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베이블레이드 애니메이션 시리즈)]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25deg, #0033cc 50%, #cc0033 50%)" {{{#ffd700 '''{{{+1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슈퍼킹}}}''' (2020~2021)[br]ベイブレードバースト[ruby(超王,ruby=スパーキング)][br]Beyblade Burst Surg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파킹 포스터.jpg|width=100%]]}}} || ||<-2> {{{#373a3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한국판 포스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슈퍼킹 한국포스터.jpg|width=100%]]}}}||}}}}}}}}}}}} || ||<-2> {{{#373a3c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373a3c 장르}}}''' ||[[액션]], [[스포츠]], [[배틀]] || || '''{{{#373a3c 원작}}}''' ||모리타 히로(森多ヒロ) || || '''{{{#373a3c 시리즈 원안}}}''' ||스기모토 가즈키(杉本和希)[br]야마자키 마사히코(山﨑正彦) || || '''{{{#373a3c 총감독}}}''' ||[[아키야마 카츠히토]] || || '''{{{#373a3c 감독}}}''' ||오진구 || || '''{{{#373a3c 감독보조}}}''' ||야마구치 켄타로(山口健太郎) || || '''{{{#373a3c 시리즈 구성}}}''' ||소노다 히데키(園田英樹) || || '''{{{#373a3c 베이 배틀 연출}}}''' ||핫토리 준(羽鳥潤) || || '''{{{#373a3c 캐릭터 디자인}}}''' ||오하시 도시아키(大橋俊明) || || '''{{{#373a3c 아바타 디자인}}}''' ||나가모리 요시히로(長森佳容) || || '''{{{#373a3c 플롭 디자인}}}''' ||미야자키 신이치(宮崎真一) || || '''{{{#373a3c 미술 감독}}}''' ||시라이시 마코토(白石誠) || || '''{{{#373a3c 미술 설정}}}''' ||이와자와 미도리(岩澤美翠) || || '''{{{#373a3c 배경 관리}}}''' ||와카마츠 에이지(若松栄司) || || '''{{{#373a3c 배경 총괄}}}''' ||하타케야마 유키(畠山佑貴) || || '''{{{#373a3c 색채 설계}}}''' ||오우치 아야(大内綾) || || '''{{{#373a3c CGI 디렉터}}}''' ||구보타 데쓰야(久保田哲也) || || '''{{{#373a3c CGI 슈퍼바이저}}}''' ||세오 후토시(瀬尾太) || || '''{{{#373a3c 촬영 감독}}}''' ||스즈키 히로미치(鈴木大倫) || || '''{{{#373a3c 편집}}}''' ||와타니베 나오키(渡辺直樹) || || '''{{{#373a3c 음향 감독}}}''' ||마쓰오카 히로키(松岡裕紀) || || '''{{{#373a3c 음악}}}''' ||토드 브라이언튼(Todd Bryanton) || || '''{{{#373a3c 애니메이션 제작}}}''' ||[[OLM]] TEAM ABE || || '''{{{#373a3c 제작}}}''' ||[[타카라토미]][br][[ADK]] || || '''{{{#373a3c 방영 기간}}}'''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애니메이션/2020년 4월|2020. 04. 03.]] ~ 2021. 03. 19. {{{-2 (Youtube)}}}[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애니메이션/2020년 10월|2020. 10. 05.]] ~ 2021. 03. 29. {{{-2 (TV 방영)}}}[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 07. 01. ~ 2021. 06. 30. || || '''{{{#373a3c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도쿄 MX]] / (월) 19:0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투니버스]] || || '''{{{#373a3c 국내 스트리밍 서비스}}}''' ||[[왓챠]] [[https://www.Watcha.com/|▶]]^^더빙^^[br][[넷플릭스]] [[https://www.netflix.com/kr/title/81567663|▶]]^^더빙^^ || || '''{{{#373a3c 편당 러닝타임}}}''' ||12분 || || '''{{{#373a3c 화수}}}''' ||52화 || || '''{{{#373a3c 국내 심의 등급}}}'''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7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ffffff 7세 이상 시청가}}}]] || || '''{{{#373a3c 관련 사이트}}}''' ||[[https://beyblade.jp/campaign/5th/|[[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총감독은 [[아키야마 카츠히토]].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시리즈의 '''5번째 작품'''. == 특징 == 이 작품으로 베이블레이드 버스트는 [[베이블레이드 시리즈]] '''역대 최장 시리즈'''가 되었다. 주요 제작진들은 전과 같이 유지되나 음악은 토드 브라이언튼으로 변경됐다. 폭전슛은 3기, 메탈 파이트는 4기로 종료되었는데, 버스트는 GT가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 ZERO-G|ZERO-G]] 루트를 안 타서 5기까지 이어나가는 데 성공했다는 것이 참으로 축하할 일이다.[* 이건 매 시즌 연출력이 비슷했던 이전 시리즈들과 달리 시즌이 지날수록 연출을 점진적으로 강화시키는 방식을 선택했고 GT에 와서도 이 점을 간과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연출로 먹고사는 베이블레이드 시리즈가 연출력을 버리는 것은 자충수 그 자체다. 초제트가 밸붕 논란이 터지면서도 차기작을 이을 수 있던 이유기도 하다. 폭전슛 3기, 메탈 파이트 4기, 버스트 3기까지 종영각을 재는 시기가 많았지만 어쨌든 여기까지 올 수 있었다.] [[베이블레이드 버스트(애니메이션 1기)|무인편]]부터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진검|GT]]까지의 레귤러들이 등장한다. 올스타전이라 말한 걸로 보아 마지막 시리즈인 만큼 지금까지 나왔던 보스급 강자를 모두 출연시키는 걸로도 볼 수 있었으나,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다이너마이트 배틀|시즌6]]의 정보도 나온 걸로 봐서 이걸로 베이블레이드 버스트는 역대 베이블레이드 시리즈 중에서 최초로 6번째 시리즈까지 가는 상황으로 되었다. 비록 유언비어로 끝나기는 했지만, 슈퍼킹 포스터에 등장하지 않은 과거 인물들이 쓰던 베이의 명칭이[* '''엑스칼리버''', 제우스, '''데스사이저''', '''피닉스''', 하데스, 제네시스, '''와이번''' 등등이 있었다. 그리고 실제로 '''데스사이저와 와이번이 3년만의 부활'''을 하고 피닉스도[[페노메노 페인|다른 블레이더]]가 사용하긴 하지만 DB시즌에서 부활하여 팬들의 환호를 받고 있다. 엑스칼리버도 BU시즌 리메이크 되었다.] 신상품으로 소문이 나는 등 새로운 레귤러들의 추가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다. 또한 최초로 [[폭주형제 렛츠&고!!|형제가 주인공]]인 작품이다. 원판은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다|초왕(超王)이라 쓰고 스파킹으로 읽는데]], 한국판은 슈퍼킹으로 표기했다. 이건 절대 착각해서 오역이 일어난 것이 아니다. __작품명에 대한 언어유희다.__ 초왕을 영어로 풀이하면 슈퍼킹이 되며, 이는 과거 '''왕'''에 해당했던 이들을 모조리 뛰어넘는다는 주제의식을 담고 있는 단어다. 이런 제목 언어유희는 초절이자 초Z인 초제츠 때도 진검이자 가칭코인 GT 때도 존재했으니 전작들을 봐왔다면 스파킹의 의미를 눈치채지 못하는 게 더 이상하다. 한국의 슈퍼킹은 스파크를 튀긴다는 의미의 スパーキング보다는 슈퍼(スーパー)에 집중한 것이다. 단, 스파킹이든 슈퍼킹이든 뭘 써도 어색하지 않은 이름인데 굳이 슈퍼킹으로 바꾼 것은 신기한 점.[* 아마 '''슈퍼'''하이페리온의 슈퍼를 맟추기위해 슈퍼킹으로 정한듯하다] 올스타즈인 만큼 오프닝과 엔딩 영상에 역대 강자들이 등장하며 여기서 앞으로의 줄거리를 암시한다. 란타로, 시스코, 프리, 루이, 드럼, 아이가, 슈, 바루토 순서대로 [[레전드 블레이더]]들이 등장한다. 이들과 렌은 베이에 대한 각자의 사상이 심화된 인물들로서 슈퍼킹에 정착했다고 볼 수 있다. 이들이 서로 충돌하여 작품을 그린 것이 슈퍼킹이라고 할 수 있으며 주로 악역으로 다뤄지는 렌과의 사상 대립을 배틀에서 은연 중에 느낄 수 있다. 그러나 후속편인 다이너마이트 배틀에서는 역대 주인공 중에선 바루토만 나온다. 예를 들면 란타로는 훈련 상대이자 조력자, 시스코는 상대와 가볍게 경쟁하면서 이기고자 하는 흔한 라이벌, 프리는 무뚝뚝하게 주인공 형제와 같은 도전자를 받는 실력자, 루이는 권위와 위세를 보여주려는 강자이자 실질적 위악자, 바루토는 성숙한 즐겜러, 슈는 그보다 실력 갈고닦기에 집중된 수련자, 아이가와 드럼은 자신들이 만들어온 베이블레이드로 최강자가 되려하고, 렌은 상대를 쳐부수고 정상에 서는 쾌락만을 느끼려는, 주인공을 포함하여 홀로 모두에게 대적하는 공공의 적이다. 모두 애니에서 빠지기 힘들 정도의 보편적이면서도 개성 있는 사상을 가지고 있다. [[레전드 블레이더]]들은 슈퍼킹에서 본인의 상징과 걸맞는 사상을 보유하게 된다는 것이다. 오프닝이 전작까지의 느낌과는 전혀 다르다.[* 무인편처럼 처음부터 'Burst'라는 단어가 나오지 않는다.] 그리고 배틀 시 런처 슈팅, 베이 충돌, 버스트, 착지 효과음들이 대부분 바뀌었다. == 국내 방영 == 국내에선 당초에는 6월에 방영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7월 1일에 [[투니버스]]에서 첫 방송을 시작하게 되었다. 단, 자체 더빙하는 건 [[대교어린이TV]]이다.[* 동시에 '''3 ~ 5년만에''' 정말 오랜만에 나온 [[대교어린이TV|대교]] 더빙작이다.]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주인공 성우 중 최초로 [[CJ ENM 성우극회|투니버스]] 성우가 아닌 [[대교방송 성우극회|다른 소속의]] [[안현서|성]][[윤미나|우]]가 맡았으며, 그와 동시에 [[베이블레이드 시리즈]] 사상 최초로 [[대교방송 성우극회]] 성우가 주인공 역을 맡았고, 대교 8기(2018), 9기(2020) 성우가 모두 참여했다는 점.[* 만약 [[투니버스]]가 자체 더빙했다면, 대교 9기인 '김훤'과 '차영희'라는 성우가 [[투니버스]]에 출연하는 것 자체가 120% 만무하다. 그도 그럴게 일단 막 프리랜서가 된 지 몇 달밖에 안된 [[박민기]] 성우와 [[오가빈]] 성우 기용은 그렇다 쳐도, 반대로 무엇보다 '김훤'과 '차영희'라는 성우는 현재 [[대교어린이TV|대교]] 성우가 된 지 고작 몇 달밖에 안된 전속 성우이다. 그렇기에 [[투니버스]]가 저 두 성우를 기용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면서도 만무할 수 밖에 없다.] 동시에 심판이나 드래곤, 아킬레스같은 베이의 소환수들 정도를 제외하면[* 참고로 심판 성우는 당시 전속 성우인 [[강성우(성우)|강성우]]가 맡았는지라 설령 기용하고 싶다고해도 기용할래야 기용할 수 가 없다.], 웬만한 기존 성우진들은 '''전부 유지됐으며[* 이게 파격적인 부분인 게 평소 [[대원방송|대원]] 정도를 제외하면, 기존 성우들은 주인공 정도를 제외하면 대부분 교체되는 것이 흔하다. 게다가 [[대교어린이TV|대교]] 입장에선 전부 외부 성우이고, [[한신(성우)|한신]]과 [[권성혁]] 그리고 [[김정훈(성우)|김정훈]]만 제외하면 전부 경력 10 ~ 20년 이상의 고참 성우인지라 전부 그대로 기용하기 꺼릴 만한 부분도 있다. 거기서 전부 바꾸지 않고 유지한 건 정말 대단한 부분이다.]''', 비록 기존 성우 기용이라곤 해도, [[이호산]][* 여담이지만 이게 인연이 된건지, 이후 '루팡의 이야기 모험'과 [[MAZICA PARTY/애니메이션|매지컬 파티]]라는 애니메이션을 통해 2번 더 대교 자체 더빙에 출연한다.], [[한신(성우)|한신]], [[안영미(성우)|안영미]], [[박리나]], [[김보영(성우)|김보영]] 성우의 첫 [[대교어린이TV|대교]] 더빙 출연작이자,[* [[양정화]], [[김영은(성우)|김영은]] 성우는 탐험 드리랜드 2기(1기는 투니버스에서, 2기는 대교방송에서 방영), [[신용우]] 성우는 꿈의 전사 드림 디펜더즈에 출연한 바 있다.] 역대 [[대교어린이TV]] 더빙 중 역대 [[CJ ENM 성우극회|투니버스]]가 가장 많이 기용되었으면서도 최대 성우 수를 갱신한[* 평소 [[대교어린이TV|대교]]는 자체 더빙할 때, 성우진 수는 많아봐야 13 ~ 14명 정도밖에 안된다.] 더빙작이다. 번역은 그대로 [[윤강비]]가 맡았으나 연출은 이정교 PD로 갈았으며, 처음으로 [[대교어린이TV]]에서 맡은 번역 작품이다.[* 경력이 10년이 넘는 성우는 이호산 : 시스코역, 2006년 데뷔/양정화 : 루이역, 1995년 데뷔/신용우 : 슈역, 2003년 데뷔/김보영 : 태이역, 2006년 데뷔/김현지 : 강산역, 2006년 데뷔/김영은 : 프리역, 2009년 데뷔/박리나 : 서아진역, 2009년 데뷔] == 스토리 == || 레전드 중 최강으로 꼽히는 [[아오이 바루토]]가 베이의 혁명이라고 불리는 슈퍼킹 베이 레전드 배틀 매치를 개최한다. 그런 가운데, 무명의 형제 블레이더, 아사히 휴우가와 히카루가 바루토에게 도전장을 내민다. 태양의 슈퍼킹 베이 하이페리온과 헬리오스를 개발한 두 사람은 세계의 레전드들을 쓰러뜨리겠다고 단언한다! 태양의 베이를 움켜쥐는 휴우가와 히카루의, 모험과 성장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 == 방영 목록 == * [[TV 도쿄]]: [[2020년]] [[4월 3일]] ~ [[2021년]] [[3월 19일]] * [[투니버스]]: [[2020년]] [[7월 1일]] ~ [[2021년]] [[6월 30일]] 전작 GT처럼 10짜리 분량으로 유튜브에 공개된다. 다만 첫방송 때에는 스페셜로 1, 2화를 같이 방영했다. 일본에선 10월 5일부터 tv시리즈로 방송 예정. [* 일본 베이블레이드 사이트에 의하면 1화부터 방영할 것이며 2화씩 할 예정이라고 한다.] [* 방영시간은 19시부터 19시 30분] 한국에서 14화는 추석이라 그 다음주에 할 것이다.[* 9월 30일 결방.] ||<#cc0033> {{{#!wiki style="margin: 0px -5px; font-weight: bold; color: #ffd700; letter-spacing: -1px; word-break: keep-all" 회차}}}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cc0033 85%, #7f00ff 70%)" {{{#ffd700 '''방영 일자'''}}}}}}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25deg, #0033cc 90%, #7f00ff 70%)" {{{#ffd700 '''제목'''}}}}}} ||<#0033cc> '''{{{#ffd700 한국판 제목}}}''' || || '''1''' ||<|2> 2020년 4월 3일 || ベイブレード革命!![br]베이블레이드 혁명!! || 베이블레이드 혁명! || || '''2''' || 太陽のベイ!ハイペリオン&ヘリオス!![br]태양의 베이! 하이페리온&헬리오스! || 태양의 베이! 하이페리온!헬리오스! || || '''3''' || 2020년 4월 10일 || めざせッ スパーキングシュート!! 목표! 스파킹 슛!! || 목표는 슈퍼킹 슛! || || '''4''' || 2020년 4월 17일 || ラグナルクをぶっとばせ!! 라그나로크를 날려버려라!! || 라그나로크를 날려버려! || || '''5''' || 2020년 4월 24일 || 決めろッ キングストライク!! 정해라! 킹 스트라이크!! || 끝내! 킹 스트라이크! || || '''6''' || 2020년 5월 1일 || 挑戦だッ カースサタン! 도전이다! 커스 사탄!! || 도전! 카스 사탄!! || || '''7''' || 2020년 5월 8일 || ベイの声を聞くんだッ! 베이의 목소리를 듣는 거야! || 베이의 소리를 들어봐! || || '''8''' || 2020년 5월 15일 || [ruby(怪物,ruby=フリー・デラホーヤ)]登場!! [ruby(괴물,ruby=프리・데라 호야)] 등장!! || 괴물 등장! || || '''9''' || 2020년 5월 22일 || 幻竜!ミラージュファブニル!! 환룡! 미라쥬 파브닐!! || 환상의 드래곤! 미라지 파브닐!! || || '''10''' || 2020년 5월 29일 || 攻撃NG!?攻撃NG!! 공격 NG!? 공격 NG!! || 공격하지 마? 공격해! || || '''11''' || 2020년 6월 5일 || 夢のタッグバトル!! 꿈꿔온 태그 배틀!! || 꿈의 더블 배틀! || || '''12''' || 2020년 6월 12일 || 白鷺城×鬼ヶ島! 시라사기죠×도깨비섬! || 루이와 깨비깨비섬! || || '''13''' || 2020년 6월 19일 || 攻略せよ鬼ダンジョン! 공략하는 도깨비 던전! || 도깨비 던전을 공략해! || || '''14''' || 2020년 6월 26일 || 激嵐!レイジロンギヌス!! 거센 폭풍! 레이지 롱기누스!! || 폭풍같은 레이지 롱기누스! || || '''15''' || 2020년 7월 3일 || 漆黒の太陽!バリアントルシファー!! 칠흑의 태양! 바리언트 루시퍼!! || 칠흑같은 태양 베어리언트 루시퍼! || || '''16''' || 2020년 7월 10일 || 結界!バリアントウォール!! 결계! 바리언트 월!! || 철벽! 베어리언트 월! || || '''17''' || 2020년 7월 17일 || 天国!?地獄!! 천국?! 지옥!! || 포기? 절대로 안 해! || || '''18''' || 2020년 7월 24일 || ガチが来たッ! 가치가 왔다! || 진검이 나타났다! || || '''19''' || 2020년 7월 31일 || 嵐竜!テンペストドラゴン!! 거센 용! 템페스트 드래곤!! || 진검! 템페스트 드래곤! || || '''20''' || 2020년 8월 7일 || 暴虐の[ruby(炎,ruby=フレア)] レーン!! 포학의 불꽃 렌!! || 잔인한 플레어 린! || || '''21''' || 2020년 8월 14일 || 革命激震!レジェンドフェスティバル!! 혁명격진! 레전드 페스티벌!! || 새로운 혁명! 레전드 페스티벌! || || '''22''' || 2020년 8월 21일 || 超ゼツ!インフィニットアキレス!! 초제츠! 인피니트 아킬레스!! || 초제트! 인피니트 아킬레스! || || '''23''' || 2020년 8월 28일 || ヒュウガ&レーンVSヒカル&アイガ!! 휴우가&렌VS히카루&아이가!! || 차범, 린 대 차현, 서아진! || || '''24''' || 2020년 9월 4일 || 友情の[ruby(神,ruby=ゴッド)]バトル! 우정의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갓|[ruby(신,ruby=갓)]]] 배틀! || 우정의 레전드 배틀! || || '''25''' || 2020년 9월 11일 || 漢のタッグバトル! 사나이의 태그 배틀! || 사나이의 더블 배틀! || || '''26''' || 2020년 9월 18일 || ガチVS超ゼツ!! 가치VS초제츠 || 진검 대 초제트! || || '''27''' || 2020년 9월 25일 || 勝ちぬけッギュギュギューン! 이기고 나아가라! || 가자! 결승으로! || || '''28''' || 2020년 10월 2일 || 最強無敵VS新世代!! 최강무적VS신세대 || 천하무적 대 최강 도전자! || || '''29''' || 2020년 10월 9일 || バルトを倒せ!! 바루토를 쓰러뜨려라!! || 강산을 이기는 훈련? || || '''30''' || 2020년 10월 16일 || 爆炎の[ruby(死闘,ruby=バトル)]! 폭염의 [ruby(사투,ruby=배틀)]! || 폭염 속의 배틀! || || '''31''' || 2020년 10월 23일 || 決勝!バルトVSレーン!! 결승전! 바루토VS렌!! || 결승! 강산 대 린! || || '''32''' || 2020년 10월 30일 || 限界突破!ハイペリオン&ヘリオス!! 한계돌파! 하이페리온&헬리오스!! || 하이페리온! 헬리오스! 한계돌파! || || '''33''' || 2020년 11월 6일 || 紅蓮の鬼神!ワールドスプリガン!! 홍련의 신! 월드 스프리건!! || 붉은 도깨비! 월드 스프리건! || || '''34''' || 2020년 11월 13일 || タッグ対決!バルト&シユウ!! 태그 대결! 바루토&슈!! || 더블 배틀! 강산 그리고 슈! || || '''35''' || 2020년 11월 20일 || 逆襲のルシファージエンド!! 역습의 루시퍼 디 엔드!! || 루시퍼 디 엔드의 역습 || || '''36''' || 2020년 11월 27일 || 電脳!ベイブレードバーチャル!! 전뇌! 베이블레이드 버추얼!! || 베이블레이드! 가상 배틀! || || '''37''' || 2020년 12월 4일 || 最高のタッグパートナー!! 최고의 태그파트너!! || 더블 배틀! 최고의 파트너! || || '''38''' || 2020년 12월 11일 || 開幕!レジェンドスーパータッグリーグ!! 개막! 레전드 슈퍼 태그 리그!! || 개막! 레전드 슈퍼 더블리그! || || '''39''' || 2020년 12월 18일 || 攻略!アルティメットストーム!! 공략! 얼티밋 스톰!! || 얼티밋 스톰을 공략해! || || '''40''' || 2020년 12월 25일 || 衝突!それぞれの絆!! 충돌! 각각의 유대!! || 격돌! 더블 리그 2차전! || || '''41''' || 2021년 1월 1일 || 白熱のレジェンドバトル! 백열의 레전드 배틀! || 치열한 레전드 배틀! || || '''42''' || 2021년 1월 8일 || 燃やせ炎!ピターーッ!! 태워라 플레어 딱!! || 타올라라, 플레어! 합체! || || '''43''' || 2021년 1월 15일 || 同士討ち!?リミットブレイクジエンド 동시공격!? 리미트 브레이크 디 엔드 || 팀 분열? 리미트 브레이크 디 엔드! || || '''44''' || 2021년 1월 22일 || 限界特訓!ジェットワイバーン!! 한계특훈! 제트 와이번!! || 한계 훈련! 제트 와이번! || || '''45''' || 2021년 1월 29일 || 灼熱!男気!ガチバトル! 작열! 의협심! 진검 배틀! || 파워! 박력! 열정 배틀! || || '''46''' || 2021년 2월 5일 || 狂嵐!レイジングテンペスト!! 광풍! 레이징 템페스트! || 몰아치는 레이징 템페스트! || || '''47''' || 2021년 2월 12일 || ピ タ ー ー ッ が で き な い!! 딱-- 붙을수가 없어!! || 합체할 수가 없잖아! || || '''48''' || 2021년 2월 19일 || ベイの絆!! 베이의 유대감!! || 이게 우리의 배틀이야! || || '''49''' || 2021년 2월 26일 || 強気! 弱気? ノー天気!? 강자! 약자? 상관없어!? || 신중하게? 무조건 공격이야! || || '''50''' || 2021년 3월 5일 || 超えろ! レジェンドの壁!! 넘어라! 레전드의 벽!! || 레전드의 벽을 뛰어넘어! || || '''51''' || 2021년 3월 12일 || 革命だ!最終決戦! 혁명이다! 최종 결전! || 마지막 결전! 혁명이다! || || '''52''' || 2021년 3월 19일 || 限界突破!俺たちの[ruby(太陽,ruby=フレア)]! [[아사히 휴우가|한계돌파]]! [[아사히 히카루|우리들]]의 [[렌 발할라|[ruby(태양,ruby=플레어)]]]! || 한계돌파! 우리들의 플레어! || == 주제가 == === 오프닝 & 엔딩 - スパーキング・レボリューション (슈퍼킹 레볼루션)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25deg, #0033cc 50%, #cc0033 50%)" {{{#ffd700 '''OP[br]スパーキング・レボリューション[br]슈퍼킹 레볼루션'''}}}}}}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zlp3ec4F3Bw, 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25deg, #0033cc 50%, #cc0033 50%)" '''{{{#ffd700 첫번째 오프닝 (한국판)}}}'''}}}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IxIIDECgkMQ, 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25deg, #0033cc 50%, #cc0033 50%)" '''{{{#ffd700 두번째 오프닝 (한국판)}}}'''}}}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9km6Obzmbqk, 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25deg, #0033cc 50%, #cc0033 50%)" '''{{{#ffd700 세번째 오프닝 (일본판)}}}'''}}}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PbBH5gB9Qr4, 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25deg, #0033cc 50%, #cc0033 50%)" '''{{{#ffd700 네번째 오프닝 (일본판)}}}'''}}}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al3lKWemF0A, 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25deg, #0033cc 50%, #cc0033 50%)" '''{{{#ffd700 다섯번째 오프닝 (일본판)}}}'''}}}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9wnpoileWEU, 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25deg, #0033cc 50%, #cc0033 50%)" '''{{{#ffd700 첫번째 엔딩 (일본판)}}}'''}}}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1byYqtfzgDY, 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25deg, #0033cc 50%, #cc0033 50%)" '''{{{#ffd700 두번째 엔딩 (일본판)}}}'''}}} || || '''{{{#373a3c 제목}}}'''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px]] スパーキング・レボリューション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슈퍼킹 레볼루션 || || '''{{{#373a3c 작사}}}''' || 마시코 다츠로,,,(マシコタツロウ) || || '''{{{#373a3c 작곡}}}''' || 이치카와 요시야스(市川喜康) || || '''{{{#373a3c 노래}}}'''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px]] 츠치야 아스카,,,(土屋飛鳥),,,・엔도 나오키 ,,,(遠藤ナオキ),,,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손우진・김성현 || ||<-2><^|1><#ffd70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원본 || 한국판 || || 天空に燃える太陽 手を伸ばせ 今だ, ベイブレードに革命を起こすとき スパーキングシュート! 飛び散る火花 バトルが幕を開ける スパーキングシュート! バーストフィニッシュを決めろ 限界突破! 一撃必殺! (3.2.1) (ゴーシュート!) ベイブレード! ベイブレード! ベイブレード! バースト! (超えてゆけ) ベイブレード! ベイブレード! ベイブレード! バースト! (王になれ) 突き進めブレーダー レジェンドをぶっ倒して 戦え ベイブレードバースト スパー キング || 하늘의 불타는 저 태양에 손을 뻗어봐 지금이야 베이블레이드에 새로운 혁명 일으킬 때 슈퍼킹 슛! 흩어지는 불꽃을 봐, 배틀의 막이 오르네 슈퍼킹 슛! 버스트 피니쉬로 끝내 한계 돌파! 일격 필살! (3! 2! 1!) (GO SHOOT~!) 베이블레이드! 베이블레이드!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뛰어넘어!) 베이블레이드! 베이블레이드!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킹이 돼!) 힘차게 달려 블레이더, 레전드를 뛰어넘어! 나가 싸워,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슈퍼킹! || }}}}}}}}} || === 영문판 오프닝 - We Got the Spi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25deg, #0033cc 50%, #cc0033 50%)" {{{#ffd700 '''OP/ED[br]We Got the Spi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4eLfRf9Os7I, 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25deg, #0033cc 50%, #cc0033 50%)" '''{{{#ffd700 오프닝}}}'''}}} || || '''{{{#373a3c 아티스트}}}''' || Konrad OldMoney[br]Johnny Gr4ves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
We got the spin, spin, spin. Sun in my hands, ignite the fire. We got the win, win, win. Sparkin' it up, down to the wire. We got the spin, spin, spin. Here in our hands, we burning brighter. We got the win, win, win. We let it, say we let it, We let it rip, rip, rip, rip, rip, rip, rip, We let it rip, rip, rip, rip, Beyblade, rip, rip, (What?) Rip, Beyblade, rip, Beyblade, rip, Beyblade Burst. We let it rip, rip, rip, rip, Beyblade Burst Surge (Surge). I'm a legend, they want Revolution, bring on Whatcha got? Prove yourself in the ring, knock out. I'm next level, Pick it up. Fight your battle, boss up. Where's that spark? Where's that fire? (It ain't there.) We got the spin, spin, spin. Sun in my hands, ignite the fire. We got the win, win, win. Sparkin' it up, down to the wire. We got the spin, spin, spin. Here in our hands, we burning brighter. We got the win, win, win. We let it, say we let it, (What?) Rip, rip, rip, rip, rip, rip, rip, We let it rip, rip, rip, rip, Beyblade, rip, rip, Rip, Beyblade, rip, Beyblade, rip, Beyblade Burst. We let it rip, rip, rip, rip, Beyblade Burst Surge. We let it rip. || }}}}}}}}} || == [[베이블레이드 버스트/등장인물#s-5|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베이블레이드 버스트/등장인물, 문단=5)] == [[베이블레이드 버스트/베이블레이드#s-7|등장 베이블레이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베이블레이드 버스트/베이블레이드, 문단=7)] == 평가 == 총평은 처음 도입한 더블 주인공 체제였지만 편애로 인해 의도치 않게 주인공을 비호감 캐릭터로 만들었고, 세계 상위 랭커인 레전드 블레이더들을 등장시켜놓고 좋은 취급은 커녕 바루토와 슈 외에는 큰 활약이 없고 단순 조연이 되었으며 비중 분배도 실패했다. 작화 또한 시리즈 중 최악이라는 평가를 받고[* 더블 주인공 체제와 예전 캐릭터들의 대거 등장, 비중 분배 실패와 밸런스 붕괴에 빈약한 작화, 연출 등 여러모로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옆동네]]의 [[포켓몬스터W|이 작품]]과 비슷한 평가를 받는다.] 배틀 자체도 베이 배틀보단 내용 전개를 위한 일부분이며 전략을 세우는 묘사도 거의 없다. 그렇다고 내용 전개만을 위한 배틀이 내용을 탄탄하게 만들어지게 하지도 못했고 실력 너프에 이어 파워 밸런스도, 개연성도 아예 무시하던 전개만 대부분이었기에 내용적인 부분도 부실하다못해 없어져버렸다. 전체적으로 초제트와 진검의 단점들[* 초제트의 밸런스 붕괴와 전작 캐릭터들에 대한 박한 대우, 진검의 10분으로 짧아진 러닝타임으로 인한 부족한 개연성.]만 가져온 셈이 돼버렸고, 결국 호평 줄만한 요소는 아예 없다시피 하다. 가뜩이나 떨어져 버린 베이블레이드 버스트의 인기를 더욱 크게 하락시켜 버렸다. 소재는 좋았으나 제작진들이 제대로 검토하지 못한 게 큰 결점이었던 듯하다. 그 여파였는지 휴우가와 히카루는 역대 주인공 중 최초로 후속작에 등장하지 않은 주인공이 되었다.[* 바루토는 매시즌 나오고 있고 아이가는 진검, 슈퍼킹 때 등장 드럼은 슈퍼킹 때 재등장 했다.] 작품 내 평가와는 별개로, 슈퍼킹 방영 직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확산되면서 일본, 한국 할 것 없이 대회가 연기, 취소되면서 인기가 더 떨어져버리게 되었다. === 긍정적 평가 === 전작 진검 시즌에서 워낙 신캐릭터들이 전작 캐릭터들의 비중을 더더욱 공기화시켰다는 것을 의식해서인지 이번에는 반대로 레전드 블레이더들만 대거 등장시키면서 첫 방영 당시에는 많은 기대를 모았다. 실제로도 전작 캐릭터들이 등장한다는 점에서 반갑다는 입장이 대부분이었다. 스토리의 평가와는 별개로 대부분의 완구는 능력치를 대폭 향상시켜 버스트가 잘 나지 않고, 디자인이 뛰어나 호평받는다. 다만 대부분의 레전드 블레이더들 베이들에 예전 드라이버의 강화판이나 재탕하는 경우가 많은 점은 결점이긴 하다. '''하지만 제품과 달리 애니 자체는 바로 아래에 있는 부정적 평가가 주류인 만큼 특출난 호평은 없었다.''' [[과유불급|오히려 이런 점이 아래에 있는 부정적 평가에 한 몫한 것이기도 하다.]] === 부정적 평가 === '''이 문단의 핵심.''' 막상 방영 후에는 혹평이 많은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초제트]]보다 부정적인 평이 많다. 사실 초제트는 스토리가 주 시청층인 저연령층들이 이해하기 어렵고 무거운 스토리라는 비판이 있지만 바로 전작인 갓이 상당히 명작으로 나와 많이 비교되며 너무 부정적으로 부각되어 심하게 부풀려진 잘못된 사실이나 오해등이라도 있어서 반박이라도 가능하고 재평가 받는 부분도 많이 있으며, 스토리 자체도 실제로는 적당한 호불호가 있는 편이라 인기는 무인편, 갓 시리즈 다음으로 버금가는 인기를 자랑한다. 그러나 슈퍼킹은 초제트에 비해서 스토리의 단점이 너무 많고 재평가되거나 반박할 내용도 없어 비판이 끊이질 않는다. 그중에서도 특히 [[더블 주인공]] 체제를 도입했는데도, 과도한 [[아사히 휴우가|휴우가]] 편애로 인한 [[아사히 히카루|히카루]]의 공기화 및 전투력 측정기화 전개가 가장 비판을 받는다. 분명 히카루가 휴우가보다 실력이나 '''전략 면에서''' 훨씬 뛰어남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결과로 잇지 못하고 휴우가만 '''전략도 없이 과도한 주인공 버프로''' 단독으로 승리하는 시나리오가 너무 많다. 결국 이로 인해 휴우가는 '''베이블레이드 역사상 최악의 비호감 주인공 캐릭터'''가 되어버렸다. 메인 빌런이자 최종 보스인 [[렌 발할라|렌]]의 서사도 빈약한 편이다.[* 다만 이부분은 초제트의 최종 보스인 파이도 거의 똑같았다. 단지 파이의 캐릭터성, 어린시절부터 하츠보다 뭐든 먼저하고 먼저 결정을 해야 만족을 했던 통제욕과 소유욕이 강했던 것, 외모가 특출 났기에 어느정도 커버 쳐지는 면이 있지만.] 본인이 깽판칠 정도로 과거사 관련한 문제도 그다지 없으며 플레어에 대한 제대로된 설명과 설정도 거의 없는데도 심각한 밸런스 붕괴를 일으킬 정도의 강한 힘으로만 쓰이고 작중 대부분 내용이 그저 렌의 도장깨기와 갱생과정이 되어버렸다. 초제트, 진검에서 그나마 건질 만한 장점이라고 불렸던 연출과 작화에 대해서도 비판이 많다. GT, 초제트, 더 나아가 DB에 비해 작화가 확실히 이질적으로 변했고, 연출도 코로나 때문인지 제작비를 절감한 티가 많이 나며 작붕이 지나치게 많아졌다. 배틀 연출도 상당히 빈약해졌다. 심지어 [[레전드 블레이더]]의 선별 기준 역시 메탈 파이트 시리즈 못지 않게 문제가 많은 수준이며, 비중 분배 실패로 레전드 블레이더의 절반 이상이 큰 활약을 보이지 못한 채 묻혔다. 원인으로는 위와 같은 편애와 밸런스 붕괴가 있다. 란타로, 란지로는 전작들과 같이 전투력 측정기이고[* 그나마 란타로는 무인편, 갓 시즌 때도 일부 활약은 했다. 그리고 바루토와 함께 준결승전 보스 역할을 했으니 그나마 위안은 된다.] 갓 시절 서브 주인공이었던 시스코는 별 역할이 주어지지 않았고 세계 정상급 최강 캐릭터들인 루이, 프리와 GT의 주인공인 드럼은 비중분배 실패로 분명 특출난 활약을 보여줘야 하는데도 그러지 못했다. 그나마 아이가 정도가 이들 중에서는 유일하게 렌을 쓰러트린적이 있고, 레전드 페스티벌 결승 토너먼트에 오른 인물이자, 주인공 중 한명인 히카루를 격려하고 응원하는 등의 행적을 보이는 등 조금이나마 활약이 많았다는 의견이 있긴 하지만, 초제트의 주인공이였던걸 감안하면 드럼과 그렇게까지는 크게 다르지 않은 경우이다. 사실상 레전드들 중 바루토, 슈 말고는 제대로 된 활약상도 없다. 그리고 바루토와 슈 마저도 레전드 1, 2위라는 칭호가 무색하게 바루토는 29화에서 렌에게 패배하고, 32화에서 하이페리온 번으로 진화시킨 휴우가에게 패배하기까지 한다. 슈는 33화에서 렌을 이겨놓고 고작 2화 지나서 루시퍼 디 엔드로 진화시킨 렌에게 패배하는 등 이들도 좋은 취급이라고 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많다. 물론 후반에는 좀 밀어준 감이 있지만. 방송시간이 10분으로 단축되면서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진검]]처럼 개연성이 부족해졌다. 슈퍼킹은 등장인물이 지나치게 많아지면서 그게 더욱 커졌다. == 일판 제품 발매 정보 == || 3월 28일 제품 || [[파일:슈퍼 하이페리온.png|width=150]][br]B-159 부스터 - 슈퍼 하이페리온.Xc 1A [[파일:킹 헬리오스.png|width=150]][br]B-160 부스터 - 킹 헬리오스.Zn 1B [[파일:글라이드 라그나로크.png|width=150]][br]B-161 부스터 - 글라이드 라그나로크.Wh.R 1S [[파일:B-162.png|width=300]][br]B-162 베이블레이드 슈퍼킹 배틀 세트 [[파일:슈퍼킹 베이런처.jpg|width=130]][br]B-165 슈퍼킹 베이런처 || || 4월 25일 제품 || [[파일:브레이브 발키리.png|width=150]][br]B-163 부스터 - 브레이브 발키리.Ev' 2A [[파일:랜덤부스터20.png|width=250]][br]B-164 랜덤 부스터 20[* 커스 사탄.Hr.Un 1D(레어), 플레임 사지타리오.00.Kp', 어스 아쿠이라.Vn.Mr', 유니온 스프리건.Ω.Qc' 斬, 네이키드 바하무트.10.Un 滅, 택트 디아볼로스.2G.Lw 幻, 글라이드 하이페리온.7B.S 1D, 커스 라그나로크.0.A' 1S][*A 국내 미발매] [[파일:슈퍼킹 베이런처L.jpg|width=130]][br]B-166 슈퍼킹 베이런처-L(좌회전) || || 5월 30일 제품 || [[파일:미라지 파브닐.png|width=150]][br]B-167 부스터 - 미라지 파브닐.Nt 2S || || 6월 27일 제품 || [[파일:레이지 롱기누스.png|width=150]][br]B-168 부스터 - 레이지 롱기누스.Ds' 3A || || 7월 18일 제품 || [[파일:바리언트 루시퍼.png|width=300]][br]B-169 스타터 - 바리언트 루시퍼.Mb 2D || || 7월 23일 제품 || [[파일:랜덤부스터21.png|width=250]][br]B-170 랜덤 부스터 21[* 데스 디아볼로스.4T.Mr' 1D(레어1), 어비스 디아볼로스.5.F' 1S(레어2), 번 피닉스.00.α' 블리자드, 드랜져 V.0.Ch', 엠페러 포르네우스.Wh.Ds, 에어 나이트.10.R, 코스모 페가수스.7.At 双, 킹 파브닐.8'.D 1S][*A] || || 8월 8일 제품 || [[파일:슈퍼킹 트리플 부스터.png|width=300]][br]B-171 슈퍼킹 트리플 부스터 세트[* 템페스트 드래곤.Cm 1A, 커스 사탄.a'.H' 1D, 네이키드 디아볼로스.11.Wv 極] || || 9월 19일 제품 || [[파일:월드 스프리건.png|width=150]][br]B-172 부스터 - 월드 스프리건.U' 2B || || 10월 24일 제품 || [[파일:랜덤부스터22.png|width=200]][br]B-173 랜덤 부스터 22[* 인피니티 아킬레스 Dm' 1B(인피니티 소드)(레어1), 인피니티 아킬레스 7 Lp 1D(인피니티 실드)(레어2), 드래곤 V.2E.Et, 드래이거 V.0.HJ', 헬 살라멘더.Ω.Un, 데드 하데스.1'.HB', 에이스 드래곤.Wh.Rs 幻, 슈퍼 사탄.6.X' 1S][* 국내 미발매인줄 알았으나 여러 루머가 떠돌다가 제품 설명과 정발판 패키지가 공개되면서 랜덤부스터 vol.17이후 오랜만에 정발하게 되었다.] || || 11월 14일 제품 || [[파일:한계돌파DX세트.png|width=200]][br]B-174 한계 돌파 DX 세트[* 하이페리온 번.超.Xc'+X, 헬리오스 볼케이노.王.Zn'+Z, 롱 슈퍼킹 베이런처, 롱 슈퍼킹 베이런처 L, 대시 베이 스태디움] || || 11월 28일 제품 || [[파일:B-175.png|width=150]][br]B-175 부스터 - 루시퍼 디 엔드.皇.Dr || || 12월 26일 제품 || [[파일:랜덤부스터23.png|width=250]][br]B-176 랜덤 부스터 23[* 할로우 데스사이저.12A.HA' 4A(레어), 스톰 페가시스.Dr.HS, 드라셀 V.00W.HD, 아처 헤라클레스.10A.Pw, 데드 피닉스.3.HZ, 할로우 발키리.11.Ab 1D, 어비스 롱기누스.13.Sp' 4A, 커스 데스사이저.8'.Zt' 1S] || || 1월 23일 제품 || [[파일:제트와이번.png|width=160]][br]B-177 부스터 - 제트 와이번.Ar.Js 1D || || 2월 27일 제품 || [[파일:랜덤부스터24.png|width=200]][br]B-178 랜덤 부스터 24[* 퍼스트 우라누스.00.MA 1D, 글라이드 라그나로크.5.T 1S, 바리언트 루시퍼.O 2D, 마스터 디아볼로스.0.Z, 킹 헬리오스.S 1B, 슈퍼 하이페리온.Qc 1A, 임페리얼 드래곤.7.Et, 리바이브 피닉스.4.MD ][* 퍼스트 우라누스, 글라이드 라그나로크, 임페리얼 드래곤, 슈퍼 하이페리온, 마스터 디아볼로스는 블랙버전, 킹 헬리오스, 리바이브 피닉스, 바리언트 루시퍼는 골드버전이다.] || || 3월 20일 제품 || [[파일:데스 솔로몬.png|width=160]][br]B-179 부스터 - 데스 솔로몬.MF 2B[* 제품박스엔 일러스트가 없지만 애니에선 사용자는 [[스이류 바사라]]] || === 국내 제품 발매 목록 === || 4월 2주차 || B-159 부스터 슈퍼 하이페리온.Xc 1A B-160 부스터 킹 헬리오스.Zn 1B B-161 부스터 글라이드 라그나로크.Wh.R 1S B-162 베이블레이드 슈퍼킹 배틀세트 || || 6월 2주차 || B-163 부스터 브레이브 발키리.Ev' 2A || || 7월 3주차 || B-165 슈퍼킹 베이런처 B-166 슈퍼킹 베이런처L[* 국내에 정발된 슈퍼킹 베이런처R이 고장난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그 이유는 불꽃이 심의에 걸려서 금형이 수정된 탓에 슛을 할 때마다 불꽃이 나오는 판이 크게 들리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부싯돌이 들어가는 기둥에 판이 직접 간섭하게 되었고, 마찰력으로 인해 기어가 갈리기 쉬워진 것이다. 결국 슈퍼킹 베이런처는 전부 회수되고 금형이 수정되어 재발매되었다.][* 참고로 슈퍼킹 베이런처 L은 은색부분이 R과 달리 씰을 사용한다.] B-167 부스터 미라지 파브닐.Nt 2S || || 8월 3주차 || B-168 부스터 - 레이지 롱기누스.Ds' 3A || || 9월 3주차 || B-169 스타터 - 베어리언트 루시퍼.Mb 2D || || 10월 3주차 || B-171 슈퍼킹 트리플 부스터 세트[* 국내에서는 영실업의 [[발번역]]으로 인해 커스 사탄이 '''[[카스]]''' 사탄이 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B-172 부스터 - 월드 스프리건.U' 2B || || 12월 1주차 || B-174 리미트 브레이크 DX 세트 || || 12월 2주차 || B-173 랜덤부스터 Vol.22 || || 1월 2주차 || B-175 부스터 - 루시퍼 디 엔드.皇.Dr || || 2월 1주차 || B-176 랜덤부스터 vol.23 || || 3월 5주차 || B-177 부스터 - 제트 와이번.Ar.Js 1D || || 4월 1주차 || B-178 랜덤부스터 vol.24 B-179 부스터 - 데스 솔로몬.MF 2B || == 기타 == || [[파일:슈퍼킹 한글로고.png|width=100%|align=left]] || [[파일:슈퍼킹 일본판.png|width=100%|align=center]] || [[파일:슈퍼킹 미국판.png|width=100%|align=right]] || || '''한국판 공식 로고''' || '''일본판 공식 로고''' || '''북미판 공식 로고''' || * [[레전드 블레이더]]들이 본격적으로 등장한 시즌이다. * [[베이블레이드 시리즈]] 최초로 [[최종보스]]가 [[렌 발할라|2]][[쿠레나이 슈|명]]인 시즌이다. * [[해즈브로]]가 유통을 담당한 아메리카 대륙이나 유럽등에서는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서지(Surge)라는 제목으로 변경되었는데 출시된 제품의 퀄리티나 디자인, 성능 모두 전작보다도 더 퇴보해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일단 외형의 경우 단색 비중을 크게 늘려서 엉성하게 변해버렸으며 슈퍼킹 코어와 링이 일체형으로 되어있으며 섀시는 모두 디스크로 대체하는 등 원가절감한 흔적이 팍팍 들어났다. [[분류:베이블레이드 버스트(만화)/애니메이션]][[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일본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분류:2020년 2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2020년 3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2020년 4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2021년 1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OLM]][[분류:투니버스 방영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