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50년 출생]][[분류:프랑스계 영국인]][[분류:복수국적자]][[분류:영국의 작사가]][[분류:영국의 시인]][[분류:영국의 화가]][[분류:영국 남가수]][[분류:영국의 음악 프로듀서]][[분류:영국의 무종교인]][[분류:작곡가 명예의 전당 헌액자]][[분류: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분류:대영제국 훈장 3등급]] [include(틀:엘튼 존)] || '''버니 토핀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파일:5ARYZvK4L2afx8AcWcf6kF-1.jpg|width=60]] {{{+1 '''[[로큰롤 명예의 전당|{{{#DAA520 로큰롤 명예의 전당}}}]] {{{#DAA520 헌액자}}} ''' }}} || ||<-2><^|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DAA520 이름}}}''' || '''{{{#DAA520 버니 토핀[br]BERNIE TAUPIN}}}''' || || '''{{{#DAA520 헌액 부문}}}''' || '''{{{#DAA520 음악적 우수상 (Award for Musical Excellence)}}}''' || || '''{{{#DAA520 멤버}}}''' || '''{{{#DAA520 (개인 자격)}}}''' || || '''{{{#DAA520 입성 연도}}}''' || '''{{{#DAA520 2023년}}}''' ||}}}}}}}}} || ---- ||<-2>
[[파일:songwriters-hall-of-fame-logo_770_441_90_s.jpg|width=50]] {{{+1 '''[[작곡가 명예의 전당|{{{#ffd700 작곡가 명예의 전당}}}]] {{{#ffd700 헌액자}}} ''' }}}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d700 이름}}}''' || '''{{{#ffd700 버니 토핀[br]BERNIE TAUPIN}}}''' || || '''{{{#ffd700 멤버}}}''' || {{{#ffd700 (버니 토핀)}}} || || '''{{{#ffd700 입성 연도}}}''' || '''{{{#ffd700 1992년}}}''' [[https://www.songhall.org/profile/Bernie_Taupin|출처 참조]] ||}}} || ---- ||<-5>
{{{#e5d85c '''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e5d85c 아카데미 시상식}}}]]''' }}} || ||<-5> [[파일:oscar_logo.svg|width=80]] || ||<-5> {{{#e5d85c '''주제가상'''}}} || || ''' [[제91회 아카데미 시상식|제91회]] [br] ([[2019년]]) ''' || {{{+1 → }}} || '''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제92회]] [br] ([[2020년]]) ''' || {{{+1 → }}} || ''' [[제93회 아카데미 시상식|제93회]] [br] ([[2021년]]) ''' || || Shallow[br] [[레이디 가가]], [[마크 론슨]],[br]앤소니 로소먼도 & 앤드루 와이어트[br]([[스타 이즈 본]]) || {{{+1 → }}} || '''[[(I'm Gonna) Love Me Again]][br][[엘튼 존]], 버니 토핀[br]([[로켓맨(영화)|로켓맨]])''' || {{{+1 → }}} || Fight for You[br] 디마일, [[H.E.R.]], 티아라 토마스[br]([[유다 그리고 블랙 메시아]]) || ---- ||<-5>
{{{#e5d85c ''' 역대 [[골든글로브상|{{{#e5d85c 골든 글로브 시상식}}}]]''' }}} || ||<-5> [[파일:goldenglobe.png|width=55]] || ||<-5> {{{#e5d85c '''주제가상 수상작'''}}} || || ''' 제62회 [br] ([[2005년]]) ''' || {{{+1 → }}} || ''' 제63회 [br] ([[2006년]]) ''' || {{{+1 → }}} || ''' 제64회 [br] ([[2007년]]) ''' || || Old Habits Die Hard[br][[믹 재거]], 데이비드 A. 스튜어트[br]([[알피]]) || {{{+1 → }}} || '''A Love That Will Never Grow Old[br]구스타보 산타올라야, 버니 토핀[br]([[브로크백 마운틴]])''' || {{{+1 → }}} || Song of the Heart[br][[프린스(음악가)|프린스]][br]([[해피 피트]]) || || ''' [[제76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제76회]] [br] ([[2019년]]) ''' || {{{+1 → }}} || ''' [[제77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제77회]] [br] ([[2020년]]) ''' || {{{+1 → }}} || ''' [[제78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제78회]] [br] ([[2021년]]) ''' || || Shallow[br][[레이디 가가]], [[마크 론슨]],[br]안소니 로소먼도 & 앤드류 와이어트[br]([[스타 이즈 본]]) || {{{+1 → }}} || '''[[(I'm Gonna) Love Me Again]][br][[엘튼 존]], 버니 토핀[br]([[로켓맨(영화)|로켓맨]])''' || {{{+1 → }}} || Io sì (Seen)[br]니콜로 알리아르디,[br]라우라 파우지니, 다이앤 워런[br](자기 앞의 생) ||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0%, #FFF 20%, #FFF 80%, #FFF )" [[롤링 스톤|[[파일:롤링 스톤 로고.svg|width=80]]]] {{{+1 [[롤링 스톤 선정 100대 송라이터|{{{#CE0000 '''선정 가장 위대한 송라이터'''}}}]]}}}}}} || ||<-5><^|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5> {{{-2 {{{#000,#ddd ※ [[롤링 스톤]]이 2015년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송라이터를 선정한 순위다. }}} }}} || ||<:>'''{{{#white 41위}}}'''||<:>'''{{{#white 42위}}}'''||<:>'''{{{#white 43위}}}'''||<:>'''{{{#white 44위}}}'''||<:>'''{{{#white 45위}}}'''|| || [[맥스 마틴]] ||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 [[조니 캐시]] || [[지미 웹]] || [[더 밴드|로비 로버트슨]] || ||<:>'''{{{#white 46위}}}'''||<:>'''{{{#white 47위}}}'''||<:>'''{{{#white 48위}}}'''||<:>'''{{{#white 49위}}}'''||<:>'''{{{#white 50위}}}'''|| || [[노먼 휘트필드]] &[br][[바렛 스트롱]] || [[닐 다이아몬드]] || [[엘튼 존]] & '''버니 토핀''' || [[이글스(밴드)|돈 헨리 & 글렌 프리]] || [[빌리 조엘]] || ||<-5> {{{-2 {{{#000,#ddd [[롤링 스톤 선정 100대 송라이터|모든 순위는 문서 참조.]]}}} }}} || ||<-5> {{{-2 {{{#000,#ddd 같이 보기: [[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1~10위)|명반]], [[틀:롤링 스톤 선정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아티스트]], [[틀:롤링 스톤 선정 가장 위대한 기타리스트|기타리스트]], [[틀:롤링 스톤 선정 가장 위대한 가수|가수]], [[틀:롤링 스톤 선정 가장 위대한 드러머|드러머]]}}} }}} ||}}}}}}}}} || ---- }}} || ||<-2>
'''{{{+1 버니 토핀}}}[br]Bernie Taupin[br] CB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assets.rollingstone.com/1035x1297-L1007906.jpg|width=100%]]}}} || || '''이름''' ||Bernard John Taupin[br]{{{-1 버나드 존 토핀}}} || ||<|2> '''출생''' ||[[1950년]] [[5월 22일]] {{{-1 ([age(1950-05-22)]세)}}} || ||[[잉글랜드]] [[링컨|링컨셔]] 슬리퍼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직업''' ||[[작사가]], [[시인(문학)|시인]], [[가수]], [[미술가]], [[프로듀서]] ||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taupin-bernie.gif|width=1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악기''' ||[[보컬]] || || '''장르''' ||[[록 음악|록]], [[팝 음악|팝]], [[컨트리 뮤직]] || || '''활동 기간''' ||[[1967년]] ~ || || '''데뷔''' ||[[1971년]] 정규 1집 《Taupin》 || || '''민족''' ||[[영국인]] || || '''신체''' ||168cm || || '''소속 그룹''' ||팜 독스 ^^(1996-1998)^^ || || '''종교''' ||[[무종교]] || || '''별명''' ||[[Captain Fantastic and the Brown Dirt Cowboy|Brown Dirt Cowboy]] || || '''재산''' ||$150 Million ^^(약 1,600억 원)^^[* [[https://www.celebritynetworth.com/richest-celebrities/singers/bernie-taupin-net-worth/|Bernie Taupin Net Worth | TheRichest]]] || || '''부모''' ||^^'''부'''^^ 로버트 토핀 ^^(1911-1994)^^[br]^^'''모'''^^ 대프니 토핀[* 결혼 전 성은 코트] ^^(1921-2016)^^ || || '''형제''' ||^^'''형'''^^ 토니 토핀 ^^(1948-)^^[br]^^'''남동생'''^^ 키트 토핀 ^^(1961-)^^ || || '''배우자''' ||맥신 파이블먼 ^^(1971년 결혼, 1976년 이혼)^^[br]토니 린 루소 ^^(1979년 결혼, 1991년 이혼)^^[br]스테프니 헤임즈 ^^(1993년 결혼, 1998년 이혼)^^[br]헤더 린 하진스 토핀[* 결혼 전 성은 키드] ^^(2004년 결혼)^^ || || '''자녀''' ||^^'''장녀'''^^ 찰리 인디애나 토핀 ^^(2005년생)^^ [br] ^^'''차녀'''^^ 조지 데본 토핀 ^^(2007년생)^^ || ||<|2> '''링크''' ||[[https://www.bernietaupinart.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https://www.instagram.com/bernietaupin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 || [목차][clearfix] == 개요 == [[영국]]의 [[작사가]], [[가수]], [[시인(문학)|시인]], [[예술가]], [[프로듀서]]이다. 영국의 팝 록 뮤지션 [[엘튼 존]]과 함께 1967년부터 장기간의 작사/작곡 협업을 이룬 작사가로 유명하다. == 생애 == === 어린 시절 === 1950년 5월 22일, 버나드 존 토핀은 영국 링컨셔주 슬리퍼드 근처 앤윅에서 농장 관리인 아버지 로버트 토핀과 어머니 대프니 토핀의 3형제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버니 토핀의 친조부모는 프랑스인이고 아버지 로버트 토핀은 버마 종군 기장과 조지 십자 훈장을 받은 [[제2차 세계 대전]] 참전용사이다.[* 아버지와 제2차 세계 대전 참전용사들을 기리는 곡 [[https://www.youtube.com/watch?v=WMGQhqTL9PQ|Oceans Away를 설명하는 버니 토핀]]] 형제들로는 2살 많은 형 토니 토핀과 11살 어린 남동생 키트 토핀이 있다.[* Sir Elton: The Definitive Biography, 64 페이지]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이 1969년 쓰고 1970년 발매한 곡 [[The Greatest Discovery]]가 토니 토핀에 대한 곡이다.[* Bernie Taupin: The One Who Writes the Words for Elton John, Bernie Taupin[br]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1: It’s a Little Bit Funny[br][[http://ultimateclassicrock.com/elton-john-bernie-taupin-lyrics/|관련 자료: Top 10 Bernie Taupin Lyrics]]] 버니 토핀은 아버지의 농장에서 전원생활을 하면서 성장했다. 고전을 가르친 외할아버지 존 레너드 패칫 코트와 어머니 대프니 토핀을 통해 [[판타지]]와 [[문학]], 대중매체에 큰 관심을 가졌는데 특히 미국의 서부 문화에 매료했다. 10대 때부터 시를 쓰는 걸 좋아했고 대중음악에도 큰 관심을 가졌다.[* Elton John: The Biography, 66~67 페이지] 16살이던 1966년에 학교를 자퇴했고 지역 신문사의 기계실과 슬롯머신 정비공, 양계장 등 다양한 일을 했다.[* 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98 페이지[br]Elton John: The Biography, 68 페이지] === 작사 활동 === 1967년 6월 17일, 버니 토핀은 [[NME|뉴 뮤지컬 익스프레스]] 잡지에 실린 리버티 레코드의 신인 작곡가/작사가를 모집한다는 광고를 접했다. 당시 리버티 레코드에서 일했던 [[A&R]] 프로듀서이자 해당 광고를 실은 레이 윌리엄스에게 연락하여 자신이 직접 작사한 시들을 우편으로 부쳤다.[* [[https://books.google.co.kr/books?id=IlPBBwAAQBAJ&pg=PT546&lpg=PT546&dq=bernie+taupin+ray+williams+1967+letter&source=bl&ots=pwURxzH5Ts&sig=ACfU3U0NRF9BRqu5AcAhr-uEaPdATLbTnQ&hl=ko&sa=X&ved=2ahUKEwio_qSeuPvxAhWDyosBHRXfCDoQ6AEwE3oECBcQAw#v=onepage&q=bernie%20taupin%20ray%20williams%201967%20letter&f=false|The Great British Dream Factory: The Strange History of Our National Imagination]]] 레이 윌리엄스는 같은 광고를 보고 연락한 영국 피너 출신의 무명 작곡가이자 R&B 밴드 '블루솔로지'에서 활동했던 [[레지널드 케네스 드와이트]]와 버니 토핀의 잠재력을 느꼈고, 버니 토핀의 가사들을 레지 드와이트에게 넘기면서 자연스레 협업을 키웠다.[* [[https://books.google.co.kr/books?id=1wkEAAAAMBAJ&pg=PA56&redir_esc=y#v=onepage&q&f=false|1997년 10월 4일자 빌보드]][br][[https://archive.is/E7Crq|The Ad That Rocketed Two Careers…50 Years On]]] 이후 [[엘튼 존]]이라는 예명으로 활동하게 된 레지 드와이트는 1972년에 '엘튼 허큘리스 존'으로 법적 개명했다.[* [[http://archive.is/tS6GC|엘튼 존의 1972년 연대기]], [[http://3.bp.blogspot.com/_RL4UuEhnH1Y/SxrfAPMSZ9I/AAAAAAAADOE/T-TvKQiEiBc/s1600-h/deed_poll_certificate_for_elton_john.jpg|증명사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Elton_John_Bernie_Taupin_1971.jpg|width=100%]] || || 버니 토핀과 엘튼 존 (1971년) || 리버티 레코드는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을 받아주지 않았지만 레이 윌리엄스는 사무적인 관계를 가졌던 대형 음반사인 영국 런던 웨스트민스터의 뉴 옥스퍼드 스트리트에 운영되었던 딕 제임스 뮤직 레코드(Dick James Music, DJM)을 추천해 주며 두 사람을 도와주었다.[* [[Elton: Jewel Box]] 라이너 노트] 레이 윌리엄스는 버니 토핀이 작사한 "Scarecrow"라는 가사를 엘튼 존에게 전달했고 엘튼 존은 그 가사를 보며 곡을 작곡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KGw0kFUK40o|엘튼 존 - Scarecrow (1967)]]] 이어서 "A Dandelion Dies in the Wind", "Velvet Fountain" 같은 곡들도 동일한 방식으로 작업하면서 두 사람이 작업한 첫 번째 곡들이 되었다.[* Elton: Jewel Box 라이너 노트] 1967년과 1970년 사이에 쓴 대부분의 곡들은 2020년 11월 발매된 컴필레이션 앨범이자 8CD 박스 세트 [[Elton: Jewel Box]]에 수록되기 전까지 오랫동안 공개되지 않있다.[* Elton: Jewel Box 라이너 노트] 처음에는 얼굴도 모르고 우편을 통해 곡들을 작업한 사이였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DJM 레코드의 레코딩 스튜디오에서 처음 만났고 친한 친구로 발전했다.[* Elton John: The Biography, 71 페이지]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은 만나기 전에 20곡 정도를 작곡했고, 만난 이후에도 수십 곡 이상을 더 작업했다.[* [[https://books.google.co.kr/books?id=1wkEAAAAMBAJ&pg=RA1-PA116&lpg=RA1-PA116&dq=billboard+4+oct+1997+elton+john&source=bl&ots=I_I-izAK3B&sig=ACfU3U11bpS4pmLzfBsPbu7Nqtro4k_kuA&hl=ko&sa=X&ved=2ahUKEwip9cSu6vHnAhVJM94KHaatCPYQ6AEwB3oECAsQAQ#v=onepage&q=billboard%204%20oct%201997%20elton%20john&f=false|1997년 10월 4일 빌보드]][br]Elton: Jewel Box 라이너 노트] 1967년 11월 DJM 레코드와 계약한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은 대중적인 팝 음악을 작업하라는 임무를 수행했고, 1968년부터 다른 가수들을 위한 곡들을 쓰는 작사/작곡가 직원으로 수개월간 일했다.[* [[https://books.google.co.kr/books?id=efshBAAAQBAJ&pg=PA212&dq=elton+john+the+big+picture&hl=ko&sa=X&ved=0ahUKEwins_eB5qHUAhVEzbwKHWqbDqI4FBDoAQhiMAk#v=onepage&q=elton%20john%20the%20big%20picture&f=false|30, 40대가 좋아하는 팝아티스트, 209 페이지]][br]Tin Pan Alley: The Rise of Elton John, 110~120 페이지] 이후 1969년 1월 발매한 엘튼 존의 싱글 [[Lady Samantha]]와 동년 5월 발매한 후속 싱글 [[It's Me That You Need]], 6월 발매한 정규 1집 [[Empty Sky]]로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은 한층 수준을 높인 자신들만의 음악을 하기 시작했다. 《Empty Sky》 녹음에 앞서 1967년 11월부터 1968년 5월까지 첫 앨범 [[Regimental Sgt. Zippo]]를 작업했지만 발매가 취소되었고, 해당 앨범은 2021년 6월에 정규 34집으로 발매되기 전까지 53년간 공개되지 않았다.[* [[https://www.eltonjohn.com/stories/regimental-sgt.-zippo-in-detail|Regimental Sgt. Zippo - In Detail]]] 엘튼 존의 어머니 실라 페어브라더와 의붓아버지 프레디 페어브라더가 1962년부터 1971년까지 거주했던 런던 노스우드 힐스 프롬 코트의 8가구 아파트에서 지내며 수많은 곡들을 작업했는데, 특히 1969년부터 곡을 만드는 방식이 더욱 세밀해지면서 음악적으로 일취월장했다.[* Elton John: The Biography, 94 / 99 페이지] 당시 침실에서 작사를 마친 버니 토핀은 거실에 있는 엘튼 존에게 가사를 전달했고, 엘튼 존은 가사를 보면서 피아노를 연주하며 10~20분 만에 곡을 작곡했다. 한 곡이 완성되면 다시 안방으로 들어가 새 가사를 쓰기 시작하는 방식으로 작업한 대부분의 곡들을 1970년 정규 2집 [[Elton John(음반)|Elton John]], 1970년 정규 3집 [[Tumbleweed Connection]]에 수록했다. 두 사람의 음악 인생을 대표하는 곡 [[Your Song]]도 이 시기에 탄생했다. 이 시기는 2019년 뮤지컬 전기 영화 [[로켓맨(영화)|로켓맨]]에서 "Your Song"을 작곡하는 장면으로 묘사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IAePZ3OFJrE|로켓맨 - Your Song 장면]]]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ltonJohnPiano.jpg|width=100%]] || || 프롬 코트 아파트에서 곡들을 작곡하며 사용한 1910년형 흰색 에이데이 업라이트 피아노 || 1970년 8월 25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웨스트 할리우드의 트루버도어 클럽에서 열린 엘튼 존의 미국 진출 공연들은 큰 반응을 얻는 데 성공했고, 1970년 정규 2집 [[Elton John(음반)|Elton John]]은 영국과 미국 [[빌보드 200]] 상위권에 진입하는 성공을 맞이하며 무명에서 벗어났다.[* [[https://www.latimes.com/entertainment/music/la-et-ms-elton-john-1970-at-the-troubadour-hilburn-20190523-story.html|엘튼 존의 미국 진출을 극찬한 로버트 힐번의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기사]]] 이후 [[Tiny Dancer]], [[Rocket Man]], [[Crocodile Rock]], [[Goodbye Yellow Brick Road(노래)|Goodbye Yellow Brick Road]], [[Bennie and the Jets]], [[Candle in the Wind]], [[Don't Let the Sun Go Down on Me]], [[Don't Go Breaking My Heart]], [[Too Low for Zero#s-6.1.2|I'm Still Standing]], [[Breaking Hearts#s-6.2.5|Sad Songs (Say So Much)]], [[Ice on Fire#s-6.1.4|Nikita]], [[Sleeping with the Past#s-7.2.2|Sacrifice]], [[Made in England#s-7.1|Believe]], [[I Want Love]] 등 히트곡들을 수십 년간 배출했고 대부분의 앨범들을 작업하면서 왕성한 활동을 펼쳤다. 1975년 5월 발매한 정규 9집이자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이 협업을 시작하고 신인스타 반열에 오르기 전까지의 무명 시절을 묘사한 자전적 앨범 [[Captain Fantastic and the Brown Dirt Cowboy]]를 통해 음악적 역량이 최고조에 다다랐다며 호평을 받았다. 이 앨범으로 엘튼 존은 '캡틴 판타스틱(Captain Fantastic)', 버니 토핀은 '갈색 카우보이(Brown Dirt Cowboy)'라는 별명이 생겼다. 2006년 9월에는 무명 이후 30년 동안의 이야기를 다룬 정규 30집 [[The Captain & the Kid]]를 발매했다. 1967년부터 10년 가까이 쉬지 않고 작사/작곡 협업을 이어왔던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은 서로에게 약간의 자유가 필요하다고 판단했고, 1976년 정규 11집 [[Blue Moves]] 발매 이후로 잠시 갈라섰다. 다만 개인적인 불화는 아니었다.[* Elton John: The Biography, 232 페이지] 1970년대 후반 당시 버니 토핀은 [[앨리스 쿠퍼]]와 멜리사 맨체스터 등 여러 뮤지션들과 협업했고, 엘튼 존은 영국의 작사가이자 뮤지션 게리 오스본과의 첫 번째 협업이 된 정규 12집 [[A Single Man]]을 1978년 발매했다. 이후 버니 토핀과 엘튼 존은 1980년 정규 14집 [[21 at 33]]를 녹음했던 1979년 여름, 프랑스 남부에서 협업을 다시 시작했고 1983년 정규 17집 [[Too Low for Zero]]부터 예전의 방식으로 돌아갔다.[*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36: Back in the U.S.S.A.[br]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135 페이지] 앨리스 쿠퍼의 1978년 정규 4집 《From the Inside》에 참여하여 모든 수록곡들을 작사했고, [[스타십#s-3|스타십]]의 1985년 빌보드 핫 100 1위 곡 [[We Built This City]], [[하트(밴드)|하트]]의 1986년 빌보드 핫 100 1위 곡 "These Dreams"를 작사하는 등 다양한 뮤지션들과 협업했다.[* [[https://www.discogs.com/Alice-Cooper-From-The-Inside/release/5000991|From the Inside 음반 정보]], [[https://www.discogs.com/Starship-We-Built-This-City/release/1580339|We Built This City 음반 정보]][br][[https://www.discogs.com/Heart-These-Dreams/release/938558|These Dreams 음반 정보]], [[https://davesgenxblog.wordpress.com/taupin-lyrics-by-other-artists/|Taupin Lyrics by Other Artists]]]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데이비드 애클스의 1972년 정규 3집 《American Gothic》, 미국의 그룹 더 허드슨 브라더스의 1974년 정규 2집 《Totally Out of Control》, 1975년 정규 4집 《Ba-Fa》에서 프로듀싱을 맡기도 했다.[* 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100 페이지] 2005년 영화 [[브로크백 마운틴]]의 주제가이자 2006년 제63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 주제가상 수상작 "A Love That Will Never Grow Old"의 가사를 작사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HVo9ujZGpnM|에밀루 해리스 - A Love That Will Never Grow Old (2005)]]] 2019년 개봉한 뮤지컬 전기 영화 [[로켓맨(영화)|로켓맨]]에서는 [[제이미 벨]]이 버니 토핀을 연기했다. 버니 토핀은 엘튼 존과 함께 영화 주제가 [[(I'm Gonna) Love Me Again]]을 썼으며, 이 곡으로 2020년 [[제77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과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주제가상을 수상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aXmzzyM41g&t=3s|골든 글로브 주제가상을 수상한 버니 토핀과 엘튼 존]][br][[https://www.youtube.com/watch?v=Ph_C7mCb8HQ|아카데미 주제가상을 수상한 버니 토핀과 엘튼 존]]] 2023년 9월에는 자서전 〈Scattershot: Life, Music, Elton and Me〉를 출간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7BChWdv7buA&pp=ygUpYmVybmllIHRhdXBpbiBpbnRlcnZpZXcgMjAyMyBhdXRvYmlvZ3JhcGg%3D|버니 토핀 인터뷰 (2023년 9월 14일)]]] === 솔로 활동 === 가수로 활동하기도 했다. 자신의 앨범들에서는 노래와 작사를 맡았고 작곡은 미국의 록 뮤지션 데니스 투파노와 영국의 록 뮤지션 마틴 페이지가 주로 맡았다. 데니스 투파노는 1980년 정규 2집 《He Who Rides the Tiger》에서 작곡을 맡았고, 마틴 페이지는 1987년 정규 3집 《Tribe》에서 작곡을 맡았다.[* [[https://www.discogs.com/ko/Bernie-Taupin-He-Who-Rides-The-Tiger/release/3128565|He Who Rides the Tiger 음반 정보]][br][[https://www.discogs.com/ko/Bernie-Taupin-Tribe/release/2179016|Tribe 음반 정보]]] ||
[[파일:external/www.vinylvendors.com/bernietaupin413364.jpg|width=100%]] || || 1987년 Citizen Jane 싱글 || 1971년 정규 1집 《Taupin》은 모든 곡들을 시처럼 읽은 스포큰 워드 앨범이며, 1980년 정규 2집 《He Who Rides the Tiger》와 1987년 정규 3집 《Tribe》에서는 록/팝 음악을 시도했다. 세 앨범 모두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지만 정규 2집 《He Who Rides the Tiger》는 평단으로부터 우수한 수작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https://www.allmusic.com/album/he-who-rides-the-tiger-mw0000372539|He Who Rides the Tiger 올뮤직 리뷰]]] 1987년 정규 3집 《Tribe》의 수록곡 "Citizen Jane", "Friend of the Flag"를 싱글로 발매했고 뮤직비디오도 제작되었다. 《Tribe》는 발매 당시 호주 앨범 차트에서 87위를 기록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cUXQBorZil4|Citizan Jane 뮤직비디오]], [[https://www.youtube.com/watch?v=ozlRgwHUo0g|Friend of the Flag 뮤직비디오]]] 1980년대 당시 버니 토핀의 배우자였던 모델 토니 루소는 《He Who Rides the Tiger》 표지에 같이 등장했고, 토니 루소의 언니 [[르네 루소]]는 그 인연으로 "Citizen Jane", "Friend of the Flag" 뮤직비디오에 출연했다.[* [[https://images-na.ssl-images-amazon.com/images/I/61j63SVEfYL._SL1000_.jpg|He Who Rides the Tiger 표지]][br][[https://www.imdb.com/name/nm0000623/otherworks|르네 루소 - IMDb]]] 엘튼 존은 버니 토핀의 1980년 정규 2집 《He Who Rides the Tiger》의 수록곡 "Love (The Barren Desert)", 1987년 정규 3집 《Tribe》의 수록곡 "Citizen Jane", "Billy Fury"에서 백 보컬을 맡기도 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sPLH5V9ecI|버니 토핀/엘튼 존 - Love (The Barren Desert) (1980)]][br][[https://www.youtube.com/watch?v=3-V_6xe-RHo|버니 토핀/엘튼 존 - Billy Fury (1987)]][br][[https://www.youtube.com/watch?v=QVcbloDTzXg|버니 토핀/엘튼 존 - Citizen Jane (1987)]]] 1996년에는 데니스 투파노와 영국의 록 뮤지션들 짐 크레건, 로빈 르 메주리어와 함께 컨트리 록 밴드 '팜 독스(Farm Dogs)'를 결성하여 1996년 《Last Stand in Open Country》와 1998년 《Immigrant Sons》까지 2장의 정규 앨범들을 발매했다.[* [[https://www.allmusic.com/artist/farm-dogs-mn0000176927/biography|Farm Dogs | Biography & History | AllMusic]]] 팜 독스의 데뷔 앨범 《Last Stand in Open Country》는 평단으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https://www.allmusic.com/album/last-stand-in-open-country-mw0000189508|올뮤직의 Last Stand in Open Country 리뷰]]] 정규 2집 《Immigrant Sons》 발매 시기인 1998년 초반에는 미국 각지의 클럽들에서 순회공연을 돌기도 했는데, 이해 2월 10일에는 엘튼 존의 첫 번째 미국 공연들이 열렸던 웨스트 할리우드의 트루버도어 클럽에서 공연을 열었다.[* [[https://www.latimes.com/archives/la-xpm-1998-feb-13-ca-18534-story.html|Taupin and the Farm Dogs Have a Peaceful, Easy Feeling]]] [[윌리 넬슨]]은 팜 독스의 정규 1집 《Last Stand in Open Country》의 타이틀 트랙 "Last Stand in Open Country"를 커버하여 자신의 2002년 앨범 《The Great Divide》에 수록했는데, 버니 토핀이 이 앨범에 참여하며 수록곡 "Mendocino County Line"을 작사하기도 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b0itBxQHb70|윌리 넬슨 - Last Stand in Open Country (2002)]], [[https://www.youtube.com/watch?v=RgFGMkNgZ3w|윌리 넬슨/리 앤 워맥 - Mendocino County Line (2002)]]] 팜 독스 이후로 솔로 활동을 하지 않았다. === 시각 예술가 활동 === 예술가 활동도 자주 선보였으며, 자신이 제작한 [[시각 디자인|시각 예술]] 작품들을 전시회와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https://www.bernietaupinart.com/recent-work/|버니 토핀 홈페이지]]]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의 작사/작곡 협업 50주년을 기념한 2018년 헌정 앨범 [[Restoration: Reimagining the Songs of Elton John and Bernie Taupin]]의 [[앨범 아트]]는 버니 토핀이 제작했다.[* [[http://www.eltonjohnworld.com/index.php/news/6195-two-discs-pay-tribute-to-elton-and-bernie|Two Discs Pay Tribute to Elton And Bernie]]] 2019년 3월에는 히트곡들의 가사를 바탕으로 한 12장의 삽화들을 1개 작품당 친필 사인도 포함하여 50장 한정으로 판매했다.[* [[https://taupinreflections.com/|버니 토핀이 제작한 삽화들]]] == 엘튼 존 == ||
[[파일:external/a.abcnews.com/GTY-elton-john-bernie-taupin-jt-170316_12x5_1600.jpg|width=100%]] || || 2017년 3월 25일, 엘튼 존 에이즈 재단 주최로 진행된 엘튼 존의 70세 생일/버니 토핀과의 협업 50주년 행사에서 || 버니 토핀과 엘튼 존은 서로의 작사/작곡 능력을 존중하는 음악적 동반자이자 형제 같은 친구이다. 1967년부터 장기간의 협업을 이어오고 있는 두 사람은 성적으로 엮은 일도 없었을뿐더러, 심한 언쟁을 벌인 적 없다고 밝혔다.[* 2017년 11월 12일 BBC 인터뷰] 존-토핀은 대중음악을 대표하는 작사/작곡 콤비들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https://www.smoothradio.com/features/top-songs/songwriting-partnerships-duos/|관련 자료: The 10 greatest songwriting partnerships ever, ranked]]] 버니 토핀이 먼저 가사를 쓰고 나서 엘튼 존에게 전달하고, 엘튼 존은 완성된 가사를 보면서 피아노를 연주하며 곡을 신속히 작곡했다. 버니 토핀은 작사만 맡고, 엘튼 존은 작곡과 연주만 맡으며 작사/작곡 영역이 딱딱 나눠져 있다. 엘튼 존이 작사에 기여한 적은 있었어도 버니 토핀이 작곡에 기여한 경우는 없다. 두 사람은 같은 장소에 있어도 각각 다른 방에서 곡을 작업했고, 다른 지역에 있을 때는 버니 토핀이 가사를 엘튼 존에게 팩스 또는 이메일로 보내주는 식으로 곡들을 작업했다.[* [[https://www.newyorker.com/magazine/1996/08/26/elton-john-profile-hes-a-little-bit-funny|He’s a Little Bit Funny: Elton John, or how to survive twenty-five years at the top]]] 엘튼 존은 버니 토핀의 가사를 보면서 곡을 신속히 작곡하는 방식을 유지하지만, 가사를 받기 전에 미리 곡 일부를 작곡하거나 곡 전체를 작곡한 경우도 종종 있었다. 가사를 마지막에 입혀서 완성한 곡들로 1976년 곡들 [[Don't Go Breaking My Heart]], [[Blue Moves#s-7.4.3|Idol]], 1978년 곡 [[Blue Moves#s-8.3|Ego]]가 있다.[* [[http://archive.is/IyJzm|엘튼 존 홈페이지의 '거스 더전 인터뷰']][br]Elton John: The Biography, 244 페이지[br]His Song: The Musical Journey of Elton John, 132 페이지] 버니 토핀과 작업한 곡들 중에서 엘튼 존이 작사에 참여한 곡들은 1970년 곡 [[Border Song]], 1976년 곡들 [[Don't Go Breaking My Heart]], [[Sorry Seems to Be the Hardest Word]] 등 손에 꼽힌다.[* Elton John: The Biography, 101 / 229 페이지] 1982년 정규 16집 [[Jump Up!]]을 작업했을 때는 엘튼 존이 먼저 곡을 작곡하고 나서 버니 토핀이 마지막에 가사를 붙이는, 정반대의 방식으로 작업한 곡들을 수록했다. 《Jump Up!》 같은 경우는 1977년부터 1982년, 1986년까지 엘튼 존과 협업했던 영국의 작사가 게리 오스본과의 협업 방식처럼 작업에 임한 것이었지만, 세월이 흘러 버니 토핀은 기존의 방식대로 작업한 수록곡이자 [[존 레논]] 추모곡 [[Jump Up!#s-6.2.2|Empty Garden (Hey Hey Johnny)]]를 제외한 나머지는 형편없다고 밝혔다.[* 2010년 시리우스 XM 라디오 인터뷰[br][[http://archive.is/Fc3Dv|Bernie Taupin on Elton John's New LP: 'It's Kudos All Around']]] 엘튼 존이 버니 토핀에게 재작사를 요청한 경우도 있었다. 1992년 곡 [[The One(음반)#s-8.9|On Dark Street]]는 원래 "All I Ever Wanted Was You"였으나 엘튼 존은 제목이 너무 진부하다고 생각하여 재작사를 요청했다.[* His Song: The Musical Journey of Elton John, 342 페이지] 1997년 곡 [[The Big Picture#s-6.1|Long Way from Happiness]]도 가사 일부를 수정하고 후렴을 재작곡하면서 완성했다.[* His Song: The Musical Journey of Elton John, 445 페이지] == 작사 == 어릴 때부터 접한 다양한 매체와 문학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상상력을 표출한 가사를 즐겨 썼다. 특히 [[서부개척시대]]와 [[금주법/미국|금주법 시대]] 같은 미국 대중문화에 매료했으며, 버니 토핀이 쓴 대부분의 가사는 미국 대중문화의 큰 영향을 받았다.[* [[https://www.app.com/story/entertainment/arts/2018/10/19/bernie-taupin-elton-john-lyricist-true-american-artist/1685681002/|관련 자료: Bernie Taupin, Elton John lyricist, is a True American artist]]] 그 밖에도 유년기의 우상에게 바치는 가사, 고향에 대한 애정과 애증, 악화된 연인 관계, 자신과 엘튼 존에 관한 자전적 가사, 실존 인물 및 가상 인물의 일생을 다룬 가사, 사회·정치적인 가사, 실화를 바탕으로 한 가사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 [[http://archive.is/3ocj8|관련 자료: 가장 뛰어난 버니 토핀 가사 10선]]] 활동 초기에는 곡의 절과 후렴과 세 번째 8마디가 어떤 식으로 구조를 이루어야 효과적인지 초보적으로 이해하고 있었으며, 선율을 생각하지 않고 순수하게 가사를 썼다. 비록 엘튼 존은 작사를 하지 않았지만 편집자와 감독 역할을 맡고 가사에 손질을 가한 기여도 있었다고 한다. 엘튼 존은 선율에 맞추려고 이야기의 흐름과 연결되는 부분들을 가차 없이 편집하면서 작곡했다. 게리 오스본에 의하면 버니 토핀이 준 가사와 엘튼 존이 작업한 가사를 비교하면 절반 정도가 편집되었다고 한다.[* Elton John: The Biography, 133~134 / 248 페이지] 난해한 표현들이 주를 이루는 추상적인 가사와 암울한 가사를 자주 작사한 편이라서 대부분의 엘튼 존 곡들은 가사와 곡 분위기가 상반되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엘튼 존과 쓴 곡들 중에서 자주 오해받거나 확대해석되는 곡들도 있다. 1971년 곡 [[Madman Across the Water(노래)|Madman Across the Water]]는 1972년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하야한 [[리처드 닉슨]]에 대한 곡이라는 주장이 있었지만 워터게이트 사건이 터지기 전인 1970년에 만들어진 곡이다.[* 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184 페이지] 1973년 곡 [[Daniel(노래)|Daniel]]은 [[베트남 전쟁]] 참전용사의 비애를 묘사한 곡이지만 동성 연인에 관한 곡이라고 해석되는 등 각종 오해를 받았으며, 버니 토핀도 자신들이 쓴 곡들 중에서 가장 많은 오해가 생긴 곡이라고 인터뷰에서 밝혔다.[* 〈Two Rooms: A Tribute to Elton John & Bernie Taupin〉] 버니 토핀의 가사들 중에서 엘튼 존이 작곡한 선율과 상반되는 경우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버니 토핀이 엘튼 존의 작곡 능력을 존중하는 것처럼 엘튼 존도 버니 토핀의 가사를 존중하기에 음악적으로는 언쟁을 벌인 적도 거의 없다고 한다. 다만 1976년 정규 11집 [[Blue Moves]]를 작업했을 때 버니 토핀은 첫 결혼 실패의 여파로 인해 망가진 연인 관계에 관해서 노골적으로 드러낸 가사를 썼는데, 엘튼 존은 일부 가사들을 보면서 이건 아니라고 생각했고 곡을 작곡하는 것을 거부했다.[* Elton John: The Biography, 228~229 페이지] 가사에 맞는 선율이 도저히 생각이 나지 않아 어쩔 수 없이 폐기한 경우도 있다. 엘튼 존은 1980년 정규 14집 [[21 at 33]]를 작업했을 때 버니 토핀이 [[밥 딜런]]에 대해서 쓴 가사 "Bobby Went Electric"에 곡을 입히려고 했지만, 좋은 선율이 생각나지 않아 폐기했다. 나중에 곡을 작곡하긴 했지만 발매하지 않았다.[* 2002년 3월 26일 〈Last Call with Carson Daly〉 인터뷰[br]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170 페이지[br][[https://www.youtube.com/watch?v=PWHjYX4pdcw&pp=ygUmZWx0b24gam9obiB0aGUgZGF5IGJvYmJ5IHdlbnQgZWxlY3RyaWM%3D|The Day Bobby Went Electric (미발매곡)]]] == 개인사 == 버니 토핀의 첫 번째 배우자 맥신 파이블먼은 1970년대 초반 당시 엘튼 존이 미국에서 첫 순회공연을 진행했을 때 [[엘튼 존 밴드]] 멤버들의 의상 제작을 담당하던 재봉사였다. 1971년 3월 결혼했지만 1976년 이혼했다.[* [[http://www.eltonjohnworld.com/index.php/archives/137-2008-03-march/2239-amarketrasenmarriage|A Market Rasen Marriage]]] 1971년 곡 [[Tiny Dancer]]에서 언급되는 재봉사(Seamstress for the band)가 맥신 파이블먼이다. 1979년에는 [[르네 루소]]의 여동생이자 모델 토니 린 루소와 결혼했고 1991년 이혼했다. 1993년에는 스테프니 헤임즈(아르헨티나 출신의 미국 배우 딕 헤임즈의 딸)와 결혼했고 1998년 이혼했다. 이후 헤더 린 하진스 키드라는 여성과 2004년 3월 결혼했고 두 딸 찰리 인디애나 토핀, 조지 데본 토핀을 두었다.[* [[https://www.bernietaupinart.com/news/bernie-taupin-elton-john-lyricist-is-a-true-american-artist/attachment/bernie-and-family-true-american-opening-chase-contemporary/|버니 토핀 가족 사진 (2018)]]] 1990년에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다.[* [[https://www.bernietaupinart.com/news/bernie-taupin-sets-l-a-gallery-exhibit-of-american-flag-art-my-day-job-is-being-an-artist/|Bernie Taupin Sets L.A. Gallery Exhibit of American-Flag Art: “My Day Job Is Being an Artist”]]] == 수상 및 서훈 내역 == '''{{{+1 서훈}}}''' * 2022년 [[대영제국 훈장]] 3등급(CBE) ---- '''{{{+1 명예의 전당}}}''' * 작곡가 명예의 전당 헌액(1992년) * 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2023년) ---- '''{{{+1 수상}}}''' * 아이버 노벨로상 8회(1974, 1977(2회), 1986, 1991(2회), 1998년(2회), 노미네이트 11회) * NME상(1974년) * NARM상(1975년) * MTV 비디오 뮤직상(1987년) * OFTA상 3회(2001년, 2006년, 2020년, 노미네이트 6회) * 새틀라이트상(2005년, 노미네이트 2회) * 골든 글로브상 2회(2006년, 2020년, 노미네이트 4회) * ASCAP상(2012년) * 조니 머서상(2013년) * 할리우드 뮤직 인 미디어상(2018년, 노미네이트 3회) * 뉴욕 비평가 협회상(2019년) * 골든더비상(2020년, 노미네이트 2회) * 라티노 엔터테인먼트 비평가협회상(2020년) * 뮤직 시티 영화 비평가 협회상(2020년) * 하와이 비평가협회상(2020년) * 아카데미상(2020년) == 음반 목록 == === 앨범 === || '''발매 연도''' || '''제목''' || ||[[1971년]] {{{-2 (솔로)}}}||Taupin|| ||[[1980년]] {{{-2 (솔로)}}}||He Who Rides the Tiger|| ||[[1987년]] {{{-2 (솔로)}}}||Tribe|| ||[[1996년]] {{{-2 (팜 독스)}}}||Last Stand in Open County|| ||[[1998년]] {{{-2 (팜 독스)}}}||Immigrant Sons|| === 싱글 === || '''발매 연도''' || '''A면''' || '''수록 음반''' || ||[[1987년]] ||Citizen Jane[br]^^B면: White Boys in Chains^^||<|2> Tribe || ||[[1987년]] ||Friend of the Flag[br]^^B면: Backbone^^|| == 작사에 참여한 작품 == * 1969년 플라스틱 페니 정규 2집 《Currency》 * 1969년 엘튼 존 정규 1집 [[Empty Sky]] * 1970년 엘튼 존 정규 2집 [[Elton John(음반)|Elton John]] * 1970년 나이트 피플 정규 1집 《P.M.》 * 1970년 엘튼 존 정규 3집 [[Tumbleweed Connection]] * 1971년 [[Friends(엘튼 존)|프렌즈 사운드트랙]] * 1971년 롱 존 볼드리 정규 5집 《It Ain't Easy》 * 1971년 엘튼 존 정규 4집 [[Madman Across the Water]] * 1972년 엘튼 존 정규 5집 [[Honky Château]] * 1973년 엘튼 존 정규 6집 [[Don't Shoot Me I'm Only the Piano Player]] * 1973년 키키 디 정규 3집 《Loving and Free》 * 1973년 엘튼 존 정규 7집 [[Goodbye Yellow Brick Road]] * 1974년 엘튼 존 정규 8집 [[Caribou]] * 1974년 [[로드 스튜어트]] 정규 5집 《Smiler》 * 1974년 더 허드슨 브라더스 정규 2집 《Totally Out of Control》 * 1974년 [[링고 스타]] 정규 4집 [[Goodnight Vienna]] * 1975년 엘튼 존 정규 9집 [[Captain Fantastic and the Brown Dirt Cowboy]] * 1975년 엘튼 존 정규 10집 [[Rock of the Westies]] * 1975년 더 허드슨 브라더스 정규 4집 《Ba-Fa》 * 1976년 엘튼 존 정규 11집 [[Blue Moves]] * 1977년 콜린 블런스턴 정규 4집 《Planes》 * 1977년 차이나 정규 1집 《China》 * 1977년 케니 파사렐리 싱글 "I'm Never Gonna Break Your Heart" * 1978년 데린저 정규 5집 《If I Weren't So Romantic, I'd Shoot You》 * 1978년 [[앨리스 쿠퍼]] 정규 4집 《From the Inside》 * 1980년 엘튼 존 정규 14집 [[21 at 33]] * 1980년 블랙 로스([[셰어]]) 정규 1집 《Black Rose》 * 1981년 엘튼 존 정규 15집 [[The Fox(음반)|The Fox]] * 1981년 로드 스튜어트 정규 11집 《Tonight I'm Yours》 * 1981년 도나뗄라 레또레 정규 5집 《Estasi Clamorosa》 * 1982년 엘튼 존 정규 16집 [[Jump Up!]] * 1982년 멜리사 맨체스터 정규 10집 《Hey Ricky》 * 1982년 로드 스튜어트 라이브 앨범 《Absolutely Live》 * 1983년 엘튼 존 정규 17집 [[Too Low for Zero]] * 1983년 로드 스튜어트 정규 12집 《Body Wishes》 * 1983년 더 모텔스 정규 4집 《Little Robbers》 * 1983년 멜리사 맨체스터 정규 11집 《Emergency》 * 1984년 엘튼 존 정규 18집 [[Breaking Hearts]] * 1985년 [[하트(밴드)|하트]] 정규 8집 《Heart》 * 1985년 [[스타십#s-3|스타십]] 정규 1집 《Knee Deep in the Hoopla》 * 1985년 엘튼 존 정규 19집 [[Ice on Fire]] * 1986년 애니모션 정규 2집 《Strange Behavior》 * 1986년 로드 스튜어트 정규 14집 《Every Beat of My Heart》 * 1986년 엘튼 존 정규 20집 [[Leather Jackets]] * 1987년 [[Exile(미국 밴드)|Exile]] 정규 10집 《Shelter from the Night》 * 1988년 엘튼 존 정규 21집 [[Reg Strikes Back]] * 1988년 [[올리비아 뉴튼 존]] 정규 13집 《The Rumour》 * 1988년 존 앤더슨 정규 10집 《10》 * 1988년 뉴 프런티어 정규 1집 《New Frontier》 * 1988년 에이트 원더 정규 2집 《Fearless》 * 1989년 엘튼 존 정규 22집 [[The Complete Thom Bell Sessions]] * 1989년 스타십 정규 3집 《Love Among the Cannibals》 * 1989년 엘튼 존 정규 23집 [[Sleeping with the Past]] * 1989년 베르탱 오스본 정규 7집 《Motivation》 * 1990년 스트레이 캣츠 정규 6집 《Let's Go Faster!》 * 1990년 [[폭풍의 질주]] 사운드트랙 * 1992년 엘튼 존 정규 24집 [[The One(음반)|The One]] * 1992년 피터 세트라 정규 4집 《World Falling Down》 * 1993년 카렌 카터 정규 7집 《Little Love Letters》 * 1993년 엘튼 존 정규 25집 [[Duets]] * 1994년 마틴 페이지 정규 1집 《In the House of Stone and Light》 * 1995년 엘튼 존 정규 26집 [[Made in England]] * 1996년 [[페노미논]] 사운드트랙 * 1996년 리사 샌더스 정규 1집 《Isn't Life Fine》 * 1997년 엘튼 존 정규 27집 [[The Big Picture]] * 1998년 스파이크 정규 1집 《Blue Eyed Soul》 * 1998년 메리 돌란 정규 1집 《(Another) Holy Day》 * 1998년 퍼블릭 도메인 정규 1집 《Radio Nights》 * 1999년 마리안느 페이스풀 정규 15집 《Vagabond Ways》 * 1999년 [[메리 제이 블라이즈]] 정규 4집 《Mary》 * 1999년 [[The Muse|뮤즈 사운드트랙]] * 2000년 영 더블리너스 정규 4집 《Red》 * 2000년 더 모텔스 컴필레이션 앨범 《Anthologyland》 * 2001년 나이절 올슨 정규 6집 《Move the Universe》 * 2001년 토비 키스 정규 6집 《Pull My Chain》 * 2001년 엘튼 존 정규 28집 [[Songs from the West Coast]] * 2002년 [[윌리 넬슨]] 정규 50집 《The Great Divide》 * 2004년 [[코트니 러브]] 정규 1집 《America's Sweetheart》 * 2004년 엘튼 존 정규 29집 [[Peachtree Road]] * 2005년 [[브라이언 윌슨]] 정규 6집 《What I Really Want for Christmas》 * 2005년 [[브로크백 마운틴]] 사운드트랙 * 2005년 [[레스타(뮤지컬)|레스타]] 뮤지컬 * 2006년 존 코빗 정규 1집 《John Corbett》 * 2006년 엘튼 존 정규 30집 [[The Captain & the Kid]] * 2007년 데어드레 휴즈 정규 1집 《Turn Back the Hands of Time》 * 2010년 엘튼 존/리언 러셀 합동 앨범 [[The Union]] * 2011년 [[노미오와 줄리엣#s-5|셜록 놈즈 사운드트랙]] * 2012년 [[리치 샘보라]] 정규 3집 《Aftermath of the Lowdown》 * 2013년 리치 샘보라 싱글 "Engine 19" * 2013년 엘튼 존 정규 32집 [[The Diving Board]] * 2016년 엘튼 존 정규 33집 [[Wonderful Crazy Night]] * 2016년 [[레드 핫 칠리 페퍼스]] 정규 11집 《The Getaway》 * 2017년 《Music from the American Epic Sessions》 * 2018년 크레겐 앤 코 싱글 "Shane" * 2018년 [[셜록 놈즈#s-5|셜록 놈즈 사운드트랙]] * 2019년 [[로켓맨(영화)/사운드트랙|로켓맨 사운드트랙]] * 2021년 엘튼 존 정규 34집 [[Regimental Sgt. Zippo]] * 2022년 크레겐 앤 코 정규 1집 《Spreading Rumou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