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러시 듀얼/전사족]][[분류:유희왕/러시 듀얼/레전드 카드]] ||<#3a2b8f> '''{{{#!html버스터 블레이더}}}''' || ||<#990066>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m4j3HdacAE77Kt.jpg|width=100%]]}}} || ||<#3a2b8f> {{{#!html"목숨을 사냥하여 피와 살로 삼는다! 나오너라, 파괴의 검사 《}}}'''{{{#!html버스터 블레이더}}}'''{{{#!html》!"}}}[br]{{{#!html命狩り血肉とす!いでよ、破壊の剣士}}}'''{{{#!html《バスター・ブレイダー》 }}}'''{{{#!html!}}} || [목차] == 개요 == [[유희왕 러시 듀얼]]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 설명 == || [[파일:バスター・ブレイダー(LGP1).jpg|width=100%]] || [[파일:バスター・ブレイダー(S23P).jpg|width=99%]] || || 일반판 || SPECIAL ILLUST Ver. ||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레전드=, 한글판명칭=버스터 블레이더, 일어판명칭=バスター・ブレイダー, 영어판명칭=Buster Blader (미발매), 속성=땅, 레벨=7, 공격력=2600, 수비력=2000, 종족=전사족, 조건=없음, 지속 효과=이 카드의 공격력은\,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드래곤족)의 수와 상대 묘지의 몬스터(드래곤족)의 수의 합계] × 500 올린다.)] [[버스터 블레이더]]의 [[유희왕 러시 듀얼]] 버전.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만 셀 수 있다는 것을 명확히 하기 위해 필드와 묘지의 지정을 분리한 것을 제외하면 OCG와 동일. 존재 자체가 드래곤족 덱의 하드 카운터로, 묘지가 쌓이기 쉬운 러시 듀얼의 특성까지 겹쳐서 드래곤족 덱 상대로 중후반에 필드에 나오기만 하면 거의 원턴킬 수준의 공격력을 뽑아낼 수 있다. 드래곤족 덱이 아니더라도 [[연격룡 드라기아스]]는 그 강력함에 온갖 덱에 용병으로 쓰이고 있으므로 3100~4100 정도의 타점은 어렵지 않게 유지할 수 있다. 약점은 상대가 드래곤족을 사용하지 않으면 강화할 수가 없으며, 효과 활용 여부도 상대에게 의존하게 된다는 점. [[TCB]]를 사용하면 어느 정도 효과를 살릴 수는 있겠으나, 콤보를 전제하게 되니 덱 구축의 폭도 좁아져버린다. [[푸른 눈의 백룡(유희왕 러시 듀얼)|푸른 눈의 백룡]]과는 달리 비교적 풍부한 일반 몬스터 서포트도 못 받는다는 것 역시 걸림돌. 또한 수비력은 강화되지 않으니 [[공격봉인]] 등으로 수비 표시가 되면 드래곤족 몬스터라 해도 얄짤없이 밥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도 최상급 몬스터의 기준치인 2500을 넘는 원래 공격력을 가졌다는 건 매력적이다. 레벨 7이라 [[트라이앵글 리본]]으로 소생시킬 수 있으니 재활용 수단도 적지는 않다. 전사족 덱이나 비행야수족 덱은 [[조주전술]]로 묘지에서 재활용하는 전술 역시 노릴 수 있다. 매치전의 경우 상대가 드래곤족 덱이라는 것을 파악하고 나서 2차전에 채용하는 용도로 사이드 덱에 투입해볼 수 있다. 룰 개정으로 [[죽은 자의 소생(유희왕 러시 듀얼)|죽은 자의 소생]]이나 [[욕망의 항아리(유희왕 러시 듀얼)|욕망의 항아리]] 과도 병행이 가능해, 상대가 드래곤족 사용자일 경우에 망설임없이 선택할 수 있는 안티 드래곤 카드 [[약동의 이터널라이브!!]] 발매 당일에 앞서 [[유희왕 SEVENS]]의 [[소게츠 가쿠토]] 담당 성우 [[하나에 나츠키]]는 이 카드를 반드시 뽑아서 [[야시로 타쿠]][* [[카미조 타츠히사]] 담당 성우. 이전 듀얼 대결 방송에서 패배한 일이 있었다.]를 쓰러뜨리겠다는 공약을 걸었다. [[https://twitter.com/hanae0626/status/1385858227477254144|그리고 진짜로 뽑았다고 한다.]] [[유희왕 고 러시!!]]에서는 [[슈바흐]]가 [[오도 유히]]와의 듀얼 중 사용. 선공 첫 턴에 어드밴스 소환된 후 [[스피드 캐리어]] 등의 효과를 구사하여 드래곤족 몬스터를 유히의 묘지로 계속 보내 공격력을 4600까지 끌어올렸다. 다음 턴에 [[해킹 드래곤]]이 특수 소환되긴 했지만, 함정 카드 [[스피드 턴]]에 의해 자기 필드를 꽉 채워놓음으로서 해당 카드의 바운스 효과를 봉해버렸다. 다음 슈바하의 턴에 [[아우라 버스터]]를 장착하여 파괴 내성을 부여받고 첫 턴과 마찬가지로 유히의 묘지에 드래곤족 몬스터를 계속 묻어놓음으로서 이번엔 공격력을 7100까지 강화, 그대로 [[해킹 드래곤]]을 공격해서 끝장을 내려 했으나, [[드래곤 브레이크(유희왕)|드래곤 브레이크]]의 효과로 공격력이 6100로 깎이는 바람에 원턴킬은 실패. 그 다음 유히의 턴에는 공격력을 10600까지 끌어올렸으나, [[레드부트 부스트드래곤]]의 효과가 3번 사용되면서 유히의 묘지에 있던 드래곤족이 전부 덱으로 돌아가버리며 공격력이 3100까지 팍 내려가버렸다. 결국 [[레드부트 부스트드래곤]]의 공격에 파괴되며 슈바하가 패배. 공격명은 원작과 마찬가지로 '[[파괴검일섬]](破壊剣一閃)'.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21-04-2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05-JP000 | '''[[약동의 이터널라이브!!|デッキ改造パック 躍動のエターナルライブ!!]]'''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R)] || ||<(> 2023-03-0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LGP1-JP015 | [[레전드 각성 팩|レジェンド覚醒パック]]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23-03-0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S23P-JP001 | トーナメントバトル 2023年4月 上位賞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UR)] || ||<(> 2021-08-13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KP05-KR000 | '''[[약동의 이터널라이브!!|덱 개조 팩 - 약동의 이터널라이브!!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R)] || ||<(> 2023-06-0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LGP1-KR015 | [[레전드 각성 팩]]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관련 카드 == === [[전설의 전사-버스터 블레이더]] === === [[용파괴의 증인]]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버스터 블레이더, version=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