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대구광역시의 도로, rd1=범안로(대구))] || [[파일:경기도 휘장.svg|width=20]]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width=20]] [[나무위키:틀/교통/도로|{{{#3d53ab '''범안로의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부천시의 로)] [include(틀:시흥시의 도로)] [include(틀:광명시의 로)] [include(틀:금천구의 로)]}}}}}}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기도]] [[부천시]] 괴안동 괴안삼거리에서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4동사거리에 이르는 12.4km의 도로이다. [[서울특별시]], [[광명시]], [[시흥시]], [[부천시]]를 지나는 간선도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왕복 2~8차로며, 극히 일부 구간을 제외하면 대부분 왕복 4차로다. 2009년 도로명주소 정비 전까지는 도로명이 지자체별로 달랐으나, 정비 이후 해당 구간이 모두 범안로로 통합되었다. 도로명인 범안로는 [[부천시]]의 [[법정동]]인 [[범박동]]과 [[괴안동]]에서 한 글자씩 온 것이다. == 구간 및 교통량 == === [[부천시]] 구간 (괴안삼거리 - 옥길동시계교차로) (구 범박로 구간) === 괴안삼거리 - 동남사거리 구간은 범안로에서 가장 도로폭이 좁은 구간이다. 구시가지를 통과하는 구간이고, 왕복 2차로 구간이다. 이렇게 좁은 골목길 수준의 도로임에도 불구하고 [[경인로]]로 나가는 차량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어 출퇴근 시간 정체가 심각하다. 특히 중간에 있는 괴안사거리가 그 정체의 절정인데, 신호가 있어도 막히고 없어도 막혀서 이걸 조정한답시고 계속 신호 체계를 바꾸는 통에 신호 작동 시간이 매우 불규칙적이다. 서울 방향으로 나간다면 [[소사동로]]로 우회하는 것이 좋다. 동남사거리 이남 구간은 범박동 아파트 단지 재개발로 왕복 6차로로 개통되어 있다. [[범박 힐스테이트]] 5단지 인근부터 [[서해안로]]와 만나는 사거리까지의 구간은 토지 보상 문제로 법정 문제가 발생하여 다른 구간보다 늦게 확장이 되었는데, 확장 공사 전에는 조금 넓은 왕복 1차로 골목길에서 차들이 엉켜서 교행하는 상황이었기에 정체가 심했었다. [[서해안로]]와의 접속 구간이다보니 차량이 많아 퇴근 시간에 정체가 심했고, 도로 폭에 비해 버스가 많이 지나다녔기 때문에 이로 인한 불편함이 많았다. 2017년 초 들어 건물 철거를 시작하여 왕복 2차로를 먼저 확보한 후, 2017년 12월에 임시로 왕복 4차로로 확장이 되었다가 현재는 6차로로 확장되었다. 옥길동시계교차로까지는 [[옥길지구]] 개발과 함께 조성되었는데, 스타필드시티 완공 이후 교통량이 굉장히 많이 늘어난 구간이다. 주말, 휴일 등 심할 때는 범안로 남북으로 스타필드에 진입하려는 차량이 차선을 꽉 메우고 있고 진입에서 주차까지 1시간 가까이 소요되기도 한다. 여러 광역도로(서해안로, 수도권순환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 등)와도 가깝긴 하지만 이들 도로에서 진입하기에는 약간 주거지로 파고들어야 해 다소 부담스러운 절묘한 위치 선정으로, 광역권 이용자들보다는 인근의 범박지구, 옥길지구, 항동지구, 은계지구, 하안동, 소하동 같은 지역에서의 방문객이 많다. === [[시흥시]] 구간 (옥길동시계사거리 - 능촌교) === 시흥시의 북동쪽 끝을 살짝 통과해서 가는 구간이다. 중간에 이 도로에서 유일한 터널(계수터널)이 있다. 왕복 4차로로 되어있는데, 이 도로는 [[제2경인고속도로]] [[광명IC]]에서 나온 차량들이 [[부천]]이나 시흥으로 갈 때 많이 이용하는 도로이기도 하다. 최단거리이기도 하고, 다른 도로는 왕복 2차로인데다가 신호가 많기 때문. 샘터주유소사거리의 신호 체계때문에 퇴근 시간대에는 계수터널 → 샘터주유소사거리 구간이 정체될 때가 있다. [[목감천]]에 놓여진 능촌교를 건너면 광명시로 넘어가는데, 목감천 서쪽에 놓여진 [[경기화학선]]과의 건널목을 건너게 된다. === [[광명시]] 구간 (능촌교 - 금천교사거리) === 광명시의 동서축 간선도로중 하나이다. 광명시 구간은 전 구간이 왕복 6차로이다. [[광명IC]]와 광명 시내를 이어주는 도로이기도 하다. 동쪽으로는 [[금천교]]를 넘어 금천구 [[독산동]]으로 이어지고, 서쪽으로는 능촌교를 넘어 시흥 및 부천으로 이어진다. 광명이라는 도시의 특성상 서울과는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인접하고 있는 시흥과는 연결 도로가 적은 편이다. 광명과 시흥 사이에는 해발고도 200m 정도 되는 산맥이 자리잡고 있어 지형상으로도 단절되어 있기도 하기 때문. 그래서 대부분 [[터널]]로 연결이 되어 있는데, 범안로는 광명-시흥 간 도로 중 유일하게 터널 없이 두 도시를 연결해주고 있다. 엄밀히 따지면 금천교사거리와 금천교는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에 속한다. 서울과 [[광명시]]의 시 경계(더 정확히는 일제강점기 시흥군 서면 - 동면)가 [[안양천]] 직강화 전에 성립되었기 때문에 생겨버린 [[월경지]] 중 하나이다. === [[서울특별시]] 구간 (금천교사거리 - 독산4동사거리) === 금천교로 [[안양천]]을 넘고, 금천고가차도에 그대로 직결하여 [[경부선]] 선로를 넘는다. [* 설명 과정에서 구분하여 이해하기 쉽게 과선교 부분을 금천고가차도라고 표현하였고 대다수의 인터넷 지도나 내비게이션 등에도 그렇게 표기된 곳이 많으나 실제로는 도하교나 과선교 모두 다 금천교에 해당한다.] 서울 시내 구간은 전 구간이 왕복 4차로이다. 금천교에서 [[서부간선도로]]로 진입할 수는 없지만, 서부간선도로 성산→소하 방면에서 광명 방향으로의 진출은 가능하다. [* 소하→성산 방면에서의 진출도 가능한데, 바로 진입은 불가능하고 서부샛길 진입 후 금천교차로에서 진출해 독산역 인근으로 우회하여 큰 P턴으로 진입할 수 있다.] 서부간선도로 자체도 막히고, 이 도로 자체가 광명시로 들어가는 주요 도로 중 하나이다보니 금천교 일대는 항상 상습 정체구간이다. 금천교의 정체는 주로 [[가산디지털1로]] 진출입 차량 때문에 생기는데, 일반 시간에도 막히긴 하지만 산업단지 진입로라는 특성상 출근 시간에 서울 방면은 [[독산역]] 앞 신호 대기줄이 금천교사거리까지 영향을 준다. 이 차량들이 안양천로 남북측 양쪽과 범안로 서측에서 밀려들어온다고 생각하면 상당히 병목현상이 심한 구간이라 할 수 있는데,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이 독산역 진입로는 차선이 단 한 개 뿐이다. 또한 부수적으로 이 경로에 진입하려는 차들이 금천교 상에서 끼어들기를 하려고 세 개 차선 중 두 개 차선을 잡아먹기 때문에 범안로 직진 차량들도 원활히 빠지지 못한다. 부천 방면은 독산역에서 올라오는 차량들과 금천교 직진 차량, 거기에 추가로 서부간선도로에서 올라오는 차량들과도 간섭이 생긴다. == 상세 == === 주요 교차로 === ||<:>배경색이 {{{+1 {{{#00ccff ■}}}}}}인 교차로는 [[입체교차로]]이다.|| ||<-6> '''종점'''[br]'''독산로70길 직결 (독산4동 방면)''' || || '''[[독산로]]'''[br][[신대방역]] 방면|| ← || '''독산4동사거리''' || → ||'''[[독산로]]'''[br]박미삼거리 방면 || || '''[[시흥대로(서울)|시흥대로]]'''[br][[구로디지털단지역]] 방면|| ← || '''말미사거리''' || → ||'''[[시흥대로(서울)|시흥대로]]'''[br][[석수역]], 시흥사거리 방면 || || [[벚꽃로(서울)|벚꽃로]][br][[가산디지털단지역]] 방면|| ←[br][*A 부천→금천 방면에서는 진입 불가] || || →[br][*A] ||[[벚꽃로(서울)|벚꽃로]][br][[금천구청역]] 방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d79c5, #263c96)" {{{#ffffff '''금천고가차도 ([[서울 지하철 1호선|{{{#ffffff 서울 지하철 1호선}}}]] / [[경부선|{{{#ffffff 경부선}}}]] [[독산역|{{{#ffffff 독산역}}}]])''' }}}}}} || || '''[[가산디지털1로]]'''[br][[가산디지털단지역]] 방면|| ←[br][*B 금천→부천 방면에서는 진입 불가] || || →[br][*B] ||[[서부샛길]], 중앙하이츠빌아파트 방면 || || '''[[서부간선도로]]'''[br][[성산대교]], [[내부순환로]] 방면|| →[br][* 본 도로 금천→부천 방면으로의 진입만 가능, 진출 불가] || '''금천교IC''' || [* 진출입 불가]||'''[[서부간선도로]]'''[br][[서해안고속도로]] [[일직JC]], [[서서울TG|서서울]] 방면 || |||||||||||| '''금천교 ([[안양천]])''' || || '''[[안양천로]]'''[br][[목동(서울)|목동]], [[염창JC]] 방면|| ← || '''금천교사거리'''[br](하안지하차도) || → ||'''[[안양천로]]'''[br][[소하JC|소하IC]] 방면 || || '''[[하안로]]'''[br][[철산동]], 복개천삼거리 방면|| ← || '''하안사거리''' || → ||'''[[하안로]]'''[br][[소하동]], [[광명역]] 방면 || || '''[[오리로]]'''[br][[광명사거리역]], [[구로구]] [[수궁동]] 방면|| ← || '''우체국사거리''' || → ||'''[[오리로]]'''[br][[소하동]], [[일직동]] 방면 || || 안재로[br]생태공원, 단독필지단지 방면|| ← || 단독필지사거리 || → ||구름산로[br]자동차경매단지, 광명보건소 방면 || || '''[[금하로]]'''[br]과림동 방면|| ← || '''범안사거리''' || → ||'''[[금하로]]'''[br][[소하동]], [[서울특별시|서울]] [[시흥동(서울)|시흥2동]] 방면 || || '''[[광명로(광명)|광명로]]'''[br][[광명사거리역]], [[광명스피돔]] 방면|| ← || '''능촌사거리'''[br](능촌지하차도) || → ||'''[[광명로(광명)|광명로]]'''[br][[광명IC]], [[수인로]] 방면 || |||||||||||| '''능촌교 ([[목감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88888, #333333)" '''[[경기화학선|{{{#ffffff 경기화학선}}}]]''' }}} || || '''[[금오로(경기도)|금오로]]'''[br][[천왕역]] 방면|| ← || '''중림사거리''' || → ||'''[[금오로(경기도)|금오로]]'''[br]금이사거리 방면 || || '''[[계수로(시흥)|계수로]]'''[br][[시흥시|시흥]] [[과림동]], [[금하로]] 방면|| ← || '''샘터주유소사거리''' || → ||'''[[계수로(시흥)|계수로]]'''[br][[시흥시|시흥]] [[대야동(시흥)|대야동]], 은계지구 방면 || || '''[[옥길로]]'''[br]옥길지구, 소사경찰서 방면|| ← || '''옥길동시계사거리''' || → ||[[옥길 호반베르디움]] 방면 || || '''[[서해안로]]'''[br][[오류동역]], [[항동(구로구)|서울항동지구]] 방면|| ← || (계수교교차로)[br](계수교) || → ||'''[[서해안로]]'''[br][[광명IC]], [[수인로]] 방면 || ||<-2> || 계수삼거리 || → ||[[은성로]][br]소사본동, 소사초등학교 방면 || || '''[[소사동로]]'''[br]역곡고가사거리 방면|| ← || '''동남사거리'''[br](동남지하차도) || → ||'''[[소사동로]]'''[br][[소새울역]], 동남삼거리 방면 || || '''[[안곡로(부천)|안곡로]]'''[br]역곡고가사거리 방면|| ← || '''괴안사거리''' || → ||'''[[안곡로(부천)|안곡로]]'''[br]조공아파트, [[소안로]] 방면 || || '''[[경인옛로]]'''[br]성심고가사거리, [[역곡동]] 방면|| ← || '''괴안삼거리''' || → ||'''[[경인옛로]]'''[br][[소사역]], 소사어울마당 방면 || ||<-6> '''기점''' || === 대체도로 === * 괴안삼거리 - 동남사거리 구간은 [[경인로]] 서울 방향 이용이 목적인 경우 [[소사동로]]를 이용하는 것이 빠르며, [[소사역]] 방향은 [[은성로]]와 [[소안로]]를 경유하여 가는 것이 더 빠를 수도 있다. * 샘터주유소사거리 - 범안사거리 구간은 [[계수로(시흥)|계수로]]와 [[금하로]]를 통해 가는 것이 거리가 더 짧다. 그러나 금하로 과림교차로-노온교차로가 확장 공사가 되지 않아 왕복 2차로인 상태라, 퇴근 시간에는 이 구간을 지나는데 신호를 최소 다섯 번 이상 받아야 한다. 범안사거리에서 부천 방향으로 갈 경우 범안로를 이용하면 시흥시계까지 신호가 하나도 없는 반면, 금하로에는 신호가 많기 때문에 퇴근 시간에는 샘터주유소 사거리의 정체를 고려하더라도 범안로가 대체로 더 빠르다. 과림저수지 인근에 있는 계수초등학교 앞에 스쿨존이 설정되어 있어 제한 속도가 30km/h인 것은 덤. * 범안사거리 - 말미사거리 구간은 [[금하로]]와 [[시흥대교]]의 소통이 좀 더 원활한 편이다. 금천고가차도의 정체가 심하기 때문. == [[대중교통]] == === [[철도]] 및 [[도시철도]] === * [[독산역]] ([[수도권 전철 1호선]]) === [[버스]]노선 === ==== 부천시 구간 ==== * [[부천 버스 10]] * [[부천 버스 12]] * [[부천 버스 23-2]] * [[부천 버스 55]] * [[부천 버스 55-1]] * [[부천 버스 56]] * [[부천 버스 56-1]] * [[부천 버스 57]] * [[부천 버스 57-1]] * [[부천 버스 60]] * [[시흥 버스 12]] * [[부천 버스 021]] ==== 시흥시 구간 ==== 소신여객차고지가 샘터주유소사거리 인근에 있어서 일부 부천 버스가 들어오며, 샘터주유소사거리 이후 구간에는 노선버스가 없다. 광명 방향에서도 마찬가지로 전부 노온사동차고지까지만 운행한다. * [[광명 버스 2]] * [[시흥 버스 12]] * [[부천 버스 23-2]] ==== [[범일운수]] 노온사동 차고지 ==== 노온사동차고지가 이 도로에 위치하고 있어, 차고지로 가려는 버스만이 짧은 구간을 이용하고 있다. 모든 버스가 노온사동차고지를 기종점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이 도로를 통해 시흥-광명을 잇는 버스는 없으며, 능촌사거리 - 범안사거리 구간에도 노선버스가 다니지 않는다. 단, 다른 도로를 통해 광명 시내로는 연계된다. * [[서울 버스 505]] * [[서울 버스 5627]] * [[서울 버스 5633]] * [[서울 버스 6637]] ==== 광명시 시가지 구간 ==== [[광명공영차고지]](하안동공영차고지)가 위치하고 있는데, 서울 버스 중에서는 [[서울 버스 5630|5630번]]만 범안사거리까지 운행하고 나머지는 전부 차고지가 기종점이다. * [[부천 버스 75]] * [[광명 버스 102]] * [[서울 버스 503]] * [[서울 버스 504]] * [[서울 버스 5535]] * [[서울 버스 5536]] * [[서울 버스 5630]] * [[서울 버스 5634]] * [[서울 버스 5714]] ==== 서울 시내 구간 ==== * [[서울 버스 금천06]] * [[서울 버스 금천08]] * [[서울 버스 5535]] * [[서울 버스 5627]] * [[서울 버스 5630]] * [[서울 버스 5634]] == 주요 시설 == * [[광명공영차고지]] * 노온사저수지 * 과림저수지 * 노온사동 차고지 * [[소신여객]] 시흥영업소 [[분류:부천시의 도로]][[분류:시흥시의 도로]][[분류:광명시의 도로]][[분류:금천구의 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