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언데드족]]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뱀파이어(유희왕))]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 설명 ==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336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뱀파이어 로드, 일어판명칭=ヴァンパイア・ロード, 영어판명칭=Vampire Lord, 레벨=5, 속성=어둠, 종족=언데드족, 공격력=2000, 수비력=1500, 효과1=이 카드가 상대 플레이어에게 전투 데미지를 줄 때마다\, 카드의 종류(몬스터\, 마법\, 함정)을 선언한다. 상대는 덱에서 그 종류의 카드 1장을 선택하고 묘지로 보낸다. 또한\, 이 카드가 상대의 카드의 효과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다음 자신의 스텐바이 페이즈에 필드 위에 특수 소환된다.,)] 전투 데미지를 주었을 때에 카드의 종류를 선언해 일치하는 카드를 상대 덱에서 묘지로 보내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 상대의 카드 효과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자체적으로 부활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를 가진 상급 효과 몬스터. 언데드 중에서 상당히 악명을 떨친 몬스터로, 소환과 소생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언데드 덱의 주력 카드인 [[피라미드 터틀]]로 불러 오거나 [[생자의 서 금단의 주술]]로 살릴 수 있다. 1번 효과는 [[덱 파괴|상대의 덱의 주요 카드를 말살시키는]] 효과로, 과거에는 상대의 흐름을 끊어주는 좋은 효과로서 주목받았지만, 현재는 묘지로 상대의 카드를 보내는 행위 자체가 기피받고 있기 때문에 지금 와서는 오히려 디메리트 효과에 가깝다. 2번 효과는 이 카드가 악명을 떨치게 된 원인. 상대의 카드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 자체 효과로 코스트 없이 다시 특소가 되기 때문에 파워 인플레이가 심하지 않고 전개력도 좋지 않던 과거에는 상대하기 참 귀찮았다. 2000의 공격력이 상급치고 낮긴 하지만 그래도 하급을 처리할 정도는 되기 때문에 일단 상대가 필드를 장악해 버리면 하급이 전투로 이기기는 어렵고 상급은 릴리스할 제물이 마땅치 않고 그래서 어쩔 수 없이 효과로 파괴하면 다음 턴에 부활해서 괴롭히는지라... 묘지에서 특수 소환되었을 때 1장 드로우하는 [[생환의 패]]와의 궁합은 가히 환상적이었으나 생환의 패는 [[유희왕/OCG 금지제한|지옥]]에 가버렸다. 똑같이 효과 파괴 시 부활하는 효과를 갖고 있는 [[네프티스의 봉황신]]과의 합작 덱인 '[[네프로드]] 덱'이 한때 유명세를 타기도 했다. 또한 상대의 죽음의 [[덱 파괴 바이러스]]마저도 바보로 만들 수 있다. 다만 이 효과는 전투로 파괴됐을 때에는 발동 불가인 데다가. 레벨 5인 점인데도 불구하고 공격력이 2000밖에 안되기 때문에 주의.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만 부활하기 때문에 제거나 바운스에도 무력한 편. 과거에는 언데드 덱에서 [[용골귀]]와 함께 주력 상급 몬스터로 사용되는 강력한 몬스터였으나 거듭된 [[파워 인플레]]로 묻혀버렸다. 뱀파이어 로드 사장의 최대 원흉은 [[사이버 드래곤]]. 피라미드 터틀을 희생해서 뽑은 녀석이 공격력 2000인데 이쪽은 필드가 비어있기만 하면 2100의 공격력으로 특수 소환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날 수록 [[싱크로 소환]]과 [[엑시즈 소환]]으로 대표되는 빠른 필드 장악과 폭력적인 화력에 대응하기에는 이 놈의 스탯이 너무 떨어진다. 1번 효과는 한때 상대의 콤보를 구성하는 키 카드를 묘지로 보내 덱 순환을 끊는 목적으로 애용되었지만, 몬스터는 물론 마법과 함정 중에서도 묘지에서 제외하고 그 효과를 발동할 수 있는 카드가 늘어났고, 아예 플레이어 자기 손으로 마함을 묘지에 묻어버리는 [[어리석은 부장]]까지 채용을 검토되는 현 메타에서는 자승자박에 가깝다. 물론 타점이 2000인 이 카드가 상대에게 유효타를 날리는 것도 어지간해선 쉽지 않음은 말할 것도 없다. 유희왕 게임에서 상대가 언데드 덱일때 이 카드의 소유권을 얻어 플레이어에게 데미지를 주게 되었을 때에는 몬스터 카드를 선택하지 않는 것이 좋다. 엑시즈, 싱크로가 판치는 요즘 듀얼이라면 몰라도 이전의 덱들이 주로 다루어지는 게임에선 높은 확률로 [[어둠에서 나온 절망]]이 튀어나온다. 그 외에 묘지에서 활용 가능한 몬스터를 보내든가, 아예 고레벨 몬스터 카드를 보내버린 후 특수 소환을 노릴 수도 있어 몬스터 카드는 선택하지 않는 편이 낫다. 자매품으로 '[[커스 오브 뱀파이어]]'가 존재하며, 진화 버전으로는 [[뱀파이어 제네시스]]가 존재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노아 편|노아 편]]에서는 [[카이바 세토]]가 [[카이바 노아]]와의 듀얼 중 사용. 공격명은 '암흑의 사도'로, 망토를 펼쳐 안에서 박쥐 떼를 내보내는 것으로 연출되었다. 특수 소환 효과는 '불사' 능력, 덱에서 카드를 묘지로 보내는 효과는 '흡혈' 능력이라고 불렀다. 특수 능력을 노리고 덱에 넣은 듯 했지만 상술한 효과들은 듀얼 중 딱 한 번씩 밖에 사용되지 못했고, 이후 노아의 [[덱 마스터]]인 [[기적의 방주]]의 효과가 발동하면서 묘지로 가지 않고 방주에 들어가 듀얼 내내 노아의 벽 몬스터 신세가 되더니 끝내 방주 안의 다른 몬스터들과 함께 제외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세븐 스타즈 편|세븐 스타즈 편]]에서는 [[세븐 스타즈]]의 일원인 [[카뮬라]]가 사용. 그녀가 참여한 모든 듀얼에서 사용되었으나, 전부 소환 직후 [[뱀파이어 제네시스]]의 소환 코스트로서만 사용되었기에 활약하는 모습은 딱히 보이지 않았다. 그 후 [[유희왕 GX/이차원세계 편|이차원세계 편]]에서는 [[패왕(유희왕 GX)|패왕]]의 군세 중 하나로 등장하기도 했다. [[혼돈의 교차]]에서 나온 장착 마법 [[장미의 각인]]의 일러스트에도 등장. 일러스트가 상당한 [[미소년]]이기 때문에, ''''미소년 덱''''에서도 가끔 모습을 볼 수 있다. 일러스트가 뱀파이어 로드가 [[데빌 메이 크라이 3]] [[단테(데빌 메이 크라이)]]와 비슷한 느낌이 나는데, [[커스 오브 뱀파이어]]는 [[버질(데빌 메이 크라이)]]과 비슷한 느낌이 난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 [[카이바(유희왕 듀얼링크스)|카이바]]로 이 카드를 소환하면 전용 3D 애니메이션이 나온다. 링크스 내에서 채용률이 0을 달리는데, 그 이유는 반드시 전투 데미지를 주어야 효과가 발동하기 때문이다. 부활 내성은 없지만, 효과 사용이 용이한 [[뱀파이어(유희왕)#뱀파이어 그레이스|뱀파이어 그레이스]]쪽이 더 선호된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02-01-2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KA-02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海馬編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3-01-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L4-129 | DUELIST LEGACY Volume 4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UR)] || ||<(> 2004-12-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2-JP003 | [[언데드의 위협|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アンデットの脅威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12-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E2-JP116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1-08-1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E02-JP090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2 [ 2011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3-12-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CR-000 | '''[[암흑의 위협|DARK CRISI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05-01-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2-EN003 | [[언데드의 위협|STRUCTURE DECK ZOMBIE MADNES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5-07-2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B2-EN116 | [[비기너즈 팩|DARK BEGINNING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7-12-1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CR-EN000 | [[암흑의 위협|DARK CRISIS (Reprin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10-04-2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PKB-EN013 | [[듀얼리스트 팩|DUELIST PACK - KAIBA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2-05-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BP01-EN127 | BATTLE PACK EPIC DAW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T)] || ||<(> 2013-10-1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CJW-EN191 | LEGENDARY COLLECTION 4 JOEY'S WORLD MEGA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6-10-2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KS-EN012 | [[스트럭처 덱 무토우 유우기 & 카이바 세토|STRUCTURE DECK : SETO KAIBA]]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8-03-0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CKC-EN024 | LEGENDARY COLLECTION KAIBA MEGA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9-08-0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BSC-EN007 | SPEED DUEL: SCARS OF BATTL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3-03-3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GX3-ENC05 | SPEED DUEL GX: DUELISTS OF SHADOW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5-05-0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CR-KR000 | '''[[암흑의 위협]]'''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05-12-1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2-KR003 | [[언데드의 위협|스트럭처 덱 - 언데드의 위협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09-2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BP2-KR116 | [[비기너즈 팩|비기너즈 팩 Vol.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8-12-0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ESP3-KR009 | [[익스팬션 팩|익스팬션 팩 Vol.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R)]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VampireLord-GB8-JP-VG.png]] ||<#F8B848> {{{#000 한글판 명칭}}} ||<-4>'''뱀파이어 로드''' (비공식 번역명)|| ||<#F8B848> {{{#000 일어판 명칭}}} ||<-4>'''ヴァンパイア・ロード'''|| ||<#F8B848> {{{#000 영어판 명칭}}} ||<-4>'''Vampire Lord'''|| ||<-5><#F8B848> {{{#000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악마마족 || 언데드족 || 2000 || 1500 || ||<-5>자신 턴 시작시 자신 묘지에 있을 때, 자신 필드에 빈 칸이 있다면 부활하는 효과.||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에서 등장. 묘지의 맨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가 이 카드일 경우, 자신 턴 개시시에 자체 부활하는 효과가 있었다. 어떤 방법으로 묘지로 보내져도 상관 없지만 다른 몬스터가 묘지로 보내지는 순간 효과를 못 쓰게 되니 약한 편. == 관련 카드 == === [[뱀파이어 제네시스]] === === [[뱀파이어 레이디]] === === [[뱀파이어(유희왕)#뱀파이어 그레이스|뱀파이어 그레이스]]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뱀파이어 로드, version=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