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Baby Browning}}}'''[br]''FN Baby Browning''[br]''베이비 브라우닝''}}}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58_1.jpg|width=100%]][br][[파일:766ebdead180d3114c79e57a52889e46.jpg|width=100%]]}}}|| || '''종류''' ||[[자동권총]] || || '''원산지'''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3]] [[벨기에]]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931년]]~현재 || || '''개발''' ||디외도네 세브[* [[존 브라우닝]]의 유작인 [[브라우닝 하이파워]]를 완성시킨 사람이다.] || || '''개발년도''' ||[[1927년]] || || '''생산''' ||[[FN 에르스탈]](1931~1979)[br]바욘 조병창[*MAB](1979~1983)[br]PSP[* Precision Small Parts Ltd.](1984~1991^^?^^)[br]PSA[* Precision Small Arms Inc.](1995~현재)[br]바우어 파이어암즈(1972~1984, 카피) || || '''생산년도''' ||[[1931년]]~현재 || || '''사용국''' ||[[파일:자유 프랑스 국기.svg|width=23]] [[자유 프랑스]][br][[파일:북한 국기.svg|width=23]] [[북한]] || || '''사용된 전쟁''' ||[[제2차 세계 대전]][br][[냉전]][br][[베트남 전쟁]][br][[북한의 대남 도발사]] || ||<-2> {{{#White '''기종'''}}} || || '''원형''' ||[[FN M1905]] || || '''파생형''' ||바우어 .25 오토마틱[br]프레이저-25 || ||<-2> {{{#White '''제원'''}}} || || '''탄약''' ||[[.25 ACP]] || || '''급탄''' ||6발짜리 박스탄창 || || '''작동방식''' ||[[블로우백]] || || '''총열길이''' ||53.6mm || || '''전장''' ||104mm || || '''전고''' ||72mm || || '''전폭''' ||23.3mm || || '''중량''' ||0.275kg(비장전시) || || '''탄속''' ||230~500m/s || || '''유효사거리''' ||10~15m[* 카피판인 bauer 25구경 기준. 유효사거리 15m는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1997/02/26/1997022670118.html?outputType=amp|조선일보 기사에서의 추측]]이다.] || || '''최대사거리''' ||~25m[* 카피판인 bauer 25구경 기준.] ||}}}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nlGr7veYNm8)] [[벨기에]]의 [[FN 에르스탈|FN 사]]에서 개발한 소형 [[자동권총]]이다. == 상세 == [[FN M1905]]의 컨셉을 이어받아 총기를 꺼낼 때 걸리적거리지 않도록 해머리스 형태로 설계되었다. 핸드백이나 주머니 속에 쏙 들어갈 소형 호신용 권총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탄약도 저위력 [[.25 ACP]]를 사용하고, 크기도 매우 작아 어른 손바닥 안에 감출 수 있을 정도이다. 1979년까지 FN 사가 생산하다가 여러 회사를 거친 뒤 현재는 미국의 PSA사에서 생산 중이다. 이외로 미국에선 바우어 파이어암즈 사가 비허가 카피판인 바우어 .25 오토마틱/프레이저-25[* 82년부터 변경된 명칭.]를 84년까지 생산했다. 북한의 남파 공작원들이 [[브라우닝 하이파워|캐나다제 9mm 하이파워]][* 2차대전 당시 국민당 정부에 공여된 권총들이 국공내전 이후 중공의 손에 들어와 나중에 북한에 들어온 것.]와 [[TT 권총|TT 권총, 66식]],[* 토카레프와 하이파워를 바탕으로 제작된 북한제 권총으로, 7.62mm 토카레프탄을 장전하며,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당시 발견.] [[CZ82|CZ83]], [[Vz.61]] 등의 화기와 함께 주로 사용했던 권총이기도 하며, [[https://newszeen.tistory.com/147|소음기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총열 앞 부분에 나사산을 파 놓았다.]] [[이한영 암살 사건]] 당시 공작원들이 사용했던 권총이기도 하며, 이 사건 말고도 [[부여 무장공비 침투사건]]에서 북한 공작원이 이 총으로 경관 2명을 현장에서 사살해버린 것을 감안하면 작고 약한 권총이지만 숙련자의 손에 들어가면 무서운 무기임에는 틀림없다.[* 실제로 소구경 저위력 탄환의 대명사라고 할 수 있는 [[.22 Long Rifle|.22구경]] 탄을 사용하는 권총은 정숙성/은닉성이 생명인 정보기관 공작원들이 암살용 및 호신용으로 많이 사용한다. 대표적인 것이 [[모사드]]의 베레타 71과 [[OSS]]의 [[하이-스탠다드 HDM]].] [[https://milidom.net/photo/971136|참조]]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북한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자동권총]][[분류:보병 무기/세계 대전]][[분류:FN 에르스탈]][[분류:1931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