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museum.dgb.co.kr/upload/museum/board/board_16/295.jpg]] [목차] == 개요 == 6개 [[지방은행]]에서 공동으로 발행하는 입출금 통장. [[종합통장]]으로서 예금, 적금, 대출까지 통장 하나로 거래할 수 있다.[* 입출금 예금과 대출은 1-6페이지 거래명세부분을 이용하여 거래를 하고, 정기예금과 정기적금은 후면의 '''연결계좌 거래명세'''부분을 이용하여 거래한다. 다만 자유적금은 연결 불가. 입금 금액을 기록하는 게 아니라 입금 회수를 기록하는 방식이기 때문.] 원래 [[지방은행]]은 해당 지역에만 지점이 몰려 있고, 그 지역을 벗어나는 순간 눈씻고 찾아봐도 찾을 수가 없게 되는 특성 상, 일반은행과의 경쟁에 매우 불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이에 당시 10개 [[지방은행]]은 공동으로 입출금 시스템을 갖추고, 특정 상품을 이용하면 제휴은행 통장이라도 자행거래 취급을 해 주는 뱅크라인통장을 만들었다. 하지만 이 상품이 나온 게 [[1997년 외환 위기]] 직전이며, 이 사건의 여파로 많은 [[지방은행]]이 사라져 버렸기 때문에 현재는 [[서울특별시|서울]][* 지방은행이라도 [[서울특별시]] 곳곳에 지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 그런데 일부 [[지방은행]]은 [[서울특별시]]에 있는 지점들의 점외에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이 없을 수 있으므로 다른 지방은행 지점에서 현금 뽑으려면 반드시 필요하다.]과 [[경기도]] 일부 지역(안양,수원, 고양, 용인, 성남, 부천, 안산, 화성)[* 다만 수도권에 있는 지방은행 지점에는 점외 ATM이 없는 경우가 많다.], [[인천광역시|인천]], [[대전광역시|대전]], [[세종특별자치시|세종]], [[대구광역시|대구]], [[부산광역시|부산]], [[광주광역시|광주]], [[경상남도|경남]], [[제주특별자치도|제주]] 등 지방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상품이 되었다. 그래도 2013년부터 [[전북은행]]이 [[우정사업본부]]와 제휴를 맺어서, [[전북은행]] 발행 뱅크라인통장은 전국 [[우정사업본부|우체국]]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에서 수수료가 면제된다. [[롯데그룹]]이 약간의 주식을 갖고 있는 [[BNK부산은행]]은 [[롯데ATM]]을 운영하는 롯데피에스넷과 협약을 맺어 전국 [[세븐일레븐/한국|세븐일레븐]]이나 [[롯데마트]] 등에 있는 [[롯데ATM]]을 이용하면 수수료가 면제되며, [[제주은행]]은 [[신한은행]]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을 통해 전국 [[신한은행]]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에서 수수료가 면제된다. 물론 전부 다 영업시간 내에만 면제된다. [[대전복합터미널]]에는 [[전북은행]] 제휴 [[롯데ATM]]이 있다. 사실 한때 전국 은행이었던 [[평화은행]][* 지점망이 [[시망]]이었다. 심지어 [[서울특별시]] 관내의 지점 수조차 기껏해야 [[한미은행]] 정도만 경쟁이 가능했을 정도니.]이 2000년부터 [[우리은행]]에 넘어갈 때까지 뱅크라인에 가맹한 적이 있다. 사실 [[평화은행]]의 지점망이 취약한 건 사실이었지만 뱅크라인에 가맹하면 일단 [[지방은행]]의 근거지에서는 확실한 거래망을 확보할 수 있었고, [[서울특별시]]에도 중심가에 [[지방은행]]이 여러 군데 있으니 없는 것보다는 나았으며, 특히 [[평화은행]]이 [[우정사업본부|우체국]]과 제휴를 맺어서 [[우체국]] 창구에서 입출금 서비스가 가능했다. 즉, [[평화은행]]의 뱅크라인 통장이야말로 진정한 전국 은행 네트워크 역할에 충실했던 셈. 여담으로 [[평화은행]]이 뱅크라인에 가맹했던 기간에는 '''7개 은행 공동 네트워크'''라고 홍보했었다. 평화은행이 [[지방은행]]은 아니다 보니 [[지방은행]] 공동 네트워크라는 표현은 뭔가 맞지도 않았을 테고, 아무래도 저렇게 홍보하는 편이 뱅크라인 고객을 더 유치하는 데 도움이 되었을 테니..... 실제로 [[평화은행]]이 뱅크라인에 가맹하자 각 [[지방은행]]들이 꽤나 환영했다. 보통 [[지방은행]]의 금리는 전국단위 은행에 비해서 높은 편이므로, 예금이나 적금을 들 생각이 있다면 검토해 보는 것도 좋다. == 특징 == 통장 거래시에는 무조건 도장+신분증 지참. 서명으로는 개설할 수 없다. 서명거래시 직원의 신분증 확인이 필요한데, 뱅크라인 시스템에서는 주민번호나 외국인등록번호가 뜨지 않아서 그렇다고 한다. 따라서 일반 통장을 뱅크라인통장으로 전환하더라도 '''무조건 도장을 들고 와야 한다.''' 뱅크라인통장 전환 수수료는 없다. 하지만 급여통장 등 타 상품 속성 그대로 뱅크라인통장으로 전환이 가능한 은행은 [[DGB대구은행]][* [[DGB대구은행]] 인터넷뱅킹에 "내게 맞는 통장 전환" 기능이 있는데, 뱅크라인통장도 다른 상품으로 전환가입(일반저축예금 → 영플러스)되었다. 직장인우대통장도 같은 경로로 상품 전환이 확인되었고, 통장 이월도 그대로 뱅크라인통장으로 됐다.]과 [[BNK부산은행]][* [[BNK부산은행]]은 인터넷뱅킹에서 입출금상품의 전환가입이 안 된다.(청춘불패통장만 가능한데, 이거는 무통장식이다) 그리고 타 상품 속성대로 뱅크라인통장을 쓸 수 있는 건 메리트급여통장 등 일부 상품뿐이라 [[DGB대구은행]]보다 선택의 폭이 좁으며, (현재는 단종된) 평생통장 등은 뱅크라인통장에 상품부여가 안 된다.]밖에 없다. 타 은행의 뱅크라인통장은 모두 무이자에 [[은행/수수료|수수료]] 괴물인 일반 저축예금이다. 통장 색상의 바리에이션이 있어 발급 은행을 바꿔 가면서 통장을 받는 소소한 재미도 있다. 2018년 현재 제주는 초록색, 대구는 초록색 혹은 파란색, 전북·광주는 빨간색, 나머지는 파란색이다. 이 중 [[제주은행]]은 통장 겉표면 재질이 종이가 아니라 캔버스지라는 게 독특하다. 통장의 기록 페이지수는 일반적인 통장들과 달리 6페이지다. 이 상품은 가맹된 [[지방은행]] 어디서나 통장 입·출금 등이 가능하며, 계좌에 연계된 현금/[[체크카드]]로 현금출금시 영업시간 내 가맹 은행의 창구 및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에서 현금을 출금할 경우에는 수수료가 붙지 않는다. 통장에는 "공동망"으로 찍힌다. 뱅크라인통장을 지참하고 가맹 은행의 [[수표]]를 입금시킬 경우 즉시 현금화가 가능하며, 비가맹 은행의 수표를 가맹 은행에서 타행 뱅크라인통장으로 현금화할 때에도 3영업일이 아니라 익영업일에 입금되고 취급 수수료가 없다. 또한, 가맹은행의 타행 창구에서 이 통장으로 무통장 입금을 하더라도 자행으로 취급되어 타행송금 수수료가 안 나온다. == 한계 == * [[은행/수수료]] 하지만 완벽한 공동망은 아니다. 이유인즉슨 수수료 없이 현금을 출금할 수 있는 것 외에는 웬만한 거래에서 한계점을 노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현금 출금과 달리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현금 입금 시에는 자행 거래로 취급되지 않아 수수료가 발생한다. 고로 단순히 현금을 출금하는 [[CD]] 전산망만 공동망을 이용하여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에서 쓰이고 있기 때문에 나중에 통장에도 "공동망[* 타행 CD/ATM 기기에서 현금 인출 및 계좌송금의 경우에는 CD공동망으로 기록되며, 타행 창구에서 입출금 시에는 뱅크현금으로 기록된다.(대구은행 기준)]"으로 기록되는 것. 입금이나 다른 거래를 하려면 통장 들고 창구로 가야 한다. 즉, 가맹은행을 통해 본인이 갖고 있는 뱅크라인통장에다가 현금을 입금하고 싶으면, 뱅크라인통장을 들고 해당 가맹은행의 영업시간 내 창구에서 입금해야 수수료가 없다. 통장 재발행시 수수료가 없으나 발행 은행 외에는 재발급할 수 없다. (2020년 기준으로 무여백 이월은 타행에서 가능하다.) 가맹 은행이라고 해도 타행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에서는 통장정리 및 통장거래(입출금·이체) 자체가 되지 않는다.[* 일례로, [[BNK부산은행]]의 경우 타행 뱅크라인통장을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에 넣고 통장정리나 현금입금을 눌러 보면 옳은 계좌번호가 아니라는 메시지를 띄우며 경고음과 함께 도로 뱉어 버린다. 예를 들어, [[DGB대구은행]]의 통장은 [[NH농협은행]]의 통장처럼 현금출금시 4자리 [[비밀번호]]만 요구하고 별도의 승인번호가 없다. 반면 [[BNK부산은행]]의 통장을 [[BNK부산은행]]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에 넣어 보면 알겠지만,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전에 6자리 통장 승인번호를 요구한다. [[BNK부산은행]]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에다가 [[DGB대구은행]] 통장을 넣고 현금출금을 누르면 통장의 4자리 [[비밀번호]]를 요구하기 전에 6자리 승인번호를 누르라는 화면이 뜬다.] 거기에다가 상기 서술대로 제휴사·계열사의 은행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은 공유하지 않는다. [[GS25]] ATM은 [[광주은행]]에서만, [[롯데ATM]]은 [[BNK부산은행]] 현금카드로만, [[신한은행]]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은 [[제주은행]] 카드로만, [[우정사업본부|우체국]]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은 [[전북은행]] 현금카드로만 영업시간 내 출금시 수수료가 면제되며, 셋 모두 각각 타행 뱅크라인통장 [[현금카드]]로는 자행거래로 연동되지 않아 현금 출금시 수수료가 발생한다. 특히 [[롯데ATM]]과 GS25 ATM은 공동망[[CD]]기라 높은 수수료가 나온다. [[DGB대구은행]]은 일부(전부가 아니다) CU의 ATM에서 출금수수료만 제한적으로 면제된다. == 서비스 제공은행 == * [[BNK경남은행]] * [[광주은행]] * [[DGB대구은행]] * [[BNK부산은행]] * [[전북은행]] * [[제주은행]] === 뱅크라인 서비스를 제공했으나 사라진 은행 === * 경기은행 - 1998년 [[한미은행]]에 흡수 * 충청은행 - 1998년 [[하나은행(1991년)|하나은행]]에 흡수 * 강원은행 - 1999년 [[조흥은행]]에 흡수 * 충북은행 - 1999년 [[조흥은행]]에 흡수 * 평화은행 - 2000년 서비스 개시, 2002년에 [[우리은행|한빛은행]]에 흡수 [각주] [[분류:수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