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남양주시의 읍면동)] ||<-2> '''[[남양주시|{{{#000000,#dddddd 남양주시}}}]]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별내면}}}'''[br]別內面 | Byeollae-my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남양주시 별내면,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남양주시 || || '''행정표준코드''' || 3990038 || || '''관할 법정리''' || 3리 || || '''하위 행정구역''' || 18행정리 177반 || || '''면적''' || 22.16㎢ || || '''인구''' || 18,693명[* 2023년 7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843.55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남양주시 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한정]] ,,(재선),, || ||<-2> '''경기도의원 | 제5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창식 ,,(초선),, || ||<-2> '''남양주시의원 | 마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동훈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상수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청학로8번길 22[* 광전리 122-6] || || [[https://www.nyj.go.kr/town/1532|별내면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기존 별내면에서 [[별내신도시]](구 광전리 일부, 덕송리, 화접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청학리]], 용암리, 광전리). '별내'란 명칭은 일제가 [[부군면 통폐합]]을 단행할 때 기존 별비면(別非面)+내동면(內洞面)을 통합하면서 두 면의 앞글자를 조합한 것이다. 별비면은 현 별내면+별내동(별내신도시)+[[퇴계원읍]], 내동면은 현 [[의정부시]] [[고산동(의정부)|고산동]], [[산곡동(의정부)|산곡동]]이었다. 즉 오늘날 기준으로 보면 별내의 '내'에 해당되는 곳은 전부 의정부시에 편입되고 별비면 지역만 남은 것이다.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일은 1914.04.01.이다.] 이전에 놀랍게도 이 지역은 덕릉고개(즉 덕릉현, 해발고도 약 150m) 너머인 동막골 일대와 [[당고개역]] 일대의 희망촌과 덕동리(1890년대 이전에는 구 덕릉현 마을, 현재의 상계4동 지역)를 관할하기도 하였다.[* 2021년 기준으로 덕동리(현재의 상계4동) 일대에 살았던 토박이들은 아예 찾아볼 수가 없다. 이 일대가 유신정권 시절에 지금과 같은 형태로 개발이 이뤄졌으며, 있다 해도 거의 다 별내나 양주 쪽으로 이사갔기 때문이다.] 반면에 [[불암산]] 자락의 불암동은 남쪽 구리시 갈매동과 같이 노원면(현 [[노원구]] 일대) 관할이었다. 면 소재지는 청학로8번길 22(광전리 122-6)이며, 별내면 행정타운 내에 있다. 별내신도시로 바뀌기 전에는 덕송리에 별내면사무소가 있었으나 2005년에 청학리, 용암리, 광전리를 관할하는 청학출장소가 분리되었다. 이후 2009년 12월에 별내면 쓰레기매립지 주변에 별내행정타운을 조성하여 광전리로 이전했고, 동시에 청학출장소와 폐지되었다.[* 당시 덕송리에 있던 면사무소 터는 상업지구로 바뀌었다.][* 현재 별내신도시를 경유하는 버스를 타면 버스정류장에 구 별내면사무소 안내방송이 나온다만, 실제 위치는 현대 아이파크 2차 앞이다.][* 다만 1999년에 설치한 출장소 건물은 시에서 활용방안을 찾지 못 하고 방치되다가 그대로 철거되었다.] 이 외에도 119안전센터는 화접리에, 파출소는 '''퇴계원면'''에 있었으나, 파출소는 별내동 분동 이후로 치안 수요가 급증하면서 별내면은 청학파출소를 개소하여 분리했다.[* 퇴계원면에 별내파출소가 있었다는 사실이 이상하게 보이겠지만, 본래 별내파출소는 별내면사무소가 덕송리에 조성될 때 면사무소와 함께 있었지만, 별내신도시 개발로 인해 인근의 퇴계원치안센터와 합병하여 퇴계원으로 이사 간 상황이었다. 그런데, 별내동의 인구가 급증하고 별내면 일대의 치안수요 증가로 인해 2012년 12월에 청학주공 5단지 앞 공터에 청학파출소가 신설되어 별내면의 치안을 담당하게 되었고, 기존 별내파출소는 퇴계원파출소로 개칭되었다. 이후 2014년 11월에 별내동의 치안업무가 퇴계원파출소에서 분리되어 별내파출소가 신설되어 별내동의 치안을 담당하게 되었다.] [[남양주시청]]이 먼 관계로 퇴계원역 앞에 있던 풍양출장소(진접읍ㆍ오남읍ㆍ진건읍ㆍ퇴계원읍ᆞ별내면ᆞ별내동 관할)에서 행정 업무를 분담해주기도 했으며, 책임 읍면동제 시행과정에서 출장소가 폐지되었다. [[수락산]]을 경계로 [[의정부시]] 산곡동과 서울 [[노원구]] [[상계동]]과 인접해 있다. 서울시에 직접 맞닿아 있는 2개의 면 중 하나다. 나머지 하나는 [[양주시]] [[장흥면]]. 이쪽은 [[강북구]], [[도봉구]]와 접한다. == 역사 == [[일제강점기]]인 1914년 4월 1일에 별비면 9개리와 내동면 3개리를 합쳐 8개리로 줄이고 별내면으로 부르게 되었다. 별비면 지역은 청학, 용암, 광전, 덕송, 화접, 퇴계원리로, 내동면 지역은 고산, 산곡리로 구성되었다.[* 본래 별비면 지역은 덕릉고개 넘어 상계동 일대에 땅거스러미가 있었으나, 일제가 이를 정리하였다.] 해방 이후인 1966년 7월 11일에 퇴계원리를 관할하는 퇴계원출장소가 신설되었다.[* 퇴계원리는 별내면에 속한 지역이었음에도 퇴뫼산, 곱돌산 등으로 인해 다른 지역과 분리된 지역이었다.] 1980년에 양주군의 남쪽 월경지가 남양주군으로 분리되었고 그 과정에서 옛 별비면 지역인 고산ᆞ산곡리[* [[주한미군]]부대가 주둔하고 있다.][* 사실 이 쪽의 경우는 생활권부터가 의정부시였는데, 일단 다른 별내면 지역으로 가려면 숯돌고개를 넘어서 가야했다. 또한 당시 별내면의 중심지 역할을 하던 덕송리로 가려면, 한참을 가야했을 정도. 또 숯돌고개를 넘어서 사람들 성격이 사뭇 달라진다는 지역 토박이의 증언이 이를 뒷받침해 준다.]를 의정부시로 편입했다.[* 이 지역은 행정동 상으로는 송산동이 되었고 현재 용현동과 묶여 송산1동이다.] 이후 1989년 4월 1일부로 별내면 퇴계원출장소를 퇴계원면(현 퇴계원읍)으로 승격시켰다. 의정부시와 인접한 청학리 일대가 1990년대부터 개발되기 시작하여[* 현 청학로가 본래 43번 국도였으나, 1990년대 중반에 청학터널을 뚫고 국도를 뒤로 이설했다.] 1995년 12월 거성아파트 입주를 시작으로, 2002년 7월 청학주공7단지 입주까지 택지지구로 개발되었으며 이 때문에 최대 인구 밀집지역인 청학리 생활권(청학, 용암, 광전리)과 별내신도시로 분리되는 지역(덕송, 화접리)이 다른 생활권으로 분리가 되었다.[* 이 지역들은 청학리와 교류가 많았지만 퇴계원과도 교류가 많았다.] 그래서 2005년 6월 1일부로 청학리 생활권을 관할하는 별내면 청학출장소가 신설되었다. 2006년 1월 20일부로 남양주시 북부권과 시청의 거리가 멀었기 때문에 행정불편 해소를 위해 설치된 남양주시 풍양출장소 관할로 편입되었다.[* 진접읍, 오남읍, 별내면, 퇴계원면 관할.] 별내면사무소 본청이 관할하던 광전리, 덕송리, 화접리 일부 지역이 [[별내신도시]]로 개발되는 것이 확정되었다. 2005년부터 재개발이 시작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2009년 12월 16일에 별내면사무소가 광전리 일대로 이전했으며(청학출장소 폐지) 별내파출소는 퇴계원면으로 이전했다.[* 119 안전센터가 화접리에 있었지만, 해당 부지는 택지개발 수용대상이 아니었다.] 2012년 1월 2일부로 화접리, 덕송리 전역과 광전리 일부가 별내동으로 분동되었다.[* 또한 [[순화궁]] 고개를 경계선으로 분할한 탓에, '''별내면사무소'''가 더 가까운데다가 교통편이 있음에도 별내신도시로 편입된 지역도 있다. 특히 덕릉마을이 그 중 하나이다.] 추후 별내신도시의 발전 정도에 따라서 별내면의 나머지 지역도 동 지역으로 전환되고 별내면이 완전히 폐지될 가능성도 있다. 실제로 [[동탄신도시]]의 옛 행정구역이던 [[동탄면]]이 그렇게 폐지가 되었다. 하지만, 청학리 일대가 개발이 되었음에도 용암, 광전리 일대는 여전히 배 과수원과 밭이 많은 농촌이며[* 물론 창고나 공장이 많이 들어와서 예전 같은 모습이 전혀 아니다.] 해당 지역들이 개발되지 않는 이상 전환은 어렵다고 볼 수 있다.[* 당장 남양주시 읍, 면 상당수가 중심지는 도시화가 되었음에도 주변 지역의 개발이 이뤄지지 않은 탓에 분동되지 않은 곳이 상당하다.] [[농어촌특별전형]]을 노리는 학생들과 학부모들이 반발할 경우 면으로 남거나 읍으로까지만 승격될 수도 있다. == 교통 == 외부로 나가는 교통편은 '''[[서울 버스 1155]]'''나 [[남양주 버스 33-1]], 또는 [[의정부 버스 1]], [[의정부 버스 1-1]] 등이 있다. 주변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언뜻 보기엔 시골같지만 90년대 초중반 택지개발지구로 선정된 [[청학리]] 등이 있어 산으로 둘러싸인 도시 느낌을 받는다. 마치 도정산이 주변을 성벽치듯이 있어 여름엔 덥고 겨울엔 추운 현상이 있다. 교통편은 의정부 10분, 서울 노원구 15분 등 서울북부와 경기북부로 가기에 편하다.[* 특히 노원구 상계3.4동 일대는 [[별내면]]의 일부였기에 가장 가까운 편이다.] 택지지구 형성 초기에는 아예 의정부 생활권이었으나[* 지금은 30분에 1대씩 다니는 1번 버스가 예전에는 5~10분 간격으로 운행했던 것이 이를 뒷받침한다. 또한 자공고 이전의 [[청학고등학교]]는 의정부시에서 넘어온 학생들도 제법 많았었다.] 2003년에 순화궁고개 도로가 개통된 이후에는 서울 생활권으로 바뀌며 많이 유대감이 약해졌다. 서울이 아닌 남양주의 타 지역으로 가려면 [[남양주 버스 10]], [[남양주 버스 10-5]], [[남양주 버스 땡큐30]]을 타야한다. 오랫동안 강남으로 나가기에 많이 불편했지만 [[남양주 버스 1001]]이 청학리에서 출발하게 되면서 [[잠실역]]으로도 나갈 수 있게 되었고, [[세종포천고속도로]]가 개통하면서는 [[동의정부IC]]를 통해서 자가용이 있다면 더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덕송내각고속화도로]] 완공으로 인해 동별내IC를 통해 진접읍, 더 나아가 오남읍까지 이동할 수 있다. == 통신 == 이 지역은 한국전력 구리지사, 우편 업무는 구리우체국[* 즉 등기 우편 및 소포 우편 배송은 구리우체국 담당이라고 보면 되는 것이다.], 우편취급국 관할은 남양주우체국에서 업무를 담당한다. 단, KT 동의정부 지점에 속한 청학리, 용암리 전 지역만 전화번호가 82x, 84x, 85x로 시작된다. 즉 청학리와 용암리는 아예 전화 국번도 500번대가 아니라 의정부와 같은 800번대를 사용할 정도로 의정부시의 식민지라고 해도 무방하다는 것이다. [* 2000년 6월 30일 이전까지 쓰던 구리, 남양주 지역번호가 0346일 당시에도 청학리와 용암리만 의정부, 동두천, 양주와 같은 국번인 0351-82X, 84X, 85X 단위로 썼을 정도이다. 게다가 의정부시와도 인접하므로 의정부시 민락동에 위치한 KT 동의정부지점 관할이기도 하다. 단, 광전리는 전화국이 아예 구리, 남양주권으로 넘어가므로 500번대를 사용한다. 다시 말하자면 031-527~529, 59X, 57X 국번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 생활권 == 위의 서술된 내용을 통해 별내면은 사실상 노원구 및 의정부 생활권임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쇼핑도 다른 동네들과 달리 의정부역 [[신세계백화점 의정부점]]이나 [[롯데백화점 노원점]], 그리고 [[롯데백화점 구리점]]에 의존하고 있으며 서울 동북부와 의정부에서 남양주로 오는 관문. 이들 지역은 1995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에 의정부시 편입이 고려되었으나 주민투표 결과 반대가 우세하여 의정부 편입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1980년 남양주군 분할 당시에는 산곡동과 고산동(별내면 산곡리, 고산리)이 의정부시로 편입돼서, 1995년에는 송산동 소속으로 있던 상황이었다. 그 이유는 사람들 성격이나 지역색이 굉장히 많이 달라서 그런 것도 있고, 생활권도 그러하다. 실제로 [[양주시청]]이 위치한 양주1동, 즉 옛 지명으로 보면 고주내면 일대에서 3대 이상 살아온 한 양주 토박이가 언급하는데, [[양주시]]랑 [[남양주시]]는 사실상 남이라고 봐도 된다고 한다. 왜냐하면 지역 사람들의 정서는 물론, 사람들 성격이 아주 다르기 때문이다. 언어 역시 매우 큰 차이를 보인다고 하는데, [[양주시]]는 양주 방언권[* 양주 방언권에 속하는 도시는 의정부시, 양주시, 포천시, 연천군, 동두천시, 예외적으로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일대가 이에 해당된다.]이고, [[구리시]], [[남양주]]지역은 청학리만 넘어가도 강원도 방언하고 제법 비슷하게 사람들이 남양주 방언을 사용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뭐 사실이지만 남양주 출신 인구 중 10% 정도(6.5만 명)가 춘천 출신이다. 강원도 출신은 남양주 전체 인구의 20% 정도가 강원도 출신이기도 하는 것 역시 사실이다. 이로 인해 반대표가 조금 더 나온 게 사실인 것도 방증해주는 게 이 때문임은 확실하다.][* 참고로 [[가평군]]의 경우 영서 방언을 사용한다. 다만, [[설악면]]이나 [[조종면]] 지역은 각각 양평 방언과 양주 방언권에 속함.] 단, 그렇다 할지라도 [[구리시]], [[도농동]], [[평내동]] 또는 [[호평동]]으로 나가는 사람들 또한 적은 것은 아니다.[* 의외로 민락2지구와 [[고산동(의정부)|고산동]]이 활발히 개발되었음에도 [[민락동(의정부)|민락동]]으로 이어주는 대중교통편이 1155번의 단축 이후로 크게 불편해진 반면, 별내신도시로 가는 버스편이 최근 배차가 안정적인 상황이다보니 자가용 없이 영화관을 가는 것은 [[메가박스 별내]]점이 확실히 낫고, 이마트도 [[이마트 별내점]]으로 가는 경우가 꽤 있다. 물론 거리상으로는 민락2지구에 위치한 인프라가 더 가깝고, 그나마 2020년 8월 1일부터 개통된 [[의정부 버스 1-8|1-8번]]을 숫돌고개 정류장에서 환승하면 고산/민락2지구 이동이 어렵지는 않지만.] 구리, 남양주 전 지역은 하나의 생활권이기 때문에 구리시 택시[* 차량번호가 경기48로 시작되는 게 구리시 소속 택시이고, 경기49로 시작되면 남양주시 소속 택시이다. 구리시 또한 갈매동이 별내랑 인접해 있기에.]도 [[별내면]]에서도 자주 보인다. 또 실제로 주민들 중 노원보다 [[롯데백화점 구리점]]으로 쇼핑을 조금 더 간다고 한다.[* 아무래도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는 구리, 남양주의 거점지역이 구리시였고, 그 거점 지역에 있는 유일한 백화점이 LG백화점, GS스퀘어를 거친 롯데백화점 구리점이었고[* 1998년 4월 3일 개장하였다.], 또 [[구리시]]와 [[남양주시]]는 1980년부터 '''남양주군'''이었던 하나의 지역이었고[* 즉 이때 남양주군 구리읍, 미금읍으로 개편되었던 것이다.], 이 두 지역은 조선 시대 및 구한말에도 [[양주시|양주군 남부]]로 분류가 됐기 때문이다.[* 이때 소속된 곳은 현재의 [[중랑구]](남면(망우리면), 고양주면 북부), [[광진구]](고양주면), [[구리시]](구지면), [[남양주시]](금촌면, 독음면 등) 일대라고 보면 된다.] 또한 2004년 3월 이전만 해도 10-5번이 청학리가 종점이었을 때, 당시 중형차로 다닌 10-5번의 구간 중 청학리에서 구리 돌다리, 토평동까지 갔던 수요도 상당히 많았다. 2021년 5월 현재도 청학리에서 구리로 출퇴근 및 통학하는 사람 또한 상당히 많은 거야 두 말하면 잔소리이다. 물론 의정부와 물리적인 거리가 가까워 최근에는 의정부 신세계백화점을 간다 할지라도 청학리에서 대대로 살아온 주민들이나 택지개발이 이뤄진 이래부터 살아온 주민들은 조금 멀어도 구리와 같은 생활권이다 보니 [[롯데백화점 구리점]]을 조금 더 많이 가는 게 사실이다.] 구리 [[엘마트]], 롯데아울렛도 마찬가지. 일단 2020년에 다산 현대프리미엄아울렛이 생겨서 구리, 남양주 생활권이 가속화되었고, 땡큐버스를 통하여 또한 이 생활권이 더욱더 강화된 편이다. == 기타 == 청학리에는 의정부권에서 많은 학생들이 오는 '''[[청학고등학교]]'''가 있다. 그 외에도 별내초등학교[* 1934년 개교. 1946년에 화접분교장과 고산분교장을 신설했고, 이후 1950년 11월, 1955년 4월 1일에 각각 화접초등학교와 고산초등학교로 분리되었다. 1999년 12월 1일부로 청학리로 이전했다.], 별내중학교[* 1999년 개교.], 청학주공 아파트 1~7단지, 동부ᆞ거성ᆞ극동 아파트, 별내도서관[* 2008년 개관. '별내면'에 있으며, '별내동'에 있는 도서관은 별빛도서관으로 다른 곳이다.]과 보건소[* 본래 청학리를 관할하던 청학보건진료소로 시작했고, 2023년에 별내보건지소로 승격되었다.], 별내농협 청학지점[* 1994년 11월 개점. 1999년 12월부터 현 부지에서 영업 시작. 하나로마트도 이 때 개업했다.], 청학파출소[* 기존의 별내파출소가 퇴계원읍에 있었는데 인구가 증가하고 치안 수요가 커지자, 기존 파출소는 '퇴계원파출소가 되고 별내신도시 지역에 '별내파출소', 청학리에 '청학파출소'가 생긴 것이다. 청학파출소는 주공 5단지 앞 공터를 활용했다.]가 여기에 있다. 또한 [[수락산]], 내원암, 마당바위, 순화궁고개도 모두 청학리에 속한다. 현재 별내면의 중심지는 청학리이며, 1리부터 16리까지 있다. 광전리는 행정타운이 조성되어 있는데, 별내면행정복지센터, 에코랜드[* [[이광길]] 시장 임기 때 친환경 쓰레기 매립장을 만드는 조건으로 만든 공원. 수영장, 축구장, 야구장, 풋살장, 산책로, 분수 등으로 구성됨. 이 중에서 야구장과 수영장은 늦게 생긴 편이다.][* 면사무소는 덕송리에 있었는데 정작 청학리 인구가 면 인구의 반 이상이었던지라 청학리에 조촐하게 출장소 건물을 지어놓고 10년가량 쓰다가 2009년 새 면사무소가 완공되자 7년반 동안 방치하다가 활용방안을 못 찾았는지 철거했다. 출장소 폐지와 더불어 별내신도시 부지로 수용된 옛 면사무소도 없애버렸다.][* 매년 여름마다 별내면에 10년 이상 거주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성적우수ᆞ복지 장학금을 주기도 한다.], 경은학교[* 특수(장애인)학교, 2008년 개교. 별내초등학교가 1999년 12월에 청학리로 이전하고 후적지는 경기도교육청 소유로 남아있다가 남양주시 북부권 장애인의 교육권 보장을 위해 후적지를 활용하여 특수학교를 개교한 것.]가 있다. 또 [[세종포천고속도로]] [[남별내IC]], [[별내휴게소]]가 광전리에 위치한다. 남양주시에 전체적으로 [[야구장]]이 많이 있는데, 별내면 쪽에 특히 많이 집중되어 있어서 경기 북부 및 경기 동북부, 서울 수도권 근처 야구인들이 많이 찾는 지역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남양주시/행정,version=180)][[분류:남양주시의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