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베니스 국제 영화제)] [include(틀:베니스 국제 영화제)] [목차] == 개요 == [[베니스 국제 영화제]]의 경쟁부문 여자연기상을 말한다. 한국에서는 지금까지 배우 [[강수연]]이 여우주연상을 탔다. 의외로 아시아 최초 기록인데, 아래를 보면 알겠지만 베니스 영화제 여우주연상은 다른 영화제랑 달리 상당히 불규칙했던 편이고 [* [[제42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영화 더스트의 [[제인 버킨]]과 [[방랑자]]의 [[상드린 보네르]]가 여우주연상 유력 후보로 경합했다가 수상하지 않은 적도 있다.] 1987년에야 정기적인 시상으로 재개했는데 그 해 강수연이 타버리면서 생긴 기록이다. 그 다음은 중국 배우인 [[공리(배우)]]가 탔다. 볼피컵 여우주연상을 2회 수상한 배우는 [[케이트 블란쳇]], [[셜리 맥클레인]], [[이자벨 위페르]], 발레리아 골리노가 있다. 이자벨 위페르는 [[칸 영화제/여우주연상|칸 영화제]]에서도 2번의 상을 탔으며, [[셜리 맥클레인]]은 [[베를린 국제 영화제/은곰상 : 여우주연상|베를린 영화제]]에서도 2번이나 연기자상을 받았다. 이는 [[베를린 국제 영화제|베를리날레]] 역사상 유일한 경우다.[* [[칸 영화제]]에서도 여우주연상을 받게 된다면 미국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포함해 세계 4대 영화제의 여우주연상을 받아 배우로써 누릴 수 있는 최고의 명예를 누릴 수 있다고 보면 된다. 이 경우에 해당하는 배우는 [[줄리앤 무어]]가 있다. [[칸 영화제|칸]], [[베를린 국제 영화제|베를린]], [[베니스 국제 영화제|베네치아]]를 비롯해, [[아카데미]]와 [[영국 아카데미]]에서도 여우주연상, TV미니시리즈 [[게임 체인지]]에서 [[에미상]]까지 모두 수상한 기록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여배우로서 받을 수 있는 상은 모두 받은 셈이다. 프랑스 여배우 [[줄리엣 비노쉬]] 또한 [[아카데미 여우조연상|미국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이긴 하지만 [[칸 영화제|칸]], [[베를린 국제 영화제|베를린]], [[베니스 국제 영화제|베네치아]]에서 모두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대단한 기록을 가진 여배우이다.] == 목록 == ||
{{{#e5d85c '''년도'''}}} || {{{#e5d85c '''배우'''}}} || {{{#e5d85c '''작품'''}}} || || [[1934년]] || [[캐서린 헵번]]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 《[[작은 아씨들/영화|작은 아씨들]]》 || || [[1937년]] || [[베티 데이비스]]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 《마크드 우먼》, 《키드 갈라드》 || || [[1949년]] || [[올리비아 드 하빌랜드]]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8]]]]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8]]]] || 《스네이크 핏》 || || [[1951년]] || [[비비안 리]]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8]]]] ||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 || [[1952년]] || [[잉그리드 버그만]] [[스웨덴|[[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8]]]] || 《유로파》 || || [[1958년]] || [[소피아 로렌]]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8]]]] || 《검은 난초》 || || [[1960년]] || [[셜리 맥클레인]]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 《[[아파트 열쇠를 빌려드립니다]]》 || || [[1962년]] || [[에마뉘엘 리바]]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8]]]] || 《테레즈 데케루》 || || [[1987년]] || [[강수연]] [[한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 《[[씨받이(영화)|씨받이]]》 || ||<|2> [[1988년]] || [[이자벨 위페르]]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8]]]][*共 공동수상] || 《여자 이야기》 || || [[셜리 맥클레인]]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8]]]][*共] || 《마담 소사츠카》 || ||<|2> [[1989년]] || [[페기 애시크로프트]]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8]]]][*共] ||<|2> 《그녀는 멀리 있다》 || || [[제럴딘 제임스]]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8]]]][*共] || || [[1990년]] || [[글로리아 뭉크메예르]] [[칠레|[[파일:칠레 국기.svg|width=28]]]] || 《거울의 달》 || || [[1991년]] || [[틸다 스윈튼]]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8]]]][* [[2020년]] 제 77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평생공로상 수여 ] || 《에드워드 2세》 || || [[1992년]] || [[공리(배우)|공리]] [[중국|[[파일:중국 국기.svg|width=28]]]] || 《[[귀주 이야기]]》[*A [[황금사자상]] 수상작품] || ||<|2> [[1993년]] || [[줄리엣 비노쉬]]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8]]]] || 《[[세 가지 색: 블루]]》[*A] || || [[안나 보나이우토]]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8]]]] (여우조연상)[*助 1993년~1995년에는 여우조연상이 수여되었다.] || 《어디 있나요? 저는 여기 있어요》 || ||<|2> [[1994년]] || [[마리아 드 메데이루스]] [[포르투갈|[[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8]]]] || 《세 남매》 || || [[버네사 레드그레이브]]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8]]]] (여우조연상)[*助] || 《비열한 거리》 || ||<|3> [[1995년]] || [[이자벨 위페르]]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8]]]][*共] ||<|2> 《[[의식(영화)|의식]]》 || || [[상드린 보네르]]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8]]]][*共] || || [[이자벨라 페라리]]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8]]]] (여우조연상)[*助] || 《로만조디언 지오바네 페보》 || || [[1996년]] || [[빅투아르 티비슬]]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8]]]] || 《뽀네트》 || || [[1997년]] || [[로빈 터니]]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 《나이아가라 나이아가라》 || || [[1998년]] || [[카트린 드뇌브]]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8]]]] || 《방돔 광장》 || || [[1999년]] || [[나탈리 베어]]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8]]]] || 《포르노그래픽 어페어》 || || [[2000년]] || [[로즈 번]]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8]]]] || 《1967년형 시트로앵》 || || [[2001년]] || [[산드라 체카렐리]]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8]]]] || 《내 눈속의 빛》 || || [[2002년]] || [[줄리앤 무어]]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8]]]] || 《[[파 프롬 헤븐]]》 || || [[2003년]] || [[카차 라만]]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8]]]] || 《로젠스트라시》 || || [[2004년]] || [[이멜다 스턴톤]]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8]]]] || 《[[베라 드레이크]]》[*A] || || [[2005년]] || [[조반나 메초조르노]]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8]]]] || 《마음 속의 야수》 || || [[2006년]] || [[헬렌 미렌]]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8]]]] || 《더 퀸》 || || [[2007년]] || [[케이트 블란쳇]]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8]]]] || 《아임 낫 데어》 || || [[2008년]] || [[도미니크 블랑]]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8]]]] || 《로트르》 || || [[2009년]] || [[크세니야 라포포트]] [[러시아|[[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8]]]] || 《더블 아워》 || || [[2010년]] || [[아리안 라베드]]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8]]]] || 《아텐버그》 || || [[2011년]] || [[엽덕한]] [[홍콩 특별행정|[[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8]]]] || 《심플 라이프》 || || [[2012년]] || [[하다스 야론]] [[이스라엘|[[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8]]]] || 《필 더 보이드》 || || [[2013년]] || [[엘레나 코타]]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8]]]] || 《팔레르모의 결투》 || || [[2014년]] || 알바 로르바케르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8]]]] || 《헝그리 하츠》[* 같은 영화의 주연이었던 [[애덤 드라이버]]도 이 영화로 [[베니스 국제 영화제/볼피컵 남우주연상|남우주연상]]을 탔다.] || || [[2015년]] || [[발레리아 골리노]]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8]]]] || 《사랑을 위하여》 || || [[2016년]] || [[엠마 스톤]]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 《[[라라랜드]]》 || || [[2017년]] || [[샬롯 램플링]]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8]]]] || 《한나》 || || [[2018년]] || [[올리비아 콜먼]]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8]]]] || 《[[더 페이버릿: 여왕의 여자]]》[* 베니스 영화제 [[베니스 국제 영화제/심사위원대상|심사위원대상]] 수상 작품] || || [[2019년]] || [[아리안 아스카리드]]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8]]]] || 《글로리아를 위하여》 || || [[2020년]] || [[바네사 커비]]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8]]]] || 《[[그녀의 조각들]]》 || || [[2021년]] || [[페넬로페 크루즈]]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8]]]] || 《[[패러렐 마더스]]》 || || [[2022년]] || [[케이트 블란쳇]]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8]]]] || 《[[타르(영화)|타르]]》 || == 관련 문서 == * [[칸 영화제/여우주연상]] - 한국 수상 배우 : '''[[전도연]]''' * [[베를린 국제 영화제/은곰상 : 여우주연상]] - 한국 수상 배우 : '''[[김민희(1982)|김민희]]''' [[분류:베니스 국제 영화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