키는 죽음이 보인다]]'''[* 주인공인 사츠키와 같은 반 친구 아카리가 함께 학교 내 죽음을 해결하는 스토리] - 미치나가 → 시이나 미호[* 미치나가는 사츠키가 미호를 사랑하는 것인지 의심하며 자신의 [[https://namu.wiki/w/%EC%97%B0%EC%A0%81#s-2|연적]]으로 여겼었다.] * [[게키돌]] * '''[[걸프렌즈]]''' * '''[[걸즈 앤 판처]]'''[* 본편에서는 그리 부각되는 편이 아니지만 모든 주연들이 여자에 조연을 포함해도 남성 캐릭터는 엑스트라가 아니면 대사 한 두줄로 끝이 나다보니 당연히 백합밖에 나올 수가 없으며 공식 일러스트에서도 이를 신경쓰는 듯한 커플링 일러스트를 자주 내준다. 특이한 점은 본편에서 푸쉬가 없다고는 없다 해도 일면식도 없는 [[니시즈미 마호|마호]][[안자이 치요미|쵸비]]나 서로 말도 많이 섞은 적 없는 [[이츠미 에리카|에리]][[니시즈미 미호|미호]]같이 별로 엮인 적도 없는 캐릭터들끼리 커플링으로 엮이는 경우가 매우 많다.] * [[격기3반]] - [[차소월]] → [[마리아 다카스코스]] * '''[[경녀!!!!!!!!]]''' * '''[[계약자매]]''' * '''[[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 - [[고바야시(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고바야시]]/[[토르(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토르]], [[칸나 카무이]]/[[사이카와 리코]]. * '''[[고양이소녀 증후군]]''' * '''고치를 두르다''' * [[곰 곰 곰 베어]] * [[공각기동대]] - [[쿠사나기 모토코]][* 공식 설정상 바이섹슈얼이고, 여자 둘과 3p로 잠자리를 가진 묘사까지 나온다. 시대상 파격적이어서 그런지 해외판에서는 검열 크리를 맞았다.] * '''[[공짜로는 안기지 않겠어요]]''' * '''관계지침''' * [[괭이갈매기 울 적에]] - [[베른카스텔]] ↔ [[람다델타]] * [[교정 뒤에는 천사가 묻혀 있다]] * '''구슬의 주인''' * [[구울 거면 머그컵도]] * [[구주(웹툰)|구주]] * '''[[그 꽃잎에 입맞춤을]]'''[* 동인 백합 게임 시리즈로 유명한 게임 원작의, 백합계에서 손꼽히는 '''[[야애니]].'''] * '''그녀들의 비밀''' * [[그녀와 카메라와 그녀의 계절]] * '''[[그녀의 심청]]''' * '''[[그녀의 암캐]]''' * '''그녀의 이데아''' * ''' 그녀의 입맞춤, 감염되는 리비도''' * '''[[그레이스 길들이기]]'''[* 백합물의 장점으로 꼽히는 사랑의 정신적 묘사를 극대화한 작품으로 백합 입문자에게 웹툰 소개해달라 하면 top5 안에 든다.] * [[극상학생회]] - 란도 리노 ↔ 진구지 카나데(작품 내외적으로 공인) * [[금빛 모자이크]] * '''[[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 1화부터 [[서브 주인공]]인 [[미오리네 렘블랑]]이 메인 주인공 [[슬레타 머큐리]]에게 약혼을 선언하는 파격적인 전개를 선보였고, 이후 11화에서 미오리네가 슬레타에게 자신에게서 도망치지 말고, 계속 곁에 있어 달라는 '''사실상의 고백 멘트'''를 날려 큰 화제성을 끌어모았다. 거기에 리코리스 리코일의 결말에 실망을 한 백합 팬덤의 대거 이주, 건담이라는 대형 브랜드가 시너지를 일으켜 4분기 인기작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마지막화인 12화에서 11화의 전개가 무색하게 보일 정도로 충격적인 결말을 내게 되었고, 이는 둘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남길 것을 암시하게 되면서 일단 현재까지는 두고 봐야 알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기숙학교의 줄리엣]] - [[샤르트뢰 웨스티아]] → [[줄리엣 페르시아]] * [[기어와라 냐루코양]] - [[쿠우코]] → [[냐루코]], 쿠우네 → [[쿠우코]][* 냐루코를 좋아하던 쿠우코가 이내 주인공의 하렘에 편입된다는, 백합러들이 가장 싫어하는 전개를 보이므로 주의.] * [[길모퉁이 마족]] - [[요시다 유코]] ↔ [[치요다 모모]] * [[꼬마공주 유시]] - [[코코루]]/[[베스(꼬마공주 유시)|베스]] * '''[[꽃들 속에 숨다]]''' * '''[[꽃에게 폭풍]]''' * '''꿈에서 차이는 걸로 시작하는 백합''' * '''꿈의 파편''' * [[나노리스트]] - [[자비(나노리스트)|자비]]/[[차차(나노리스트)|차차]] * '''[[나는 너를 울리고 싶어]]''' * '''[[나는 에이미를 사랑해]]''' * '''[[나비소리]]''' * '''[[나쁜 쪽으로]]''' * [[나에게 천사가 내려왔다!]] - 마츠모토 코우코 → [[호시노 미야코]] → [[시로사키 하나]], [[히메사카 노아]] → [[호시노 히나타]] * [[나이트런]] - [[앤 마이어]]/[[프레이 마이어]][* 사실 작중 스포일러까지 다 살펴보면 이 둘은 그저 연애 감정을 느끼는 백합과는 꽤나 다른, 여러 애정이란 애정은 다 섞인 복합적인 애정이다.] * '''[[나의 백합은 일입니다!]]''' * [[나의 보람]] * [[나의 침묵에]] * [[날아라 호빵맨]] - 롤빵소녀/로라 공주[* 극장판 구름성의 비밀], [[롤빵소녀]]/[[메론빵소녀]] * '''[[날조트랩 -NTR-]]'''[* - 인기가 많은 작품으로, Citrus, 이윽고 네가 된다와 함께 백합 장르 하면 떠오르는 것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고, 그 인기에 힘입어 애니메이션화되었다. 그러나 남자 캐릭터들이 계속 엮이고 제목값 하는 막장 전개를 보이므로 주의.] * [[남국에서 ~바다와 당신과 태양과~]] * '''[[내가 모르는 나의 미지]]''' * '''[[내가 연인이 될 수 있을 리 없잖아, 무리무리! (※무리가 아니었다?!)]]'''[* 제목 어그로로 인해 인방, 유튜버 등이 종종 언급해 인지도가 굉장히 높으며, 대표적인 백합 하렘물 중 하나이다. 정신적 묘사보다는 라노벨 전개에 주인공 성별만 여성들인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만갤같은 남초사이트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 [[내가 인기 없는 건 아무리 생각해도 너희들 탓이야!]][* 수학여행을 기점으로 작품의 노선이 백합 학원물처럼 변경되어 주인공의 [[내가 인기 없는 건 아무리 생각해도 너희들 탓이야!/등장인물|친]][[내가 인기 없는 건 아무리 생각해도 너희들 탓이야!/등장인물|구]][[내가 인기 없는 건 아무리 생각해도 너희들 탓이야!/등장인물|들]]이 생기면서 백합 요소가 드러난다. 노선 변환 이후 인기도 확 증가했다.] * [[쿠로키 토모코]] ↔ [[나루세 유우]], [[타무라 유리]], [[네모토 히나]], [[카토 아스카]], [[우치 에미리]] * [[내 세계를 구성하는 먼지 같은 무언가]] * [[냐한남자]] - 최민수 → 한보미, 김영철 ↔ 오지나 * '''[[너는 아니라고 했지만]]''' * '''[[너에게 바치는 방백]]''' * '''너와 알 수 없는 여름이 되다''' * '''[[너와 잇는 물거품]]''' * '''[[너의 몸, 나에게 팔지 않을래?]]'''[* - 제목에 낚일 수 있지만 순애이다.] * '''[[네가 죽을 때까지 사랑하고 싶어]]'''[* 고아들을 교육해서 전쟁에 내보내는 기관에서 전개되는 어두운 내용이 특징이다.] * [[노을빛 소녀]] * [[논논비요리]] - [[이치죠 호타루]] → [[코시가야 코마리]] * '''[[농촌 프린세스]]''' - 소설 원작의 웹툰. * '''[[늑대의 탈을 쓴 양 공주님]]''' * [[다이쇼 야구 소녀]][* 작중에서 본 의미로 사용하는 백합이라는 용어가 나오는데, 상술한 대로 백합의 유래는 1971년이다. 그런데 보면 알겠지만 작중 배경은 다이쇼 시대인 1925년이다.] * [[다운로드 애플리걸]] * '''달과 사랑은 가득 차면 기운다''' * '''[[달라붙은 별]]''' - 사이토 아야 ↔ 카와카미 키코 * '''[[달래야]]''' * [[달링 인 더 프랑키스]] - [[이쿠노]] → [[이치고(달링 인 더 프랑키스)|이치고]] * '''[[달이 아름답네요]]''' * '''당신의 밤이 밝아 오면''' * '''대여점에서 언니를 빌리는 이야기''' * [[대운동회]] - [[크리스 크리스토퍼]] → [[칸자키 아카리]] * [[대전 감사합니다]] * '''[[더러운 네가 가장 귀여워]]''' * '''데빌드롭''' * [[데빌맨 레이디]] * [[데빌샷]] * [[데이트 어 라이브]] - [[이자요이 미쿠]][* 정확히는 과거사 때문에 남성혐오에 걸리고 그에 따라 연애 감정이 동성에게만 향하게 된 것. 사실 이것도 작중 보여주는 모습을 보면 대등한 관계로 맺어지는 백합이라기보단 애완동물 또는 장난감 또는 총희 같은 식으로 다룬다.], --나츠미--[* 작중 요시노를 보고 결혼하고 싶다고.] * '''[[데일리 위치]]''' * [[도사의 무녀]] * [[도M여자와 실망여왕님]] * '''동박새 꽃이 피었습니다'''[* [[BL]] 거장 [[나카무라 아스미코]]의 여학원 백합.] * '''두 사람의 이스케이프''' * [[둘의 방]] * [[뒤떨어진 후르츠 타르트]] * [[듀라라라!!]] - [[듀라라라!!/등장인물|오리하라 쿠루리]]/[[듀라라라!!/등장인물|오리하라 마이루]] * [[드래고너트 -더 레조넌스-]] - [[소우야 아키라]]/[[마키나(드래고너트 -더 레조넌스-)|마키나]] * [[딸기 마시마로]] * [[똑 닮은 딸]] * [[길소명]] ↔ [[서남수(똑 닮은 딸)|서남수]] * [[명소민]] → [[류솔]], [[길소명]] * [[라멘 너무 좋아 코이즈미 씨]] - 오오사와 유우 → 코이즈미 양, 오가와 노아/코이즈미 양 * [[라이프(만화)]] * [[라피스 리라이츠]] * '''[[러브 라이브! School idol project series]]의 미디어 믹스'''[* 백합 묘사가 노골적으로 있으나 실제로 연애를 하거나 성적인 관계를 원하는 묘사까지는 나오지 않는다. 어디까지나 아이돌물이기 때문. 뮤즈 시절 초반에는 독자와 연애를 노린듯한 드라마 CD 등 전형적 미소녀 작품의 느낌이 많이 나다가 갈수록 백합느낌이 진해진다. 물론 백합의 전성기는 니코마키 등 뮤즈시절의 커플들이었고. 이때 성운상까지 받은 팬픽이나 양질의 2차 창작들이 쏟아져 나왔다. 일반적으로 백합의 농도는 니지동>선샤인>=슈퍼스타>무인편으로 평가된다.] * [[러브 라이브! 선샤인!!]] * [[러브 라이브! 니지가사키 학원 스쿨 아이돌 동호회]] * [[러브 라이브! 슈퍼스타!!]] * '''[[러브 트레인(웹툰)|러브 트레인]]''' - 피너툰 웹툰. * [[러키☆스타]] - 애니메이션 한정. * [[레갈리아 The Three Sacred Stars]] * [[로젠메이든]][* 작중에선 서로 적대적이거나 그냥 친구 정도지만 이런 류가 다 그렇듯 2차 창작에서 백합 장르로 굳어진 케이스.] * '''[[론리 걸에게 거역할 수 없어]]''' * [[리오 레인보우 게이트!]] * '''[[리즈와 파랑새]]'''[* 본편인 [[울려라! 유포니엄]]에 나오는 [[카사키 노조미]]와 [[요로이즈카 미조레]]의 이야기를 다루는 일종의 스핀오프로, 나름대로 백합 느낌이 있는 본편을 한층 뛰어넘는 강한 백합적 색채로 화제가 되었다. 특히 미조레→노조미 쪽의 감정이 상당히 심도있게 다뤄지는편. 트위터 등지에서는 아예 레즈와 파랑새 같은 별칭도 붙었다. 메인 조합 외에도 서브로 [[나카가와 나츠키]]×[[요시카와 유코]], [[켄자키 리리카]]×[[요로이즈카 미조레]]같은 서브 커플링도 소소하게 인기를 끄는 편.] * [[리코리스 리코일 시리즈]] - [[니시키기 치사토]] ↔ [[이노우에 타키나]].[* 3분기 최고의 백합 애니메이션으로 시작했고 제작진 역시 "치사토와 타키나의 관계에 주목해줬으면 한다"고 말하는 등 백합으로 홍보도 했으며 크게 흥행했지만, 1기의 결말에 가까워질수록 타키나와 치사토의 관계가 애매해지고, 각본가의 트위터를 통한 [[마지마(리코리스 리코일)|지나친 남자 악역 자캐딸]]과 '이 작품은 백합이 아닌것 같다'라는 다른사람의 트윗에 좋아요를 누르는 등의 행보를 보이며, 백합 팬덤의 기대를 제대로 배신했다는 평가가 있을 정도로 논란이 있는 작품이다. 이후 2월 11일 행사에서 공식적으로 후속작 제작이 발표되면서 결국 끝까지 가봐야 진위를 판가름 할 수 있게 되었다.] * [[리틀 위치 아카데미아]] - [[수시 만바바란]] → [[카가리 아츠코]] ↔ [[다이애나 캐번디시]], [[샤이니 샤리오]] ↔ 크로와 메리디에스 * [[릴리즈 더 스파이스]] * '''[[릴리트]]''' * [[마간과 다나이]][* 작중 모든 커플이 백합 커플이다.] * [[마나리아 프렌즈]][* 전 10화 내내 주인공 앤과 글레어가 꽁냥거리는 것이 사실상 내용의 전부.] * '''마녀가 사랑에 빠지기 5초 전''' * '''[[마녀도시 리린이야기]]''' * '''[[마녀의 심판은 꽃이 된다]]''' - [[수선화(레드스트링)|수선화]] ↔ [[양정향]] * '''[[마녀의 여행]]''' * '''[[마리아님이 보고 계셔]]''' - 백합을 정착시켰다고 할 정도의 영향을 끼친 작품. 원작은 소설. * [[마리아 홀릭]][* - 동성애자인 [[미야마에 카나코]]가 여학교에 입학해서 일어나는 이야기라 백합 개그도 많다. 하지만 대부분 혼자 망상하다 끝난다] * [[마법과 고교의 열등생]] 외전 시그너스의 소녀들 * [[마법기사 레이어스]] - [[노바(마법기사 레이어스)|노바]] → [[시도우 히카루]][* 2기 후반부(43~49화) 오프닝에서의 노바,히카루 둘의 키스장면, 작품내 스토리에서 노바의 히카루에 대한 얀데레적인 집착등의 백합요소가 있다.] * [[마법선생 네기마]] - [[코노에 코노카]] ↔ [[사쿠라자키 세츠나]][* 작가 공인의 인기 커플링, 일명 코노세츠. 작품자체는 노말물이어서 백합 팬덤이 취급하지는 않는다.] * [[마법소녀 나]] - 미카게 사쿠요 → 우노 사키[* : 변신할 때 한정으로 남자로 TS화하는 것이지 본체는 여자들이므로 백합물이 맞다 작중 사쿠요가 사키를 짝사랑한다.] * '''[[마법소녀를 동경해서]]''' *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시리즈]] - [[타카마치 나노하]]/[[페이트 테스타로사]][*. 시리즈가 전개될수록 백합분이 증가한다. 3기부터는 거의 공식 부부화.] *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 [[아케미 호무라]] ↔ [[카나메 마도카]][* 애초에 본작 시작 시점부터가 [[아케미 호무라|한 여자]]가 [[카나메 마도카|자신의 우상]]을 위해 한평생을 바치던 중이었다. 이후 극장판에서 나온 샤를로테의 인간형으로 기존 마법소녀 5인 + 샤를로테로 2인씩 우정 이상의 관계가 형성되었고, 반역의 이야기에선 아예 호무라 본인이 마도카에게 사랑을 느낀다고 대놓고 언급된다.] * [[마기아 레코드]] - [[나나미 야치요]] ↔ [[타마키 이로하]] ↔ [[쿠로에(마기아 레코드)|쿠로에]] * [[마법소녀 사이트]] - [[아사기리 아야]] ↔ [[야츠무라 츠유노]][* 주인공 둘이 서로 사랑하며 입맞춤까지 했다. 그 외에도 자잘하게 백합 요소가 많다.] * [[마법천자문]] - [[삼장(마법천자문)|삼장]] ↔ [[샤오(마법천자문)|샤오]] ↔ [[이랑(마법천자문)|이랑]] , [[아티스(마법천자문)|아티스]] ↔ [[얼음왕비]] * '''마블 비터 초콜릿''' * [[마유비검첩]] * '''[[마이 리틀 코로네]]''' * '''마이의 곤충생활''' * '''[[마이히메 시리즈]]'''[* 작품 자체는 학원 판타지 액션물이지만 조연으로 나온 백합 캐릭터들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백합 팬들에게 강하게 어필했고 동인계에도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로 인해 후속작 [[마이오토메]]에서는 백합적 성향이 상승하게 만들기까지 했다. 작품 내 커플 인기투표에서도 주인공 커플들을 제치고 1위까지 할 정도. 마이오토메도 포함.] * [[마이히메]] - [[후지노 시즈루]]/[[쿠가 나츠키]] * [[마이오토메]] - [[토모에 마르그릿드]] → [[시즈루 비올라]] ↔ [[나츠키 크루거]], [[유키노 크리상트]]/[[하루카 아미테이지]], [[치에 하라드]]/[[아오이 세노]] 등 * [[마이오토메 0 S.if.r]] - 라켈 마요르/시스터 시온 * [[마켄키]] * [[마크로스 Δ]] - [[마키나 나카지마]]/[[레이나 프라울러]] * '''만남 사이트에서 여동생과 만나는 이야기''' * '''[[만들고 싶은 여자와 먹고 싶은 여자]]''' * '''[[만약 사랑이 보인다면]]''' * '''[[매월 정원과 집주인 포함]]''' * '''머메이드 라인''' * [[메르헨 메드헨]] * [[목소리를 못 내는 소녀는 「그녀가 너무 착하다」고 생각한다]] * [[무능한 나나]] * '''[[무르시엘라고(만화)|무르시엘라고]]''' * '''[[뭐가 사랑인지 모르겠어]]''' * [[오가와 마이코|물고기가 보는 꿈]] * [[므네모시네의 딸들]] *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 *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S]]/[[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세일러 스타즈|세일러 스타즈]] - [[텐오 하루카]] ↔ [[카이오 미치루]]. 2차 창작의 파급력과 일본 서브컬처 초반 백합에 크게 기여했다. *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Crystal]](3기) * '''[[미스테리오소]]''' * '''[[미안하지만 나는 백합이 아니야]]''' * [[미울 만큼 사랑해]] * [[미카구라 학원 조곡]] - [[이치노미야 에루나]]/[[후지시로 오토네]], [[미카구라 세이사]] * [[미확인으로 진행형]] - 스에츠기 코노하 → [[요노모리 베니오]], [[요노모리 베니오]] → [[요노모리 코베니]]와 [[미츠미네 마시로]][* 다만 베니오쪽은 백합이라기 보단 시스콘 기질이다.] * [[바보걸]] * [[바보와 시험과 소환수]] - [[시미즈 미하루]] → [[시마다 미나미]] * [[바이올렛 에버가든 외전: 영원과 자동수기인형]][* [[바이올렛 에버가든(TVA)|본편]]은 완전 노말이고, 이 극장판도 파트 1이 백합이다.] * '''[[발키리 드라이브 머메이드]]''' * '''[[밝은 기억상실]]''' * [[배견여황폐하]] - [[소화]] * [[배틀걸 하이스쿨]] - [[세리자와 렌게]] * '''백갸루와 흑갸루의 유혹''' * 백합 러브 슬레이브 - 나만의 위원장 * '''[[뱀피어즈]]''' * [[베르사이유의 장미(만화)]] - [[오스칼 프랑소와 드 자르제]] [* 등장하는 대부분의 귀족 여인들이 오스칼을 좋아한다. 오스칼을 남성으로 착각하는 인물도 있지만 [[로잘리 라 몰리에르|로잘리]]와 같이 여자인것을 알면서도 좋아하는 인물들도 대다수] * [[베스트 프렌드(웹툰)|베스트 프렌드]] * '''[[벤전스]]''' * [[변태왕자와 웃지 않는 고양이]] - [[츠츠카쿠시 츠쿠시]] → [[츠츠카쿠시 츠키코]][* 츠쿠시가 중증의 시스콤이긴 하지만 결국 개그 설정이며 냐루코양과 비슷하게 츠쿠시까지 주인공 요코데라 요우토에게 반하는 노멀 하렘물이므로 주의.] * [[별무리 텔레패스]] * [[보랏빛 퀄리아]] * [[봄빙수]] * [[봇치 더 록!]] * [[봉촌각시]][* 일단 BL물이다. 다만 레즈비언 캐릭터인 '목원'이 아주 짧게 나오는데, 사랑하는 여자와 도피를 떠나려다 주인공이 다른 남자 주인공을 만나게 하는 원인이 된다. 은근 이야기 진행의 핵심인물이자 선역으로서 중간중간 등장한다. 작가의 전작도 백합물.] * '''[[부자유 세계]]''' * [[뷰티풀 군바리]][* 국내에서 남성향 백합으로 가장 유명한 작품. 초반에는 여자 군대 미러링물로 남캐 군생활에 여캐 스킨을 씌운 것에 가까우나 그 자극적인 폭력이 어마어마한 미형의 여캐를 그려내는 그림과 맞물려 오히려 인기 요소가 되었고, 현재는 폭력은 많이 줄어든 대신 아예 [[카게구루이]]처럼 백합을 노리고 장면이 많아졌다. 기본적으로 그림 작가가 백합을 좋아하는 듯. 팬덤도 비슷하게 되어서 남캐가 난입하는 에피에 별점 폭락 및 댓글창 민심이 난리 나서 내용을 엎은 적도 있다.] * [[고효원]] → [[정수아]] ↔ [[권정민]] ↔ [[한소이]] * [[오로라(뷰티풀 군바리)|오로라]] → [[박소림]] ← [[채희나]] * [[남혜서]] → [[서다미]] ← [[홍세나]] * '''[[브로큰 릴리]]''' * [[블라드 러브]] * '''[[블루 드롭]]''' * '''[[블루밍 시퀀스]]''' * '''[[블루 프렌드]]''' * [[블루 피리어드]] - 타카다 → 후지 키리오 * [[블리치]] - [[소이퐁]] → [[시호인 요루이치]] * [[비비드레드 오퍼레이션]] * '''[[비탄의 아리아 AA]]''' * '''[[비터스윗콘파냐]]''' * '''[[빨간 입술 하얀 입김 핑크색 꽃잎]]''' * [[사랑의 헌옷수거함]] - 정은우 ↔ 이하은[* 사실상 서브 커플이다.] * [[사랑하는 소행성]] - [[코노하타 미라]] ↔ [[마나카 아오]], 스즈야 모에 → 코노하타 미사, [[이노세 마이]] * '''사랑한 만큼 사랑해줬으면 좋겠어!''' * [[사사미양@노력하지않아]] - [[츠쿠요미 사사미]] ↔ [[야가미 카가미]][* 라이트노벨 원작이고 백합성도 라노벨에서 더 강하지만 애니메이션화되었기에 여기에 기입한다.] * [[사신 짱 드롭킥]] * '''[[사유리네 동생은 천사]]''' * [[사축 씨는 꼬마 유령에게 치유받고 싶어.]] * '''사치랑 유우카''' * '''[[사쿠라 트릭]]''' * '''[[사키 -Saki-]]'''[* 작가 공인으로 등장인물의 반 이상이 동성애자이며, 그 유명한 ips세포 드립이 여기서 나왔다.] * [[새내기 자매와 두 사람의 식탁]] * [[새디스틱 뷰티]][* 본편은 역하렘 SM물이나 주인공의 SM 파트너 중 [[양계린|여성 캐릭터]]도 있다. 그리고 완결 이후 나온 외전A는 공식적으로 [[나주연|백합]]이다.] * [[선의의 경쟁]] * '''[[선화의 그늘가]]''' * '''[[설레는 기분]]''' * '''[[설령 닿지 않을 실이라 해도]]''' * [[성전]] - [[건달파왕(성전)|건달파왕]] ↔ [[소마(성전)|소마]][* CLAMP 작품 중 거의 유일한 노골적 백합 커플이다.] * [[성흔의 퀘이사]][* 2기에서 더 자주 나온다.] * [[세계의 끝과 마녀의 사랑]] * [[세기말 하모니]] * [[센토루의 고민]] * '''[[소녀☆가극 레뷰 스타라이트]]''' * [[소녀 결전 오르기아]] * '''[[소녀섹트]]''' * [[소녀의 세계]] - [[임유나]] → [[오나리]] * [[소녀왕국 표류기]] - [[미코토(소녀왕국 표류기)|미코토]] → [[린(소녀왕국 표류기)|린]][* 애초에 섬에 여자밖에 없는 까닭에 몸매가 가장 좋고 남자다운 성격을 지닌 [[린(소녀왕국 표류기)|린]]에게 진심으로 들이댄다. 물론 린은 이성애자인지라 오직 [[토호인 이쿠토|이쿠토]] 일편단심이다.] * [[소녀종말여행]] * '''[[소녀혁명 우테나]]''' - [[텐죠 우테나]] ↔ [[히메미야 안시]]. 현대적 백합 장르의 서막을 올린 역사적인 작품으로 꼽힌다. * [[소드 아트 온라인 얼터너티브: 건 게일 온라인]] * '''[[소라해나!]]''' * '''소여소설''' * [[소울 이터 NOT!]] * '''[[속삭이듯 사랑을 노래하다]]''' * '''[[속삭임]]''' * '''[[순정만화 주인공X라이벌]]''' * '''[[스왑⇔스왑]]''' * '''[[스위트 매직 신드롬]]''' * [[스즈나리!]] * '''[[스쿨 존]]''' * [[스트라이크 위치스]] * [[스트레칭(만화)|스트레칭]] * '''[[스트로베리 패닉]]'''[* 타마오의 "키마시타와~!"가 유명하다지만 00년대 이야기고 현재는 사장된 밈이다.] * '''[[스트로베리 필즈를 다시 한번]]''' * [[스티븐 유니버스]][* 다만 보석들은 외형상 여성의 모습을 하고 있을 뿐 실질적으론 무성이다.] * [[스파이 패밀리]] - [[베키 블랙벨]] → [[아냐 포저]] * '''스파이스 걸즈''' * [[스페이스 차이나드레스]] - 메이 → 챠오밍 * [[슬라임을 잡으면서 300년, 모르는 사이에 레벨MAX가 되었습니다]][* 일반적인 라노벨식 전개지만 주인공이 여성이기 때문에 백합 하렘물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능균치와 비슷한 케이스.] * [[슬로우 스타트]] - [[토쿠라 에이코]] → 에나미 키요세 * [[시노자키양 그러다간 오타쿠가!]] * [[시문]] * [[식령 -제로-]] * '''[[신무월의 무녀]]''' - [[쿠르스가와 히메코]] ↔ [[히메미야 치카네]][* 초중반까지는 남성 캐릭터인 오오가미 소마가 로봇을 몰고 활약하기 때문에 무녀+메카닉 액션물로 보이다가 중반부 들어 본격적으로 백합물 속성을 보여주고 TV 애니 최초로 여성이 여성을 [[강간]]하는 장면이 등장하면서 엄청난 파장을 몰고 왔다. 물론 치카네가 히메코를 사랑한다는 것은 초반부터 드러났으며 히메코도 자신이 자각을 하지 못했을 뿐이지 치카네를 사랑하고 있다는 것을 태도로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주의깊게 봤다면 초반부터 백합물이라는 걸 알 수 있었다. 예로 애니 1화에서 치카네가 기절한 히메코에게 키스할 때 히메코가 눈을 뜨면서 깜짝 놀랐지만 뿌리치기는커녕 눈을 감으면서 치카네를 껴안고 있다. 하지만 남성 주연 캐릭터가 존재한다는 것을 싫어하는 백합 팬들이 많아서 백합 작품 중에서도 비교적 호불호가 많이 갈리는 편이다.] * [[신부 이야기]] - [[아니스(신부 이야기)|아니스]] ↔ [[시린(신부 이야기)|시린]][* 이 둘은 결연자매를 맺었다. 그래서인지 독자들과 팬들이 이 둘을 백합으로 밀고 있다.] * [[신세계에서]][* 결말은 백합이 아니지만 애니메이션에서 원작보다 더 마리아와 사키의 관계를 친밀하게 여 줬다. 다만 둘의 사이에 관해 깊이 있게 들어가보면 원작이 더 섬세하다. 키스하는 장면도 꽤 있고 나오는 편에 한하여 백합도가 상당히 높다. 비엘, 노멀에 면역이 없거나 백합만 감상하고 싶다면 8화와 16화+18화를 보도록 하자. 새드 엔딩이 싫으면 16화까지. 코믹스에선 대폭 강화되어 농밀한 묘사가 많다. 마리아가 사키에게 자신을 사랑하냐며 대답을 재촉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다만 노멀의 묘사도 더 짙으니 주의하자.] * [[신세기 에반게리온]] - [[이부키 마야]] → [[아카기 리츠코]], [[마키나미 마리]] → [[이카리 유이]] * '''쏙독새, 맴돌다''' * [[쓰레기의 본망]] - 에바토 사나에 → 야스라오카 하나비[* 짝사랑임에도 고퀄의 베드신이 있다.] * [[쓰르라미 울 적에 업]] - 호죠 사토코 → 후루데 리카[* 사토코의 리카에 대한 집착이 우정을 넘어섰다.] * '''[[아네모네는 열을 머금고]]''' * '''[[아다치와 시마무라]]'''[* 애니메이션화된 라노벨.] * [[아만츄!]] * '''아스미는 레즈비언 업소에 흥미가 있습니다!''' * [[아야메 14]] * '''아야카는 히로코 선배를 사랑하고 있다''' * [[야오요로즈당의 고양이 신]] * [[아울 하우스]] - [[아미티 블라이트]] ↔ [[루스 노세다]] * [[아이들의 시간]] - [[카가미 쿠로]] → [[코코노에 린]][* 작품 자체는 수위 높은 노말 로리물이니 주의.] * [[아이카츠! 시리즈]][* [[아이카츠 스타즈!]] 이후는 잘 등장하지 않는다.] * [[아이카츠!]] - [[키리야 아오이]] → [[호시미야 이치고]], [[시부키 란]] ↔ [[토도 유리카]], [[이치노세 카에데]] → [[토도 유리카]], [[시부키 란]] ↔ [[카제사와 소라]] [[호시미야 이치고]] ↔ [[오토시로 세이라]] ↔ [[사에구사 키이]] ↔ [[키리야 아오이]] [[오오조라 아카리]] ↔ [[히카미 스미레]], [[신죠 히나키]] ↔ [[쿠레바야시 쥬리]], [[히카미 스미레]] ↔ [[쿠로사와 린]], 오오조라 아카리 ↔ [[아마하네 마도카]], 쿠로사와 린 ↔ 아마하네 마도카, [[다이치 노노]] ↔ [[시라카바 리사]] [[호시미야 이치고]] ↔ [[오오조라 아카리]] * [[아이카츠 스타즈!]] - [[나나쿠라 코하루]] ↔ [[니지노 유메]] ↔ [[사쿠라바 로라]], [[키자키 레이]] → [[엘자 포르테]], [[후타바 아리아]] → [[니지노 유메]],[[시로가네 리리]] ↔ [[니카이도 유즈]],[[카스미 요조라]]↔ [[카스미 마히루]],[[카스미 마히루]]↔[[사쿠라바 로라]] * [[아즈망가 대왕]] - [[카오리(아즈망가 대왕)|카오리]] → [[사카키(아즈망가 대왕)|사카키]] * '''[[아케비의 세일러복]]''' * [[아케비 코미치]] ↔ [[키자키 에리카]] * [[와시오 히토미]] ↔ [[나와시로 야스코]] * [[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 * [[아픈 건 싫으니까 방어력에 올인하려고 합니다.]] - [[혼죠 카에데]]/[[시로미네 리사]] * '''[[여자끼리라니 말도 안 된다고 주장하는 여자애를 백일동안 철저하게 함락시키는 백합 이야기]]''' * [[악마에 입문했습니다! 이루마 군]] - [[갸리]]/쿠로무[* 다만 역시 하렘물의 착즙 백합인 냐루코양같은 전개를 보이므로 추천하지 않는다.] * '''[[악마의 리들]]'''[* 작중 등장인물 모두 각 호실별로 커플링이 구축되어 있으며, 가끔씩 다른 호실 멤버들끼리도 엮이는 등 다양한 관계를 보여준다. 사실, [[코우가 윤|작가 본인]]이 원래부터 [[BL|성별만 다른 쪽]]에 전문이기도 했고 원화가 미나카타 스나오도 예전부터 백합물 동인지 쪽에서 활약한 바 있다.] * '''안녕, 로즈가든''' * '''[[안드로이드는 경험인 수에 들어가나요?]]''' * [[알기 쉬운 현대마법]] * [[앙주 비에르주/애니메이션|앙주 비에르주]] * [[야마노스스메]] * '''얄미울 정도로 사랑해''' * '''[[어둠과 모자와 책의 여행자/애니메이션|어둠과 모자와 책의 여행자]]'''[* 원작은 남자주인공이 존재하는 [[에로게]]지만 애니화하면서 유명해진 케이스.] * [[어떤 과학의 초전자포]] - [[시라이 쿠로코]] → [[미사카 미코토]] * '''어른이 되어도''' * [[어서오세요. 305호에!]] - [[오윤아(어서오세요, 305호에!)|오윤아]] ↔ [[백설]][* 작품 자체가 퀴어물이다.] * '''[[어설트 릴리]]'''[* 제목 자체에 백합(릴리)이 들어가 있으며 메인 스토리의 첫 연극은 백합물의 클리셰를 꽉 채운 수준이며 주인공-파트너, 주인공-주인공을 좋아하는 동급생, 주인공-주인공이 구원한 동급생, 친구 동급생-친구 동급생 등 다양한 관계가 존재한다.] * '''[[언니를 좋아하는 언니랑]]''' * [[언니와 거인 ~아가씨가 이세계 전생~]] * '''[[언니의 친구, 나의 애인]]''' * [[언밸런스X2]] - [[은아미]] → [[나혜영]][* 작품자체는 백합과 관계없는 수위 높은 노말 하렘물이니 주의. 작가가 [[임달영]]이다.] * [[언해피]] - [[하규 히비키]] → [[에코다 렌]] * '''엄마 때문에 후배랑 위장결혼했습니다''' * [[에게해를 건너는 꽃들]] * [[에비스씨와 호테이씨]] - 에비스 마요 ↔ 호테이 치즈루 * [[엔드로~!]] * '''[[엘릭시르(웹툰)|엘릭시르]]''' * [[엘 카자드]] * [[여름색 기적]] * [[여성향 게임의 파멸 플래그밖에 없는 악역 영애로 환생해버렸다…]][* [[악역 영애물]]의 효시로 [[역하렘]]물이기도 하나, 그 주인공의 하렘 어장에 다른 라이벌 히로인들 + 원작 주인공(!?)이 포함되어 백합 성향도 띄고 있다. 심지어 [[https://lilybin.tistory.com/m/25905?category=566588|유리히메]]에서 백합 앤솔로지가 나오기도 했다.] * 여름의 소녀는 돌아온다 - 카요코↔유이 * '''[[여자친구(웹툰)|여자친구]]'''[* 혜지소영은 작가 공인 백합이며, 2차 창작 등에서 다른 커플링도 자주 보인다. 애초에 이 웹툰 자체가 백합 통수가 목적이었다 완결나고 나서 후기 만화가 백합러들 사이에서 제법 화제가 됐다.] * [[연민의 굴레]][*- 의외로 백합도 꽤 많다.] * [[연희무쌍]]/[[진 연희무쌍]][* [[혼고 카즈토]]라는 남자주인공이 있던 게임 원작은 이런 기미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다만 위나라 한정으로는 원래부터도 백합 기미가 많았다. 정확히는 백합이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카즈토가 그 중앙에 정착한 식. 그런데 애니화되면서 카즈토는 나아아아중에야 갑툭튀하게 되고 그전까진 여자들밖에 없다보니 백합 요소가 전반적으로 퍼졌다. 특히나 역사상 조조의 관우에 대한 집착이 19금 백합으로 재탄생했다.] * '''[[열대어는 눈을 동경한다]]'''[* 인기 있는 작품이었는데, 작가가 해당 작품은 백합이 아닌 걸즈쉽이라는 발언을 하여 이제는 백합 팬덤의 외면을 받게 되었다.] * [[영감!]] - 아마미 히비키/이노우에 나루미 * [[HG를 사랑하는 두 사람]] * '''오늘도 한 지붕 아래에서''' * '''[[오늘은 여자친구가 없으니까]]''' * '''[[오늘, 코시바 아오이를 만난다면]]''' * [[오빠의 아내와 살고 있습니다]] * '''[[오파파고토]]''' * '''[[오피움(웹툰)|오피움]]''' * '''[[옥타브(만화)|옥타브]]''' * '''[[온 어 리시]]''' * '''[[왕자 따위 필요 없어]]''' * [[요르문간드(만화)|요르문간드]] - [[발메]]/[[코코 헥마티아르]] * [[우라라 미로첩]] * '''[[우리가 사귀어도 괜찮을까]]''' * [[우리들의 7일 전쟁]] - 치요노 아야/야마사키 카오리 * [[우리 스승님은 꼬리가 없다]] * [[우리 메이드가 너무 짜증나!]]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미디어믹스[* 우마무스메들이 여성밖에 없기 때문에 우마무스메끼리의 관계성이 부각되어 백합으로 취급되고 있다. 원본 말끼리 서로 교배했거나, 라이벌이거나, 혈족관계거나 해서 엮을 수 있는 다양한 조합이 인기를 끄는 요인이고, 게임에서도 트레이너 성별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점 또한 한몫한다.] * [[우주의 전사 쉬라]] - [[아도라(쉬라)|쉬라]] ↔ [[캣트라]] * [[우타∽카타]] * [[울려라! 유포니엄]] - [[오마에 쿠미코]]/[[코사카 레이나]][* 원작 소설과 애니메이션 판 둘 다 쿠미코가 [[츠카모토 슈이치|슈이치]]와 사귀는 것은 동일하지만, 애니메이션 판에서는 슈이치와의 연애 비중이 줄어들고 쿠미코가 레이나에게 영향을 받는 모습이 강조되면서 백합 커플링이 인기를 끌었다. 결말은 원작대로 갔으므로 작품성과 별개로 백합 팬덤에서는 [[백합 영업]]이라고 흑역사 취급당한다. 다만 리즈토리는 여전히 좋아들 한다. 사실 각자 짝이 생겼기 때문에 로맨스적인 의미의 백합은 아니나, 원작 작가는 두 주인공과 남캐들과의 관계는 변할 수 있지만 쿠미코와 레이나의 관계는 이를 초월한 친구 이상이라 표현했으므로 그리스식 사랑으로 볼 수도 있다.] * '''원나잇 프렌즈''' * [[원펀맨]] - [[지옥의 후부키]]/[[사이코스]] * '''[[월야화원]]''' * [[위치 크래프트 워크스]] - 타카미야 코마치 → [[카가리 카자네]] 등 다수 커플 * '''[[유루유리]]''' - [[코믹 유리히메]] 최장수 연재작. 일상 4컷 백합으로서 대인기를 얻은 소프트 백합으로 제목의 뜻도 '가벼운 백합'이다. * [[유루캠△]] * '''유리 구두를 벗어 던지고''' * '''유리나츠 - 민박 카가야''' * '''[[유리캔]]''' * '''[[유리쿠마 아라시]]'''[* 감독이 소녀혁명 우테나 감독이었던 [[이쿠하라 쿠니히코]]. 감독이 직접 "유리쿠마 아라시에서 유리의 뜻은 여러분이 생각하시는 그 백합이 맞습니다"라고 표현했다.] * [[유우키 유우나는 용사다]], [[와시오 스미는 용사다]], [[노기 와카바는 용사다]][* 여자들만 용사로 선택받을 수 있어서 주연은 모두 여자이다.] * [[유유시키]] * '''[[유즈모리 양]]''' * [[윤회의 라그랑제]] * '''[[율하엔딩]]''' * [[은혼]] - [[야규 큐베]]/[[시무라 타에]] * [[음몽 시리즈]] - 제 3화 * [[이것도 친구라고]] - 전소현 → 남수지 * '''[[이누가미 양과 네코야마 양]]''' * [[이대로 멈출 순 없다]] * '''[[이성연애박사]]'''[* 레진에서 연재 후 완결. 현재는 네이버시리즈나 카카오페이지 등 다양한 경로로 다시볼 수 있다. 로맨틱코미디의 틀을 따라가지만, 다양한 인물군상이 백합을 넘어 레즈비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할 뿐 아니라 과거의 상처를 넘어 인간으로서 성장하는 과정을 그려 작품성과 인기를 동시에 잡았다고 평가받는 몇 안 되는 한국 백합물이다. ] * '''[[이오노 더 퍼내틱스]]''' * [[이웃집 흡혈귀 씨]] * '''[[이윽고 네가 된다]]'''[* 2010년대 백합 만화 중 작품성 면에서 가장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 작품으로 통칭 야가키미. [[citrus]]가 스토리 면에 평이 그닥 좋지 않은 것에 비해 이쪽은 전통 순정만화 문법을 충실히 따르고 주인공들의 성장도 확실히 표현되는 등 인기도 많을 만한 작품이라 애니메이션화도 되어 [[애니메이션/2018년 10월|2018년 10월]]에 방영되었다.] * [[사에키 사야카]] → [[나나미 토우코]] ↔ [[코이토 유우]] * '''이지러진 달과 도넛''' * [[일곱 개의 대죄|sin 일곱 개의 대죄]] - 레비아탄 → 루시퍼 * [[일기당천(만화)|일기당천]] * '''일도 사랑도 인사부터!''' * [[자해클럽]][*-레진코믹스 연재작. 작가는 소망. 배경이 여고인 데다가 몇몇 묘사를 보면 스토리 전개가 아주 무겁다.] * [[작열의 탁구소녀]] * '''[[잘생긴 여자와 요조숙녀]]''' * '''장난 프라이버시''' * [[쟈히님은 기죽지 않아!]] * '''[[저 아이에게 키스와 흰 백합꽃을]]''' * [[전국오토메]] * [[전국 컬렉션]][* 아케치 미츠히데/오다 노부나가, 우에스기 겐신/나오에 카네츠구, 다테 마사무네/카타쿠라 코쥬로 - 이름을 보면 알겠지만 [[전국시대(일본)|전국시대]] 무장들을 모에화한 캐릭터들이다.] * '''[[전략, 백합정원에서]]''' * [[전생연분]] - [[최여옥]] ↔ [[김연화(레드스트링)|김연화]] * [[전학생]] * [[전희절창 심포기어 시리즈]] * [[정년이]] * [[정원의 뱀파이어]] * '''정시에 퇴근하면''' * '''[[제복의 뱀피레스로드 ]]''' * [[조난입니까?]] * [[조심해, 언니]] * [[좀비 랜드 사가 시리즈]][* 동인에서 [[미즈노 아이]]와 [[콘노 준코]]의 커플링인 순애(純愛-준코(純子)와 아이(愛))의 커플이 가장 인기있다. 2기에 꽤 영향을 줬을 정도. 1기에선 한번 싸웠고 화해는 했지만 묘한 거리감이 있는 동료같은 느낌이었더라면 2기에서는 거의 계속 붙어있고 2기의 아이와 준코의 메인 스토리인 3~4화에서는 갈등 위주의 메인스토리였던 1기 6-7화 [[미즈노 아이|아이]]와 [[콘노 준코|준코]] 스토리와는 거의 정반대 가까이의 스토리가 나왔다. 이밖에도 [[미나모토 사쿠라|사쿠라]]와 [[니카이도 사키|사키]]의 커플링이 있다.] * [[좀비 랜드 사가 리벤지]] * [[종말의 이제타]] * [[주문은 토끼입니까?]] - [[호토 코코아]] ↔ [[카후우 치노]], [[키리마 샤로]] ↔ [[우지마츠 치야]] * [[주술회전]] - [[젠인 마이]]/[[젠인 마키]][* 작가 공식 백합이다. 젠인 마키가 마이의 첫사랑일지도 모른다고 언급한 바 있다.] * '''주인님과 동물귀 소녀 멜''' * [[중2병이라도 사랑이 하고 싶어!]] - [[데코모리 사나에]]/[[니부타니 신카]][* 매번 서로 만나면 티격태격하면서도 사이가 좋아보인다는 점에서 백합으로 엮인다. 1기에선 그럴 만한 요소가 적어서 농담 삼아 엮였지만 2기에 주역이 되는 스토리가 나오게 되면서 이 관계가 매우 부각되었다. 1기 OVA (13화)에선 둘이 사고로 키스까지 한다. 이 일로 주변인들은 "아무도 별다른 진전이 없었는데 저 둘이 플래그가 서버렸다"라고 말하다 맞는다. 데코모리 섬머라는 커플 명칭까지 있다. 사실상 서브 커플.] * [[지젤 씨의 피]] - 올리비아 ↔ 페니. * [[진격의 거인]] - [[유미르(진격의 거인)|유미르]] → [[크리스타 렌즈|크리스타]] * '''[[짝사랑의 스킬]]''' * [[창백한 말]] - [[마리안느 블랑제]] → [[로즈 뒤프레]] * [[처형 소녀의 살아가는 길]] * '''[[청초한 척을 하고 있지만]]'''[* 개그요소가 많긴 하지만 확실히 백합이다.] * '''[[천사씨와 악마님]]''' * [[천체의 메소드]] * [[체인소 맨]][* [[콴시]]가 백합 하렘 마스터다.] * '''[[최애가 부도칸에 가 준다면 난 죽어도 좋아]]'''[* 팬인 주인공과 아이돌이 주인공 커플이며 아이돌 그룹 내에서도 각자 묘한 관계의 멤버들이 있다. 드라마화까지 되었다.] * [[에리피요]] ↔ [[이치이 마이나]] * [[이가라시 레오]] ↔ [[마츠야마 소라네]] * [[하카타 마키]] ↔ [[미즈모리 유메리]] * [[요코타 아야]] ↔ [[테라모토 유카]] * 노다 료카 ↔ 야마사키 카나[* 스텔라이츠 멤버] * '''[[최애가 옆자리라 수업에 집중할 수 없어!]]''' * [[최후의 제복]] * '''[[초보 연금술사의 점포경영]]'''[* 라이트노벨 원작으로 애니화되었다. 동성간의 결혼 임신이 가능한 세계로 백합물이다.] * [[추억의 마니]] * '''층계참에 스커트가 울린다''' * [[침략! 오징어소녀]] - [[나가츠키 사나에]] → [[이카무스메]] * [[카구하라 양의 페티시 노트]] - 카구하라 리리카 → 페티시즘을 유발하는 모든 여고생 * [[카나메모]][* 전반적인 내용 자체는 일상물이라 볼드 처리 되어있지 않지만 사실 이름 있는 남자 주조연은 존재하지 않고 주연 중에 열애중인 커플이 있기 때문에 실상 본격적인 것이라 봐도 무방하다.] * [[카드캡터 사쿠라]] - [[다이도우지 토모요]] → [[키노모토 사쿠라]] * [[카레이도 스타]] * '''[[카세상 시리즈]]''' * [[카시마시 ~걸 미츠 걸~]] * [[카케구루이]] * [[쟈바미 유메코]] ↔ [[사오토메 메아리]] * [[모모바미 리리카]] ↔ [[사오토메 메아리]] * [[모모바미 키라리]] ↔ [[이가라시 사야카]] * [[카케구루이 트윈]] * [[사오토메 메아리]] ↔ 하나테마리 츠즈라 * 사도 미쿠라 → 쥬라쿠 사치코 → [[사오토메 메아리]] * [[캐릭캐릭 체인지]] - [[마시로 리마]] → [[히나모리 아무]]/[[호시나 우타우]] * '''[[캔디 보이]]'''[* 두 명의 주연이 [[쌍둥이]] 자매이면서 연인인 무려 [[근친물|근친]]+백합물이다.] * [[케모노 프렌즈 1기]] * [[케이온!]][* 진한 편은 아니지만 키라라,쿄애니산 미소녀 동물원물 답게 캐릭터간 관계에서 백합 요소가 어느 정도 녹아있다. 워낙 히트쳤기 때문에 이 작품으로 백합 입문한 사람이 꽤 된다.] * '''[[코노하나 기담]]''' * '''[[코라의 전설]]''' - [[코라]] ↔ [[사토 아사미|아사미]][* 백합 엔딩으로 유명하다. 이 작품 이후로 중간에 남자캐릭터를 하나 낀 삼각관계 상황에서 여자끼리 이어져 버리는 엔딩을 '코라사미 엔딩'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 [[코믹 걸즈]] * [[쿄시로와 영원의 하늘]] * [[쿠단의 포크로]][* - 노벨게임 원작. 코믹 유리히메 2019.7월 호에서 코미컬라이즈 진행중 발표.] * [[퀄리디아 코드]] - 텐카와 마이히메, 린도 호타루 * [[퀸즈 블레이드]] * '''[[크로스 앙쥬 천사와 용의 윤무]]'''[* 주인공 커플은 남녀지만, 제작진이 여주인공이 양성애자라고 했다. 그 외엔 전부 여자들이다 보니 틈만 나면 수위 높은 백합신이 나온다.] * [[키디 걸랜드]] * [[키디 그레이드]] * [[키비님과 함께]] * [[킬라킬]] - [[마토이 류코]]/[[키류인 사츠키]][* 본편보다는 동인계 비중이 큰 편.] * '''킬러 그만할래!''' * [[킬미 베이비]][* 2차창작 지분이 있는 편. 애니 방영분 이후의 연재분에서는 본편에서도 단행본 오마케 등을 통해 어느 정도 노리는 듯한 묘사를 보여준다.] * [[킴 파서블]][* 2차 창작 한정으로 [[킴 파서블(킴 파서블)]]하고 쉬고가 백합으로 엮이는 짤하고 팬픽이 제일 많다. 멀리 갈 필요없이 [[구글]]이나 [[디비언트아트]]에 kigo라고 검색하면 만화와 짤이 많이 나온다. 킴 파서블 관련 유명 커플이다.] * [[크림 레몬]] 시리즈의 에스컬레이션 에피소드 * [[타마요미]] * [[타마코 마켓]] - [[토키와 미도리]] → [[키타시라카와 타마코]] * [[타원을 그리는 법]] * '''[[타치바나관 toLIE 앵글]]''' * '''탑모델은 매니저님의 칭찬이 필요해''' * [[터닝메카드]] - [[이소벨]]/[[젤로시아]][* 본편 46화이후부터] * [[테큐]] - [[반도 마리모]] * [[톱을 노려라!]] * [[톱을 노려라2!]] * '''투룸, G펜, 알람시계''' * [[파이 인 더 스카이]] * [[팝 팀 에픽]] - 포푸코 ↔ 피피미[* 개그만화라 잘 드러나지는 않는데 서로 좋아하는 관계다.] * [[평범한 여고생이 지역 아이돌을 해 보았다]] * [[폐교인형]] * 푸드코트에서, 내일 또 봐 * [[푸른 강철의 아르페지오]] - 휴가 * '''[[푸른 꽃]]''' - [[방랑소년]]의 작가 [[시무라 타카코]]의 백합 만화. 뛰어난 심리묘사로 유명하다. * [[프레임 암즈 걸]] - 마테리아 시로&쿠로, 스틸렛 * [[프리큐어 시리즈]][* 초반 [[빛의 전사 프리큐어]] ~ [[후레쉬 프리큐어!]]까지는 노멀 커플링이 있었지만 이후 시리즈는 백합 커플링이 더 많아졌다. 그 정점은 [[스위트 프리큐어♪]]와 [[심쿵! 프리큐어]], [[마법사 프리큐어!]], [[키라키라☆프리큐어 아라모드]], [[트로피컬 루즈! 프리큐어]]. 특히 키라키라☆ 프리큐어 아라모드에서는 여아물에서 '''아예 장르가 다르다 생각될 정도로 노골적'''으로 드러난다.] {{{#!folding [ 프리큐어 시리즈 목록 펼치기 • 접기] * [[빛의 전사 프리큐어]] - [[미스미 나기사]] ↔ [[유키시로 호노카]] * [[프리큐어 Splash Star]] - [[휴가 사키]] ↔ [[미쇼 마이]] * [[Yes! 프리큐어 5]] * [[카스가노 우라라]][* GoGo때부터 [[시럽(Yes! 프리큐어 5 GoGo!)|시럽]]과 엮이면서 빈도가 줄어들었다.] → [[유메하라 노조미]] * [[아키모토 코마치]][* 나중에 [[너츠(Yes! 프리큐어 5)|너츠]]와 이어지면서 노멀 커플링으로 간다.] → [[미나즈키 카렌]] ↔ [[미미노 쿠루미]]([[밀크(Yes! 프리큐어 5)|밀크]])[* 노멀 커플링이 많은 프리큐어들 중에서도 유일한 백합 커플로 무려 '''공식에서 대놓고 밀어준다'''. 코믹스 판에서는 GoGo때부터 밀크가 등장하기 때문에 둘 간의 커플링이 묘사되지 않았다.] * [[후레쉬 프리큐어!]] - [[모모조노 러브]] ↔ [[히가시 세츠나]] * [[하트캐치 프리큐어!]] - [[쿠루미 에리카]] ↔ [[하나사키 츠보미]] → [[묘도인 이츠키]] * [[스위트 프리큐어♪]] * [[호조 히비키]] ↔ [[미나미노 카나데]] * [[쿠로카와 에렌]] ↔ [[하미(스위트 프리큐어♪)|하미]] * [[스마일 프리큐어!]] * [[미도리카와 나오]] ↔ [[아오키 레이카]] * [[호시조라 미유키]] ↔ [[히노 아카네(스마일 프리큐어!)|히노 아카네]] * [[심쿵! 프리큐어]] * [[아이다 마나]] ↔ [[히시카와 릿카]], [[요츠바 아리스]], [[켄자키 마코토]], [[레지나(심쿵! 프리큐어)|레지나]] * [[켄자키 마코토]] ↔ [[마리 앙주]] * [[해피니스 프리큐어!]] * [[아이노 메구미]] ↔ [[시라유키 히메]] ↔ [[히카와 이오나]] ↔ [[히카와 마리아]] * [[Go! 프린세스 프리큐어]] - [[하루노 하루카]] ↔ [[카이도 미나미]], [[아마노가와 키라라]], [[아카기 토와]] * [[마법사 프리큐어!]] * [[아사히나 미라이]] ↔ [[이자요이 리코]][* 코믹스 판에서는 둘 간의 키스신이 있다.] * [[키라키라☆프리큐어 아라모드]] * [[아리스가와 히마리]], [[키라호시 시엘]] → [[우사미 이치카]] → '''[[켄조 아키라]][* 이치카 → 아키라는 츠보미 → 이츠키의 오마주로 보인다.] ↔ [[코토즈메 유카리]]''' * [[코토즈메 유카리]] → [[우사미 이치카]] * [[타테가미 아오이]] ↔ [[아리스가와 히마리]] * [[키라호시 시엘]] ↔ [[비브리]] * [[허긋토! 프리큐어]] * [[노노 하나]] ↔ [[야쿠시지 사아야]], [[카가야키 호마레]], [[루루 아무르]][* 호마레와 루루는 나중에 각각 해리, 에미루와 엮이면서 빈도가 줄어든다.] * [[아이사키 에미루]] ↔ [[루루 아무르]] * [[스타☆트윙클 프리큐어]] * [[호시나 히카루]] ↔ [[하고로모 라라]], [[유니(스타☆트윙클 프리큐어)|유니]] * [[아마미야 에레나]] ↔ [[카구야 마도카]] * [[힐링굿♡ 프리큐어]] - [[하나데라 노도카]] ↔ [[사와이즈미 치유]], [[히라미츠 히나타]], [[후우린 아스미]] * [[트로피컬 루즈! 프리큐어]] - [[나츠우미 마나츠]] ↔ [[로라(트로피컬 루즈! 프리큐어)|로라]] * [[펼쳐지는 스카이! 프리큐어]] - [[소라 하레와타루]] ↔ [[니지가오카 마시로]]}}} * [[프리티 시리즈]] {{{#!folding [ 프리티 시리즈 목록 펼치기 • 접기 ] * [[프리티 리듬 시리즈]] * [[프리티 리듬 오로라 드림]] * [[하루네 아이라]] ↔ [[아마미야 리즈무]] * [[크리스 카나메]] → [[하루네 아이라]] * [[프리티 리듬 디어 마이 퓨처]] - [[아게하 미아]] ↔ [[혜인(꿈의 보석 프리즘스톤)|혜인]] * [[프리티 리듬 레인보우 라이브]] * [[아야세 나루]] ↔ [[린네(꿈의 라이브 프리즘 스톤)|린네]] * [[후쿠하라 안]] ↔ [[모리조노 와카나]] * [[스즈노 이토]] ↔ [[타카나시 오토하]] * [[렌죠지 베루]] ↔ [[모리조노 와카나]], [[타카나시 오토하]], [[아야세 나루]] * [[프리파라]] * [[호조 소피]] ↔ [[마나카 라라]] ↔ [[미나미 미레이]] * [[토도 시온]] ↔ [[도로시 웨스트]] * [[토도 시온]] ↔ [[미나미 미레이]] * [[쿠로스 아로마]] ↔ [[시라타마 미캉]] * [[미도리카제 후와리]] → [[시쿄인 히비키]] ↔ [[파루루]] * [[아이돌 타임 프리파라]] * [[마나카 라라]] ↔ [[유메카와 유이]] * [[니지이로 니노]] → [[토도 시온]] * [[하나조노 슈카]] ↔ [[가라라]] * [[반짝이는 프리☆채널]] * [[모모야마 미라이]] ↔ [[모에기 에모]], [[니지노사키 다이아]] * [[아카기 안나]] ↔ [[미도리카와 사라]] * [[모모야마 미라이]] ↔ [[미도리카와 사라]] * [[모에기 에모]] ↔ [[아카기 안나]] * [[미도리카와 사라]] ↔ [[아오바 린카]] * [[카나모리 마리아]]↔ [[쿠로카와 스즈]] * [[카나모리 마리아]] ↔ [[시도 메루]] ↔ [[쿠로카와 스즈]] * [[아오바 린카]] ↔ [[다이아(반짝이는 프리☆채널)|다이아]] → [[시도 메루]] * [[키랏츄]] ↔ [[메루팡]]}}} * [[프린세스 프린서플]] - [[프린세스(프린세스 프린서플)|프린세스]] ↔ [[안제(프린세스 프린서플)|안제]] * [[플래그 타임]] * [[플랜터스의 정원]] * [[플립 플래퍼즈]] * [[핀과 제이크의 어드벤처 타임]][* 어드벤처 타임이 수출되는 국가 중 동성애가 불법인 나라가 있기 때문에 작중에서 직접적으로 묘사되진 않지만 제작진이 직접 작중 캐릭터인 [[마셀린]]과 [[버블검 공주]]의 공식 커플링을 사실상 인정했고 시즌9 마지막 에피소드에선 서로가 키스하면서 확인사살했다.] * '''[[하나와 히나는 방과후]]''' * [[하나야마타]] * [[하네배드!]] * [[하루카나 리시브]] * [[하야테x블레이드]] * [[학교 선생님]] * --[[학교생활!]]--[* 주인공 4인방 모두 각각 엮이기 좋은 구도를 보여준다. 다만 '''장르가 [[좀비 아포칼립스]]이니만큼''' 마리아님이 보고 계셔 같은 훈훈한 백합물 기대하고 시청하지는 말자.] * [[학원 앨리스]] [[이마이 호타루]] → [[사쿠라 미캉]] * [[학원 유토피아 마나비 스트레이트!]] * '''[[한 번 뿐이라도, 후회하고 있습니다]]''' * [[함대 컬렉션/애니메이션|함대 컬렉션]] * '''합격을 위한 쉬운 삼각관계 입문''' * '''[[합법 백합 부부]]''' * '''[[해피 슈가 라이프]]'''[* 귀여운 그림체의 [[얀데레/하드|하드 얀데레물]]] * [[행복 그래피티]] * '''[[행진 강아지에게 연서를]]''' * '''[[호시카와긴자4번지]]''' * [[홍각의 판도라]] * [[WHITE ALBUM/애니메이션|화이트 앨범 애니판]] - [[카와시마 하루카]]/[[미즈키 마나]][* 백색마약으로 유명한 미연시인 [[WHITE ALBUM|화이트 앨범]]의 애니화 버전인데, 원작게임의 이벤트를 가급적 묘사하려는 제작진의 욕심으로 [[사와쿠라 미사키]]의 이벤트 스토리 일부는 주인공이 아닌 주인공의 친구인 [[나나세 아키라(WHITE ALBUM)|나나세 아키라]]가 가져가 버렸고, 심지어 미즈키 마나의 이벤트 스토리의 일부는 [[보이시]] 속성이 있는 [[카와시마 하루카]]가 [[미즈키 마나]]와 얽히는 것으로 표현해버려서, 원작에도 없는 백합 설정이 형성되어 버렸다. ] * '''[[후루마푸라]]''' * '''[[흡혈귀 짱X후배 짱]]'''[* 매 화마다 스킨쉽이 있기 때문에 봐도 괜찮은 작품.] * [[럭 앤 로직|히나로지 ~from luck & logic~]] * [[히나코 노트]] * '''[[히노 양은 바보]]''' * [[히다마리 스케치]] * [[히마와리 씨]] * '''히어로 씨와 전직 여간부 씨''' * [[A채널]] - [[이치이 토오루]] → [[모모키 룬]] * [[Another]] - [[미사키 메이]] ↔ [[후지오카 미사키]][* 애니로는 OVA에서만 등장한다.] * [[AVENGER]] * '''[[BanG Dream!]] 기반 애니메이션 시리즈'''[* 뱅드림, 통칭 방도리. 기본적으로 밴드물 아이돌물이지만, 애니메이션에서도 원작 게임에서도 캐릭터 간의 관계성 위주로 스토리 전개를 해나가며, 팬들의 방대한 동인쪽 2차 창작으로 인해 러브라이브와 함께 백합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 * [[BLACK★★ROCK SHOOTER DAWN FALL]] * [[CANAAN]] * [[CIEL]] - [[이비엔 마그놀리아]]/[[라리에트 킹 다이아몬드]] * '''[[citrus]]'''[* 처음부터 매우 예쁜 그림체와 충격적인 전개로 인기를 끌었는데, 뉴욕 타임즈에 2주 연속으로 베스트셀러 TOP 10위권 안에 들어가는데 성공했으며, 3권이 발매된 후에 또다시 2주 연속으로 베스트셀러 랭킹 TOP 10위권 안에 다시 한 번 들어가는 데 성공했다. 본국인 일본에서의 인기는 말이 필요없을 정도의 히트작으로 아직도 이름을 떨치는 중이며, 해외에서도 인기가 많은 작품이다. 그 인기에 힘입어 애니메이션화되었다. 자세한것은 항목 참조.] * '''[[citrus+]]''' * [[D4DJ]] 애니메이션 시리즈 * [[Fate/kaleid liner 프리즈마☆이리야]][* 초등학생 캐릭터들의 성적인 장면으로 아동 포르노로 알려지기까지 했다... 심지어 [[호주]]에선 이 애니를 보다 경찰에 잡혀갔다.] * [[G-taste]] * '''[[MADLAX]]'''[* 주인공 [[매드랙스]]가 남녀 가리지 않고 엮이긴 하지만 남자복이 없는 탓인지 그녀 주위의 남캐들은 무조건 사망하고, 여캐들만 남아버린 탓에 볼드체로 표기하였다.] * '''[[MANGASICK/Still Sick]]''' * [[Myself; Yourself]] - 호시노 아사미 → 와카츠키 슈리 * [[NEW GAME!]] - [[야가미 코우]]/[[토오야마 린]][* 작가 공인. 이외에도 간간히 백합스러운 장면이 등장.] * [[NOIR(애니메이션)|NOIR]] * '''[[poor poor lips]]''' * '''[[Prism]]''' * [[PSYCHO-PASS]] - [[쿠니즈카 야요이]] ↔ [[카라노모리 시온]] * [[RPG 부동산]] * [[selector infected WIXOSS]], selector spread WIXOSS[* infected 편에는 백합 요소가 없으나 spread 편에선 [[아오이 아키라|아키라]] → 우리스로 백합 요소를 보여준다. 본인 입으로는 우리스 덕분에 아키라키★에서 아키라블리♥가 돼버렸다고 또한 주인공인 루우코에게 집착하는 이오나 역시 마찬가지이며 히토에와 유즈키도 커플링이 존재한다.] * [[SHOW BY ROCK!!]] * [[SSSS.GRIDMAN]][* 후반부로 갈수록 [[타카라다 릿카]]와 [[신죠 아카네]]의 관계가 강조되더니, 결말부에서는 원작 오마주가 더욱 강해지며 상대적으로 소홀해지는 플롯의 반작용으로 둘의 관계가 더더욱 조명되는 것으로 끝나게 된다. 물론 작중에서는 우정이라고도 할 수 있지만 이 정도만 해도 2차 창작에서는 충분히 백합으로 파생되고 있다.] * '''Still Sick''' * [[Lostorage incited WIXOSS]], [[Lostorage conflated WIXOSS]] * '''[[SQ 너의 이름으로부터의 시작]]'''[* [[중국]] 작품으로 작가는 탄지우. 현재 네이버 블로그에 번역되어 있으며, 블로그 주인장이 작가에게 직접 메일을 보내 비영리적, 비상업적으로는 번역해도 된다는 허락을 받았다.] * [[UG☆얼티메이트 걸]] - [[코하루노 실크]] ↔ [[오오토리 비비안]] * [[Vivy -Fluorite Eye’s Song-]] - [[비비(Vivy -Fluorite Eye’s Song-)|비비]] x [[에스텔라]], 모모카가 인기가 많다. * '''[[What Does the Fox Say?(웹툰)|What Does the Fox Say?]]'''[* [[Ylvis]]의 노래 [[The Fox]]와는 별 관계 없다. 기존 무료연재 플랫폼에서는 나올 수 없었던 수위묘사 및 미려한 그림체로 레진코믹스 최상위권까지 올라가며 국내 백합웹툰의 파이를 키운 작품. 특히 BL위주로 순위가 매겨지는 여성향 성인물에서 백합으로 최상위 순위권에 올라간 거의 유일한 작품이다.] * '''[[1×1/2]]'''[* 2015년부터 [[픽시브]] 웹연재 후 동인지 출판으로 부정기 연재되고 있는 만화. 동인이라서 그런지 캔디 보이보다 한술 더 뜨는 [[근친물]]이기도 한데, 메인 커플이 '''친엄마와 친딸'''이다.] * [[2년 4월]][* 레진코믹스 연재작. 백합 태그를 달아놓고 히토미의 yuri 태그에서나 나올법한 FFM 3P라던지, 1화부터 계속되는 남녀 관계 묘사라던지 하는 낚시로 백합러들의 어그로를 잔뜩 끌었다. 날조트랩처럼 전개에 필요한 남자 난입이 아니고 그냥 뽕빨물용으로 소모된다는게 문제. 다행히 나중에는 진심으로 여주인공끼리 사랑에 빠져서, 작품 자체는 백합이 맞다.] * [[2.5차원의 유혹]][* 작품 자체는 노멀 뽕빨물이나, 연재분 69화 기준으로 하뉴 마유리라는 캐릭터가 주인공에게 사랑에 관한 조언을 해주는 과정에서 여성인 친구에게 고백을 받고 그녀를 신경쓰게 되었다는 과거가 드러난다.] * [[토이즈박스]] [[http://wikiwiki.jp/lilylibrary/|여기]]에서 보면 알겠지만 일본에서 백합 만화는 그 양이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방대하다. 위 리스트도 [[오리지널 애니메이션]]보다는 만화 원작이 더 많다. 농담 좀 섞어서 말하자면 [[라이트 노벨|라노벨]]에서 [[하렘물]] 장르가 인기를 끄는 만큼, 혹은 그 이상으로 만화에서 백합은 취급이 꽤 좋다. 애초에 백합 장르의 계보는 소녀만화/소녀소설이니 당연한 말이다. 만화에서 백합 취급이 좋은 게 아니라 '원래' 일본에서 백합은 코믹스가 가장 많이 나왔다. 이제는 유리히메 코믹스 레이블 말고도 다양한 출판사에서 백합 만화를 발매하고 있다. 애니메이션도 럭키스타같은 [[미소녀 동물원]]물[* 보통 러브라이브처럼 남자가 거의 보이지 않는 세계관이거나 등장해도 큰 비중없는 모브캐에 불과한 경우가 많다. 혹은 나노하 시리즈같이 진짜 사귀는 사이도 아닌데 거의 유사부부관계거나 마마마처럼 아예 우정을 넘은 사랑이나 진백합으로 쳐도 무방한 작품까지 그 폭이 넓다.]까지 폭넓게 백합으로 친다면, BL과 비교할 수 없이 수면 위 양지에서는 굉장한 메이저라고 볼 수도 있겠다. 미소녀 동물원물 중에 일본 애니메이션 산업 전체로 놓고 봐도 대히트한 작품이 꽤나 많기 때문이다. [[교토 애니메이션]]만 해도 미소녀 동물원에 기초한 백합 영업이 잘 먹힌다고 생각하는지 자주 이용해 먹는다. 물론 음지쪽인 2차창작 동인계에선 BL에 머릿수가 밀린다. 다만 한국에서 상황은 좀 암전인데, 해외에서 노말조차 능가할 때가 있는 팬덤화력이나, 일본의 양지에서 우위를 점하는 상황과는 다르게 모든 면에서 BL에 압도적으로 밀린다. 한국에 정발되는 일본 만화는 그리 많지 않고, 한국에서 백합이라는 장르가 마이너하다 보니 아쉽게도 한글판으로 접할 수 있는 백합 만화는 매우 드물다. 일본어를 어느 정도 알고 있다면 인터넷 서점에서 원서를 쉽게 구매하여 읽을 수 있기는 하다. 그래도 출판만화가 아닌 [[웹툰]] 쪽에서는 2015년부터 [[레진코믹스]]를 선봉으로 해 대량으로 백합 창작물들이 나오고 시작했고, 충성도 높은 팬층이 있는 영역이니만큼 BL만큼 웹툰에서 메이저하진 않아도 각 플랫폼([[코미코]], [[피너툰]], [[폭스툰]] 등)에서도 두세 개씩은 백합물이 있는 등 상황이 나아진 편. 여전히 [[네이버 시리즈]]나 [[카카오페이지]] 등에서는 GL 분류조차 없어서 BL로 분류되는 참사가 일어나고 있지만. == 공식 백합 애니메이션 == * [[그 꽃잎에 입맞춤을]] * [[나의 백합은 일입니다!/애니메이션]] * [[날조 트랩 -NTR-#애니메이션]] * [[내 최애는 악역 영애./애니메이션]] * [[마리아님이 보고 계셔/애니메이션]] * [[발키리 드라이브 머메이드]] * [[사쿠라 트릭#애니메이션]] * [[소녀섹트]] * [[소녀혁명 우테나]] * [[속삭이듯 사랑을 노래하다/애니메이션]] * [[신무월의 무녀]] * [[아다치와 시마무라/애니메이션]] * [[악마의 리들/애니메이션]] * [[어설트 릴리 BOUQUET]] * [[어설트 릴리 후르츠]] * [[유리쿠마 아라시]] * [[이누가미 양과 네코야마 양#애니메이션]] * [[이오노 더 퍼내틱스]] * [[이윽고 네가 된다/애니메이션]] * [[전생 왕녀와 천재 영애의 마법 혁명/애니메이션]] * [[카세상 시리즈#애니메이션]] * [[캔디 보이]] * [[플래그 타임]] * [[별무리 텔레패스/애니메이션]] * [[citrus/애니메이션]] * [[sin 일곱 개의 대죄]]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백합(장르)/작품, version=6, paragraph=2)] [[분류:백합(장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