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그래미 공로상 수상자)] ---- ||<-2> '''{{{+1 베니 골슨}}}[br]Benny Gols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Benny-golson02.jpg|width=100%]]}}} || ||<|2> '''출생''' ||1929년 1월 25일 ([age(1929-01-25)]세)||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 || '''직업''' ||음악가, 편곡자, 작곡가|| || '''장르''' ||[[재즈]], [[비밥]], 하드 밥|| || '''악기''' ||[[테너 색소폰]]||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재즈 뮤지션, [[색소폰]] 연주자, 작곡가, 프로듀서. [[https://www.youtube.com/watch?v=TW641zgPOqQ|Killer Joe]],[[https://www.youtube.com/watch?v=cTWrzP28YFw|Whisper Not]][* [[Grand Theft Auto IV]] [[Grand Theft Auto 시리즈/라디오 채널 일람#s-7.7.3|라디오]] JNR 채널에서 디지 길레스피가 연주한 버전으로 나온다. 베니 골슨 특유의 블루지한 느낌이 매우 잘 살아있는 곡.[[https://www.youtube.com/watch?v=R9P-bhs5RRY|#]]],[[https://www.youtube.com/watch?v=Yn3L6ikBK9A|Stablemate]],[[https://www.youtube.com/watch?v=R9FqeQXRT-Y|I Remeber Clifford]] [[https://www.youtube.com/watch?v=CTzRHq_cH5E|Along Came Betty]] [[https://www.youtube.com/watch?v=jSN0wc5NXKo|Hasaan's Dream]] 등 많은 재즈 스탠다드를 작곡하였다. == 생애 == [[필라델피아]] 출신으로 고등학교 시절부터 [[존 콜트레인]], 레드 갈란드, 필리 조 존스 등 당시 촉망받던 젊은 뮤지션들과 연주하였다. [[워싱턴 D.C.]]의 하워드 대학을 졸업 한 뒤 불 무스 잭슨 & 버팔로 베어캣 밴드에 들어가 6년간 활동을 한다. 이 때 만난 피아니스트 테드 다메론은 그의 작곡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잭슨 밴드 이후 라이오넬 햄튼, 자니 호지스, 디지 길레스피의 밴드에서 연주활동을 계속 하던 중 1956년 라이오넬 햄튼의 밴드에서 젊고 장래가 촉망받는 트럼페터 [[클리퍼드 브라운]]을 만난다. 그러나 얼마 가지 않아 [[클리퍼드 브라운]]은 교통사고로 인해 사망하고, 1년후 그를 기리기 위해 I Remeber Clifford 를 작곡한다. 1958년 [[아트 블래키]] 재즈메신져스의 명반 [[https://www.youtube.com/watch?v=Cv9NSR-2DwM|Moanin']][* 애니메이션 [[언덕길의 아폴론]]의 메인 테마(?)나 다름없는 그 Moanin'이다.] 에 참여하여 재즈 뮤지션으로 최고의 전성기를 맞는다. 그 후 트럼페터 아트 파머와 공동 리더로 밴드를 꾸리며 활동하며 재즈 뮤지션으로서의 활동과 동시에 많은 뮤지션들의 작 편곡(약 300곡) 그리고 [[M*A*S*H]], [[미션 임파서블]], Room 222, Run For Your Life 등의 드라마, 영화 [[OST]]와 COSBY CBS TV Show 등의 시그널 뮤직 작곡 등 작곡가 및 프로듀서로의 활동도 계속 이어간다. 2004년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영화 [[터미널(영화)|터미널]]에 직접 출연하였다. --사실 영화 만악의 근원이다.--[* 터미널의 주인공 나보스키의 아버지는 1957년의 어느 날 신문에 실린 A Great Day in Harlem이라는 사진을 보고 사진에 등장하는 재즈 뮤지션 57명 모두에게 사인을 받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영어를 할 줄 아는 수녀님의 도움을 받아가며 뉴욕의 재즈 클럽들로 편지를 보내 40년에 달하는 시간에 걸쳐 57인 중 56인의 재즈 뮤지션들에게 사인을 전달받는 데 성공한다. 그러나 마지막 남은 베니 골슨에게서는 답장이 오지 않았고, 결국 나보스키의 아버지는 목표를 이루지 못한 채 눈을 감게 된다. 아버지의 못다한 소원을 이루기 위해 나보스키 자신이 직접 뉴욕으로 향하고, 나보스키가 비행기를 타고 뉴욕으로 향하던 도중 고국 크라코지아에서는 [[쿠데타|그만...]] 결국 모든 일이 해결되고 난 후 우여곡절 끝에 나보스키는 골슨을 만나게 되었는데, 거의 50년을 넘게 답장을 안해준 것 치고는 너무나도 친절하게 사인을 해준다.] 참고로 영화에서 나오는 A Great Day in Harlem이라는 사진에 나온 57인의 뮤지션 중 2021년 4월 13일 기준으로 살아있는 사람은 베니 골슨(92세) 과 [[소니 롤린스]](1930년 9월생으로 90세) 두명 뿐이다. [[분류:1929년 출생]][[분류:미국의 재즈 아티스트]][[분류:미국의 색소포니스트]][[분류:필라델피아 출신 인물]][[분류:아프리카계 미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