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고사성어]] [목차] ||<-4><:> '''[[고사성어|{{{#white 고사성어}}}]]''' || || {{{+5 '''[[百]]'''}}} || {{{+5 '''[[害]]'''}}} || {{{+5 '''[[無]]'''}}} || {{{+5 '''[[益]]'''}}} || || 일백 백[* 훈음은 모든, 여러 백] || 해로울 해 || 없을 무 || 더할 익[* 훈음은 불리다. 더함 익이다.] || 일본어: 百害(ひゃくがい)あって一利なし 중국어: 百害無一利(yǒu bǎi hài ér wú yī lì) == 겉뜻 == 모든 것이 해롭고 더한 것은 없다. == 속뜻 == 온통 해롭기만 하고 하나도 이로울 것이 없음. == 출전 == ||塗漆人臟腑(도칠인페부)(생략)百害無一利(백해무일리) 此言毋忘哉(차언무망재) 폐 속 온통 새까매지고 (생략) 정말 백가지만 해하고 이익은 쓸 데 없다. 그 말 진정 망령스런 말이 아니네"|| 허훈(許薰, 1836 ~ 1907)의 방산선생문집(舫山先生文集)중에서 금남초(禁南草)[* 근거: [[https://bgu54.tistory.com/5006]]] == 유의어 == 백해무일리(百害無一利), 유해무익(有害無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