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tube(0m1YisSZCEY)] [목차] == 개요 == 러시아 베리예프 사에서 개발생산 중인 수륙양용 쌍발 수평대향 가솔린 [[비행정|경비행정]]. 소규모 여객이나 관광용으로 쓰이며, 물과 지상 어디서건 운용 가능하다. == 제원 == || '''초도비행''' || 1997년 7월 15일 || || '''출시''' || 2003년 || || '''제조공장''' || 콤소몰스크-온-아무르 항공기 공장 || || '''가격''' || 145만~150만 달러[* 2020년 10월 20일 16:40 UTC 기준 한화 '''1,710,000,000.00'''] || || '''승무원''' || 기장 1명 || || '''탑재량''' || 승객 5명 또는 화물 545kg || || '''전장''' || 10.7m || || '''전폭''' || 12.5m || || '''전고''' || 3.7m || || '''익면적''' || 25.1제곱미터 || || '''공중량''' || 1.73톤 || || '''전비중량''' || 2.283톤 || || '''이륙허용중량'''[* 이 기종은 전비중량이 이륙허용중량보다 조금 크다.] || 2.27톤 || || '''연료탱크 용량''' || 340리터 || || '''엔진''' || 컨티넨탈 IO-360-ES4 수평대향 연료 분사식 가솔린 엔진 || || '''프로펠러''' || 3엽 MT 프로펠러 MT-12 || || '''프로펠러 직경''' || 1.83m || || '''초과금지속도'''[* 설계한계속도다.] || 241km/h(132노트) || || '''최저조종가능속도'''[* 착륙시 공중에서 느릴수 있는 가장 안전하게 느린 속도.] || 115km/h(62노트) || || '''실속속도''' || 111km/h(60노트) || || '''항속거리''' || 약 845km || || '''실용상승한도''' || 5km || || '''익면하중''' || 제곱미터당 90.3kg || || '''추중비''' || 11.9lb/hp (7.2 kg/kW) || || '''지상이륙활주거리''' || 388.62m || || '''지상이륙거리'''[*A 50피트 장애물 통과 고도 지점까지] || 585.52m || || '''지상착륙활주거리''' || 약 240m || || '''지상착륙거리'''[*A] || 720.54m || || '''수상이수활주거리''' || 약 550m || || '''수상착수활주거리''' || 320.04m || |||| [[https://en.wikipedia.org/wiki/Beriev_Be-103#Specifications_(Be-103)|자료출처]][br][[https://www.aopa.org/news-and-media/all-news/2004/october/pilot/beriev-be-103|활주거리 자료출처]] || == 기체 특징 == 우선 외형적으로는, [[Be-200|최근의 베리예프 비행정]]처럼 엔진이 [[A-10|동체 양측면 상방 대각 방면에 있다는 것]]과, '''델타익[* 이거 때문인지 수호이가 개발에 참여했다는 설이 있다.]에 경비행기 에어포일을 융합하여 적용한 점, 앞전플랩은 있으면서 뒷전의 플랩은 없는 점''', 항공기로선 흔치는 않은 [[걸윙 도어]] 등이 특징이다. == 사고 == [youtube(gjxIi4GFTeU)] 2009년 11월 3일에 업로드된 위 영상에 따르면 파일럿이 '''수상에 착수한다면서 한쪽 랜딩기어가 내려간채 내리는 바람에 좌측 주익을 말아먹는''' 사고가 났다. 탑승객 3명은 전원 무사히 기체 밖으로 나왔다고 한다. 0:55에 파일럿이 나온다. 그가 말하길 '''이건 내가 본 수상기중 가장 튼튼하다.'''라고 칭찬하기도 한걸로 보아 저런 사고로도 기체 대파는커녕 주익 하나 말아먹고 끝난걸 보면 천운도 따랐고, 기체도 잘만든것 같다. [[분류:항공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