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베를린의 대학]][[분류:1766년 개교]] || [[파일:베를린 공과대학교 원형 아이콘.png|width=27]] {{{#C50E1F,#white '''베를린 공과대학교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TU9)] [include(틀:사이언스 갤러리 네트워크)] [include(틀:TIME 네트워크)] }}} || ||<-2> '''{{{#white {{{#!html 베를린 공과대학교}}}[br]{{{+1 Technische Universität Berlin}}}[br]Technical University of Berlin[br]Berlin Institute of Technology}}}''' || ||<-2> [br][[파일:Logo_der_Technischen_Universität_Berlin.svg.png|width=77%]][br][br] || ||<-2> {{{#fff '''대학 정보'''}}}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 || 소재지 ||[[독일]], [[베를린]] {{{-2 (Straße des 17. Juni 135, 10623 Berlin, Germany)}}} || || 개교 ||1879년 4월 1일 {{{-1 ([age(1879-04-01)]주년)}}}|| || 연간예산 ||5억 6780만 유로 {{{-1 (한화 7천 7백억 원)}}}|| || 학생 수 ||35,600명|| || 교직원 수 ||7,810명|| || 교색[* [[https://www.pressestelle.tu-berlin.de/fileadmin/a70100710/Dokumentationen/Imagematerial/CD-Manual/TUB_Corporate_Design_Manual.pdf|TUB Corporate Design Manual]] 참고] ||{{{#!wiki style="text-align:left; margin:0 auto; display:inline" {{{#000,#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 padding: 3px 5px; background: #C50E1F; font-size: 0.9em" {{{#fff '''Rot''' ({{{-2 #C50E1F}}})}}}}}}[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 padding: 3px 5px; background: #000; font-size: 0.9em" {{{#fff '''Schwarz''' ({{{-2 #000000}}})}}}}}}[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 padding: 3px 5px; background: #717171; font-size: 0.9em" {{{#fff '''Grau''' ({{{-2 #717171}}})}}}}}} }}}}}}}}} || || 웹사이트 ||[[https://www.tu.berlin/|[[파일:베를린 공과대학교 원형 아이콘.png|width=20]] {{{#c50e1f,#white '''공식 홈페이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Berlin Institute of Technology, 너비=100%, 높이=100%)]}}} || ||<-2> 위치 || [목차] [clearfix] == 개요 == [[독일]]의 수도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빌메르스도르프|샤를로텐부르크]](Charlottenburg)에 위치한 국립 공과대학교이다. 베를린 공과대학교는 9개 독일 공과대학교 연합인 [[TU9]], 유럽 내 53개 공과대학교의 연합인 T.I.M.E. 등에 속해있다. 2022년 기준 [[노벨상]] 수상자는 8명으로, 독일에서 두번째로 많은 노벨상 수상자를 보유한 명문 공과대학교이다.[* [[TU9#s-3]] 참조] 2022년 기준 QS 대학평가 공학 및 기술 분야에서 독일 내 3위[* 전세계 55위][* [[https://www.topuniversities.com/university-rankings/university-subject-rankings/2022/engineering-technology|#]]]에 랭크되어 있다. 100여개의 학부과정과 70여개의 석사과정[* 4학기제]을 제공하고 있다. 연간 예산은 2020년 기준으로 7천 7백억 원에 달하며 재학생은 도합 35,600여명으로 학교 규모 자체는 독일에서 큰 편에 속한다. 베를린 공과대학교의 전신인 왕립 산업 아카데미의 설립 연도는 1770년으로 독일 내에서도 역사가 매우 깊은 공과대학교이다.[* 베를린 공과대학교의 복잡한 역사로 인하여 위키피디아에서 설립연도는 1770/1799/1879/1946(전쟁후 재개교)으로 표기된다.][* 공과대학교라고 하지만 한국의 [[포항공대]], [[카이스트]]같은 학교같은 개념과는 편제가 조금 달라서 인문사회 및 교육대학, 경영대학등이 단과대학등도 대학교 안에 소속되어 있다.] == 역사 == 베를린 공과대학교는 1879년 4월 1일 베를린 건축 아카데미와 왕립 산업 아카데미의 합병을 통해 설립되었다. 1885년 학교의 정식 명칭을 베를린 왕립 공과 대학으로 변경하였으며, [[프로이센]]의 왕 [[빌헬름 2세]]로부터 "최고 칙령"(내각 명령)에 의해 고등 공학 교육기관으로 박사 학위를 수여할 권리가 부여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독일에서 가장 큰 공과대학이었던 베를린 공과대학교는 전쟁으로 인하여 학교 건물이 다수 파괴되었고, 1945년 4월 결국 폐교되었다. 이듬해인 1946년 4월 9일 베를린 공과대학교는 [[베를린]] 내 [[영국]] 분할 통치지역인 Bezirk Charlottenburg-Wilmersdorf내의 현재 위치에 새롭게 개교하였다. 파괴되었던 인문학부 건물은 이후 1950년에 재건되었다. 1969년 베를린 대학법에 따라 대학의 교육 정책이 재편성되었으며 이전에 존재하던 9개 학부를 21개 학과로 변경하였다. 2019년에 [[우수대학육성정책]]의 대상 대학으로 첫 선정되었다. == 교통 == 학교 바로 동쪽에는 [[베를린 동물원역]]과 베를린 동물원[* Zoologischer Garten Berlin]이 있는데, 이 베를린 동물원은 베를린 중앙에 동서로 3km에 달하여 펼쳐져 있으며, 이 길을 통하면 [[베를린 전승기념탑]][* Siegessäule]을 거쳐 [[브란덴부르크 문]]에 도달할 수 있다. [[베를린 S반]] [[베를린 동물원역]] 또는 [[베를린 U반]] 2호선 [[에른스트 로이터 플라츠역]]에서 내리면 도착할 수 있다. 그런데, 사실 [[티어가르텐역]]에서 내려 가는게 더 안전하다. [[베를린 동물원역]]에서 내려서 학교로 향하는 방향은 부랑자도 많고 치안이 그다지 좋지 않기 때문이다. 베를린의 다른 4년제 대학들과 달리, 학생증에 딸려오는 제메스터카드(Semestercard)를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독일 티켓]] 같은 일반 정기권을 끊어야 한다. 제메스터티켓이 자전거 티켓까지 겸한다는 걸 생각해보면, 대중교통과 자전거를 함께 이용하는 학생들에게는 확실히 손해다. == 캠퍼스 == ||<#C50E1F> {{{#white '''▼ 캠퍼스 소개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ae94fzigEk)]}}} || 본 캠퍼스는 베를린 도심 중 하나인 [[샤를로텐부르크-빌메르스도르프|샤를로텐부르크]]에 위치해 있다. 캠퍼스가 시 외곽에 있거나, 시내 여러 곳에 위치한 다른 종합대학들에 비해 이점이 있는편이다. 도심 중심에 꽤 넓은 부지에 건물들이 캠퍼스 형태로 모여있다. == 출신인물 == 저명한 동문으로는 헝가리의 물리학자이자 1961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유진 바그너[* 12세의 [[폰 노이만]]으로부터 13세의 바그너가 정수론을 배운것은 유명한 일화이다.], 질소의 합성법으로 유명한 [[프리츠 하버]],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이 있는데, 비트겐슈타인은 철학자지만 베를린 공과대학에서 기계공학 석사과정을 이수했다고 한다. 또 로켓공학의 아버지로 유명한 [[베르너 폰 브라운]]도 이학교에서 학위를 마쳤다. * [[콘라드 추제]] * 칼 보쉬 * [[프리츠 하버]] - 1918년 [[노벨화학상]] 수상자 * 볼프강 파울 * 에른스트 루스카 * 유진 위그너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 [[철학자]], 일상언어학파의 창시자 * 구스타프 헤르츠 * [[성기창]] * [[디베도 프란시스 케레]] - 2022년 [[프리츠커상]] 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