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other1=월남 해군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통일 이후의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의 해군, rd1=베트남 해군)] [include(틀:베트남 공화국 군력)] ||<-3><#000080> '''{{{+2 {{{#FFFF00 베트남 공화국 해군}}}}}}[br]{{{+1 {{{#FFFF00 Hải quân Việt Nam Cộng hòa}}}}}}[br]{{{#FFFF00 Republic of Vietnam Navy (VNN)}}}''' || ||<-2> [[파일:베트남 공화국 해군기.svg|width=100%]] || [[파일:800px-Fatherland_-_Ocean.svg.png|width=75%]] || ||<-2><#000080> {{{#FFFF00 '''깃발'''}}} ||<#000080> {{{#FFFF00 '''엠블럼'''}}} || || '''{{{#FFFF00 창설일}}}''' ||<-2><(> [[1952년]] [[3월 6일]] || || '''{{{#FFFF00 해체일}}}''' ||<-2><(> [[1975년]] [[4월 30일]] || || '''{{{#FFFF00 기념일}}}''' ||<-2><(> [[8월 20일]] || || '''{{{#FFFF00 전신}}}''' ||<-2><(> 베트남 국가군 해군 (1952 ~ 1955) || || '''{{{#FFFF00 소속}}}''' ||<-2><(> [[베트남 공화국 군력]] || || '''{{{#FFFF00 본부}}}''' ||<-2><(> [[베트남 공화국]] [[호찌민 시|사이공]] 도성 || || '''{{{#FFFF00 사령}}}''' ||<-2><(> 중장 [[https://en.wikipedia.org/wiki/Chung_T%E1%BA%A5n_Cang|쭝떤깡]] || || '''{{{#FFFF00 병력}}}''' ||<-2><(> '''총병력 42,000명''' (1973) || || '''{{{#FFFF00 총톤수}}}''' ||<-2><(> '''30,162톤''' (1975) || || '''{{{#FFFF00 참전}}}''' ||<-2><(> [[베트남 전쟁]][br][[캄보디아 내전]][br][[파라셀 군도|파라셀 군도 분쟁]] || [목차] [clearfix] == 개요 == > '''Tổ quốc - Đại dương (조국 - 대양)[br]베트남 공화국 해군 표어''' || [[파일:I04916.jpg|width=100%]] || || 의장대 사열을 받고 있는 [[1969년]] 당시 베트남 공화국 해군 사령 쩐반쫀 중장과 [[미 해군]] 참모총장 토머스 무어러 [[대장(계급)|대장]] || || [[파일:VTN_WHEC_Turnover.jpg|width=100%]] || || [[1971년]] [[미 해안경비대]]로부터 인수한 진광개함(HQ-02)[* 이 배는 [[1943년]] [[미 해군]]의 [[수상기모함]] 배링해협(AVP-34)으로 취역한 후 [[1948년]] 미 해안경비대에 인도되었고((WHEC-382), 이 배가 다시 베트남 공화국 해군에게 인도된 것이다.]에 승함중인 인수장교들과 [[CPO]]들. || || [[파일:4036164947_d220c72883_b.jpg|width=100%]] || || [[1973년]] 해군의 날 행사 || '''베트남 공화국 해군'''은 [[베트남 공화국군]]에서 해전을 담당했던 군종이다. 미국의 지원을 통해 약 1,500척의 함정을 보유하며 세계 9위의 해군 전력으로 평가되었다. 병력수는 약 42,000명이었다. 튼실한 전력을 갖췄으나, 당장 [[북베트남|북부에 육상을 통해 내려오는 위협]]이 있었으므로 이들은 [[연안해군]]으로 운용되었다. === 역사 === 1952년 3월 프랑스가 지휘하는 베트남국 해군으로 창설되었다. 그 해 [[7월 12일]]에는 해군훈련센터(Trung tâm Huấn luyện Hải quân)가 냐쨩에 세워졌다. 다만 이때까진 베트남 공화 해군에 배가 없었기 때문에, [[사관후보생]] 및 [[훈련병]]들은 [[프랑스]] 해군의 군함을 타며 교육을 받고 우수자는 프랑스로 [[유학]]을 가기도 하였다. 1954년 프랑스 해군으로부터 3척의 기뢰부설정을 지원받는 것을 시작으로 1955년에 이르면 보유 함정의 수가 68척에 이르러 3개의 [[함대]]가 창설되며, 그 병력 또한 [[1956년]]에는 2160명에서 3371명으로 성장했다.이렇게 2,160명의 병력에서 3,371명의 병력으로 성장한다. 1957년에는 베트남해군학교를 창설할 목적으로 미국 유학을 다녀온 해군 장병들이 귀국,베트남해군학교를 설립하고 본격적으로 해군력 향상에 박차를 가한 결과,1959년에는 3,600명의 병력으로 는다. 1960년 기준으로 베트남 공화국 해군은 5척의 대잠함과 5척의 기뢰정,4척의 LSM,2척의 상륙지원함[* LSSL], 5척의 보병수송정[* LSIL]과 7척의 LCU, 67척의 LCM,111척의 LCVP 그리고 1척의 급유선과 함께 다양한 각종 소형 함정들을 보유하게 되었다. 1968년 가을 18,000명이던 병력이 1970년 말 32,000명으로 2년만에 폭발적인 인원 증강이 있었다.1973년에는 42,000명의 병력과 1,500여척의 각종 대소함정을 보유하게 된다.[* 규모만 놓고 보면 당시 세계 3위라는 말도 돌 정도의 규모다.질적인 측면에서는 연안 해군 정도 수준이었다.] 메콩강을 중심으로 수많은 하천과 지류로 형성된 베트남의 지역적 특성상 연안전력이 매우 중요했다.베트남 공화국 해군 연안경비대는 해군의 기동전단과 함께 창설되어,연안기동전대로 개편되게 된다.제21연안기동대에서 26연안기동전대까지 편성된 연안기동전대는 1척의 지휘함과 정보수집선 그리고 5척의 무장상륙정[* LCM]과 6척의 무장 수송선[* LCVP], 6척의 경비정 등 총 19척의 각종 함정으로 편성되었다. 제27연안기동전대는 1척의 기함과 정보수집선의 역할을 수행한 6척의 무장상륙정[* LCM], 그리고 10척의 경비정으로 구성되었으며,각 전대는 150명으로 편성되었다.기동전대의 지휘함과 지휘정,무장수송선은 2정의 20mm 포,2정의 30 캘리버,50 캘리버 기관총,81mm 박격포로 무장했다. 정보수집선과 수송선은 1정의 40mm 포와 2정의 20mm 포,그리고 50 캘리버 기관총과 81mm 박격포로 무장하고 있었으며,40mm 포는 선수에 포탑 형태로 설치됐다. 무장상륙정[* LCM]의 기본 무장은 7명의 승조원들이 3정의 20mm 포,2정의 30 캘리버 기관총 등을 운영하였고 120명의 완전무장한 병력 또는 32톤의 화물을 수송할 수 있었다. LCVP는 1정의 20mm 포와 3정의 30 캘리버 기관총을 장비하고 있었으며 36명의 완전무장한 병력 또는 3.5톤의 화물 수송 능력을 보유했다. 베트남이 프랑스로부터 독립하면서 넘겨받은 프랑스제 경비정은 8명의 승조원 , 1정의 50 캘리버 기관총, 3정의 30 캘리버 기관총을 갖추고 있었다. 제27연안기동전대에서 사용된 연안순찰함은 2정의 50 캘리버 기관총,1정의 30 캘리버 기관총으로 무장하고 있었고, 속력은 14노트 정도 됐다. 연안경비대는 연안수송보호전단과 연안수송단을 포함하고 있었으며,연안수송보호전단은 4척의 정보수집선,6척의 경비정,20척의 수송선을 보유했다.연안수송단은 2정의 20mm 포로 무장한 7척의 수송선을 보유하고 있었다. 1968년 초 새로운 함정이 증강되어,6개 연안기동전대[* 제28~제33]가 새로이 창설되었다.각각 11척에서 19척 사이의 함정을 보유하게 되었으나,27연안기동전대는 22척의 함정을 보유했다. 연안순찰함대는 1968년 미군으로부터 지원받은 8척의 연안경비정을 롱타우와 동나이강에 배치시켜 주로 순찰과 베트콩 보급선 차단에 활용한다.미국제 연안경비정은 선체가 강화섬유에 시속 25노트의 속력,선수에 50 캘리버 기관총과 30 캘리버 기관총을 달아놓은 신형이었다. 주월미군이 철수하자 발생된 전력 공백을 메우기 위해 미해군은 연안경비정 53척,고속정 108척,연안순찰정 293척,순찰지원정 84척,정보수집선 64척,무장수송선 100척,지휘통제정 8척 등을 베트남 공화국 해군에 제공한다. 베트남 공화국 해군의 연안기동전대들 * 21연안기동전대 [* 주둔지 미토] * 22연안기동전대[* 주둔지 사이공] * 23연안기동전대[* 주둔지 빈롱] * 24연안기동전대[* 주둔지 탄안] * 25연안기동전대[* 주둔지 칸토] * 26연안기동전대[* 주둔지 롱슈안] * 27연안기동전대[* 주둔지 사이공] * 28연안기동전대[* 주둔지 사이공] * 29연안기동전대[* 주둔지 칸토] * 30연안기동전대[* 주둔지 사이공] * 31연안기동전대[* 주둔지 빈롱] * 32연안기동전대[* 주둔지 롱슈안] * 33연안기동전대[* 주둔지 미토] == 수뇌부 == 패망 시점 기준 (1975년) || [[파일:ID_28530-front_politics_1973.jpg.jpg|width=150&height=200]] || [[파일:tran-thien-khiem-1.jpg|width=150&height=200]] || [[파일:nguyn-hu-hnh-6c5a425c-eaa6-4527-a990-ecafe1f89db-resize-750.jpg|width=150&height=200]] || [[파일:cang.jpg|width=150&height=200]] || || 총통 || 국방총장 || 총참모장 || 해군사령 || || [[즈엉반민]] || 쩐티엔키엠 || 응우옌흐우한 '''준장''' [* '''북베트남 간첩'''이다.] || 쭝떤깡 중장 || == 전력 == === 함정 === 베트남 공화국 해군이 보유하던 모든 해군 함정의 함번은 함종별, 함급별로 다르게 부여하는 [[대한민국 해군]]이나 [[미합중국 해군]]과는 다르게 HQ([[해군|Hải quân]])으로 시작했다. 한편, 베트남 공화국 해군 함정들 대부분은 외국의 함정을 들여온 배였고, 특히, 미국에서 인도받은 함정들은 [[제2차 세계대전]] 말엽에 [[미 해군]]에서 취역한 후 종전 후 [[미 해안경비대]]에서 20여년 이상을 활약하다가 베트남 공화국 해군이 인수한 배들이였다. 그러나 여기서 베트남 전쟁에 휘말리며, [[베트남 해군|북베트남 해군]]에 격침당하거나, 나포되거나, 필리핀으로 망명해 [[필리핀 해군]]에게 인도되는 기구한 함생을 살았다. --[[마이웨이]]-- ==== [[전투함]] ==== ===== [[호위구축함]] ===== ====== 진흥도급 ====== [[미 해군]] [[에드솔급 호위구축함]]을 인수받아 2척 운용했다. 함급명의 유래가 된 진흥도는 우리로 치면 [[이순신]]격인 인물이다. ||<#6E6E6E> 함형 ||<#6E6E6E> 함명 ||<#6E6E6E> 이전 함명 ||<#6E6E6E> 최초 취역 ||<#6E6E6E> 베트남 공화국 인수 ||<#6E6E6E> 패망 이후 || ||<#BDBDBD><|2>진흥도급 [[호위구축함]] ||<#eeeeee> 쩐흥다오(Trần Hưng Đạo)(HQ-01) || 캠프(Camp) || 1943년 || 1971년 || [[필리핀 해군]]에 공여 || ||<#eeeeee> 진경여(Trần Khánh Dư)(HQ-4) || 포스터(forster) || 1944년 || 1971년 || [[월맹군|공산군]]에 나포되어 훈련함 다이끼(HQ-03 Dai Ky)로 변경됨 || ===== [[호위함]] ===== ====== 진광개급 ====== 전 함이 [[미 해안경비대]]에서 양도받은 것이며, 이 배들은 다시 [[미 해군]]의 [[수상기모함]]으로서 취역한 배들이였다. 함급명의 유래가 된 진광개는 진흥도와 더불어 베트남 역사 속의 명장 중 하나로 [[원나라]] 침공을 격퇴시켰을 뿐 아니라 문학에도 조예가 깊어 뛰어난 시를 몇 수씩 남겨놨을 뿐만 아니라 춤에도 일가견이 있던 인물이라고 한다. --[[엄친아]]네-- ||<-7> [[파일:TuanDuongHam-HQVN.jpg|width=100%]] || ||<-7> 정박중인 진광개급 호위함 || ||<#6E6E6E> 함형 ||<#6E6E6E> 함명 ||<#6E6E6E> 이전 함명 ||<#6E6E6E> 최초 취역(미 해군) ||<#6E6E6E> 해안경비함 취역 ||<#6E6E6E> 베트남 해군 취역 ||<#6E6E6E> 패망 이후 || ||<#BDBDBD><|7>진광개급 [[호위구축함]] ||<#eeeeee> 진광개(Trần Quang Khải)(HQ-02)[* 맨 위 베트남 해군간부들이 현문을 오르는 사진 속의 배가 바로 이 배다.] || 배링해협(Bering Strait) || 1944년 || 1948년 || 1971년 || [[필리핀 해군]]에 공여된 후 PF-9 디에고 실랑(Diego Silang) 함으로 활약 || ||<#eeeeee> 진일율(Trần Nhật Duật)(HQ-03) || 야쿠탓(Yakutat) || 1944년 || 1948년 || 1971년 || [[필리핀 해군]]에 공여 || ||<#eeeeee> 진평중(Trần Bình Trọng)(HQ-05) || 캐슬락(Castle Rock) || 1944년 || 1948년 || 1971년 || [[필리핀 해군]]에 공여된 후 PF-10 프란시스코 다고호이(Francisco Dagohoy)함으로 활약 || ||<#eeeeee> 진국찬(Trần Quốc Toản)(HQ-06) || 쿡 인렛(Cook Inlet) || 1944년 || 1948년 || 1971년 || [[필리핀 해군]]에 공여 || ||<#eeeeee> 범오로(Phạm Ngũ Lão)(HQ-15) || 앱시컨(Absecon) || 1943년 || 1949년 || 1972년 || 1975년 [[베트남 해군|북베트남 해군]]에 나포된 후 HQ-01 팜 응우 라오(Phạm Ngũ Lão)로 활약 || ||<#eeeeee> 이상걸(Lý Thường Kiệt)(HQ-16) || 친커티그(Chincoteague) || 1943년 || 1949년 || 1972년 || [[필리핀 해군]]에 공여 된 후 PF-7 안드레스 보니파시오(Andrés Bonifacio)함으로 활약 || ||<#eeeeee> 진일율(Trần Nhật Duật)(HQ-17) || 워차프리그(Wachapreague) || 1944년 || 1946년 || 1972년 || [[필리핀 해군]]에 공여 된 후 PF-8 그레고리오 델 필라(Gregorio del Pilar)함으로 활약 || ===== [[초계함|호위초계함]] ===== ====== 동다2급 ====== 전 함이 [[미국]]에서 도입한 PCE-842급 호위초계함이다. ||<#6E6E6E> 함형 ||<#6E6E6E> 함명 ||<#6E6E6E> 이전 함명 ||<#6E6E6E> 최초 취역 ||<#6E6E6E> 베트남 공화국 인수 ||<#6E6E6E> 패망 이후 || ||<#BDBDBD><|3> 동다2급 [[호위구축함]] ||<#eeeeee> 동다2(Đống Đa II)(HQ-07) || 크레스트뷰(Crestview) || 1944년 || 1961년 || [[필리핀 해군]]에 공여된 후 PS-22 술탄 쿠다라트(Sultan Kudarat)함으로 활약 || ||<#eeeeee> 옥회(Ngọc Hồi)(HQ-12) || 브래틀버로(Brattleboro) || 1944년 || 1966년 || [[필리핀 해군]]에 공여된 후 PS-19 미겔 말바르(Miguel Malvar)함으로 활약 || ||<#eeeeee> 만겁2(Van Kiếp II)(HQ-14) || 암허스트(Amherst) || 1944년 || 1970년 || [[필리핀 해군]]에 공여된 후 PS-23 다투 마리쿠도(Datu Marikudo)함으로 활약 || ===== [[고속함]]·고속정 ===== ===== [[구잠정]] ===== ====== 지릉급 구잠정 ====== 베트남 공화국 해군 초창기에 도입되어 60~70년대에 퇴역하였기에 패망을 직접 보진 않았다. ||<#6E6E6E> 함형 ||<#6E6E6E> 함명 ||<#6E6E6E> 이전 함명 ||<#6E6E6E> 최초 취역 ||<#6E6E6E> 베트남 공화국 인수 ||<#6E6E6E> 퇴역 || ||<#BDBDBD><|6> 지릉급 [[구잠함]] ||<#eeeeee> 찔랑(Chi Lăng)(HQ-01) || PC-1144 || 1944년 || 불명 || 1961년 || ||<#eeeeee> 동다(Đống Đa)(HQ-02) || PC-1130 || 1943년 || 불명 || 1961년 || ||<#eeeeee> 만겁(Van Kiếp)(HQ-03) || PC-1167 || 1943년 || 불명 || 1965년 || ||<#eeeeee> 투이동(Tuy Dong)(HQ-04) || PC-1143 || 1943년 || 1956년 || 1971년 || ||<#eeeeee> 따이꺼이(Tay Cây)(HQ-05) || PC-1146 || 1943년 || 불명 || 1965년 || ||<#eeeeee> 번던(Van Don)(HQ-06) || 아나코테스(Anacortes) || 1944년 || 1960년 || 1974년 || ==== 지원함 ==== ===== [[소해정]] ===== ====== 찔랑2급 ====== 역시 [[미 해군]]에서 운용하던 어드마이러블급 소해정(Admirable Class Minesweeper)을 도입한 것이다. ||<#6E6E6E> 함형 ||<#6E6E6E> 함명 ||<#6E6E6E> 이전 함명 ||<#6E6E6E> 최초 취역 ||<#6E6E6E> 베트남 공화 인수 ||<#6E6E6E> 패망 이후 || ||<#BDBDBD><|5> 찔랑2급 [[소해정]] ||<#eeeeee> 찔랑2(Chi Lăng II)(HQ-08) || 게예티(Gayety) || 1945년 || 1962년 || [[필리핀 해군]]에 공여 후 PS-20 마갓 살라맛(Magat Salamat)함으로 활약 || ||<#eeeeee> 끼호아(Kỳ Hòa)(HQ-09) || 센트리(Sentry) || 1944년 || 1962년 || 불명(북베트남군에 나포 추정) || ||<#eeeeee> 녓타오(Nhut Tảo)(HQ-10) || 서린(Serene) || 1944년 || 1964년 || '''1974년 [[파라셀 군도|파라셀 군도 분쟁]] 과정에서 [[중국 해군]]에 격침됨''' || ||<#eeeeee> 찌린(Chí Linh)(HQ-11) || 쉘터(Shelter) || 1944년 || 1964년 || [[필리핀 해군]]에 공여 후 PS-18 다투 투파스(Datu Tupas)함으로 활약 || ||<#eeeeee> 하 허이(Hà Hồi)(HQ-13) || 프라위스(Prowess) || 1944년 || 1970년 || [[베트남 해군|북베트남 해군]]에 나포된 후 훈련함으로 사용됨 || ====== 함뜨급 ====== 미 해군에서 운용하던 YMS-1급 소해정을 공여받아 운용하였다. 위의 찔랑1급과 마찬가지로 초창기에 도입하여 운용한 후 퇴역시켰기에 패망은 겪지 않았다. ||<#6E6E6E> 함형 ||<#6E6E6E> 함명 ||<#6E6E6E> 이전 함명 ||<#6E6E6E> 최초 취역 ||<#6E6E6E> 베트남 공화국 인수 ||<#6E6E6E> 퇴역 || ||<#BDBDBD><|3> 찔랑급 [[소해정]] ||<#eeeeee> 함뜨(Hàm Tử)(HQ-111) || YMS-28 || 1942년 || 1954년 || 1958년 || ||<#eeeeee> 쯔엉이으엉(Chương Dương)(HQ-112) || YMS-83 || 1942년 || 1954년 || 1964년 || ||<#eeeeee> 밧당(Bạch Đằng)(HQ-113) || YMS-78 || 1942년 || 1954년 || 1963년 || ====== 함뜨2급 ====== [[미국]]에서 건조되긴 했으나 [[미 해군]]을 거치지 않고 바로 베트남 공화국 해군에 공여되었다. 다만, 본래 [[미 해군]]의 애저턴트급 소해함(Adjutant class minesweeper)인지라 미국의 함번을 부여받았다. 한편, 함뜨2급의 모든 함은 이전 급의 이름을 그대로 물려받았으며 함번을 이어나가는 식으로 운용되었다. 역시 이전 함급과 마찬가지로 패전 이전에 퇴역 후 해체되어 패망을 보진 않았다. ||<#6E6E6E> 함형 ||<#6E6E6E> 함명 ||<#6E6E6E> 이전 함명 ||<#6E6E6E> 최초 취역 ||<#6E6E6E> 베트남 공화국 인수 ||<#6E6E6E> 퇴역 || ||<#BDBDBD><|3> 찔랑2급 [[소해정]] ||<#eeeeee> 함뜨2(Hàm Tử II)(HQ-114) || MSC-281 ||<-2> 1959년 || 1974년 || ||<#eeeeee> 쯔엉이으엉2(Chương Dương II)(HQ-115) || MSC-282 ||<-2> 1959년 || 1974년 || ||<#eeeeee> 밧당2(Bạch Đằng II)(HQ-116) || MSC-283 ||<-2> 1959년 || 1970년 || ==== [[상륙함]] ==== ===== 상륙지원정 ===== ====== 응우옌 번 쭈 급 ====== 미국에서 운용하던 LSSL(LSS(L))급을 도입하였다. ||<-6> [[파일:800px-USS_LCS(L)_102.jpg|width=100%]] || ||<-6> 1945년 취역 후 1953년 [[해상자위대]]에서 운용된 후 1966년 [[태국 해군]]에서 40여년간 운용되다가 퇴역 후 고향에 돌아와 박물관정이 된 동급함 LSSL-102 번정 || ||<#6E6E6E> 함형 ||<#6E6E6E> 함명 ||<#6E6E6E> 이전 함명 ||<#6E6E6E> 최초 취역 ||<#6E6E6E> 베트남 공화국 인수 ||<#6E6E6E> 패망 이후 || ||<#BDBDBD><|8> 응우옌 번 쭈 급 상륙지원정 ||<#eeeeee> 응우옌번쭈(Nguyen Van Tru)(HQ-225) || LSSL-2 || 1944년 || 1954년 || 1957년 퇴역 || ||<#eeeeee> 노탄(No Than)(HQ-225) || LSSL-105 || 1945년 || 1957년 || '''1970년 침몰''' || ||<#eeeeee> 레쫑얌(Le Trong Dam)(HQ-226) || LSSL-4 || 1944년 || 1955년 || '''1970년 침몰''' || ||<#eeeeee> 레반빈(Le Van Binh)(HQ-227) || LSSL-10 || 1944년 || 1956년 || '''1966년 침몰''' || ||<#eeeeee> 도안응옥땅(Đoàn Ngọc Tang)(HQ-228) || LSSL-9 || 1944년 || 1956년 || [[필리핀 해군]]에 공여 후 LF-50 라 유니온(La Union)정으로 활약 || ||<#eeeeee> 르우푸토(Lưu Phú Thọ )(HQ-229) || LSSL-101 || 1945년 || 1965년 || [[필리핀 해군]]에 공여 || ||<#eeeeee> 응우옌응옥롱(Nguyễn Ngọc Long)(HQ-230) || LSSL-96 || 1945년 || 1965년 || [[필리핀 해군]]에 공여 후 LF-49 술루(Sulu)정으로 활약 || ||<#eeeeee> 응우옌득봉(Nguyễn Đức Bóng)(HQ-231) || LSSL-129 || 1944년 || 1966년 || [[필리핀 해군]]에 공여 후 LF-48 카마린 수르(Camarines Sur)정으로 활약 || === [[항공기]] === === [[해병|수군육전]]사단 === ||<-3><#000080> '''{{{+2 {{{#FFFF00 베트남 공화국 수군 육전사단}}}}}}[br]{{{+1 {{{#FFFF00 Sù Donàn Thủy Quân Lục Chiến}}}}}}[br]{{{#FFFF00 Republic of Vietnam Marine Division (RVNMD)}}}''' || ||<-2> [[파일:Flag_of_the_Republic_of_Vietnam_Marine_Division.svg.png|width=100%]] || [[파일:Republic_of_Vietnam_Marine_Division_SSI.png|width=75%]] || ||<-2><#000080> {{{#FFFF00 '''깃발'''}}} ||<#000080> {{{#FFFF00 '''엠블럼'''}}} || || '''{{{#FFFF00 창설일}}}''' ||<-2><(> [[1953년]] || || '''{{{#FFFF00 해체일}}}''' ||<-2><(> [[1975년]] [[4월 30일]] || || '''{{{#FFFF00 소속}}}''' ||<-2><(> [[베트남 공화국 해군]] || || '''{{{#FFFF00 본부}}}''' ||<-2><(> [[베트남 공화국]] [[호찌민 시|사이공]] 도성 || || '''{{{#FFFF00 사령}}}''' ||<-2><(> 중장 [[https://en.m.wikipedia.org/wiki/L%C3%AA_Nguy%C3%AAn_Khang|레 응우옌 캉]] || || '''{{{#FFFF00 병력}}}''' ||<-2><(> '''총병력 20,000명''' || || '''{{{#FFFF00 참전}}}''' ||<-2><(> [[베트남 전쟁]][br][[파라셀 군도|파라셀 군도 분쟁]] || > '''Mạnh nhù sóng thần (쓰나미 만큼 강하다)[br]베트남 공화국 수군 육전사단 표어''' 프랑스 [[해군 코만도]]의 영향을 받아 해군 산하 20,000명의 병력으로 1개 사단으로 창설되었으며, 육군 레인저와 함께 베트남 공화국군 내에서 대단히 잘 싸운 부대였다. [[https://en.wikipedia.org/wiki/Vietnamization|베트남화 정책]]을 추진하던 주월미군사령관인 [[크레이튼 에이브럼스]] 미 육군 대장은 "[[베트남 인민군]]에는 남베트남 공수부대 및 수군육전사단과 비교할 수 있는 부대가 없다"라며 수군육전사단을 극찬했고, 이들은 총 9번의 미 대통령 부대 표창을 수여받기까지 했다. == 편제 == * 제147해병여단 (여단은 소속된 대대에 따라 번호가 매겨짐) * 제1해병대대 * 제4해병대대 * 제7해병대대 * 제1해병포병대대 * 제258해병여단 * 제2해병대대 * 제5해병대대 *제8해병대대 *제2해병포병대대 * 제369해병여단 * 제3해병대대 * 제6해병대대 * 제9해병대대 * 제3해병포병대대 * 제468해병여단 (1974년 12월 창설) * 제14해병대대 * 제16해병대대 * 제18해병대대 * 제4해병포병대대 * 부문별 대대 및 중대 * 본부대대 * 수륙양용지원대대 * 통신대대 * 공병대대 * 의료대대 * 대전차중대 * 헌병대 * 장거리 정찰 순찰대 == [[계급]] == [[베트남 공화국군#s-8|항목]] 참고 [[분류:베트남 공화국 군력]][[분류:해체된 해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