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벨라루스 프리미어 리그]] [include(틀:유럽의 주요 축구리그(동유럽))] [include(틀:벨라루스 프리미어 리그)] ||<-2> '''{{{#ffffff Вышэйшая ліга}}}''' || ||<-2> [[파일:벨라루스 프리미어 리그.png|width=100%]] || || {{{#ffffff '''정식명칭'''}}} ||벨라루스 프리미어 리그 || || {{{#ffffff '''영문명칭'''}}} ||Belarusian Premier League[* [[벨라루스어]]: Вышэйшая ліга, [[러시아어]]: Высшая лига] || || {{{#ffffff '''창설년도'''}}} ||1992년 || || {{{#ffffff '''참가 팀 수'''}}} ||16개팀 || || {{{#ffffff '''하위 리그'''}}} ||[[벨라루스 퍼스트 리그]] || || {{{#ffffff '''최근 우승팀'''}}} ||[[FC 샤흐툐르 솔리고르스크]] (2021)[* 2022 시즌은 [[FC 샤흐툐르 솔리고르스크]]의 승부조작으로 인해 우승 자격이 박탈되었고, 어떠한 우승팀도 지정되지 않았다.] || || {{{#ffffff '''최다 우승팀'''}}} ||[[FC 바테 보리소프]] (15회) || || {{{#ffffff '''UEFA 리그 랭킹'''}}} ||'''49위''' [[https://www.uefa.com/nationalassociations/uefarankings/country/#/yr/2024|#]] || || {{{#ffffff '''웹사이트'''}}} ||[[http://www.bff.by/|[[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3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elarusff, 크기=30)] [[https://www.facebook.com/belarusff|[[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30]]]] [[https://www.instagram.com/belarus_football_team/|[[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30]]]] [[https://www.youtube.com/user/abffvide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https://t.me/abffby|[[파일:텔레그램 아이콘.svg|width=30]]]] [[https://ok.ru/group/70000000081888|[[파일:OK 아이콘.png|width=30]]]] [[https://vk.com/belarusff|[[파일:VK 아이콘.svg|width=30]]]] || [목차] [clearfix] == 개요 == 벨라루스 프리미어 리그는 [[벨라루스]]의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이다. 사실 벨라루스어 이름과 러시아어 이름을 직역하자면, 소련시절에도 사용했던 벨라루스 최고리그라는 명칭이 되나, 공식 영어 이름은 벨라루스 프리미어 리그를 사용하고 있다. [[벨라루스 축구협회]]가 주관하고 있으며, 참가 팀 수는 늘어나기도 하고 줄어들기도 했다가 현재는 16개 팀이 참가하고 있다. 현재 리그 스폰서는 벨라루스 은행(Беларусбанк)이다. == 리그 운영 방식 == 리그 방식은 라운드-로빈 방식으로 16개팀이 서로 두번씩 맞붙어 30라운드를 치른후 우승팀과 강등팀이 가려지는 방식이다. 16위와 15위는 벨라루스 퍼스트 리그로 다이렉트 강등되며, 14위 팀은 벨라루스 퍼스트 리그 3위팀과 2차전에 걸쳐 승강 플레이오프를 실시한 뒤, 승자가 다음 시즌 벨라루스 프리미어 리그에 참가한다. UEFA 리그 계수가 낮은 탓에 우승팀은 다음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1차예선부터 시작하고, 2,3위 팀은 다음 시즌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예선에서 시작한다. 컵대회인 벨라루스 컵 우승팀은 [[유로파리그]] 2차예선으로 직행한다. 컵 대회 우승팀이 3위 이내 팀일 경우, 4위팀이 유럽 대항전 티켓을 획득한다. 최다우승팀은 15회 우승으로, 해외축구 팬 사이에서는 인지도가 꽤 있는 [[FC 바테 보리소프]]이다. K리그와 비슷한 시기인 3월 초에 시작해 11월 중순에 리그가 종료된다. 하지만 컵대회는 리그와는 달리 추춘제로 운영되기 때문에 6월 중순에 예선전을 시작해 시즌 중반인 8월즈음에 컵대회 우승팀이 가려진다. == 역사 == 1991년 [[소련]]이 해체된 후, [[벨라루스]]가 독립하면서 1992년 벨라루스 프리미어리그도 창설되었다. [[FC 디나모 민스크]]가 가장 먼저 리그에 참여하였고, 소련이 해체되기 전 소련 1부리그인 소비에트 탑 리그에서 경쟁하던 유일한 벨라루스 팀이었다. 나머지 5팀은 소련 하부리그에서 뛰었던 팀, 그리고 10팀은 독립 전 벨라루스의 국명인 [[벨라루스 SSR]] 리그에서 뛰던 팀들로 구성되었다. 리그가 구성된 후 기존 소련 리그의 방식이었던 춘추제에서 추춘제로 바꿨으나, 늦가을이나 초봄같은 경우에 매우 춥고 잔디상태가 열악해져 리그를 진행하기 어려웠고 결국 1996년부터 춘추제로 다시 돌아갔다. 2000년대 들어서는 리그 참가 팀 수가 몇번씩 바뀌었는데, 2001년 14팀으로 줄었다가, 2003년에 16팀으로 돌아왔다. 그러나 2005 시즌을 앞두고 두팀이 참가를 포기하면서 14개팀으로 다시줄었다가, 2008년에 16팀으로 다시 돌아왔다. 그러나 그해 참가팀을 두팀 줄이기로 결정했고, 2009년 시즌 14팀으로 다시 줄었다가 또 두개 팀이 더 줄면서 2010년엔 12개팀이 되었고, 파르티잔 민스크가 참가를 포기하면서 2012시즌에는 11개팀까지 줄어들었다가 현재에 이르러 다시 16개팀이 된 상태이다. 리그에서 강팀으로 분류되는 팀은 두 팀으로, [[FC 디나모 민스크]]와 [[FC 바테 보리소프]]인데, 리그 출범 초창기와 2000년대 초반에는 디나모 민스크가 리그를 지배했지만, 2006년부터 바테 보리소프가 신흥 강호로 등장하여 2006년부터 2018년까지 무려 13시즌 연속 우승을 달성하였고, 2008년 벨라루스 팀으로는 처음으로 챔피언스 리그 본선에 올랐고, 역시 2009년 처음으로 유로파 리그 본선에 오른 팀이 되며 벨라루스 최강팀으로 군림하고 있다. 이후 바테 보리소프가 부진하며, [[FC 샤흐툐르 솔리고르스크]]와 [[FC 디나모 브레스트]]가 치고 올라와 우승을 차지하는 등, 이제는 3강~4강체제로 변화하고 있다. == 한국에서 시청하는 방법 == [[https://www.youtube.com/user/abffvideo|벨라루스 축구협회 유튜브 채널]]에서 실시간 스트리밍을 해준다. 자막은 러시아어해설이 있을 경우에는 벨라루스어 자막이, 해설이 없을 경우에는 영어로 자막이 나간다. 모든 경기를 중계해주는 것으로 보이나, 추후 재편성된 경기는 중계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하이라이트 영상과 주간 리뷰 영상에서는 러시아어 해설이 무조건 들어간다. == 역대 시즌 == === 2020 시즌 === [include(틀:벨라루스 프리미어 리그(2020))] 코로나-19 사태가 전 세계를 휩쓸며 가장 큰 피해대륙인 유럽의 프로축구는 사실상 올스톱된 상황인데, 벨라루스만이 유럽 대륙 내에서 유일하게 시즌을 정상진행하고 있어 화제가 되고있다. 벨라루스 정부도 코로나-19를 중대하게 다루지 않고, 실제로 벨라루스 내 확진자 수도 미미한 수준이라 가능한 일인데, 이 때문에 올해에만 러시아, 이스라엘 등 10개국에 중계권을 팔아 뜻밖의 특수를 누리고 있다고 한다. 앞으로도 중단없이 진행한다.[[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3719554|#]] 그런데 20세 이하 리그에서 코로나 의심환자가 발생하여, 일반 리그에서 불안감이 감지될 수 있는 여지가 생겼다. 다른 해외리그가 재개된 이후에도 고정으로 500명 정도의 시청자가 나오는 걸 보면 어느정도의 마니아 층을 만드는데는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영국지부 SNS 팬클럽 계정이 만들어진 팀도 있고, 실제로 벨라루스로 직관을 간 영국팬도 카메라에 잡혔다. 또한, 다른 시즌과는 달리 이번시즌은 우승경쟁과 유럽대항전 티켓 경쟁, 강등경쟁이 모두 치열하게 벌어지면서 바테의 독주체제일 것이라고 예상한 다수의 해외축구 팬들의 상식을 깨버렸다는 점도 인기를 얻은 요인일 것이다. 기량이 높은 골키퍼가 없어서 골이 많이 터지는 것도 이유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경기당 득점이 평균 2.95골이다. 마지막날에 바테 보리소프가 디나모 민스크랑 비기면서 샤흐툐르 솔리고르스크에게 1위 자리를 넘겨주고 말았다. ==== 시즌 순위 ==== || 참가 클럽 || 순위 || 특이사항 || || [[FC 샤흐툐르 솔리고르스크]] || 우승 || 2021-22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1차예선 진출 || || [[FC 바테 보리소프]] || 2위 || 2021-22시즌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예선 진출 || || [[FC 토르페도-벨아즈 조디노]] || 3위 || 2021-22시즌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예선 진출 || || [[FC 디나모 브레스트]] || 4위 || 2021-22시즌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예선 진출[* [[FC 이슬로치 민스크 라이온]]이 2020-21시즌 벨라루스 컵을 바테에게 패하면서 진출권 획득.] || || [[FC 네만 그로드노]] || 5위 || - || || [[FC 디나모 민스크]] || 6위 || - || || [[FC 이슬로치 민스크 라이온]] || 7위 || - || || [[FC 루흐 브레스트]] || 8위 || - || || [[FC 슬라비야 모지리]] || 9위 || - || || [[FC 에네르게틱-BGU 민스크]] || 10위 || - || || [[FC 민스크]] || 11위 || - || || [[FC 비텝스크]] || 12위 || - || || [[FC 고로데야]] || 13위 || - || || [[SFC 슬루츠크]] || 14위 || 승강 플레이오프 (VS [[NFC 크룸카치 민스크]]) || || [[FC 벨시나 보브루이스크]] || 15위 || 2021-22시즌 벨라루스 퍼스트 리그로 강등 || || [[FC 스몰레비치]] || 16위 || 2021-22시즌 벨라루스 퍼스트 리그로 강등 || 승강 플레이오프는 12월 15일과 19일에 치러진다. 슬루츠크가 크룸카치를 이기면서 잔류에 성공하였다. === 2021 시즌 === [include(틀:벨라루스 프리미어 리그(2021))] * 퍼스트 리그로 강등: [[FC 벨시나 보브루이스크]] *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 [[FC 스푸트니크 레치차]], [[FC 호멜]], [[FC 스모르곤]] * 해체: [[FC 고로데야]], [[FC 스몰레비치]] 슬루츠크가 크룸카치를 상대로 승강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며 2021시즌에도 프리미어 리그에서 플레이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중에 FC 고로데야가 재정적인 문제로 선수와 코칭스태프 모두를 방출하게 되면서, 해체 위기에 내몰려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오프 패배팀인 NFC 크룸카치 민스크가 승격을 주장하며 이의제기를 한 상태이다. 2월 22일 벨라루스 프리미어 리그 일정 발표일에 최종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저번시즌 2부리그를 6위로 마친 FC 스모르곤이 대체자로 올라온다는 소문이 계속 나오고 있다. 결국 스모르곤이 고로데야를 대신해서 올라올 예정이다. 이 결정에 반박한 크룸카치 민스크는 UEFA에 항소를 하였다. 벨라루스 현지 시간 기준 3월 12일에 개막할 예정이다. 3월 2일, 재정관련 규정 위반으로 벨라루스 축구 협회가 [[FC 네만 그로드노]]와 [[FC 디나모 브레스트]]의 라이센스를 박탈하였다. 두 팀 모두 3일간의 이의제기 기간을 가지며, 최종 박탈이 확정될 경우 벨라루스 프리미어 리그는 14팀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하지만, 단순한 행정절차상의 문제였기 때문에 문제없이 최종 복귀했다. ==== 현재 순위 ==== || 참가 클럽 || 순위 || 특이사항 || || [[FC 샤흐툐르 솔리고르스크]] || 우승 || 2021-22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1차예선 진출 || || [[FC 바테 보리소프]] || 2위 || 2021-22시즌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예선 진출 || || [[FC 루흐 브레스트]] || 3위 || 2021-22시즌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예선 진출 || || [[FC 호멜]] || 4위 || - || || [[FC 디나모 민스크]] || 5위 || - || || [[FC 디나모 브레스트]] || 6위 || - || || [[FC 비텝스크]] || 7위 || - || || [[FC 민스크]] || 8위 || - || || [[FC 에네르게틱-BGU 민스크]] || 9위 || - || || [[FC 이슬로치 민스크 라이온]] || 10위 || - || || [[FC 토르페도-BelAZ 조디노]] || 11위 || - || || [[FC 네만 그로드노]] || 12위 || - || || [[SFC 슬루츠크]] || 13위 || - || || [[FC 슬라비야 모지리]] || 14위 || 승강 플레이오프 || || [[FC 스모르곤]] || 15위 || 2022시즌 벨라루스 퍼스트 리그로 강등 || || [[FC 스푸트니크 레치차]] || 16위 || 시즌 중 해체 || 2021시즌은 샤흐툐르 솔리고르스크가 2년 연속으로 우승을 차지했고 스모르곤이 강등되었다.그리고 시즌 중에 스푸트니크 레치차가 해체되었다.슬라비야 모지리는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벨라루스 퍼스트 리그 3위인 크룸카치 민스크를 합계 스코어 1:0로 꺾고 잔류에 성공하였다. === 2022 시즌 === || [[벨라루스 프리미어 리그|[[파일:벨라루스 프리미어 리그.png|height=70]]]] [br] '''[[틀:벨라루스 프리미어 리그|{{{#005e3c 2022 벨라루스 프리미어 리그 참가팀}}}]]''' || ||<^|1> {{{#!wiki style="color: #005E3C;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373a3c,#ddd || [[파일:FC 네만 그로드노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A94C; font-size: 0.8em" [[FC 네만 그로드노|{{{#ffffff 네만 그로드노}}}]]}}} || [[파일:FC 디나모 민스크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86fb5; font-size: 0.8em" [[FC 디나모 민스크|{{{#ffffff 디나모 민스크}}}]]}}} || [[파일:DynamoBrest.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03867; font-size: 0.8em" [[FC 디나모 브레스트|{{{#ffffff 디나모 브레스트}}}]]}}} || [[파일:DneprMogilyov.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5px 1.5px; border: 1.5px solid #006164;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0C0C0; font-size: 0.8em" [[FC 드네프르 모길료프|{{{#0F4C81 모길료프}}}]]}}} || || [[파일:FK_Minsk_Logo.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28156E; font-size: 0.8em" [[FC 민스크|{{{#ffffff 민스크}}}]]}}} || [[파일:FC 바테 보리소프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dd00; font-size: 0.8em" [[FC 바테 보리소프|{{{#0033a1 바테}}}]]}}} || [[파일:BelshinaBobruisk.png|height=6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 font-size: 0.8em" [[FC 벨시나 보브루이스크|{{{#fff 보브루이스크}}}]]}}} || [[파일:FC_Vitebsk_Logo.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34EA2; font-size: 0.8em" [[FC 비텝스크|{{{#ffffff 비텝스크}}}]]}}} || || [[파일:914px-Shakhtyor_Soligorsk_logo.svg.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B1918; font-size: 0.8em" [[FC 샤흐툐르 솔리고르스크|{{{#ffffff 샤흐툐르}}}]]}}} || [[파일:FC_Slavia_Mozyr.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31514; font-size: 0.8em" [[FC 슬라비야 모지리|{{{#ffffff 슬라비야 모지리}}}]]}}} || [[파일:FC_Slutsk.png|height=50]] [br]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42D4; font-size: 0.8em" [[SFC 슬루츠크|{{{#ffffff 슬루츠크}}}]]}}} || [[파일:ФК_Арсенал_Дзяржынск.gif|width=4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A333A; font-size: 0.8em" [[FC 아르세날 제르진스크|{{{#FFF 아르세날}}}]]}}} || || [[파일:Energetik-BGU Minsk.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6C6C6; font-size: 0.8em" [[FC 에네르게틱-BGU 민스크|{{{#325285 에네르게틱-BGU}}}]]}}} || [[파일:isloch.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8em" [[FC 이슬로치 민스크 라이온|{{{#ffffff 이슬로치}}}]]}}} || [[파일:FC 토르페도-BelAZ 조디노 로고.svg|height=6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F7F2D; font-size: 0.8em" [[FC 토르페도-BelAZ 조디노|{{{#171717 토르페도 조디노}}}]]}}} || [[파일:ФК_Гомель.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A651; font-size: 0.8em" [[FC 호멜|{{{#fff200 호멜}}}]]}}} || ||<-4> '''[[틀:벨라루스 퍼스트 리그|{{{#ffffff 벨라루스 퍼스트 리그 팀 보기 ▶}}}]]''' || ||<-4> {{{-1 [[틀:러시아 프리미어 리그|[[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프리미어 리그]]|[[틀:우크라이나 프리미어 리그|[[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0]] 프리미어 리그]]|[[틀: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 리그|[[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width=20]] 프리미어 리그]][br][[틀:카자흐스탄 프리미어 리그|[[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width=20]] 프리미어 리그]]|[[틀:벨라루스 프리미어 리그|[[파일:벨라루스 국기.svg|width=20]] 프리미어 리그]]|[[틀: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width=20]] 프리미어 리그]][br][[틀:에로브눌리리가|[[파일:조지아 국기.svg|width=20]] 에로브눌리리가]]|[[틀:디비지아 나치오날러|[[파일:몰도바 국기.svg|width=20]] 디비지아 나치오날러]][br]~~[[틀:크림 프리미어 리그|[[파일:크림 공화국 국기.svg|width=20]] 프리미어 리그]]~~[*1 UEFA의 제재로 유럽대항전 참가 불가]}}} || ||<-4> [[틀:세계 축구 주요 리그 및 대표팀/둘러보기 틀|전세계 리그 및 대표팀 보기]] || }}}}}}}}}}}} || || 참가 클럽 || 전 시즌 순위 || 특이사항 || 1부리그 첫 참가 || 최근 승격 시즌 || || [[FC 샤흐툐르 솔리고르스크]] || 우승 || 2022-23 [[UEFA 챔피언스 리그]] 1차예선 진출 ||<-2> 1992 || || [[FC 바테 보리소프]] || 2위 || 2022-23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예선 진출 ||<-2> 1998 || || [[FC 디나모 민스크]] || 3위 || 2022-23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1차예선 진출 ||<-2> 1992 || || [[FC 호멜]] || 4위 || - || 1992 || 2017 || || [[FC 디나모 브레스트]] || 6위 || - ||<-2> 1992 || || [[FC 비텝스크]] || 7위 || - || 1992 || 2015 || || [[FC 토르페도-BelAZ 조디노]] || 8위 || - || 1992 || 2002 || || [[SFC 슬루츠크]] || 9위 || - ||<-2> 2014 || || [[FC 이슬로치 민스크 라이온]] || 10위 || - ||<-2> 2016 || || [[FC 네만 그로드노]] || 11위 || - ||<-2> 1992 || || [[FC 민스크]] || 12위 || - || 2007 || 2009 || || [[FC 에네르게틱-BGU 민스크]] || 13위 || - || 2002 || 2019 || || [[FC 슬라비야 모지리]] || 14위 || 승강 플레이오프 승자 || 1995 || 2019 || || [[FC 아르세날 제르진스크]] || - || 2021 [[벨라루스 퍼스트 리그]] 우승[* 창단 첫 승격] ||<-2> 2022 || || [[FC 벨시나 보브루이스크]] || - || 2021 [[벨라루스 퍼스트 리그]] 준우승[* 1시즌만의 승격] || 1993-1994 || 2022 || || [[FC 드네프르 모길료프]] || - || 2021 [[벨라루스 퍼스트 리그]] 5위[* 전 시즌 5위를 기록한 FC 루흐 브레스트의 기권으로 인한 대체.][* 2시즌만의 승격] || 1992 || 2022 || * 퍼스트 리그로 강등: [[FC 스모르곤]] *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 [[FC 아르세날 제르진스크]], [[FC 벨시나 보브루이스크]], [[FC 드네프르 모길료프]] * 해체: [[FC 스푸트니크 레치차]] * 탈퇴: [[FC 루흐 브레스트]] [[FC 스푸트니크 레치차]]가 시즌 중 해체되었고 이로 인해 15위를 기록한 [[FC 스모르곤]]만 강등되었다. 이후 [[FC 아르세날 제르진스크]], [[FC 벨시나 보브루이스크]]가 승격하였다. 한편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발생하면서 [[러시아]]기업이 공동 구단주였던 [[FC 루흐 브레스트]]가 리그를 탈퇴하면서 [[FC 드네프르 모길료프]]가 추가로 승격되었다. 리그에선 샤흐툐르 솔리고르스크가 리그 3연패에 성공했다. 강등팀은 14위 FC 아르세날 제르진스크, 15위 FC 비텝스크, 16위 FC 드네프르 모길료프다. === 2023 시즌 === [include(틀:벨라루스 프리미어 리그)] || 참가 클럽 || 전 시즌 순위 || 특이사항 || 1부리그 첫 참가 || 최근 승격 시즌 || || [[FC 샤흐툐르 솔리고르스크]] || --우승--[*A 승부조작 사건으로 인한 박탈.] || --2023-24 [[UEFA 챔피언스 리그]] 1차예선 진출-- ||<-2> 1992[*B 강등 경험 없음] || || [[FC 에네르게틱-BGU 민스크]] || --2위--[*A] || --2023-24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1차예선 진출-- || 2002 || 2019 || || [[FC 바테 보리소프]] || 3위 || 2023-24 [[UEFA 챔피언스 리그]] 1차예선 진출 ||<-2> 1998 || || [[FC 디나모 민스크]] || 4위 || 2023-24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1차예선 진출 ||<-2> 1992[*B] || || [[FC 이슬로치 민스크 라이온]] || 5위 || - ||<-2> 2016 || || [[FC 민스크]] || 6위 || - || 2007 || 2009 || || [[FC 호멜]] || 7위 || - || 1992 || 2017 || || [[FC 토르페도-BelAZ 조디노]] || 8위 || 2023-24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예선 진출[* 벨라루스 컵 우승] || 1992 || 2002 || || [[FC 네만 그로드노]] || 9위 || 2023-24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1차예선 진출 ||<-2> 1992[*B] || || [[FC 슬라비야 모지리]] || 10위 || - || 1995 || 2019 || || [[SFC 슬루츠크]] || 11위 || - ||<-2> 2014 || || [[FC 벨시나 보브루이스크]] || 12위 || - || 1993-1994 || 2022 || || [[FC 디나모 브레스트]] || 13위 || - ||<-2> 1992[*B] || || [[FC 나프탄 노보폴로츠크]] || - || 2022 [[벨라루스 퍼스트 리그]] 우승[* 6시즌만의 승격] || 1996 || 2023 || || [[FC 스모르곤]] || - || 2022 [[벨라루스 퍼스트 리그]] 2위[* 1시즌만의 승격] || 2007 || 2023 || * 퍼스트 리그로 강등: [[FC 아르세날 제르진스크]], [[FC 비텝스크]], [[FC 드네프르 모길료프]] *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 [[FC 나프탄 노보폴로츠크]], [[FC 스모르곤]], --[[FC 막스라인 비텝스크]]--[* 재정적 문제로 라이센스 발급 실패] [[FC 비텝스크]], [[FC 드네프르 모길료프]]가 각각 15위와 16위를 기록하며 강등되었고 [[FC 아르세날 제르진스크]]는 [[FC 막스라인 비텝스크]]와의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패하면서 강등되었다. 승부조작 사건으로 인해 FC 벨시나 보브루이스크는 승점 11점[* 2024 시즌에도 참여할 경우 승점 5점 감점 예정.], FC 샤흐툐르 솔리고르스크는 승점 35점[* 2024 시즌에도 참여할 경우 승점 20점 감정 예정.], FC 에네르게틱-BGU 민스크은 승점 23점[* 2024 시즌에도 참여할 경우 승점 10점 감점 예정.]이 감점된 상태로 시즌을 시작하였다. '''1위 팀인 샤흐툐르 솔리고르스크와 2위 팀인 에네르게틱-BGU 민스크의 승부조작이 발각되면서, UEFA 라이센스를 발급받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3위 바테 보리소프가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하게 되었다.''' 이후 4위와 5위에 컨퍼런스리그 출전권이 주어졌으나, '''5위 이슬로치도 2016년에 한 승부조작이 발각되면서''' 승부조작에는 공소시효가 없는 UEFA가 라이센스를 발급하지 않았다. 6위 호멜과 7위 FC 민스크는 UEFA 라이센스 발급 신청을 하지 않았고, 따라서 9위 네만 그로드노가 마지막 컨퍼런스리그 티켓을 가지게 되었다. == 구단별 감독 == [include(틀:벨라루스 프리미어 리그 감독)] == 우승팀 목록 == || 연도 || 우승 || || 1992 || 디나모 민스크 || || 1992-93 || 디나모 민스크 || || 1993-94 || 디나모 민스크 || || 1994-95 || 디나모 민스크 || || 1995 || 디나모 민스크 || || 1996 || MPKC 모지르 || || 1997 || 디나모 민스크 || || 1998 || 드네프르-트란스마쉬 모길레프 || || 1999 || 바테 보리소프 || || 2000 || 슬라비아 모지리 || || 2001 || 벨시나 보브루이스크 || || 2002 || 바테 보리소프 || || 2003 || 호멜 || || 2004 || 디나모 민스크 || || 2005 || 샤흐툐르 솔리고르스크 || || 2006 || 바테 보리소프 || || 2007 || 바테 보리소프 || || 2008 || 바테 보리소프 || || 2009 || 바테 보리소프 || || 2010 || 바테 보리소프 || || 2011 || 바테 보리소프 || || 2012 || 바테 보리소프 || || 2013 || 바테 보리소프 || || 2014 || 바테 보리소프 || || 2015 || 바테 보리소프 || || 2016 || 바테 보리소프 || || 2017 || 바테 보리소프 || || 2018 || 바테 보리소프 || || 2019 || 디나모 브레스트 || || 2020 || 샤흐툐르 솔리고르스크 || || 2021 || 샤흐툐르 솔리고르스크 || || 2022 || --샤흐툐르 솔리고르스크--[*우승팀_없음 샤흐툐르 솔리고르스크의 승부조작이 발각되면서 우승팀은 없는 것으로 벨라루스 축구협회에서 발표하였다.] || == 클럽별 우승 횟수 == || 클럽 || 우승 || || [[FC 바테 보리소프]] || 15회 || || [[FC 디나모 민스크]] || 7회 || || [[FC 샤흐툐르 솔리고르스크]] || 3회 || || [[FC 슬라비아 모지리]] || 2회 || || [[FC 호멜]] || 1회 || || [[FC 벨시나 보브루이스크]] || 1회 || || [[FC 드네프르 모길레프]] || 1회 || || [[FC 디나모 브레스트]] || 1회 || == 여담 == * 벨라루스 프리미어 리그의 로고는 숫자 0을 본딴 것이다. 차상위 리그인 벨라루스 퍼스트 리그가 숫자 1을 본딴 로고를 사용하고 있고, 세번째 리그인 벨라루스 세컨드 리그가 숫자 2를 본딴 로고를 사용하는 것을 보고 유추할 수 있다.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벨라루스가 노골적으로 러시아 편을 드는 바람에 유럽 구단 대회에서 벨라루스 클럽들은 중립 구장에서 홈 경기를 치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