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번개족]]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 설명 == ===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II 계승된 기억]]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번개낭랑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雷電娘々(らいでんにゃんにゃん), 영어판명칭=Thunder Nyan Nyan, 속성=빛, 종족=번개족, 레벨=4, 공격력=1900, 수비력=800, 효과1=생태: 앞면 수비 표시인 동안\, 모든 앞면 표시 번개족 몬스터는 이동 보너스를 얻는다!)] 본작의 오리지널 카드로 처음 등장. 앞면 수비 표시인 동안 모든 번개족 몬스터를 2칸 이동 가능케 하는 효과를 가졌다. 공략본에서는 '[[뇌신]]의 딸. 항시 대전되어있기 때문에, 번개족은 협력작용을 얻을 수 있다.'라 설명되어있다. 덱 리더 설정시 대사에는 말끝마다 '~노 우치(~の打)'라는 어미를 붙이는 말버릇이 있다. [youtube(L_gB9h_fmZs)] 여기서 드러난 공격 방식은 이미지에서 예상할 수 있듯이 북을 격렬히 두들겨서 하늘에 번개가 내려치게 하는 공격이다. 번개가 치는 동안 북이 하늘로 솟았다가 끝나는 즉시 다시 돌아온다.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ThunderNyanNyan-DM7-JP-VG.png]] ||<#F8B848> {{{#000 한글판 명칭}}} ||<-4>'''번개낭랑''' (비공식 번역명)|| ||<#F8B848> {{{#000 일어판 명칭}}} ||<-4>'''[ruby(雷電娘々, ruby=らいでんにゃんにゃん)]'''|| ||<#F8B848> {{{#000 영어판 명칭}}} ||<-4>'''Thunder Nyan Nyan'''|| ||<#F8F8A0><-5> {{{#000 일반 몬스터}}}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DM7]])}}} || ||<#F8B848><-5> {{{#000 효과 몬스터}}}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DM8]])}}}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백마족 || 번개족 || 1900 || 800 || ||<-5>구름 위에서 지내는 덜렁이 정령. 잘 넘어지며, 그 때마다 아래로 번개를 떨군다.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DM7]])}}}|| ||<-5>자신의 필드에 백마족 이외의 몬스터가 있으면 소멸하는 효과를 가졌다.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DM8]])}}}||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에서부터 등장.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에서는 백마족 이외가 있으면 파괴된다는 OCG와 비슷한 효과가 생겼다. 코스트 자체는 다른 1900짜리 어태커와 마찬가지라 디메리트가 있는 듯 보이지만, 게임 후반에 가면 적들이 [[마음의 변화]]를 당연하다는 듯이 3장이나 써대니 오히려 메리트에 가까운 효과가 되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 [[파일:card100016793_1.jpg|width=100%]] || [[파일:external/images.wikia.com/ThunderNyanNyan-TP6-EN-C-UE.jpg|width=100%]]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번개낭랑, 일어판명칭=雷電娘々(らいでんにゃんにゃん), 영어판명칭=Thunder Nyan Nyan, 속성=빛, 종족=번개족, 레벨=4, 공격력=1900, 수비력=800, 효과1=자신 필드 위에 빛 속성 이외의 앞면 표시 몬스터가 존재하는 경우\, 앞면 표시의 이 카드를 파괴한다.)] >'''"케헤~, 이게 내 아이돌 카드! 번개낭랑이다!"''' >---- >[[강민(유희왕 듀얼링크스)|강민]], [[유희왕 듀얼링크스]] 전용 대사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ThunderNyanNyan-WC10-EN-VG-NC.png|width=100%]]||[[파일:ThunderNyanNyan-DULI-EN-VG-NC.png|width=100%]]|| || [[유희왕 5D's 리버스 오브 아르카디아]] || [[유희왕 듀얼링크스]] || 자신 필드에 빛 속성 이외의 몬스터가 있으면 자괴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지속 효과|지속 효과]]를 가진 하급 효과 몬스터. 하급 어태커로서 훌륭한 공격력을 가지고 있지만 그 효과를 보면 대략 정신이 멍해진다. 빛 속성 특화덱이 아니면 사용할 수 없을 정도. [[번개왕]]이나 [[엘리멘틀 히어로 어나더 네오스]]가 나오기 전까지는 편하게 꺼내 쓸 수 있는 공격력 1900짜리 빛속성 몬스터가 없었기 때문에 빛 속성 특화덱에서는 우수한 하급 어태커로 들어갈만 했지만, 지금은 그런 몬스터가 '''썩어 넘치는지라''' 사정이 다르다. [[번개왕]]은 이 카드와 완전히 똑같은 능력치를 지니고 있는데, 상대의 특수 소환을 견제하는 우수한 효과를 지닌 데다가 자괴 디메리트도 없다. 이 카드가 번개왕보다 나은 점이라고는 자신의 서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다는 것과 컨트롤 탈취에 비교적 강하다는 것 정도. 일단 일부러 자폭시켜 [[기황제]]를 소환할 수 있긴 한데, 필드 위에 이 카드밖에 없는 경우엔 자폭할 수 없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느리고 불확실하다. 초기 [[카오스(유희왕)|광암덱]]에서는 묘지에 빛속성을 빠르게 쌓을 심산으로 한 두장정도 투입되었다. 물론 역할은 나오자마자 묘지로 가는것이다. 하지만 이것도 어디까지나 옛날 일이고, 묘지를 더 효율적이고 빠르고 확실하게 쌓는 카드들이 늘어난 지금은 설 자리를 찾기 어렵다. [[스킬 드레인]]이나 [[우둔한 도끼]]등의 몬스터 효과를 무효화하는 마법/ 함정을 이용하면 자멸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그런 카드를 쓰는 스드덱이라면 [[신수왕 바르바로스]]나 [[가변기수 간나드래곤]], [[Sin(유희왕)|Sin]] 등 더 좋은 카드가 차고 넘친다. 그나마 빛 속성이라는 걸 살려보려고 해도 공격력이 더 높은 [[라이트닝 기어|라이트닝 기어-앵화]]가 있다. 저 황당한 효과를 어찌 써먹어보겠다고 하면 상대 필드에 빛 속성 말고 다른 속성 몬스터만 둘 이상 있을때 [[강제전이]]로 넘겨버리는 것 정도는 할 수 있겠다. 상대 몬스터만을 그대로 뺏어올 수 있다. 일단 분명 능력치는 좋은데 효과라고는 디메리트 뿐인지라 같은 공격력에 메리트 효과만을 가진 카드들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맨정신으로 쓸 수 있는 카드는 아니다. 7기 리뉴얼판 BEGINNER'S EDITION 2에서 이 카드가 결국 정리해고를 당했다는 것만 봐도 이 카드가 얼마나 쓰기 힘든 카드인지 알 수 있다. 그래도 [[아이돌 카드(유희왕)|모에 컨셉의 일러스트]] 덕분에 소장 가치는 있다. 다만 해외 수출용 일러스트에서는 노출이 적어지고 가슴이 작아지도록 일러스트가 수정되었다. 한글판에 처음 이 카드가 나왔을땐 그야말로 [[충격과 공포]]. 당시 레벨 4에 공격력 1900이 넘어가는 몬스터는 [[쌍둥이 자매 엘프]] 밖에 없었는데, 이 카드의 레어도는 [[시크릿 레어]]로 당시에 매우 구하기 어려운 카드였다. 그리고 다음팩에 등장한 카드가 바로 번개낭랑이다. 공격력도 1900인데다가 매우 일러스트가 귀엽다. 하지만 효과가… 단순히 수치만 계산하는 멍청한 CPU를 가진 옛날 게임에서는 CPU가 이 몬스터에게 [[강탈]]을 썼다가 그냥 날려먹는 장면을 흔히 볼 수 있다. 이쪽도 몬스터를 잃었으므로 손해긴 하지만… 카드 일러스트의 모티브는 일본 설화에 나오는 번개를 다루는 오니에게 [[모에선]]을 쬐인듯 하다. 어떻게보면 [[라무]]의 오마쥬같기도… 설정은 '뇌신의 딸'. 유희왕 본편중에서 직접적으로는 사용된 적이 없지만,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KC그랑프리 편|KC그랑프리 편]]에서는 [[비비안 웡]]이 이 카드의 아류종으로 보이는 [[드래곤 레이디(유희왕)#쿵후낭랑|쿵후낭랑]]이라는 몬스터를 사용했다. 이후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세븐 스타즈 편|세븐 스타즈 편]]에서는 [[미사와 다이치]]가 [[타니아(유희왕)|타냐]]와 듀얼하는 편에서 [[아이돌 카드(유희왕)|아이돌 카드]]에 대해 언급되는 장면에서 처음 등장한다. 작중에서는 [[마루후지 쇼]]가 소지한 것으로 나오지만, 귀여워서 부적으로 보유하고 있을 뿐 딱히 사용한 적은 없다. 물론 [[비크로이드]]중에는 빛속성이 유에프오로이드와 유에프오로이드 파이터밖에 없으므로 사용될 여지가 없다. 아이돌 카드의 정의에 대해서 잘 보여주는 장면. 이 때문인지 GX 두 번째 오프닝의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빛의 결사 편|빛의 결사 편]] 파트에서는 주연들을 한명한명 비춰주며 그 뒷배경에 그들의 덱에 있는 카드들을 보여주는 연출이 있는데, 한 번도 사용된 적이 없음에도 당연하다는 듯 [[마루후지 쇼]]의 덱에서 등장한다.[* 마찬가지로 [[미사와 다이치]] 또한 덱에 [[백마도사 피켈]]이 등장한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강민(유희왕 듀얼링크스)|쇼]]가 사용하면 전용 대사가 존재한다. [[유희왕 5D's]] [[유희왕 5D's/다크 시그너 편|다크 시그너 편]]에서는 [[키류 쿄스케]]와의 라이딩 듀얼에서 부상을 당한 [[후도 유세이]]를 보육원에 옮기던 [[랠리 도슨]] 일행이 불량배들을 따돌리기 위해 뿌린 아끼던 카드들 중에서도 한 번 등장했다. [[유희왕 태그 포스]] 시리즈에서는 원작에서 이 카드를 [[아이돌 카드(유희왕)|아이돌 카드]]로 지니던 [[마루후지 쇼]]가 사용하는 것으로 나오지만, 소환시 대사를 다른 [[비크로이드]]들과 공유하는 바람에 '가라! '''내 탈 것'''이다!', ''''탈 것'''을 소환할게.'같은 대사가 출력된다.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08]]에서도 대전 상대로 등장하며, 진 DM2 때와는 달리 말끝에 [[냥체|'~냥'이라는 어미를 붙인다. ]][[령사]]나 [[블랙 매지션 걸]], [[백마도사 피켈]] 등이 들어간 여성 몬스터 덱을 사용하며, 덱 이름은 '소녀의 수줍음(乙女の恥じらい)'. ||수록 시리즈 || ||<(> 2001-11-2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MA-09 | '''[[소생 혼|Mythological Age -蘇りし魂-]]'''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3-04-2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L5-050 | DUELIST LEGACY Volume.5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4-12-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E2-JP169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5-01-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C5-JP004 | 2005/01 プロモーションカード[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03-06-0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OD-059 | '''[[어둠의 유산|LEGACY OF DARKNES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5-06-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TP6-EN014 | [[토너먼트 팩|TOURNAMENT PACK 6]]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5-07-2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B2-EN169 | [[비기너즈 팩|DARK BEGINNING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4-10-1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LOD-KR059 | '''[[어둠의 유산]]'''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6-09-2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BP2-KR177 | [[비기너즈 팩|비기너즈 팩 Vol.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7-09-3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TP6-KR014 | [[토너먼트 팩|토너먼트 팩 6]]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관련 카드 == === [[드래곤 레이디(유희왕)#쿵후낭랑|쿵후낭랑]] === === [[견전낭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