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향신료 베이리프, rd1=월계수)] [include(틀:역대 스타팅 포켓몬)] {{{#!wiki style="word-break: keep-all" ||<-3> {{{#FFFFFF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 || [[파일:icon0152_f00_s0.png|width=40]] 0152 [[치코리타]] || [[파일:icon0153_f00_s0.png|width=40]] '''0153 {{{#000,#fff 베이리프}}}''' || [[파일:icon0154_f00_s0.png|width=40]] 0154 [[메가니움]] || ||<-3> {{{#FFFFFF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3>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px;margin-top:-6px;margin-bottom:-16px"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2세대#성도도감 목록|{{{#FFFFFF 성도도감}}}]]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52MS.png]] 001 [[치코리타]]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53MS.png]] '''002 {{{#000,#fff 베이리프}}}'''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54MS.png]] 003 [[메가니움]]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3세대/비노출 호연도감|{{{#FFFFFF 호연도감(비노출)}}}]]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52MS.png]] 307 [[치코리타]]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53MS.png]] '''308 {{{#000,#fff 베이리프}}}'''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54MS.png]] 309 [[메가니움]] || }}}}}}}}} || }}} ||<#389a02> '''{{{+1 {{{#white 정보 내 바로가기}}} }}}''' || || [[#앵커-일러스트|일러스트]][br][[#앵커-기본 정보|기본 정보]][br][[#앵커-특성|특성]][br][[#앵커-세부 정보|세부 정보]][br][[#앵커-유전 정보|유전 정보]][br][[#앵커-진화|진화]][br][[#앵커-방어 상성|방어 상성]][br][[#앵커-종족치|종족치]][br][[#앵커-울음소리|울음소리]][br][[#앵커-도감 설명|도감 설명]][br][[#s-2|skip]] || [목차] [clearfix] == 정보 == [anchor(앵커-일러스트)] || [[파일:153 베이리프.png|width=50%]] || || 베이리프 || [anchor(앵커-기본 정보)] ||<-3> {{{#FFFFFF 기본 정보}}} || ||<#389a02> {{{#FFFFFF 이름}}} ||<#389a02> {{{#FFFFFF 도감 번호}}} ||<#389a02> [[포켓몬스터/타입|{{{#FFFFFF 타입}}}]] || || [[파일:icon0153_f00_s0.png|width=40]][br]'''베이리프''' [br] ベイリーフ(베이리후) [br] Bayleef || 전국: 0153[br]성도: 002[br]호연: 308 || [include(틀:풀타입)] || [anchor(앵커-특성)] ||<-2><#389a02> [[포켓몬스터/특성|{{{#FFFFFF 특성}}}]]{{{#FFFFFF (}}}[[포켓몬스터/특성#s-1.1|{{{#FFFFFF 숨겨진 특성}}}]]{{{#FFFFFF 은 *)}}} || || [[포켓몬스터/특성/ㅅ#심록|심록]] || 자신의 현재 HP가 전체의 ⅓ 이하일 때, 풀 타입 기술의 위력이 1.5배 오른다. || || *[[포켓몬스터/특성/ㄹ#리프가드|리프가드]] || 날씨가 [[쾌청]] 상태일 때 [[상태이상]]에 걸리지 않는다. || [anchor(앵커-세부 정보)] ||<-5> {{{#FFFFFF 세부 정보}}} || || {{{#FFFFFF 포켓몬}}} || {{{#FFFFFF 분류}}} || {{{#FFFFFF 신장}}} || {{{#FFFFFF 체중}}} || {{{#FFFFFF 포획률}}} || || 0153 베이리프 || 잎사귀 포켓몬 || 1.2m || 15.8kg || 45 || [anchor(앵커-유전 정보)] ||<-4> {{{#ffffff 유전 정보}}} || || 성비 || 알 그룹 || 부화 카운트 || 최대 경험치량 || || 수컷: 87.5% [br] 암컷: 12.5% || 괴수, 식물 || 20 || 1,059,860 || [anchor(앵커-진화)] ||<-6> [[포켓몬스터/진화|{{{#FFFFFF 진화}}}]] || ||<#389a02> {{{#FFFFFF 진화}}}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chikorita.gif]][br]0152 [[치코리타]] || 레벨 16[br]→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bayleef.gif]][br]0153 베이리프 || 레벨 32[br]→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meganium.gif]][br]0154 [[메가니움]] || [anchor(앵커-방어 상성)] ||<-3><#389a02> {{{#FFFFFF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 || {{{#FFFFFF 2배}}} || {{{#FFFFFF 1배}}} || {{{#FFFFFF 0.5배}}} || || [include(틀:독타입)] [include(틀:벌레타입)] [include(틀:불꽃타입)] [include(틀:비행타입)] [include(틀:얼음타입)] || [include(틀:강철타입)] [include(틀:격투타입)] [include(틀:고스트타입)] [include(틀:노말타입)] [include(틀:드래곤타입)] [include(틀:바위타입)] [include(틀:악타입)] [include(틀:에스퍼타입)] [include(틀:페어리타입)] || [include(틀:땅타입)] [include(틀:물타입)] [include(틀:전기타입)] [include(틀:풀타입)] || [anchor(앵커-종족치)] ||<-8><#389a02> [[종족치|{{{#FFFFFF 종족치}}}]] || || {{{#FFFFFF 포켓몬}}} || {{{#FFFFFF HP}}} || {{{#FFFFFF 공격}}} || {{{#FFFFFF 방어}}} || {{{#FFFFFF 특수공격}}} || {{{#FFFFFF 특수방어}}} || {{{#FFFFFF 스피드}}} || {{{#FFFFFF 합계}}} || || [[파일:icon0153_f00_s0.png|width=40]][br]베이리프 || 60 || 62 || 80 || 63 || 80 || 60 || 405 || [anchor(앵커-울음소리)] ||<-8> [[울음소리(포켓몬스터)|{{{#FFFFFF 울음소리}}}]] || ||<-2> [[파일:icon0153_f00_s0.png|width=40]][br]{{{#FFFFFF 베이리프}}} || ||<#ffffff,#000000><-2><:>{{{#!HTML}}}|| [anchor(앵커-도감 설명)] ||<-2><#389a02> {{{#white 도감 설명[br]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앵커-도감설명 스킵|{{{#white skip}}}]]을 눌러주세요.}}} || ||<-2><#389a02> [[파일:icon0153_f00_s0.png|width=40]][br]{{{#FFFFFF 0153 베이리프}}} || || 금/HG ||<|2>목 주변에서 나는 향긋한 향기를 맡으면 왠지 싸우고 싶어진다.|| || 리프그린 || || 은/SS ||<|3>목 주변에서 발산하는 향신료 같은 향기에는 힘을 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 파이어레드 || || X || || 크리스탈 ||목 주위의 잎사귀에서 풍기는 향기를 맡은 사람은 몸에서 힘이 넘쳐흐른다.|| || RSE/ORAS ||<|2>목 주위를 둘러싼 잎사귀 안에는 작은 열매가 하나씩 들어 있다.[br]그 향기는 사람을 힘이 나게 해준다.|| || 포켓몬 GO || || DPPt/BDSP ||<|3>목 주위의 봉오리로부터 풍기는 향긋한 향기는 향기를 맡은 사람을 힘이 나게 한다.|| || BW/BW2 || || Y || ||<-2><#389a02> [anchor(앵커-도감설명 스킵)] || == 소개 == 2세대 풀타입 [[스타팅 포켓몬]] [[메가니움]]의 진화 전 단계. 베이 리프는 월계수잎을 뜻한다. == 대전 == 진화 후인 메가니움의 모든 스텟을 20씩 깎은 능력치로, 상당히 암담한 메가니움만 보고 이 녀석도 대강 이렇겠구나 하면 그야말로 착각이다. 이 문서가 따로 만들어진 이유. 메가니움은 어차피 공격을 하기보다는 내구력을 살려 팀을 서포트해주는 역할을 맡는 포켓몬이었는데, 그런 포켓몬의 미진화형이라면 [[진화의휘석]]을 달아주는 것으로 진화형 이상의 내구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HP가 메가니움보다 낮지만 진화의휘석으로 1.5배 뻥튀기되는 방어/특방 능력치가 그걸 커버하고도 남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휘석 베이리프는 확실히 메가니움보다 더 단단하다. 여기에 메가니움이 쓰던 [[빛의장막]], [[리플렉터]], [[아로마테라피]], [[씨뿌리기]], [[광합성]], [[풀피리]], [[치유파동]] 등 많은 보조기술들을 당연히 베이리프도 모두 쓸 수 있기 때문에, 본래 메가니움의 컨셉대로 운용하는 데도 전혀 문제가 없다. [[해피너스]]를 놔두고 [[럭키(포켓몬스터)|럭키]]에 휘석을 달고 쓰는 거랑 비슷한 경우다. 물론 풀 타입이라 약점이 좀 많긴 하지만, 이건 메가니움도 똑같이 안고 있는 문제이므로 별다른 누는 되지 않는다. 그렇다고 휘석 베이리프가 메가니움보다 월등히 좋은가 하면 그렇지는 않아서, 내구는 올라가지만 잃는 것들도 있다. 일단 도구가 휘석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메가니움의 특기인 벽 깔기를 빛의점토로 보강할 수 없게 되고, 체력 보강을 위해 먹밥이나 자뭉열매를 달아줄 수도 없다. 휘석몬들 특유의 약점으로 [[탁쳐서떨구기]]나 [[트릭]] 같은 기술을 당하는 순간 베이리프는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르고 대전판에 끼어든 미진화 포켓몬에 불과하다. 또 비록 메가니움이 스피드로 먹고 사는 포켓몬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베이리프보다 종족치가 20이나 높은 80으로 답이 없이 느린 편은 아니었는데, 이 20이 스핏에 보정하지 않는 포켓몬과 싸울 때는 종종 선공 후공을 가를 때도 있다. 후공이 된다는 것은 한대 더 맞는다는 소리고 이건 실질 체감 내구를 크게 깎아먹을 수도 있는 요소다. 공격 쪽 종족치가 낮아지는 건 신경쓰이지 않을 수도 있으나 사실 특공이 낮다는 점은 [[기가드레인]]의 회복 효율이 그만큼 떨어진다는 의미도 된다. [[칼춤]]을 통해 어태커로 써볼 시도라도 해볼 수 있는 메가니움과는 달리 이쪽은 공격기는 수치도 떨어지고 [[역린]]을 못 배우는 등 기술폭도 미묘하게 딸리니, 공격은 그냥 깨끗이 포기하고 확실히 방어/보조 특화로 가는 것이 좋다. 어찌되었든 생각보다 적은 진화의휘석을 제대로 써먹을 수 있는 포켓몬 중 하나임은 사실이니, 서로 장단점을 비교해 보고 휘석 베이리프와 메가니움 중 자신의 마음에 드는 쪽을 선택하도록 하자. [[쾌청]]팟에 채용한다면, [[광합성]]이나 [[씨뿌리기]], 둘 중 하나를 고르고 [[솔라빔]]과 [[리플렉터]], [[빛의장막]]을 채용한 깔짝 장막요원을 추천. 시너지가 잘 맞는 포켓몬은 [[체리꼬]]나 [[날쌩마]]같은 쾌청팟에 특화된 포케들이다. 더블이나 트리플배틀에서는 얘가 중앙에 서서 옆에 어태커를 세우고, 빛장이나 리플렉터 깔면서 아로마테라피로 보조하고, 체력 떨어지면 회복기로 보충하고...하는 식으로 하면 상당히 도움 된다. 여기에 숨겨진 특성 리프가드까지 있으면 [[광합성]] 이외의 메리트가 생기기 때문에 쾌청팟에서 활약하기 상당히 좋아지지만, 6세대에서 날씨팟이 전체적으로 하향됐으니 조금 신경을 써 줘야 한다. 다만 베이리프의 문제는 먹고살 길이 쾌청팟뿐이라는 것이다. 일반 파티에 넣자니 내구는 좋은데 약점이 5개고, 모래/비/눈팟에 넣을 수도 없다. 분명 메가니움보다 내구가 올라가기는 하는데 저주받은 방어상성을 가진 단일 풀타입에다 스피드도 빠르지 않다는 메가니움의 단점 자체는 그대로라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물론 스토리에서는 그냥 메가니움이 되기 위해 거쳐가는 단계일 뿐이다. 2세대와 4세대에선 휘석도 없고, 휘석이 있었다 해도 메가니움만으로도 충분히 내구력이 단단하고, 당연히 화력과 스피드가 더 좋으므로 메가니움으로 진화시키는 게 훨씬 낫다. == 애니메이션 == [[한지우]]의 포켓몬으로 등장한 바 있다. 성우는 치코리타와 동일한 [[카나이 미카]]. 국내판은 로사와 동일한 [[이선(성우)|이선]], DP판은 [[정미숙]], W부터는 [[여민정]]. 자세한 내용은 [[베이리프(한지우)]] 문서 참조 == 여담 == [[파일:PokeGoldDemo-front_153.png]] [[포켓몬스터 금·은/특별체험판|특별체험판]] 당시의 모습은 지금과는 완전히 달랐다. 이름은 하나모구라(ハナモグラ).~~[[플라베베]]~~ 반면 이름은 지금과 달랐지만 치코리타와 메가니움의 모습은 거의 다르지 않았다. 2세대 게임에서는 [[갈색시티]]의 포켓몬 애호가 클럽 회원이 이 베이리프를 데리고 있는데, 머리의 나뭇잎이 귀엽다며 자랑을 한다. 옆에 있는 베이리프에게 말을 걸면 울음소리는 "리 리프!". 참고로 이 시절 당시 많은 포켓몬들이 같은 아이콘을 돌려쓰고 있던 것 때문에, 맵상에 표시되는 그래픽은 [[라플레시아(포켓몬스터)|뚜벅쵸]]의 모습이다.다행히 리메이크작에서는 베이리프의 모습이 잘 나온다. 1.2m로 역대 스타팅 중간진화형 중에서 가장 크다. 애니메이션만 봐도 중간진화형주제에 크기가 한지우랑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다만 덩치에 안어울리게 생각보다 몸무게는 별로 안나가는 오류가 있다. 아마 체험판 당시의 하나모구라 시절의 흔적인듯. 진화 전의 [[치코리타]]가 머리를 만지면 좋아하고 목 주변의 봉우리를 만지면 싫어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베이리프는 그 반대가 된다. == 삽화 == || '''{{{#fff 금·은·크리스탈}}}''' || || [[파일:153Bayleef_GS.png|width=180]] || || '''베이리프''' || == 관련 문서 == * [[스타팅 포켓몬]] [[분류:메가니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