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영국 전함, rd1=뱅가드(전함))] [include(틀:현대전/영국 함선)] ||
[[파일:뱅가드급.jpg|width=100%]] || || [[파일:vanguard-class.jpg|width=100%]] || || {{{#white '''''Vanguard''-class submarine'''}}} || [목차] == 개요 == 뱅가드급 전략원잠은 [[미국]]제 폴라리스 A3 [[SLBM]]을 탑재한 레졸루션급의 후계형으로 1980년부터 계획이 진행되었다. [[SLBM]]은 처음에 [[트라이던트#s-2|트라이던트 Ⅰ]]을 도입할 예정이었지만, 미국에서 개량형 [[트라이던트#s-2|트라이던트 Ⅱ]]가 실용화되었기 때문에 계획이 변경되었다. 1번함 뱅가드는 1993년에 진수 및 운용을 개시했고, 곧이어 1994년에 [[미사일]] 발사 실험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1995년부터 전략초계에 투입되었다. == 제원 == ||||||||<:> '''{{{+1 {{{#FFFFFF 뱅가드급 잠수함}}} }}} [br] {{{#FFFFFF ''Vanguard''-class submarine}}}''' || ||||<:> '''이전급''' ||<:> [[레졸루션급 잠수함|레졸루션급]] || ||||<:> '''다음급''' ||<:> [[드레드노트급 잠수함|드레드노트급]] || ||||<:> '''건조 업체''' ||<:> [[비커스(기업)|비커스]] || ||||<:> '''건조 기간''' ||<:> 1986 ~ 1998년 || ||||<:> '''운용 기간''' ||<:> 1993년 ~ 현재 || ||||<:> '''건조''' ||<:> 4척 || ||||<:> '''전장''' ||<:> 149.9 m || ||||<:> '''전폭''' ||<:> 12.8 m || ||||<:> '''흘수''' ||<:> 12 m || ||||<:> '''수중배수량''' ||<:> 15,900 t || ||<|3> '''동력''' ||<:> '''방식''' ||<-2><:> [[원자력]] || ||<:> '''기관''' ||<-2><:> [[롤스로이스 plc|롤스로이스]] PWR2 가압수형 원자로 × 1기 [br] [[제너럴 일렉트릭]] 터빈 × 2기[* 27,500 shp (20.5 MW)] [br] [[앨런|알런]] 터보 발전기 × 2기[* 6 MW] [br] 팍스만 디젤 발전기 × 2기[* 2,700 shp (2 MW)] || ||<:> '''추진''' ||<-2><:> 펌프제트 1축 [[프로펠러]] 추진 || ||||<:> '''최고 속력''' ||<:> 25노트 (약 46.3km/h) 이상 || ||||<:> '''승조원''' ||<:> 135명 || ||<|3> '''소나''' ||<:> '''체계''' ||<:> Thales Type 2054 || ||<:> '''예인식''' ||<:> Type 2046 || ||<:> '''함수 탑재''' ||<:> Type 2043 || ||||<:> '''레이더''' ||<:> 항법용 I-밴드식 Type 1007 || ||||<:> '''지휘체계''' ||<:> [[BAE 시스템스]] SMCS || ||||<:> '''잠망경''' ||<:> CK51 [br] CH91 || ||<|2> '''무장''' ||<:> '''[[SLBM]]''' ||<:> [[UGM-133 트라이던트 II|트라이던트 II D5]] × 16발 || ||<:> '''어뢰''' ||<:> 533mm 발사관 × 4문 [br] [[스피어피쉬|스피어피쉬 중어뢰]] || == 상세 == 뱅가드급은 동일한 [[SLBM]]을 탑재하는 [[오하이오급]]과 같은 12.8m의 내압 선체를 가지고 있으나 , 16발만을 탑재하므로 전체 크기는 24발을 싣고 다니는 오하이오급에 비해 작다. 잠항타는 함수에 설치되었으며, 전체적 형태는 영국 [[잠수함]]의 고유한 형태인 고래형 선체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외부에 음향흡수타일을 장착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높은 정숙성을 보유하고 있다. [[원자로]]는 [[아스튜트급]]을 위하여 [[롤스로이스]]사가 독자 개발한 PWR2 1기와 GEC사의 스팀터빈 2기를 구성되고, 보조용으로 2기의 추진모터를 탑재한다. 추진기는 [[트라팔가급]] 공격원잠에서 성능이 실증된 펌프제트를 사용한다. 사정거리 12,000km의 트라이던트 Ⅱ는 미국에서 도입했으며 [[오하이오급]]과 동일한 미사일이지만, 탄두는 자국제로 100kt 6발을 장착한 [[MIRV]]형이다.[* 영국제라고는 하지만 미국의 탄두 설계를 그대로 가져와 만들었기 때문에 미제랑 큰 차이는 없다. 이렇게 번거로운 일을 한 굳이 이유는 탄두 내의 --미국이 마음먹어야 풀리는-- 안전장치를 교체하여 영국이 자유롭게 --터뜨리고 싶은 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또한 함수에는 533mm 어뢰발사관 4문을 보유하고, 고성능 스피어피쉬 [[어뢰]]를 운용하여 충분한 자위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뱅가드급 전략원잠의 금고에는 영국 총리의 친필이 담긴 편지가 보관되어 있는데, 이것은 본토의 사령부와 2주 이상 연락이 두절되거나, 국가 기간 방송 [[BBC Radio 4]]가 갑자기 중단될 시, 이는 영국이 핵공격을 당해 총리의 사망, 또는 사령부의 궤멸로 판단, 이때 함장 이하의 장교들이 함내에 있는 2개의 금고를 열어, [[파멸의 날 기계|그곳에 보관된 총리의 친필 편지에 쓰인 지시를 이행하는 형식이다.]] 이전 총리들의 지시 중 현재까지 알려진 옵션은 총리가 지정한 목표에 핵탄두를 장착한 [[SLBM]]을 발사하는 작전, 영국 본토에서 핵미사일을 발사하는 작전, [[미국]]의 도움을 받는 옵션, 그리고 보복하지 않는 옵션 등이 있다. 뱅가드급 전략원잠은 1999년 4번함을 마지막으로 4척 모두가 취역하였고, 승무원을 두 팀으로 편성하여 항상 1척 이상이 전략초계에 운용되고 있다.[* 잠수함 승무원들의 고충이야 잘 아실테고....특히 전략원잠의 임무는 고달프고 '''끔찍하게 심심하다'''. 미국의 [[로스앤젤레스급]] 원잠도 승무원들 두 팀으로 편성해서 2교대 체제로 굴리고 있다.] 21세기 초 현재, 뱅가드급은 지상/공중 배치 [[핵무기]]를 모두 퇴역시킨 영국의 유일한 핵억지력으로 활동하고 있다. == 동형함 목록 == || '''함번''' || '''함명''' || '''기공''' || '''진수''' || '''취역''' || '''퇴역''' || || S28 || [[뱅가드]] (Vanguard) || 1986년 9월 3일 || 1992년 3월 4일 || 1993년 8월 14일 || || || S29 || [[빅토리어스]] (Victorious) || 1987년 12월 3일 || 1993년 9월 29일 || 1995년 1월 7일 || || || S30 || [[비질런트]] (Vigilant) || 1991년 2월 16일 || 1995년 10월 14일 || 1996년 11월 2일 || || || S31 || [[벤전스]] (Vengeance) || 1993년 2월 1일 || 1998년 9월 19일 || 1999년 11월 27일 || || == 기타 == [[김종대(1966)|김종대]]는 [[http://www.jabo.co.kr/sub_read.html?uid=34414|1996년 한국 서해안에서 뱅가드급이 좌초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물론 진지하게 받아들이기는 어렵다. 뱅가드급은 1996년에는 세 번째 함이 진수식을 가진 상태로, 몇 척 없는 금쪽보다 귀한 전략원잠을 너무나도 멀리 떨어진데다 상대적으로 군사적 가치가 떨어지는데다 얕기까지 한 서해에 굳이 내보낼 이유가 없다. 더군다나 김종대는 주장의 근거를 전혀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그냥 [[카더라|자기가 다른 곳에서 그 얘기를 들었고 남아있는 기록은 없다]]는 말 뿐이다. 심지어 그렇게 대형사고를 쳤다는 영국에서는 그 비슷한 얘기 하나도 나온 적이 없다. 2009년 2월 초순에 뱅가드가 [[프랑스]]의 전략 원자력 잠수함인 [[르 트리옹팡급 잠수함|르 트리옹팡]]과 실제로 충돌하는 사고가 일어났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2505624|관련기사]] == 대체 사업 == 2030년대에 수명이 다해 퇴역할 예정이기 때문에 대체 사업이 진행중이다. 기존에는 석세서 프로그램이라 불렸으나, 2016년 10월 21일에 공식적으로 "'''드레드노트급 잠수함'''"이라는 이름을 받았다. 자세한 내용은 [[드레드노트급 잠수함]] 문서를 참조. == 관련 문서 == * [[해군력]] * [[해군력/잠수함]] * [[스코틀랜드 분리독립 투표]] - 2014년 9월 치러지는 이 투표의 결과에 따라 뱅가드급은 홈리스 신세가 될 수 있다. 뱅가드급의 기지가 '''스코틀랜드'''에 있는데 스코틀랜드 독립파에서는 독립이 결정되면 비핵화를 추진할 전망인데, 영국이 잉글랜드에 새로 지어야 하는 뱅가드급을 수용할만한 해군기지의 건설은 못해도 20년이 걸린다. 다행히 투표로 분리독립이 부결되고 이후 들어선 보리스 존슨 내각도 2차 분리독립 투표는 허용할 수 없다는 태도라 지금은 잠잠해진 상태. [각주] [[분류:원자력 잠수함]][[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1993년 출시]][[분류:영국군/군함]][[분류:비커스(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