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뉴럴 클라우드/등장인물]] [include(틀:뉴럴 클라우드/인형)] ||<-2>
{{{#ffffff,#dddddd '''프로필'''}}}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PNC_인형획득_BG.jpg|width=100%]]{{{#!wiki style="display:inline-block;width:100%;padding:1em; margin-left:-100%;" ## 기본 투영 이미지 [[파일:뉴럴 뱅크시1.png|width=100%]]}}}}}} || || '''이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뱅크시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坂口希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Banxsy || || '''성별''' ||여성 || || '''직업''' ||그래피티 아티스트 || || '''모델''' ||ARTIST 3.0 || || '''기업''' ||[include(틀:뉴럴 클라우드/사이버미디어)] [[사이버미디어]] || || '''생일''' ||[[9월 21일|{{{#373a3c,#dddddd 9월 21일}}}]] || || '''레어도''' ||★3 || || '''클래스''' ||[include(틀:뉴럴 클라우드/클래스, 클래스=해결사)] 해결사 | [include(틀:뉴럴 클라우드/태그, 태그=보조)] 보조 || || '''일러스트''' ||柱柱 || ||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나가츠마 쥬리]]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vJ4R1HD_4vw)] >"인간이든 인형이든, 평생 틀에 얽매여 있지 말고 자신의 욕망과 생각에 충실해야 해." == 프로필 == ||
{{{#!wiki style="margin: 0 0 -4px" ||
<(>{{{-1 {{{#!wiki style="margin: -5px -10px" 피험 인형 프로필 {{{#!wiki style="float:right" PROJECT.NEURAL.CLOUD}}}}}}}}} || ||{{{#!wiki style="margin:0 -10px;" ## 이름, 직업 ## {{{#!wiki style="display:inline-flex; width:calc(50% - 4px);margin:4px 8px 9px 0;" {{{#!wiki style="width:51px;padding:2px 13px;background:#444445;color:white;border-radius:2px;text-align:center;word-break: keep-all;" {{{-1 '''이름'''}}}}}}{{{#!wiki style="width:calc(100% - 51px);padding:2px 12px;background:#e2e2e3;color:#333333;border-radius:2px;" {{{-1 '''뱅크시'''}}}}}}}}}{{{#!wiki style="display:inline-flex; width:calc(50% - 4px);margin:0 0 9px 0;" {{{#!wiki style="width:51px;padding:2px 13px;background:#444445;color:white;border-radius:2px;text-align:center;word-break: keep-all;" {{{-1 '''직업'''}}}}}}{{{#!wiki style="width:calc(100% - 51px);background:#e2e2e3;color:#333333;padding:2px 12px;border-radius:2px;" {{{-1 '''그래피티 아티스트'''}}}}}}}}} ## 모델, 기업 ## {{{#!wiki style="display:inline-flex;width:calc(50% - 4px);margin:0 8px 9px 0;" {{{#!wiki style="width:51px;padding:2px 13px;background:#444445;color:white;border-radius:2px;text-align:center;word-break: keep-all;" {{{-1 '''모델'''}}}}}}{{{#!wiki style="width:calc(100% - 51px);background:#e2e2e3;color:#333333;padding:2px 12px;border-radius:2px;word-break: keep-all;" {{{-1 '''ARTIST 3.0'''}}}}}}}}}{{{#!wiki style="display:inline-flex; width:calc(50% - 4px);margin:0 0 9px 0;" {{{#!wiki style="width:51px;padding:2px 13px;background:#444445;color:white;border-radius:2px;text-align:center;word-break: keep-all;" {{{-1 '''기업'''}}}}}}{{{#!wiki style="width:calc(100% - 51px);background:#e2e2e3;color:#333333;padding:2px 12px;border-radius:2px;" {{{-1 '''사이버미디어'''}}}}}}}}} ## 생일, 클래스 ## {{{#!wiki style="display:inline-flex; width:calc(50% - 4px);margin:0 8px 9px 0;" {{{#!wiki style="width:51px;padding:2px 13px;background:#444445;color:white;border-radius:2px;text-align:center;word-break: keep-all;" {{{-1 '''생일'''}}}}}}{{{#!wiki style="width:calc(100% - 51px);background:#e2e2e3;color:#333333;padding:2px 12px;border-radius:2px;" {{{-1 '''9월 21일'''}}}}}}}}}{{{#!wiki style="display:inline-flex; width:calc(50% - 4px);margin:0 0 9px 0;" {{{#!wiki style="background:#444445;width:51px;color:white;padding:2px 0;border-radius:2px;text-align:center;word-break: keep-all;" {{{-1 '''클래스'''}}}}}}{{{#!wiki style="width:calc(100% - 51px);background:#e2e2e3;color:#333333;padding:2px 12px;border-radius:2px;" {{{-1 '''해결사'''}}}}}}}}} ## 이력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width:100%;margin:0 0 4px;background:#444445;color:white;padding:2px 13px;border-radius:2px;" {{{-1 '''이력'''}}}}}} ARTIST 시리즈는 사이버 미디어의 대표적인 예술 창작 인형으로, 창작형 인형의 표준 예술 공감 모듈과 방대한 예술 리소스 허브에 더불어 독특한 연산 공간을 지녔습니다. 이 연산 공간은 실시간으로 각종 리소스 정보를 스마트 통합 후 열거법과 비슷한 방식으로 사고를 확장함으로써, 지적 생물과 유사한 창의력을 구현합니다. 뱅크시는 최초에는 사이버 미디어의 자회사 넌센스 비주얼아트에 채용되었지만, 뛰어난 실적으로 빠르게 승진해 사이버 미디어의 직속 "독립 예술창작자"가 되었습니다. 이후 클라우드맵 프로젝트에 대한 소문을 듣고는 죽이 맞는 친구와 함께 자원, 성공적으로 테스트를 통과해 선발되었습니다.}}}|| }}}|| == 성능 == === 기본 === ==== 능력치 ==== ||
능력치 || 1성 1레벨 || 5성 60레벨 || 5성 70레벨 || ||[[파일:PNC_능력치_최대체력.png|width=18&theme=light]][[파일:PNC_능력치_최대체력_화이트.png|width=18&theme=dark]] 최대체력 || 1386|| 11964|| 13656|| ||[[파일:PNC_능력치_공격력.png|width=18&theme=light]][[파일:PNC_능력치_공격력_화이트.png|width=18&theme=dark]] 공격력 || 74|| 492|| 560|| ||[[파일:PNC_능력치_연산력.png|width=18&theme=light]][[파일:PNC_능력치_연산력_화이트.png|width=18&theme=dark]] 연산력 || 73|| 484|| 552|| ||[[파일:PNC_능력치_물리방어.png|width=18&theme=light]][[파일:PNC_능력치_물리방어_화이트.png|width=18&theme=dark]] 물리방어 || 34|| 244|| 282|| ||[[파일:PNC_능력치_연산방어.png|width=18&theme=light]][[파일:PNC_능력치_연산방어_화이트.png|width=18&theme=dark]] 연산방어 || 33|| 234|| 269|| ||[[파일:PNC_능력치_공격속도.png|width=18&theme=light]][[파일:PNC_능력치_공격속도_화이트.png|width=18&theme=dark]] 공격속도 || 93|| 140|| 140|| ||[[파일:PNC_능력치_치명률.png|width=18&theme=light]][[파일:PNC_능력치_치명률_화이트.png|width=18&theme=dark]] 치명률 || 0.2%|| 5%|| 5%|| ||[[파일:PNC_능력치_물리관통.png|width=18&theme=light]][[파일:PNC_능력치_물리관통_화이트.png|width=18&theme=dark]] 물리관통 || 72|| 465|| 529|| ||[[파일:PNC_능력치_연산관통.png|width=18&theme=light]][[파일:PNC_능력치_연산관통_화이트.png|width=18&theme=dark]] 연산관통 || 65|| 414|| 471|| ||[[파일:PNC_능력치_회피율.png|width=18&theme=light]][[파일:PNC_능력치_회피율_화이트.png|width=18&theme=dark]] 회피율 || 0.2%|| 4%|| 4%|| ||[[파일:PNC_능력치_전투 후 회복.png|width=18&theme=light]][[파일:PNC_능력치_전투 후 회복_화이트.png|width=18&theme=dark]] 전투 후 회복 || 183|| 406|| 406|| {{{#!folding [ 각인강화 ] ||
레벨 || 최대체력 || 공격력 || 연산력 || 물리방어 || 연산방어 || 물리관통 || 연산관통 || || 1 || 0 || 0 || 0 || 3 || 3 || 0 || 0 || || 2 || 0 || 0 || 0 || 3 || 3 || 7 || 6 || || 3 || 0 || 7 || 7 || 3 || 3 || 7 || 6 || || 4 || 160 || 7 || 7 || 6 || 3 || 7 || 6 || || 5 || 160 || 7 || 7 || 6 || 3 || 14 || 12 || || 6 || 160 || 14 || 14 || 6 || 3 || 14 || 12 || || 7 || 321 || 14 || 14 || 6 || 6 || 14 || 12 || || 8 || 321 || 14 || 14 || 6 || 6 || 22 || 19 || || 9 || 321 || 22 || 21 || 6 || 6 || 22 || 19 || || 10 || 494 || 22 || 21 || 10 || 9 || 22 || 19 || ||<-99> || || 11 || 494 || 22 || 21 || 14 || 13 || 22 || 19 || || 12 || 494 || 22 || 21 || 14 || 13 || 30 || 26 || || 13 || 494 || 30 || 29 || 14 || 13 || 30 || 26 || || 14 || 679 || 30 || 29 || 18 || 13 || 30 || 26 || || 15 || 679 || 30 || 29 || 18 || 13 || 38 || 33 || || 16 || 679 || 39 || 38 || 18 || 13 || 38 || 33 || || 17 || 876 || 39 || 38 || 18 || 17 || 38 || 33 || || 18 || 876 || 39 || 38 || 18 || 17 || 47 || 41 || || 19 || 876 || 48 || 47 || 18 || 17 || 47 || 41 || || 20 || 1084 || 48 || 47 || 22 || 21 || 47 || 41 || ||<-99> || || 21 || 1084 || 48 || 47 || 26 || 25 || 47 || 41 || || 22 || 1084 || 48 || 47 || 26 || 25 || 57 || 50 || || 23 || 1084 || 58 || 57 || 26 || 25 || 57 || 50 || || 24 || 1305 || 58 || 57 || 31 || 25 || 57 || 50 || || 25 || 1305 || 58 || 57 || 31 || 25 || 67 || 58 || || 26 || 1305 || 68 || 67 || 31 || 25 || 67 || 58 || || 27 || 1538 || 68 || 67 || 31 || 29 || 67 || 58 || || 28 || 1538 || 68 || 67 || 31 || 29 || 79 || 68 || || 29 || 1538 || 80 || 78 || 31 || 29 || 79 || 68 || || 30 || 1800 || 80 || 78 || 36 || 34 || 79 || 68 || }}} ==== 스킬 ==== ## 패시브 ||
<|2>{{{#!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0;" [[파일:PNC_Skill_Passive_BG.png|width=72]]{{{#!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 -58px" [[파일:banxsy_passive.png|height=44&width=44]]}}}}}} ||<(>{{{#fff {{{-1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474950; margin-right:3px; padding: 1px 5px;" 패시브}}}}}}}}} '''뒷골목의 법칙''' || ||<(> 일반공격 시 대상에게 「페인트 표식」을 부여해 명중률과 회피율을 낮춘다. || ||<^|1><-2>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모든 레벨 효과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패시브 레벨 효과 ||
레벨 || 효과 || || 1 ||<(> 일반공격이 대상에게 「페인트 표식」을 부여해 명중률과 회피율을 10% 감소시킨다, 중첩 불가능. || || 2 ||<(> 일반공격이 대상에게 「페인트 표식」을 부여해 명중률과 회피율을 11.2% 감소시킨다, 중첩 불가능. || || 3 ||<(> 일반공격이 대상에게 「페인트 표식」을 부여해 명중률과 회피율을 12.4% 감소시킨다, 중첩 불가능. || || 4 ||<(> 일반공격이 대상에게 「페인트 표식」을 부여해 명중률과 회피율을 13.6% 감소시킨다, 중첩 불가능. || || 5 ||<(> 일반공격이 대상에게 「페인트 표식」을 부여해 명중률과 회피율을 15.1% 감소시킨다, 중첩 불가능. || || 6 ||<(> 일반공격이 대상에게 「페인트 표식」을 부여해 명중률과 회피율을 16.9% 감소시킨다, 중첩 불가능. || || 7 ||<(> 일반공격이 대상에게 「페인트 표식」을 부여해 명중률과 회피율을 18.7% 감소시킨다, 중첩 불가능. || || 8 ||<(> 일반공격이 대상에게 「페인트 표식」을 부여해 명중률과 회피율을 20.5% 감소시킨다, 중첩 불가능. || || 9 ||<(> 일반공격이 대상에게 「페인트 표식」을 부여해 명중률과 회피율을 22.8% 감소시킨다, 중첩 불가능. || || 10 ||<(> 일반공격이 대상에게 「페인트 표식」을 부여해 명중률과 회피율을 25% 감소시킨다, 중첩 불가능. ||}}}}}}}}} || ## 액티브 ||
<|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0;" [[파일:PNC_Skill_Active_BG.png|width=72]]{{{#!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 -58px" [[파일:banxsy_skill.png|height=44&width=44]]}}}}}} ||{{{#fff {{{-1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0b8fff; margin-right:3px; padding: 1px 5px;" 액티브}}}}}}}}} '''프리 슬라이딩''' (쿨타임 10초) || ||<(> 페인트 표식이 없는 적과 그 주위에 {{{#ed362e 물리피해}}}를 주고 「페인트 발판」을 만들어 지나가는 적에게 페인트 표식을 부여한다. 시전 후 {{{#44b163 카니발}}}[*카니발 적의 공격 대상이 되지 않고 공격속도 +50, 이 상태에선 스킬 충전이 멈춘다, 버프] 상태가 된다. || ||<(> 예충전 5초 → 6초(★5) || ||<^|1><-2>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모든 레벨 효과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액티브 레벨 효과 ||
레벨 || 효과 || || 1 ||<(> 페인트 표식이 없는 적을 우선 대상으로, 그 근처로 이동해 대상과 그 주위 1칸에 「페인트 발판」을 생성하고, {{{#ed362e 공격력 200% 물리피해}}}를 준다, 지속 5초. 지속 기간 「페인트 발판」을 밟은 적은 「페인트 표식」이 부여된다. 뱅크시는 그후 2초간 {{{#44b163 카니발}}} 상태가 된다. || || 2 ||<(> 페인트 표식이 없는 적을 우선 대상으로, 그 근처로 이동해 대상과 그 주위 1칸에 「페인트 발판」을 생성하고, {{{#ed362e 공격력 216% 물리피해}}}를 준다, 지속 5초. 지속 기간 「페인트 발판」을 밟은 적은 「페인트 표식」이 부여된다. 뱅크시는 그후 2초간 {{{#44b163 카니발}}} 상태가 된다. || || 3 ||<(> 페인트 표식이 없는 적을 우선 대상으로, 그 근처로 이동해 대상과 그 주위 1칸에 「페인트 발판」을 생성하고, {{{#ed362e 공격력 232% 물리피해}}}를 준다, 지속 5초. 지속 기간 「페인트 발판」을 밟은 적은 「페인트 표식」이 부여된다. 뱅크시는 그후 2초간 {{{#44b163 카니발}}} 상태가 된다. || || 4 ||<(> 페인트 표식이 없는 적을 우선 대상으로, 그 근처로 이동해 대상과 그 주위 1칸에 「페인트 발판」을 생성하고, {{{#ed362e 공격력 248% 물리피해}}}를 준다, 지속 5초. 지속 기간 「페인트 발판」을 밟은 적은 「페인트 표식」이 부여된다. 뱅크시는 그후 2초간 {{{#44b163 카니발}}} 상태가 된다. || || 5 ||<(> 페인트 표식이 없는 적을 우선 대상으로, 그 근처로 이동해 대상과 그 주위 1칸에 「페인트 발판」을 생성하고, {{{#ed362e 공격력 268% 물리피해}}}를 준다, 지속 5초. 지속 기간 「페인트 발판」을 밟은 적은 「페인트 표식」이 부여된다. 뱅크시는 그후 2초간 {{{#44b163 카니발}}} 상태가 된다. || || 6 ||<(> 페인트 표식이 없는 적을 우선 대상으로, 그 근처로 이동해 대상과 그 주위 1칸에 「페인트 발판」을 생성하고, {{{#ed362e 공격력 292% 물리피해}}}를 준다, 지속 5초. 지속 기간 「페인트 발판」을 밟은 적은 「페인트 표식」이 부여된다. 뱅크시는 그후 2초간 {{{#44b163 카니발}}} 상태가 된다. || || 7 ||<(> 페인트 표식이 없는 적을 우선 대상으로, 그 근처로 이동해 대상과 그 주위 1칸에 「페인트 발판」을 생성하고, {{{#ed362e 공격력 316% 물리피해}}}를 준다, 지속 5초. 지속 기간 「페인트 발판」을 밟은 적은 「페인트 표식」이 부여된다. 뱅크시는 그후 2초간 {{{#44b163 카니발}}} 상태가 된다. || || 8 ||<(> 페인트 표식이 없는 적을 우선 대상으로, 그 근처로 이동해 대상과 그 주위 1칸에 「페인트 발판」을 생성하고, {{{#ed362e 공격력 340% 물리피해}}}를 준다, 지속 5초. 지속 기간 「페인트 발판」을 밟은 적은 「페인트 표식」이 부여된다. 뱅크시는 그후 2초간 {{{#44b163 카니발}}} 상태가 된다. || || 9 ||<(> 페인트 표식이 없는 적을 우선 대상으로, 그 근처로 이동해 대상과 그 주위 1칸에 「페인트 발판」을 생성하고, {{{#ed362e 공격력 370% 물리피해}}}를 준다, 지속 5초. 지속 기간 「페인트 발판」을 밟은 적은 「페인트 표식」이 부여된다. 뱅크시는 그후 2초간 {{{#44b163 카니발}}} 상태가 된다. || || 10 ||<(> 페인트 표식이 없는 적을 우선 대상으로, 그 근처로 이동해 대상과 그 주위 1칸에 「페인트 발판」을 생성하고, {{{#ed362e 공격력 400% 물리피해}}}를 준다, 지속 5초. 지속 기간 「페인트 발판」을 밟은 적은 「페인트 표식」이 부여된다. 뱅크시는 그후 2초간 {{{#44b163 카니발}}} 상태가 된다. ||}}}}}}}}} || ## 궁극기 ||
<|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0;" [[파일:PNC_Skill_Ultimate_BG.png|width=72]]{{{#!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 -58px" [[파일:banxsy_ultimate.png|height=44&width=44]]}}}}}} ||{{{#fff {{{-1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fb7600; margin-right:3px; padding: 1px 5px;" 궁극기}}}}}}}}} '''스크럼블 아트''' (쿨타임 30초) || ||<(> 필드의 모든 「페인트 표식」을 터뜨려 {{{#ed362e 물리피해}}}를 주면서 「실명」 상태로 만들어 명중률과 회피율을 낮춘다. || ||<^|1><(> {{{#!folding [ 궁극기 컷씬 ] [[파일:뉴럴 뱅크시 궁극기 애니메이션.gif|width=100%]]}}} || ||<^|1><-2>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모든 레벨 효과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궁극기 레벨 효과 ||
레벨 || 효과 || || 1 ||<(> 필드의 모든 「페인트 표식」을 터뜨려, {{{#ed362e 공격력 100% 물리피해}}}를 주고, 「실명」을 부여한다, 지속 7초.[br]「실명」: 명중률과 회피율이 40% 감소한다. || || 2 ||<(> 필드의 모든 「페인트 표식」을 터뜨려, {{{#ed362e 공격력 125% 물리피해}}}를 주고, 「실명」을 부여한다, 지속 7초.[br]「실명」: 명중률과 회피율이 40% 감소한다. || || 3 ||<(> 필드의 모든 「페인트 표식」을 터뜨려, {{{#ed362e 공격력 150% 물리피해}}}를 주고, 「실명」을 부여한다, 지속 7초.[br]「실명」: 명중률과 회피율이 40% 감소한다. || || 4 ||<(> 필드의 모든 「페인트 표식」을 터뜨려, {{{#ed362e 공격력 175% 물리피해}}}를 주고, 「실명」을 부여한다, 지속 7초.[br]「실명」: 명중률과 회피율이 40% 감소한다. || || 5 ||<(> 필드의 모든 「페인트 표식」을 터뜨려, {{{#ed362e 공격력 200% 물리피해}}}를 주고, 「실명」을 부여한다, 지속 7초.[br]「실명」: 명중률과 회피율이 40% 감소한다. ||}}}}}}}}} || ==== 무장각인 ==== ||
[[파일:Banxsy_Arma_Inscripta.jpg|width=400px]] || [[파일:Banxsy_Arma_Inscripta_Logo_Animation.gif|width=400px]] || ||<|2>
[[파일:뉴럴_무장각인1.png|width=58px]] ||{{{#fff {{{-1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474950; margin-right:3px; padding: 1px 5px;" 패시브}}}}}}}}} '''뒷골목의 법칙+''' || ||「페인트 표식」을 받은 적의 공격이 빗나갈 때 및 자신이 자동 스킬을 발동할 때, 전투 끝까지 자신 공격력을 2%, 주는 피해량을 2% 상승시킨다. 최대 10회 중첩. || ||<|2>
[[파일:뉴럴_무장각인2.png|width=58px]] ||{{{#fff {{{-1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0b8fff; margin-right:3px; padding: 1px 5px;" 액티브}}}}}}}}} '''프리 슬라이딩+''' || ||페인트 표식이 없는 적을 우선 대상으로 한 번 더 공격한다. 이번 공격은 첫 공격의 50% 피해를 주지만, 명중한 적이 하나뿐일 경우 첫 공격의 100% 피해를 준다. || ||<|2>
[[파일:뉴럴_무장각인3.png|width=58px]] ||{{{#fff {{{-1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474950; margin-right:3px; padding: 1px 5px;" 패시브}}}}}}}}} '''뒷골목의 법칙++''' || ||「페인트 표식」을 받은 적의 공격이 빗나갈 때 그 적을 2초간 {{{#red 침묵}}}시킨다. || ==== 평가 ==== 명중/회피 디버프에 특화된 물리 딜러형 해결사. 패시브로 지속적인 디버프를 묻힐 수 있고, 액티브로 광역 디버프 장판을 깔기 때문에 디버프를 트리거로 하는 각종 함수와 궁합이 좋다. 명중률 감소 디버프를 걸어주기 때문에 파티 안정성이 크게 오른다. 보통 전사 덱에서 디버프를 묻히는 용으로 쓰거나 해결사 덱의 메인 딜러로 사용하며, 액티브의 높은 광역딜이 장점. 공속 버프 때문에 단일딜 수행 능력도 우수하다. 일반적으로는 각종 함수와의 시너지를 고려해 평타 위주의 딜러로 취급된다. 카니발 효과를 받으면 2초 무적이 되어 어그로를 풀기 때문에 생존력도 나름 괜찮은 편. 다만 2초 무적이 있다 하더라도 근본은 원딜인지라 자체 생존력 스펙은 허접한데, 액티브를 쓰면 수시로 위치를 바꿔대는지라 엉뚱한 곳으로 이동했다가 적의 사선에 들어가 점사당해 의문사하는 일이 잦다. 때문에 전술스킬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위치를 바꿔대는 점 때문에 원딜임에도 불구하고 나나카와 조합하기 애매하며, 원거리 케어가 가능한 힐러와 함께 쓰는 것이 좋다. 궁극기의 성능이 매우 저열한 것 또한 단점으로, 데미지는 액티브의 절반밖에 안 되는데 페인트 표식이 묻은 적에게만 데미지가 들어가는지라 페인트를 골고루 묻히는 예열 시간까지 필요하다. 추가 디버프 효과도 기본 디버프를 뻥튀기한 수준으로 약한지라 쓸 이유가 없는 스킬. ||
<-2> '''추천 함수''' || || [[파일:악성 교란.webp|width=100px]] ||<|2>뱅크시는 디버프 중심의 평타 딜러라는 특성상 악성 교란을 완벽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해결사다. 디버프를 계속해서 묻혀줄 수 있기 때문에 다른 해결사 아군이 악성 교란의 시너지를 받기 쉽게 해 준다. 함수의 부가 피해량이 전부 연산력 관련이라는 것이 흠. || || [[뉴럴 클라우드/함수#s-2.4.1|{{{#ffffff 악성 교란}}}]] |||| || [[파일:치명타격.webp|width=100px]] ||<|2>평타로 얻는 흡혈갈증도 뱅크시의 유지력에 도움이 되고 분노의 피드백으로 액티브 쿨타임을 더 자주 돌릴 수 있게 해 준다. || || [[뉴럴 클라우드/함수#s-2.6.4|{{{#ffffff 치명타격}}}]] |||| || [[파일:다단 증강.webp|width=100px]] ||<|2>뱅크시를 메인 딜러로 쓸 경우 자가버프 효과로 공격력과 체력 흡수 효과를 받을 수 있고 효율상승으로 인해 액티브를 더 자주 쓸 수 있게 해 준다. || || [[뉴럴 클라우드/함수#s-2.4.3|{{{#ffffff 다단 증강}}}]] |||| == 추천 알고리즘 == ||<-3> '''공격성''' || ||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추론|[[파일:PNC_추론.png]]]] ||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예측|[[파일:PNC_예측.png]]]] || || ||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추론|{{{#fff 추론}}}]] ||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예측|{{{#fff 예측}}}]] || {{{#fff -}}} || ||<-3>{{{#!wiki style="margin:-16px -11px" || 주 옵션 || [[파일:뉴럴알고리즘_공격력.png|height=30px>]] 12% || 부 옵션 || [[파일:뉴럴알고리즘_주는 피해량 증폭.png|height=30px>]] [[파일:뉴럴알고리즘_공격력.png|height=30px>]] ||}}}|| 물리 해결사이니만큼 공격력 관련 알고리즘으로 맞춘다. 평타에 비중을 둘 경우 추론의 공격속도를, 스킬의 광역 피해를 고려할 경우 예측의 깡공격력을 맞춘다. 둘 다 챙기고 싶다면 역치초과나 이질회귀의 피해량 5%를 쓸 수도 있겠지만, 권장되진 않는다. ||<-3> '''안정성''' || ||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코드 캡슐화|[[파일:PNC_코드 캡슐화.png]]]] ||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낮은값 저항|[[파일:PNC_낮은값 저항.png]]]] ||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감지|[[파일:PNC_감지.png]]]] || ||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코드 캡슐화|{{{#fff 코드 캡슐화}}}]] ||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낮은값 저항|{{{#fff 낮은값 저항}}}]] ||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감지|{{{#fff 감지}}}]] || ||<-3>{{{#!wiki style="margin:-16px -11px" || 주 옵션 || [[파일:뉴럴알고리즘_최대체력.png|height=30px>]] 12% || 부 옵션 || [[파일:뉴럴알고리즘_치명률.png|height=30px>]] [[파일:뉴럴알고리즘_치명타 피해.png|height=30px>]] ||}}}|| 주로 피해차감 옵션이 있는 코드 캡슐화나 낮은값 저항을 사용한다. 없을 경우 감지나 이성을 사용해도 된다. 피해차감 3세트 알고리즘이 있으면 좋지만 안정성 칸은 부옵이 훨씬 중요하므로 세트보다는 부옵이 잘 붙은 알고리즘을 우선 착용하면 된다. ||<-3> '''특이성''' || ||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취약점 확장|[[파일:PNC_취약점 확장.png]]]] ||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행렬 구조|[[파일:PNC_행렬 구조.png]]]] || || ||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취약점 확장|{{{#fff 취약점 확장}}}]] ||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행렬 구조|{{{#fff 행렬 구조}}}]] || {{{#fff -}}} || ||<-3>{{{#!wiki style="margin:-16px -11px" || 주 옵션 || [[파일:뉴럴알고리즘_치명타 피해.png|height=30px>]] [[파일:뉴럴알고리즘_치명률.png|height=30px>]] || 부 옵션 || [[파일:뉴럴알고리즘_치명률.png|height=30px>]] [[파일:뉴럴알고리즘_치명타 피해.png|height=30px>]] [[파일:뉴럴알고리즘_공격력.png|height=30px>]] ||}}}|| 모든 스킬이 디버프 효과이기 때문에 취약점 확장을 매우 잘 활용할 수 있다. 평타에 비중을 둘 경우 행렬 구조도 고려 가능하다. 평타의 비중이 높은 특성상 치명타 스텟 위주로 옵션을 맞추며, 치명률과 치명타 피해를 1:2로 맞추는 것이 일반적. == 친밀도 == ## 친밀도 스킬 : 순서에 맞게 3가지 스킬만 남긴 후, 맨 왼쪽의 번호를 1, 2, 3으로 변경. ||<-99>
친밀도 스킬 || ## 출력강화 ||<|1> 1 ||<|1> [[파일:PNC_Skill_Base.png|width=60]]{{{#!wiki style="display:inline-block;width:60px;margin-left:-60px;" [[파일:PNC_아이콘_출력강화.png|width=60]]}}} '''출력강화''' ||<^|1>{{{-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eight:16px;margin-right:5px;padding:0 7px;background-color:#202128;color:#ffffff;border-radius:3px;letter-spacing:-0.5px;word-break:keep-all;text-align: center" Lv1}}}}}} 공격력 {{{#orange 7}}} 상승.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eight:16px;margin-right:5px;padding:0 7px;background-color:#202128;color:#ffffff;border-radius:3px;letter-spacing:-0.5px;word-break:keep-all;text-align: center" Lv2}}}}}} 공격력 {{{#orange 16}}} 상승.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eight:16px;margin-right:5px;padding:0 7px;background-color:#202128;color:#ffffff;border-radius:3px;letter-spacing:-0.5px;word-break:keep-all;text-align: center" Lv3}}}}}} 공격력 {{{#orange 27}}} 상승.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eight:16px;margin-right:5px;padding:0 7px;background-color:#202128;color:#ffffff;border-radius:3px;letter-spacing:-0.5px;word-break:keep-all;text-align: center" Lv4}}}}}} 공격력 {{{#orange 40}}} 상승.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eight:16px;margin-right:5px;padding:0 7px;background-color:#202128;color:#ffffff;border-radius:3px;letter-spacing:-0.5px;word-break:keep-all;text-align: center" Lv5}}}}}} 공격력 {{{#orange 55}}} 상승. || ## 코드안정 ||<|1> 2 ||<|1> [[파일:PNC_Skill_Base.png|width=60]]{{{#!wiki style="display:inline-block;width:60px;margin-left:-60px;" [[파일:PNC_아이콘_코드안정.png|width=60]]}}} '''코드안정''' ||<^|1>{{{-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eight:16px;margin-right:5px;padding:0 7px;background-color:#202128;color:#ffffff;border-radius:3px;letter-spacing:-0.5px;word-break:keep-all;text-align: center" Lv1}}}}}} 체력 {{{#orange 170}}} 상승.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eight:16px;margin-right:5px;padding:0 7px;background-color:#202128;color:#ffffff;border-radius:3px;letter-spacing:-0.5px;word-break:keep-all;text-align: center" Lv2}}}}}} 체력 {{{#orange 380}}} 상승.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eight:16px;margin-right:5px;padding:0 7px;background-color:#202128;color:#ffffff;border-radius:3px;letter-spacing:-0.5px;word-break:keep-all;text-align: center" Lv3}}}}}} 체력 {{{#orange 650}}} 상승.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eight:16px;margin-right:5px;padding:0 7px;background-color:#202128;color:#ffffff;border-radius:3px;letter-spacing:-0.5px;word-break:keep-all;text-align: center" Lv4}}}}}} 체력 {{{#orange 960}}} 상승.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eight:16px;margin-right:5px;padding:0 7px;background-color:#202128;color:#ffffff;border-radius:3px;letter-spacing:-0.5px;word-break:keep-all;text-align: center" Lv5}}}}}} 체력 {{{#orange 1320}}} 상승. || ## 코어가속 ||<|1> 3 ||<|1> [[파일:PNC_Skill_Base.png|width=60]]{{{#!wiki style="display:inline-block;width:60px;margin-left:-60px;" [[파일:PNC_아이콘_코어가속.png|width=60]]}}} '''코어가속''' ||<^|1>{{{-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eight:16px;margin-right:5px;padding:0 7px;background-color:#202128;color:#ffffff;border-radius:3px;letter-spacing:-0.5px;word-break:keep-all;text-align: center" Lv1}}}}}} 충전속도 {{{#orange 1%}}} 상승.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eight:16px;margin-right:5px;padding:0 7px;background-color:#202128;color:#ffffff;border-radius:3px;letter-spacing:-0.5px;word-break:keep-all;text-align: center" Lv2}}}}}} 충전속도 {{{#orange 2.5%}}} 상승.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eight:16px;margin-right:5px;padding:0 7px;background-color:#202128;color:#ffffff;border-radius:3px;letter-spacing:-0.5px;word-break:keep-all;text-align: center" Lv3}}}}}} 충전속도 {{{#orange 4%}}} 상승.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eight:16px;margin-right:5px;padding:0 7px;background-color:#202128;color:#ffffff;border-radius:3px;letter-spacing:-0.5px;word-break:keep-all;text-align: center" Lv4}}}}}} 충전속도 {{{#orange 6%}}} 상승.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eight:16px;margin-right:5px;padding:0 7px;background-color:#202128;color:#ffffff;border-radius:3px;letter-spacing:-0.5px;word-break:keep-all;text-align: center" Lv5}}}}}} 충전속도 {{{#orange 8%}}} 상승. || ||<-3> 좋아하는 선물 || ||<-3>{{{#!wiki style="margin:0px -5px; padding: 0;" ## 좋아하는 선물 시작 {{{#!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color:#eeeeee;margin:3px 1px;" {{{#!wiki style="padding:10px" [[파일:PNC_선물_BG5.png|width=80]]{{{#!wiki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80px;padding:2px;" [[파일:PNC_선물_커플_세트.png|width=76]]}}} }}}{{{#!wiki style="width:100px;height:23px;background-color:#202028;color:white;letter-spacing: -0.5px;text-align:center;" [[파일:PNC_선물_좋아함.png|width=12]] {{{-1 커플 세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color:#eeeeee;margin:3px 1px;" {{{#!wiki style="padding:10px" [[파일:PNC_선물_BG4.png|width=80]]{{{#!wiki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80px;padding:2px;" [[파일:PNC_선물_직장인_세트.png|width=76]]}}} }}}{{{#!wiki style="width:100px;height:23px;background-color:#202028;color:white;letter-spacing: -0.5px;text-align:center;" [[파일:PNC_선물_좋아함.png|width=12]] {{{-1 직장인 세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color:#eeeeee;margin:3px 1px;" {{{#!wiki style="padding:10px" [[파일:PNC_선물_BG3.png|width=80]]{{{#!wiki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80px;padding:2px;" [[파일:PNC_선물_패스트푸드.png|width=76]]}}} }}}{{{#!wiki style="width:100px;height:23px;background-color:#202028;color:white;letter-spacing: -0.5px;text-align:center;" [[파일:PNC_선물_좋아함.png|width=12]] {{{-1 패스트푸드}}}}}}}}} ## 좋아하는 선물 끝 }}}|| ||<-3> 싫어하는 선물 || ||<-3>{{{#!wiki style="margin:0px -5px; padding: 0;" ## 싫어하는 선물 시작 {{{#!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color:#eeeeee;margin:3px 1px;" {{{#!wiki style="padding:10px" [[파일:PNC_선물_BG5.png|width=80]]{{{#!wiki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80px;padding:2px;" [[파일:PNC_선물_디럭스_케익.png|width=76]]}}} }}}{{{#!wiki style="width:100px;height:23px;background-color:#202028;color:white;letter-spacing: -0.5px;text-align:center;" [[파일:PNC_선물_싫어함.png|width=12]] {{{-1 디럭스 케익}}}}}}}}} {{{#!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color:#eeeeee;margin:3px 1px;" {{{#!wiki style="padding:10px" [[파일:PNC_선물_BG4.png|width=80]]{{{#!wiki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80px;padding:2px;" [[파일:PNC_선물_신호등_케익.png|width=76]]}}} }}}{{{#!wiki style="width:100px;height:23px;background-color:#202028;color:white;letter-spacing: -0.5px;text-align:center;" [[파일:PNC_선물_싫어함.png|width=12]] {{{-1 신호등 케익}}}}}}}}} {{{#!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color:#eeeeee;margin:3px 1px;" {{{#!wiki style="padding:10px" [[파일:PNC_선물_BG3.png|width=80]]{{{#!wiki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80px;padding:2px;" [[파일:PNC_선물_케익_조각.png|width=76]]}}} }}}{{{#!wiki style="width:100px;height:23px;background-color:#202028;color:white;letter-spacing: -0.5px;text-align:center;" [[파일:PNC_선물_싫어함.png|width=12]] {{{-1 케익 조각}}}}}}}}} ## 싫어하는 선물 끝 }}}|| == 스토리 == ||
'''{{{#ffffff,#dddddd 인형 스토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인형 프로필 1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 친밀도 Lv.2에 개방}}} ---- 새로운 시대의 천재, 유일무이한 인형 예술가... 뱅크시는 처음 눈을 뜨고 업무에 투입된 지 몇 달도 채 지나지 않아 수많은 매체와 팬들의 찬사를 받았지만, 기쁘기는커녕 오히려 공허함만 느꼈습니다. 그때까지 그녀가 했던 소위 창작 활동이란, 전부 기업이 정성들여 설계한 기획의 일환에 지나지 않았고, 그녀는 그저 꼭두각시처럼 실타래에 묶여 내막을 모르는 관객들에게 환호를 받는 신세였기 때문입니다. 결국 모든 것에 싫증이 나던 어느 날, 어떤 특별한 자극을 받은 뱅크시는 이 처지에서 벗어나겠다는 충동을 품게 되었습니다. 기회를 찾아다니던 그녀는 마침내 사내 경연 대회에서 "직접 창작한" 작품으로 우승, 포상으로 승진하여 사이버 미디어의 독립 예술창작자가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그녀는 더는 다른 부서의 참견을 받지 않고, 더 많은 자주권을 갖게 되었습니다.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인형 프로필 2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 친밀도 Lv.3에 개방}}} ---- 시키는 대로만 하던 꼭두각시에서 자유롭고 방탕한 창작자가 된 것은, 뱅크시 본인에게 있어 족쇄에서 풀려나는 것과 같은 해방이었습니다. 하지만 그녀를 떠받들던 기존의 언론 매체에겐 별로 달갑지 않은 일이었습니다.. 많은 이들의 예상대로, 독립한 뱅크시는 이전의 스타일을 버리고 그래피티를 주요 표현 수단으로 삼아 반항 정신 가득한 예술의 여정을 시작했습니다. 틀에 박힌 제도를 규탄하거나 스포트라이트의 그늘에 가려진 실상을 고발하는 등, 족쇄를 벗어던진 뱅크시는 작품의 주제 선정에 일말의 거리낌이 없어졌고, 신랄한 풍자도 서슴지 않게 되었습니다. 작품의 영향력이 커질수록, 뱅크시에 대한 언론 매체의 평가도 수직 추락했습니다. 날라리, 탕아, 반골, 독불장군 등, 부정적인 수식어와 딱지가 그녀에게 따라붙었습니다. 허나 예술가의 작품은 모욕당할 수는 있을지언정, 전달하고자 하는 "밈"은 왜곡될 수 없었습니다.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인형 보이스 1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 친밀도 Lv.4에 개방}}} ---- 내가 언제 어디서 뭘 하든 내 마음이야. 지켜야 할 선쯤은 나도 아니까, 설교 따위 필요 없다고. ...근데, 너 혹시 예술에 흥미 있어? 내가 가르쳐 줄까?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인형 보이스 2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 친밀도 Lv.6에 개방}}} ---- 뭐. 빤히 쳐다보지 마, 기분 나쁘게스리... 일 없음 얼른 비켜.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인형 프로필 3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 친밀도 Lv.7에 개방}}} ---- 물론, 뱅크시가 그래피티밖에 모르지는 않습니다. 뱅크시는 창작 활동보다 더 많은 시간에 롤러스케이트를 타고, 그녀처럼 당장의 사회에 불만을 가진 청년들과 함께 거리, 옥상을 비롯한 도시의 구석구석을 휘젓고 다닙니다. 뱅크시도 만약 자신이 평범한 인간이었다면 분명 그들처럼 살았으리라 생각했습니다. 어느 시대에서든, 청년이야말로 가장 열정적이고 자아를 세간에 뽐내는 집단입니다. 이러한 집단만이 시대의 틀을 깨고 그들이 생각하는 멋진 내일을 만들어 가는 법입니다. 뱅크시는 그러한 활기를 좋아했고, 그녀가 드물게 인정하는 인간만의 특성입니다.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인형 보이스 3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 친밀도 Lv.8에 개방}}} ---- 세간에 인형은, 그저 명령이나 고분고분 따를 뿐이라 여겨지지. 나도 처음엔 비즈니스 회사가 포장한 장난감이었어. 가짜 삶에 가짜 추종자, 가짜 명성. 그런데, 그랬던 인형이 어느 날 엉망진창인 길거리 낙서에 푹 빠지다니. 참 웃긴 이야기지? 그때, 지금까지 헛된 나날을 살았다는 걸 깨달았어.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인형 프로필 4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 친밀도 Lv.10에 개방}}} ---- 뱅크시의 그래피티 행각은 도시의 행정 기관에게 큰 골칫거리였지만, 그녀는 아랑곳하지 않고 합법과 불법 사이의 회색지대를 누비며 자신만의 방식으로 사회를 향해 목소리를 냈습니다. 하지만 그런 그녀도 행정 기관의 편을 들 때가 있으니, 바로 누군가가 "뱅크시의 추종자"라며 과격한 행동을 벌일 때입니다. 그러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그녀는 흔적을 남기지 않으면서 행정 기관을 도와 그 작자들을 해치웁니다. 권위에 반항하는 이유는 자기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니었기에, 뱅크시는 그러한 행위를 매우 혐오합니다. "개인의 것이든 집단의 것이든, 예술에 딱지가 붙어서는 안 돼!" - 그래피티 만화 [예술을 논하는 상인]의 부제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인형 보이스 4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 친밀도 Lv.11에 개방}}} ---- 자신을 위해 살아라. 그게 내 신조야. 강요는 안 해, 나도 이게 100% 정답이라곤 생각 안 하니까. 그래도, "자아"의 중요성을 깨닫지 못한다면 남에게 속아넘어가서 이용당하게 될 뿐이야. 인형이든 인간이든 상관없이 말이지.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인형 프로필 5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 친밀도 Lv.13에 개방}}} ---- 오아시스에 온 지 얼마 안 됐을 때, 뱅크시는 의도적으로 창작의 빈도를 줄였습니다. 비생산적인 활동에 과도하게 힘을 쏟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 마그라세아의 분위기 탓도 있었지만, 오아시스처럼 비교적 순수한 환경에서는 현실처럼 날카롭게 반항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창작 예술이 관객의 유무로 변하는 것은 아니지만, 낙서를 비판과 풍자의 수단으로 삼을 이유가 없어졌고, 무엇보다 이곳의 "권위자"인 교수에 대한 인상이 나쁘지 않았기에, 뱅크시의 창작 욕구는 다소 누그러졌습니다. 그래서 뱅크시는 예전보다 더욱 자주, 함께 마그라세아에 들어온 친구를 불러 둘만의 작은 공간에서 낙서를 하거나, 노래, 디제잉, 스케이트를 타며 매일을 즐깁니다. 그리고 이따금씩, 계속 이렇게 생활하는 것도 나쁘진 않겠단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안일한 생각은 항상 오래가지 못합니다. 예술에 종사하는 자에게 있어, 평온하고 잔잔한 일상은 영감을 주지도, 격정을 끌어내지도 못합니다. 그것이야말로 창작가가 가장 받아들일 수 없는 일입니다.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인형 보이스 5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 친밀도 Lv.14에 개방}}} ---- 내 말, 믿어? 내가 비록 남이랑 어울리는 걸 싫어하긴 하는데, 남을 속이는 짓은 안 해. 너한테도 마찬가지. 그런데 넌 뭐랄까, 남들이랑은 좀 다르단 말이야... 남의 뜻이나 신념 같은 걸, 잘 존중해 주는 사람 같아. ||}}}}}}}}} || == 작중 행적 == == 스킨 == === 기본 투영 - 골목 낙서꾼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뉴럴 뱅크시1.png|width=100%]]}}} || || 일러스트레이터 || || || 입수방법 || 기본 투영 || || 적용범위 || || > 인형이 마그라세아에 들어온 후 마인드맵으로 투영한 의상입니다. 가장 익숙하면서도 편안하죠. >---- > "그래피티는 가장 효과적인 포효야. 꺼릴 것도 없고, 무기는 바로 자기 손 안에 있으니까." === 확장 투영 - 골목 낙서꾼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뉴럴 뱅크시2.png|width=100%]]}}} || || 일러스트레이터 || || || 입수방법 || 마인드 확장 ★★★☆ 달성 || || 적용범위 || || > 인형이 마그라세아에 들어온 후 마인드맵으로 투영한 의상입니다. 가장 익숙하면서도 편안하죠. >---- > "그래피티는 가장 효과적인 포효야. 꺼릴 것도 없고, 무기는 바로 자기 손 안에 있으니까." === 완벽 투영 - {투영 이름}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뉴럴 뱅크시3.png|width=100%]]}}} || || 일러스트레이터 || || || 입수방법 || 마인드 확장 ★★★★ 달성 || || 적용범위 || [[뉴럴 클라우드/마그라세아 패션#Live2D|[include(틀:뉴럴 클라우드/Live2D)]]] || > 마그라세아에 들어온 인형의 마인드맵으로 투영한 의상과 환경으로, 현실 세계에서의 삶을 비춥니다. >---- > "색깔과 선도 날카로운 언어다." === [anchor(학교 종소리)][[뉴럴 클라우드/마그라세아 패션#학교 종소리|학교 종소리]] - 하늘 색깔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뉴럴 뱅크시 스킨1.png|width=100%]]}}} || || 일러스트레이터 || 做做乌贼 || || 입수방법 || 상점 구매 || || 적용범위 || [[뉴럴 클라우드/마그라세아 패션#3D모델|[include(틀:뉴럴 클라우드/3D모델)]]] || > [학교 종소리 시리즈] >---- > 뱅크시는 자주 수업 시간에 빠져나가 자신의 발상을 학교의 어느 벽에 기록합니다. 영감은 번개처럼 스쳐가는 것, 그녀는 누군가가 자신의 이런 행위를 이해해주길 기대하지 않습니다. === [anchor(파도 협주곡)][[뉴럴 클라우드/마그라세아 패션#파도 협주곡|파도 협주곡]] - 백사장 파티 (Live2D)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pic_banxsy_swimsuit.png|width=100%]]}}} || || 일러스트레이터 || 做做乌贼 || || 입수방법 || 상점 구매 || || 적용범위 || 3D모델[*SD], Live2D[*Live2D Live2D가 추가됨.] || > "파도 협주곡" 시리즈 - 인체 역학과 패션의 결합. 당당하게 몸매를 뽐내면서 푸른 파도를 가르고 나아가세요. 새하얀 모래밭 위의 난장판 파티는 그야말로 뱅크시를 위한 무대죠. 불꽃놀이, 물총하고 커다란 스피커, 그리고 구석에서 잠시 쉬고 있는 그녀. >---- > "모처럼 벌어진 카니발인데 맘껏 즐겨야 하지 않겠어?" == 인형 관계 == * '''친구''' - 그루브, 헬릭스 == 대사 == ||<-2>
'''{{{#ffffff,#dddddd 기본 보이스}}}''' || || '''아침 인사'''[br]{{{-1 MORNING}}} ||什么嘛……这么早就起来工作……[br]뭐야아... 이렇게 일찍부터 일이라고...? || || '''낮 인사'''[br]{{{-1 AFTERNOON}}} ||喂,差不多该休息休息了吧?[br]저기, 슬슬 쉬는 게 어때? || || '''저녁 인사'''[br]{{{-1 EVENING}}} ||夜晚的时间只属于私人。[br]밤은 개인적인 시간이지. || || '''밤 인사'''[br]{{{-1 MIDNIGHT}}} ||现在是午夜时分,好戏该拉开帷幕了。[br]밤이 깊었네. 재밌는 일이 생길 것 같다. || || '''메인화면 대사 1'''[br]{{{-1 DIALOGUE1}}} ||人应该忠实于自身的欲望和想法,人形也一样,绝不能终其一生都被拘束于条框之中。[br]자신의 욕망에 충실하는 건 좋은 일이야. 인형도 그래, 평생 틀에 박혀 살 수만은 없다고. || || '''메인화면 대사 2'''[br]{{{-1 DIALOGUE2}}} ||没有任何人能限制我的行动。只要我想去,那就没有我去不了的地方。[br]난 누구의 지시도 받지 않아. 마음만 먹으면 어디로든 갈 수 있어. || || '''메인화면 대사 3'''[br]{{{-1 DIALOGUE3}}} ||睡相真难看。[br]자는 꼴 좀 봐... || || '''대화 1'''[br]{{{-1 INTERACT1}}} ||哼……[br]흥... || || '''대화 2'''[br]{{{-1 INTERACT2}}} ||怎么了?[br]아 뭔데. || || '''대화 3'''[br]{{{-1 INTERACT3}}} ||呃……好奇怪的感觉。[br]으... 징그럽게스리 진짜. || || '''획득'''[br]{{{-1 GAIN}}} ||坂口希,穿梭在城市街头的Artist,任何人都无法捕捉到我的尾迹。[br]뱅크시. 이 골목길이 본거지인 스트리트 아티스트다. 아무도 내 발끝조차 따라잡지 못하지. || || '''재능 돌파'''[br]{{{-1 LEVELUP}}} ||在这儿留下艺术的痕迹吧。[br]여기다 내 발자취를 남길까. || || '''마인드 확장'''[br]{{{-1 RANKUP}}} ||我着手迎接更大胆、更刺激的挑战了。[br]더 대담하고 쿨한 걸로 부탁해! || || '''부대 편입'''[br]{{{-1 FORMATION}}} ||随便怎么样了。[br]아무렴 어때. || || '''전투 시작'''[br]{{{-1 BATTLE}}} ||每一处皆是我的战场。[br]어디든 나의 전장이지. || || '''궁극기'''[br]{{{-1 SKILL}}} ||别想逃掉![br]어딜 도망가! || || '''MVP 1'''[br]{{{-1 MVP1}}} ||无足挂齿的杂鱼而已。[br]잔챙이였네, 시시해라. || || '''MVP 2'''[br]{{{-1 MVP2}}} ||呿,浪费时间……[br]쳇, 시간만 낭비했잖아... || || '''쓰러짐'''[br]{{{-1 RETREAT}}} ||居然栽在这种敌人身上……[br]이딴 녀석한테 당하다니... || || '''서약'''[br]{{{-1 OATH}}} ||誓约?嘛,听上去感觉不错。而且,你与我之间是互相信任的吧?这样的话就没问题了吧。[br]서약~? 흥... 괜찮겠네. 애당초, 이미 서로 신뢰하는 관계 아니야, 너랑 나. 그럼 아무 문제 없잖아? || || '''타이틀 콜'''[br]{{{-1 TITLE}}} ||云图计划[br]뉴럴 클라우드. || == 기타 == * 이름인 坂口希는 단순히 Banxsy를 [[중국어]]로 음차한 표기인데, 일본어 보이스로는 캐릭터 이름을 한자를 일본식으로 훈독한 '사카구치 노조미(坂口 希)'로 녹음되어 있다. 잘못 녹음되어 있는게 아니냐는 추측도 있었으나, 2022년 8월 31일에 공개된 일섭 정보에서도 사카구치 노조무로 소개되면서 일섭 한정으로 이름이 다르다는게 확정되었다. * 캐릭터 이름의 모티브는 [[영국]]의 그래피티 아티스트 [[뱅크시]]. 다만 실존인물 뱅크시의 이름은 Banksy로, 알파벳 철자가 다르다. * 진, 이블린 등과 함께 픽업 목록에 꾸준히 오르는 캐릭터 중 하나로, 남캐인 진에 어그로가 끌려 상대적으로 묻히는 부분이지만, 캐릭터 가챠의 실질적인 적폐는 이쪽에 가깝다. 몇번 빠지기라도 한 진과는 달리 뱅크시는 거의 빠진 적이 없다시피하기 때문. 다만 그래도 여캐라서 그런지 어그로가 끌리는 빈도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 == 둘러보기 == [include(틀:뉴럴 클라우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