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邊例集要. [[조선]]시대 대외교 업무를 수행했던 [[예조]] 전객사(典客司)에서 당시 [[일본]]과의 외교 관계에 대해 기록한 책. [[선조(조선)|선조]] 31년인 1598년부터 [[헌종(조선)|헌종]] 7년인 1841년까지 250여년 간의 모든 대일외교 업무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총 19권 19책이며,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과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 내용 == [[예조]]의 전객사에서 조일 양국간에 전개된 각종 무역, 외교, 규정 등에 대해 수록한 책으로, [[임진왜란]] 이후 250여년간 있었던 모든 대일외교 관련 내용들을 남긴 것이다. 구성은 크게 다음과 같다. * 권1 : 별차왜(別差倭), 부규외위격(附規外違格) * 권2 : 송사(送使) * 권3 : 표차(漂差), 부표민(附漂民), 순부(順付), 쇄환(刷還) * 권4 : 관수(館守), 재판(裁判) * 권5 : 약조(約條), 금조(禁條) * 권6 : 서계노인(書契路引) * 권7 : 연례진상(宴禮進上) * 권8 : 공무역(公貿易), 하납제절(下納諸節) * 권9 : 개시(開市), 조시(朝市) * 권10 : 지급(支給)·증급(贈給)·휼전(恤典), 시탄(柴炭), 예물(禮物), 사증한진가료(私贈限盡加料) * 권11 : 관우(館宇) * 권12 : 구무(求貿) * 권13 : 난출(闌出) * 권14 : 잠상(潛商), 노부세(路浮稅), 잡범(雜犯) * 권15 : 수육로거래(水陸路去來), 표왜(漂倭) * 권16 : 본부상가(本府賞加), 나파추고(拿罷推考), 계파(啓罷), 역관수세관(譯官收稅官) * 권17 : 잡조(雜條), 울릉도(附鬱陵島) * 권18 : 신사(信使), 도해(渡海) * 권19 : 관방(關防) 이와는 별개로 규장각에는 이 변례집요의 속편인 변례속집요(邊例續集要) 2권이 따로 존재하고 있다. 변례속집요 권1은 연례 송사 선수 인수(年例送使船數人數)이고, 권2는 문정(問情) 부 특송사선(附副特送使船) 표차 왜선(漂差倭船)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선과 일본 사이에서 진행된 외교 사절, 공무역, 개시 무역, 잠상, 왜관 공간, 포상와 처벌, 잡범 등의 내용들이 다양하게 정리되어 있어 당시 한일 양국의 교류 연구에 중요한 자료 중 하나이다. == 세계기록유산 등재 == [[대한민국]]과 [[일본]]은 현재 공동으로 [[조선 통신사]] 관련 기록물을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 중이다. 일본 측 48건 209점, 한국 측 63건 124점으로 합계 111건 333점이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조선국서]](일본 도쿄 국립박물관 소장), [[통신사등록]](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동사일기]](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조통 참착귀로 행렬도]](일본 고려미술관 소장), 변례집요(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등이다. 이 외에도 [[증정교린지]](增正交隣志), [[동문휘고]](同文彙考), [[통문관지]](通文館志), [[해행총재]](海行摠載), [[해동기]](海東記), [[청산도유록]](淸山島遊錄), 기타 각종 사행록 등의 자료들이 잠정 등재 리스트에 오르락내리락 하고 있다. 2017년 10월 30일, 세계기록유산 등재가 확정되었다. == 외부 링크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6229&cid=46622&categoryId=46622|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변례집요]]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1889&cid=40942&categoryId=33383|두산백과 : 변례집요]]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19037&cid=55772&categoryId=55818|향토문화전자대전 : 변례집요]] [[분류:조선통신사에 관한 기록]][[분류:조선의 도서]][[분류:규장각 소장품]][[분류:국립중앙도서관 소장품]][[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