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별명)] [목차] == 개요 == 역사적으로 널리 불리워진 각 지역의 별칭들을 중심으로 정리한 문서이다. * [[지역드립]]은 목록에서 제외하며, 해당 문서를 참조하기 바란다. *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별명]]에 대해서는 [[별명/국가]]를 참고하기 바란다. == 목록 == === [[대한민국]] === * [[기호지방|기호]](畿湖):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충청도]] * 동협(東峽): [[경기도]] 동부 및 [[강원도]] * 남도(南道): [[충청도]]·[[전라도]]([[제주도]] 포함)·[[경상도]]를 아우르는 지역. 작게는 전라도만을 이르기도 한다. * 삼남(三南), 하삼도(下三道), 남선(南鮮)[* 주로 [[일제강점기]]에 이렇게 불렀다.]: [[충청도]]·[[전라도]]([[제주도]] 포함)·[[경상도]]를 아우르는 지역 * 양남(兩南): [[전라도]]·[[경상도]] * 양호(兩湖): [[충청도]]·[[전라도]] * 호령(湖嶺): [[충청도]]·[[경상도]] ====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 경인(京仁) * [[서울특별시]]: 남평양(南平陽)[*고구려 [[475년]]에 [[고구려]] [[장수왕]]이 북한산군(北漢山郡)을 설치하면서 남평양이라는 별칭을 붙였다.], 한성(漢城)[* [[백제]]의 수도였던 [[위례성]]의 이칭이었고, [[1395년]]에 한양부를 한성부로 개칭한 이래 [[1910년]]까지 서울의 공식 명칭이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지금의 서울에 설치되었던 [[경성부]]의 별칭으로 쓰였다.], [[한양]](漢陽)[* [[757년]]에 한양군이 설치된 이래 양주로 이름이 바뀌는 [[940년]]까지, [[남경(고려)|남경]]이 한양부로 격하된 [[1304년]]부터 [[한성부]]로 개칭되는 [[1395년]]까지 서울의 공식 명칭이었다. 서울의 옛 이름 중에서는 가장 널리 불리던 별칭이었으며, 공식 명칭이 양주나 남경이었던 때에나, 한성부였던 [[조선시대]] 500년 동안에도 한양이라는 별칭은 1500년 넘게 계속해서 불려 왔다.], 양주(楊州)[* 본래 양주의 치소는 지금의 서울 사대문안에 있다가 한양 천도 이후에 지금의 [[광진구]]로, 그 다음에 지금의 [[양주시]] 관내로 옮긴 것이다. [[940년]]부터 [[1069년]]까지 서울의 공식 명칭이었다.], 목멱양(木覓壤)[* 목멱산(現 [[남산]]) 근처 지역이라는 뜻. [[고려시대]]에 [[남경(고려)|남경]] 천도 운동이 일어날 때 언급된다.], 남경[* [[1304년]]에 [[원나라]]의 간섭을 받아 [[남경(고려)|남경]]이 한양부로 격하된 이후로도 관습적으로 남경이라고 불렀다. 한양 천도 이후로는 중앙 수도가 되어 더 이상 남경이라고 부르지 않게 되었다.], '''서울'''[* [[1394년]] 한양 천도 이래 오래도록 [[한성부]]의 별칭으로 불려 왔고, [[일제강점기]]에도 계속해서 [[경성부]]의 별칭으로 불렸다. [[1946년]]에 경성부가 서울시로 개칭되면서 한양 천도 552년 만에 비로소 서울이 공식 명칭이 되었다.], 경도(京都)[* [[세종실록지리지]]에서는 [[한성부]]의 공식 명칭을 경도한성부(京都漢城府)라고 표기하고 있으며, 이후에 발간된 지리지들에도 경도한성부라는 명칭이 등장한다.], 경락(京洛), 경부(京府), 경사(京師), 경성(京城), 경읍(京邑), 경조(京兆), 도성(都城), [[수도(도시)|수도(首都)]][* 현대에는 '수도 서울' 같은 예로 많이 사용하는 편이다. 그 외에도 서울특별시 관내에는 [[수도여자고등학교]], [[수도공업고등학교]] 등 서울의 별칭으로서의 '수도'를 교명에 사용한 경우가 있다.], 수부(首府), 수선(首善)[* [[조선시대]]에 [[한성부]]를 그린 [[지도]]인 [[수선전도]]가 유명하다.], 장안(長安)[* [[당나라]] [[장안성]]과 같이 수도라는 점에서 [[한성부]]의 별칭이 되었다.], 한경(漢京)[*조선시대 조선시대에 [[한성부]]를 [[고려|전 왕조]]의 수도인 [[개경]]과 동급으로 높여 부르던 이름. 조선 초부터 생긴 별칭이며, 조선 후기에 간행된 한성부의 지리지 한경지략(漢京識略)에서도 볼 수 있듯 조선시대 내내 한경이라는 별칭이 쓰여 왔다.], 열양(洌陽)[* [[한강]]의 별칭인 열수(洌水)의 북쪽에 있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오(육)백년 도읍지 *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강남4구]] *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강남3구]] * [[서초구]], [[강남구]]: 영동(永東) * [[노원구]], [[도봉구]], [[강북구]]: [[노도강]] * [[성동구]]·[[광진구]]·[[동대문구]]·[[중랑구]]: 동교(東郊)[* [[한성부]]의 동쪽 [[교외]]라는 뜻이다.] * [[성동구]] [[성수동]]: [[뚝섬]] * [[금천구]]·[[관악구]]·[[영등포구]]: 금주(衿州), 금천(衿川), 시흥(始興) * [[인천광역시]]: 인주(仁州), 경원(慶源)[* 한때 [[인천 이씨]]를 경원 이씨로 불렀다.] * 舊 [[부평군]] 지역: 계양(桂陽)[* 부평군의 옛 이름인 계양도호부에서 유래하였다. [[계양구]]가 부평구로부터 분구되면서 이름이 부활하였다.], 구도(球都)[* 부산보다는 덜 알려지긴 했으나 [[축구]], [[야구]] 등 근대 스포츠가 먼저 들어온 곳이 인천이다.], [[마계인천]], 미추홀[* 옛지명에서], [[제물포]][* 다만 미추홀과 다르게 옛 인천도호부 지역 전역을 가리키던 별칭은 아니었다.], 조선의 [[레닌그라드]](해방 직후) * [[경기도]] * [[고양시]] [[덕양구]]: 행주(行州)[* [[고려시대]] 때의 행주현이 그 유래이다. 현재의 [[행주산성]]이 있는 그곳이며, [[행주 기씨]]의 본관이다.], 덕성(德城)[* 덕성부원군 [[기철]]이 유명하다.] * [[과천시]]: 부림(富林), 부안(富安) * [[광주시]]: 한산(漢山)[*한 본래의 한산군은 [[백제]]의 수도였던 [[위례성]]을 포함하는 [[한강]] 이남의 지역을 관할하였고, 광주시의 전신이 된다. 현재 서울특별시의 전신이 되는 건 북한산군이다. 한주로 개칭되었다가 [[757년]]에 광주로 개칭되었다. '한([[漢]])'은 [[고대 한국어]]에서 넓다는 의미의 말을 [[한자]]로 음역한 것인데, 이는 [[한강]]에서 유래한 것이다. 넓을 광(廣) 자를 쓰는 지금의 광주와 지명이 일맥상통한다.], 한주(漢州)[*한], 회안(淮安), 경안(慶安) * [[남양주시]]: 풍양(豊陽)[* 옛 풍양현에서 유래하였다. [[풍양 조씨]]의 [[본관]]이다.] * [[수원시]]: 수성(水城)[* 수원의 옛 이름이다.], 한남(漢南)[* [[한강]]의 남쪽에 있다 하여 붙은 별칭이다. [[세종(조선)|세종]]과 [[혜빈 양씨]]의 장남 이어가 [[한남군]]에 봉작되었다.], 화산(華山)[* 본래 수원의 읍치가 있던 [[화성시]] [[안녕동]]의 화산이다.], 화성(華城)[* [[1793년]]에 화성유수부로 승격한 이래 [[1894년]]까지 수원의 공식 명칭이었다.] * [[양주시]]: 창화(昌化)[* [[475년]]에 지금의 양주 지역에 매성군(買城郡)을 설치할 때 붙은 별호이다.] * [[여주시]]: 여흥(驪興)[* [[여흥 민씨]]의 [[본관]]이다.] * [[이천시]]: 영창(永昌) * [[파주시]]: 파평(坡平) * [[평택시]]: 팽성(彭城) * [[화성시]]: 당성(唐城)[* [[충선왕]] 때 남양부(南陽府)로 이름이 바뀐 뒤에도 별칭으로 남았다.] ==== [[강원도]] ==== * [[태백산맥]] 이동: 관동(關東), 영동(嶺東) * [[강릉시]]: 명주(溟州)[* [[1955년]]에 강릉군 강릉읍, 성덕면, 경포면이 강릉시로 승격되면서 강릉군의 나머지 지역은 옛 명칭을 되살려 명주군으로 개칭되었다.], 임영(臨瀛)[* [[세종]]과 [[소헌왕후]]의 사남 이구가 [[임영대군]]에 [[봉작]]되었다.] * [[삼척시]]: 진주(眞珠) * [[태백산맥]] 이서: 관서(關西), 영서(嶺西) * [[원주시]]: 북원(北原)[* [[통일신라시대]]의 [[9주 5소경]] 중 하나인 [[북원경]]에서 유래하였다. 원주시 관내의 [[북원여자고등학교]]가 교명으로 사용하고 있다.], 평원(平原)[* [[세종(조선)|세종]]과 [[소헌왕후]]의 7남인 이림이 [[평원대군]]에 [[봉작]]되었다.] * [[철원군]]: 풍천원(楓川原), 동주(東州)[* [[동주 최씨]]의 [[본관]]이다.] * [[춘천시]]: 광해주(光海州)[* 춘천의 옛 이름으로, [[광해군]]의 [[봉호]]이다.], 춘주(春州), 수춘(壽春) ==== [[충청도]] ==== 호서(湖西) * [[충청북도]]: 충북(忠北) * [[청주시]]: 상당(上黨)[* [[백제]] 때 청주의 이름이었다. 훗날 [[한명회]]가 상당부원군의 [[작호]]를 받았다.], 서원(西原)[* [[통일신라시대]]의 [[9주 5소경]] 중 하나인 [[서원경]]에서 유래하였다. [[서원구]]가 설치되면서 이름이 부활하였다.] * [[충주시]]: 중원(中原)[* [[통일신라시대]]의 [[9주 5소경]] 중 하나인 [[중원경]]에서 유래하였다. [[1956년]]에 충주군 충주읍이 충주시로 승격하면서 충주군의 나머지 지역은 옛 명칭을 되살려 중원군으로 개칭하였다.], 예성(蘂城)[* 충주시 관내의 [[충주예성여자고등학교]]가 교명으로 사용하고 있다.] * [[충청남도]]: 충남(忠南) * [[공주시]]: 웅진(雄津), 웅주(雄州) * [[논산시]] * 舊 연산군 지역: 황산(黃山) * [[서천군]]: 서림(西林)[* [[서림 이씨]]의 [[본관]]이다.] * [[아산시]]: 인주(仁州), 영인(寧仁), 온양(溫陽)[* 본래는 아산과 완전히 별개의 고을이었으나, [[1914년]]에 [[부군면 통폐합]]으로 아산군과 합쳐졌다. [[1922년]]에 아산군청이 온양면으로 이사를 오면서부터 온양면을 중심으로 아산의 시가지가 발달하였고, [[장항선]]도 구 온양으로 지나가게 되면서 대외적으로는 아산=온양이라는 인식이 박혔다. [[1986년]]에 아산군 온양읍이 [[온양시]]로 분리·승격되었다가 [[1995년]]에 아산군과 통합할 때 도농통합시의 이름을 아산으로 정하면서 다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다만, 아산시의 도심은 지금도 옛 온양시 일대이며, 아산의 현관 노릇을 하는 곳이 [[온양온천역]]이기 때문에 온양이라는 지명이 아직도 아산의 별칭으로 여겨지고 있다.][* [[온양 방씨]], [[온양 정씨]]의 [[본관]]이다.], 온수(溫水)[*온 온양의 옛 이름], 탕정(湯井)[*온] * [[홍성군]]: 안평(安平)[* [[세종(조선)|세종]]과 [[소헌왕후]]의 삼남인 이용이 [[안평대군]]에 [[봉작]]되었다.] ==== [[전라도]] ==== 호남(湖南), 남도(南道) * [[광주광역시]]: 무진(武珍)[*무 [[통일신라시대]]의 [[9주 5소경]] 중 하나인 [[무진주]]에서 유래한 것이다. [[고대 한국어]]의 '돌'이라는 단어를 진([[珍]])으로 [[훈차]]한 것인데, [[무등산]]에서 유래하지 않았는가 추정된다. [[757년]]에 무주로 개칭되었다. 현재도 [[무진대로]]의 도로명으로 남아 있다.], 무주(武州)[*무], 광산(光山)[* [[1935년]]에 광주군 광주읍이 [[광주부]]로 승격되면서 나머지 읍면은 광산군으로 들어갔다. [[광산 김씨]]의 [[본관]]이며, [[광주 노씨]]도 한때 광산 노씨로 불리웠다.], 경양(景陽)[* 광주에 있었다던 [[역참]]인 경양역에서 유래한 것으로, [[경양방죽]]의 유래가 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 * [[전주시]]: 완산(完山)[*완 [[통일신라시대]]의 [[9주 5소경]] 중 하나인 [[완산주]]에서 유래한 것으로, [[757년]]에 완주로 개칭되었다. 전([[全]])과 완([[完]])은 뜻이 같다. [[1935년]]에 전주군 전주읍이 [[전주부]]로 승격되면서 전주군의 나머지 지역은 [[완주군]]으로 개칭하였다.][* [[완산 전씨]]의 [[본관]]이다. [[전주 이씨]], [[전주 최씨]]의 별칭이 바로 완산 이씨, 완산 최씨이다.], 완주(完州)[*완], 완성(完城)[* 완산의 별호이다.], 견성(甄城)[* [[견훤]]의 성이라는 뜻으로, [[후백제]]가 이곳에 도읍을 삼았던 것에서 유래하였다.], 승화(承化)[* [[고려]]의 왕족이었던 왕온이 [[승화후]]라는 [[작호]]를 받았다.], 안남(安南)[* [[936년]]에 설치된 안남도호부에서 유래하였다.], 풍패(豊沛)[* [[고제(전한)|한 고제]] 유방의 고향인 풍읍 패현에서 따온 것으로, [[조선왕조]]의 [[본관]]인 전주를 한 고제의 고향에 빗댄 것이다.], 전성(全城) * [[전라남도]] * [[강진군]]: 금릉(金陵) * [[구례군]]: 봉성(鳳城)[* [[중종(조선)|조선 중종]]과 [[희빈 홍씨]]의 아들인 이완이 [[봉성군]]에 봉작되었다.] * [[나주시]]: 금성(錦城)[* [[세종(조선)|세종]]과 [[소헌왕후]]의 6남인 이유가 [[금성대군]]에 [[봉작]]되었다.] * [[순천시]]: 승주(昇州) * [[화순군]] * 舊 능주군 지역: 능성(綾城)[* [[능성 구씨]]의 [[본관]]이다.] ==== [[경상도]] ==== 영남(嶺南) * [[부산광역시]] * [[기장군]]: 차성(車城) * [[대구광역시]]: 달성(達城)[* [[대구 달성]]에서 유래한 것으로, [[1914년]]에 [[대구부]]와 [[달성군]]으로 분리되었다. [[1995년]]에 달성군이 대구광역시로 통합되었고, 현재도 대구의 자치군으로 남아 있다. [[달성 서씨]]의 [[본관]]이다.] * [[울산광역시]]: 학성(鶴聲) * [[경상북도]] * [[경주시]]: 금성(金城), 월성(月城)[* [[경주 월성]]에서 유래한 것으로, 경주를 [[본관]]으로 삼는 [[경주 김씨]], [[경주 이씨]], [[경주 최씨]] 등이 각각 월성 김씨, 월성 이씨, 월성 최씨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1955년]]에 경주군 경주읍이 경주시로 승격되면서 나머지 지역은 월성군으로 개칭하였다. [[1989년]]에는 경주군으로 다시 개칭되었다가 [[1995년]]에 경주시로 통합되었다. 경주시에 있는 [[월성원자력발전소]]도 舊 월성군에서 이름을 따온 것이다.], 계림(鷄林)[* [[경주 월성]] 북쪽에 있는 숲으로, [[경주 김씨]]의 시조 [[김알지]]가 태어났다는 전설이 있다. [[신라]]의 별칭이기도 했으며, [[조선시대]]에도 계림이라 일컬어졌다.], 왕경(王京)[* [[신라시대]] 경주의 별칭이었다.], 동경(東京)[* 동경으로 지정된 것은 [[고려]] 때의 일이었지만, [[신라시대]]에도 국토의 동쪽에 치우친 까닭으로 동경이라는 별칭으로 불린 것으로 보인다.], 오성(鰲城)[* [[이항복]]이 [[경주 이씨]]라서 오성부원군의 [[작호]]를 받았다.] * [[구미시]] * 舊 [[선산군]] 지역: 숭선(崇善)[* [[인조]]와 [[귀인 조씨]]의 장남인 이징이 [[숭선군]]에 [[봉작]]되었다.], 선주(善州), 화의(和義) * 舊 [[인동군]] 지역: 옥산(玉山)[* [[인동 장씨]]를 일컬어 옥산문벌(玉山門閥), 혹은 옥산화벌(玉山華閥)이라고 하였다. [[희빈 장씨]]가 사후 옥산부대빈(玉山府大賓)으로 추증되었다.] * [[김천시]]: 금릉(金陵) * [[상주시]]: 낙양(洛陽) * [[성주군]]: 벽진(碧珍)[* 성주군에 있었던 [[벽진국]]에서 유래한 것으로, [[벽진 이씨]]의 [[본관]]이다.], 광평(廣平)[* [[고려]] 말의 권신 [[이인임]]이 [[성주 이씨]]라서 광평부원군의 [[작호]]를 받았다.] * [[안동시]]: 영가(永嘉), 영호(映湖) * [[울릉군]]: 우산(于山) * [[포항시]]: 연일(延日)[* [[연일 정씨]]의 [[본관]]이다.], 영일(迎日) * [[경상남도]] * [[김해시]]: 금관(金官)[* 김해에 있었던 [[금관국]]에서 유래하였다.] * [[남해군]]: 해양(海陽)[* 남해군의 옛 지명으로, [[예종(조선)|예종]]이 [[대군]] 시절에 해양대군에 [[봉작]]되었다.] * [[밀양시]]: 밀성(密城) * [[양산시]]: 선춘(宣春), 순정(順正) * [[진주시]]: 진양(晉陽)[* [[1938년]]에 진주군 진주읍이 [[진주부]]로 승격되면서 진주군의 나머지 지역이 [[진양군]]으로 개칭된 바가 있다. 진양군은 [[1995년]]에 진주시로 통합되었다.][* [[진주 강씨]]를 진양 강씨로도 일컫는다. [[고구려]]의 대장군이었던 [[강이식]]의 후손인 강진이라는 인물이 진양후(晉陽侯)의 [[작호]]를 받았다고 하며, [[세조(조선)|세조]]가 [[대군]] 시절에 처음으로 받은 [[봉호]]가 진양대군이었다.], 진성(晉城)[* [[중종(조선)|중종]]이 대군 시절에 받았던 [[봉호]]였다.] * [[창원시]]: 의창(義昌) ==== [[제주도]] ==== 영주(瀛洲), 탐라(耽羅) * [[제주시]]: 산북(山北) * [[서귀포시]]: 산남(山南) ==== [[이북5도]] ==== * [[서도]]: [[평안도]]와 [[황해도]]를 아우르는 지역 * [[패서]]: 現 [[평안남도]]·[[황해도]]·[[개성시]]를 아우르는 지역 ===== [[미수복 경기도]] ===== * [[개성시]]: 송악(松岳)[*송 [[757년]]에 송악군이라는 이름이 처음 부여되었고, 개성군(지금의 [[개풍군]])과 합쳐 개경이 되면서 송악은 별칭이 되었다. 송경과 송도는 모두 송악의 별칭이다.], 송경(松京)[*송], 송도(松都)[*송], 왕경(王京)[*고려시대 고려시대에 개경을 부르던 별칭], 황도(皇都)[*고려시대], 개성(開城)[* [[고려시대]]에 개경을 부르던 별칭. [[1304년]]에 [[원나라]]의 간섭으로 개경이 [[개성부]]로 격하되면서 현재까지 공식 명칭으로 완전히 자리잡았다.], 중경(中京)[* 고려시대에 [[평양시|서경]]·[[경주시|동경]]·[[남경(고려)|남경]]에 대비하여 개경을 부르던 별칭], 개경(開京)[* [[1304년]]에 개경이 개성부로 격하된 뒤에 관습적으로 부르던 이름.], 구도(舊都)[* [[조선시대]]에 [[한성부|경도한성부]]에 대비하여 옛 수도라는 뜻으로 붙인 별칭. [[세종실록지리지]]에는 구도개성유후사(舊都開城留後司)라고 표기하였다.] ===== [[평안도]] ===== 관서(關西), 서북(西北), 패서(浿西) * [[평양시]]: 조선(朝鮮)[* [[고조선]]의 옛 수도였다 하여 오래 전부터 평양의 별호로 사용되었다. [[고려]]의 작위 중 [[조선후]]의 조선은 평양 지역을 뜻한다.], 기성(箕城)[* 후대에 [[기자조선]]이 평양에 있었던 것으로 오해하고 평양에다 붙인 별호.], 낙랑(樂浪)[* [[한사군]]의 하나였던 [[낙랑군]]의 치소가 평양에 있었기 때문에 낙랑의 멸망 이후에는 평양 일대를 일컫는 말이 되었다.], 장안(長安)[* [[고구려]] 때 붙은 별호이다.], 서경(西京), 서도(西都), 유경(柳京), 호경(鎬京)[* 고대 [[중국]] [[주나라]]의 [[수도(도시)|수도]]로, 지금의 [[뤄양]](洛陽, 낙양)이다. [[고려시대]]에 평양을 빗대어 이렇게 표현하였다.] ===== [[함경도]] ===== 관북(關北), 동북(東北), 북도(北道) * [[함경남도]] * [[영흥군]]: 화령(和寧), 역양(歷陽)[* [[세종(조선)|세종]]과 [[소헌왕후]]의 8남인 [[영응대군]]의 두 번째 봉호가 역양대군이었다.] * [[함흥시]]: 함주(咸州) ===== [[황해도]] ===== 해서(海西), 대방(帶方) * [[황해남도]] * [[배천군]]: 백주(白州)[* [[백주 태씨]]의 [[본관]]이다.] * [[신계군]]: 협계(浹溪)[* 지금은 [[백주 태씨]]로 통합된 협계 태씨의 [[본관]]이었다.] * [[연안군]]: 영응(永膺)[* [[세종(조선)|세종]]과 [[소헌왕후]]의 8남인 이염의 세 번째 봉호가 [[영응대군]]이었다.] * [[해주시]]: 고죽(孤竹), 대령(大寧), 벽성(碧城)[* [[1938년]]에 해주군 해주읍이 [[해주부]]로 승격되면서 나머지 지역은 [[벽성군]]으로 개칭하였다.], 서해(西海), 수양(首陽)[* [[세조(조선)|세조]]가 [[대군]] 시절에 두 번째로 받은 [[봉호]]가 수양대군이다.], 지성(池城) * [[황해북도]] * [[평산군]]: 동양(東陽) === [[중국]] === * 경도(京都), 경락(京洛), 경부(京府), 경사(京師), 경성(京城): 역사적으로 중국의 [[수도(도시)|수도]]들을 일컫던 별칭으로, [[명청시대]]에는 [[베이징]]의 별칭이었다. * 요동(遼東): [[랴오허강|요하(遼河)]]의 동쪽이라는 뜻으로, [[랴오닝성]]의 동부와 그 이동의 지역을 말한다. * 요서(遼西): [[랴오허강|요하(遼河)]]의 서쪽이라는 뜻으로, [[랴오닝성]]의 서부를 말한다. * [[형주]](荊州), 형초(荊楚) ==== 행정구역별 별칭 ==== * [[베이징시]]: 연경(燕京) * [[랴오닝성]] * [[선양시]]: 성경(盛京) * [[허베이성]]: [[기주]](冀州) * [[허난성]]: [[예주]](豫州) * [[뤄양시]]: 호경(鎬京), 동도(東都) * [[산시성(섬서성)]]: 진천(秦川) * [[산둥성]]: 제(齊), 제주(齊州), 노(魯), 제로(齊魯) * [[시안시]]: 장안(長安)[* [[고제(전한)|한 고제]] 유방이 수도를 지금의 [[산시성(섬서성)]] [[시안시]]에 정하면서 장안(長安)이라고 이름을 지었는데, [[수당시대]] 이래로는 정식 명칭이 대흥(大興), 경조(京兆)였다. [[명청시대]] 이래로 서안(西安, 시안)으로 이름이 바뀌었지만 현재까지도 시안의 별칭으로 불리고 있다.], 서도(西都) * [[쓰촨성]]: 파촉(巴蜀) * [[광둥성]] * [[광저우시]]: 수성(穗城), 오선성(五仙城), 오양성(五羊城), 양성(羊城), 화성(花城) === [[일본]] === * [[도쿄도]]: 에도(江戸), 테이도(帝都, 제도) * [[교토부]] [[교토시]]: 라쿠요(洛陽) * [[오사카부]] [[오사카시]]: 나니와(難波) [[분류:지명]][[분류:별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