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92년 영화]][[분류:미국의 로맨스 영화]][[분류:워너 브라더스]][[분류:휘트니 휴스턴]] [include(틀:휘트니 휴스턴)] [include(틀:휘트니 휴스턴/필모그래피)] ||<-2>
{{{#ddd '''{{{+2 보디가드}}}''' (1992)[br]''The Bodyguar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보디가드 포스터.jpg|width=100%]]}}} || ||<-2> {{{#ddd {{{#!wiki style="margin: -6px -10px" {{{#!folding 북미 포스터 ▼ [[파일:91fe7b9d-4af3-498b-9e7c-1f4a084e7729-MSDBODY_EC033.jpg|width=100%]] }}}}}}}}} || || '''{{{#ddd 장르}}}''' ||[[멜로]], [[드라마]] || || '''{{{#ddd 감독}}}''' ||믹 잭슨 || || '''{{{#ddd 각본}}}''' ||로렌스 케스던 || || '''{{{#ddd 제작}}}''' ||[[케빈 코스트너]][br]레이몬드 헤르난데스 주니어[br]로렌스 케스던[br]짐 윌슨 || || '''{{{#ddd 주연}}}''' ||케빈 코스트너[br][[휘트니 휴스턴]][br]게리 캠프[br]빌 콥스[br]랄프 와이트[br]토마스 아레나 || || '''{{{#ddd 촬영}}}''' ||앤드류 던 || || '''{{{#ddd 편집}}}''' ||돈 캠번[br]리처드 A.해리스 || || '''{{{#ddd 음악}}}''' ||[[앨런 실베스트리]] || || '''{{{#ddd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워너 브라더스]][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캐스던 픽처스[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티그 프로덕션 || || '''{{{#ddd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판씨네마,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 '''{{{#ddd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워너 브라더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판씨네마,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 '''{{{#ddd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1992년]] [[11월 25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992년]] [[12월 5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8년]] [[9월 26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12월 7일]][*재개봉 [[메가박스]] 워너필름소사이어티 기획전] || || '''{{{#ddd 상영 시간}}}''' ||118분 (1시간 58분) / 129분 (2시간 9분) [*재개봉] || || {{{#ddd '''북미 박스오피스''' }}} ||'''$122,046,449''' || || {{{#ddd '''월드 박스오피스''' }}} ||'''$411,046,449''' || || {{{#ddd '''대한민국 총 관객 수''' }}} ||'''747,238명''' ^^(서울 기준)^^ || || '''[[영상물 등급 제도|{{{#ddd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 15세 이상 관람가}}}]]'''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파일:R등급 로고.svg|height=22]]]] || [목차] [clearfix] == 개요 == 백인 경호원과 흑인 여가수의 사랑을 소재로 한 로맨스 스릴러 [[미국 영화]]. 1992년 12월 5일에 한국 개봉했으며 2018년 9월 26일, 2022년 12월 7일에 재개봉했다. [[케빈 코스트너]]가 남주인공인 경호원 프랭크 파머(Frank Farmer) 역, [[휘트니 휴스턴|휘트니 휴스턴]]이 여주인공 레이첼 마론(Rachel Marron) 역을 맡았다. 1995년 한가위특선으로 9월 9일 밤 10시 50분에 [[KBS 1TV]] 방영시 성우는 [[KBS]], [[SBS]] 모두 프랭크 역에 [[양지운]], 레이첼 역에는 [[KBS]]에서는 [[서혜정]][* [[홍시호의 홍SHOW|홍시호의 홍쇼]]를 통해 밝히기를 자신이 회상하기를 더빙 작업시 [[독감]]에 걸려서 엄청 고생했다고 한다. 그래서 사실상 망친 더빙이었다며 애한의 작품이 되었다고 한다.], 2000년 [[크리스마스]] 밤 11시 18분쯤(11시 5분 방영이라고 하곤 광고를 무지 틀었다.)에 방영한 [[SBS]]에서는 [[윤소라]]가 맡았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cndM_b_ftpw)]}}} || {{{#!wiki style="margin: -6px -10px" [kakaotv(390553402)]}}} || || {{{#!wiki style="margin: -6px -10px" [kakaotv(390992302)]}}} || {{{#!wiki style="margin: -6px -10px" [kakaotv(390992478)]}}} || == 시놉시스 == >'''“절대 그녀에게서 눈을 떼지 말 것”''' >'''“절대 경호를 풀지 말 것”''' >'''“절대 사랑에 빠지지 말 것”''' 전직 대통령을 경호했던 보디가드(케빈 코스트너)와 세계적인 톱스타 여가수(휘트니 휴스턴)의 이뤄질 수 없는 운명적인 사랑을 그린 모두의 인생 로맨스 == 등장인물 == * [[케빈 코스트너]] - 프랭크 파머 역 * [[휘트니 휴스턴]] - 레이첼 마론 역 * 게리 캠프 - 싸이 스펙터 역 * 빌 콥스 - 빌 데버니 역 * 랄프 웨이트 - 허브 파머 역 * 토마스 아라나 - 그렉 포트만 역 * 미셸 라마 리차즈 - 니키 마론 역 * 마이크 스타 - 토니 사이펠리 역 * 크리스토퍼 버트 - 헨리 아담스 역 == 줄거리 == 미모의 인기 여가수 레이첼 매런(휘트니 휴스턴 扮)에게 협박 편지가 날아오자, 심각하게 받아들인 레이첼의 매니저는 과거 대통령을 경호한 프랭크 파머(케빈 코스트너 扮)를 경호원으로 고용한다. 자유분방하고 거만한 성격의 레이첼은 경호 임무에 충실하여 자신의 활동을 억제하려 하는 프랭크와 갈등을 겪는다.[* 레이첼이 사태의 심각성을 모르기 때문이기도 하다. 매니저는 레이첼이 큰 충격을 받을까봐 여러 협박 편지 중에서 내용이 심하지 않은 것 몇 통만 보여줬다. 그래서 레이첼은 유명인의 관심 끌고 싶어하는 광팬의 짖궂은 소행 정도로 생각하며, 뭐하러 경호원을 고용했냐며 매니저에게 투덜거린다.] 어느 날 밤, 레이첼은 계획에 없던 클럽 공연을 가게 되는데, 이를 출발 직전에 알게 된 프랭크가 레이첼을 만류하지만 레이첼은 말을 듣지 않고, 이에 프랭크는 레이첼에게 비상호출기능이 있는 브로치를 건네지만 레이첼은 이를 대수롭지 않게 생각한다. 하지만 클럽 무대에서 예기치 못한 돌발상황이 발생하고[* 사실은 레이첼이 자초한 면이 크다. 무대에서 댄스곡을 부르는 중간에 자기 마음대로 팬 한명을 무대 위로 올라오게 했는데, 이를 보고 흥분한 다른 팬들이 우르르 올라오면서 서로 밀치다가 정작 가수인 레이첼이 무대 아래로 떨어져버린 것이다.], 팬들에게 끌려 내려가 험한 꼴을 당할 뻔한 찰나에 프랭크가 빠르게 대처하여 레이첼을 구해주게 된다. 그 후 레이첼이 프랭크를 대하는 태도가 바뀌기 시작하며, 두 사람은 묘한 감정을 느끼고 둘 만의 데이트를 한 뒤, [[성관계|뜨거운 하룻밤]]을 보낸다. 하지만, 사랑에 빠지면 제대로 된 경호를 할 수 없다는 이유로 프랭크가 레이첼과의 사이에 대해 선을 긋자, 레이첼은 큰 배신감을 느끼고 예전처럼 프랭크에게 냉랭한 태도를 보인다. 레이첼은 프랭크의 경호 협조 요청을 거부한 채 마음대로 행동하기 시작하고, 이에 진력이 난 프랭크는 레이첼의 매니저에게 경호일을 그만두겠다고 한다. 그 순간 레이첼에게 어떤 전화가 걸려오는데, 레이첼의 아들인 플래처로부터 걸려온 전화에 레이첼이 반갑게 인사하자, 갑자기 옆에서 협박범의 목소리가 들려온다. 사실 그 전화는 협박범이 레이첼의 집에 침입해 아들의 전화로 건 전화였고, 협박범은 플래처의 목소리를 들려준 뒤 자신이 말하는 식으로 레이첼에게 공포심을 심어놓는다. 이에 큰 충격을 받은 레이첼은 프랭크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프랭크는 레이첼 일행을 데리고 자기 아버지(랄프 웨이트)의 별장으로 피신하지만 그 곳까지 따라온 괴한의 습격을 받는다. 알고보니 괴한은 레이첼의 언니 니키가 술에 잔뜩 취한 상태에서 고용한 사람으로, 가수로 성공한 동생의 그늘에 가려 사는 질투심과 그런 동생의 거만한 행동[* 말싸움 도중에 언니가 뭐라고 반박하려고 하자 닥치라는 듯이 뒤돌아서서 믹서기를 크게 틀어버리는 등] 때문에 그런 짓을 한 것이다. 나중에 후회하고 살인 청부를 취소하려했지만 누구에게 청부를 했는지 기억도 못해서 불가능한 상황. 일부러 청부금을 터무니없이 싸게 제시했는데도 그 킬러가 이를 받아들이자 너무 이상하다 싶었다고. 결국 니키는 불안함과 죄책감에 괴로워 하던 중 괴한이 다시 공격하자 혼자 1층에 있던 사이 총에 맞고 숨을 거둔다. 레이첼은 언니의 죽음에 충격을 받는다. 니키의 장례식을 치른 후 프랭크는 신변의 위험성 때문에 레이첼에게 아카데미 시상식에 참석하지 말 것을 권고해보지만 레이첼은 고집을 부려 시상식 참석을 강행한다. 프랭크는 하는 수 없이 시상식에 따라가 경호를 수행하지만, 시상식 측에서 고용한 경호팀 및 시상식 진행팀등과 약간의 마찰을 빚는다. 프랭크는 레이첼의 주변을 살피던 중, 옛 경호업무 동료였던 그레거리 포트먼(토마스 아라나)과 조우하는데 직감으로 행동이 수상쩍은 걸 경계한다.[* 포트먼과는 그 전 레이첼의 호텔 자선 행사에서도 만난 적이 있다. 일종의 복선.] 이윽고 레이첼의 여우주연상 수상 차례가 오는 순간 카메라맨으로 위장한 포트먼이 레이첼을 저격하려는 것을[* 비디오 카메라로 개조한 레이저 사이트 총기로 레이첼을 저격하려 했다.] 발견한 프랭크는 무대 위로 뛰어들어 대신 총을 맞고 레이첼을 피격 위험에서 지켜낸다. 프랭크는 총상을 입었음에도 권총으로 포트먼을 사살하고 정신을 잃고 병원으로 실려간다. 일이 끝나고 또 다른 의뢰인에게 가야 하는 프랭크에게 레이첼은 다시 한번 경호를 부탁하지만 프랭크는 고사한다. 비행기로 떠나기 직전에 레이첼은 프랭크에게 달려가 작별의 아쉬움과 함께 뜨거운 키스를 나눈다.[* 이 장면에서 라이브로 부른 [[I Will Always Love You]]가 나온다.] 그 후 다른 이의 경호를 서고 있는 프랭크의 모습이 나오며 영화는 끝난다. == 평가 == ||||
<:>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http://www.metacritic.com/movie/the-bodyguard/critic-reviews|스코어 39/100]]''' ||<:> '''[[http://www.metacritic.com/movie/the-bodyguard/user-reviews|유저 평점 7.5/10]]''' || ||||
<:> '''[[로튼 토마토|[[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width=100]]]]''' || ||<:> '''[[http://www.rottentomatoes.com/m/1042108_bodyguard?|신선도 34%]]''' ||<:> '''[[http://www.rottentomatoes.com/m/1042108_bodyguard?|관객 점수 64%]]''' || ||
<:> '''[[IMDb|[[파일:IMDb 로고.svg|width=50]]]]''' || ||<:> '''[[http://www.imdb.com/title/tt0103855/ratings|유저 평점 6.2/10]]''' || == 흥행 == 톱스타와 보디가드의 사랑이라는 진부한 주제에 진부한 이야기 진행으로 인해 비평은 그냥 그랬지만 흥행은 '''대박'''이었다. 아무래도 당시 최고의 톱스타였던 [[케빈 코스트너]]에, 최고의 여가수인 [[휘트니 휴스턴]]이 나왔으니. 2500만 달러로 제작하여 미국에서는 [[11월]] [[추수감사절]] 연휴에 개봉하여 1억 2500만 달러를 벌어들인 것을 비롯, 전세계적으로 4억 1190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일본]]에서 대박을 쳤는데, 미국 다음인 해외 흥행 1위였으며, [[1992년]] 전체 흥행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한국에서도 1992년 그 해 외화 흥행 2위[* 1위는 97만 관객을 기록한 [[원초적 본능]]]인 서울 74만 관객을 기록하며 대박이었다. 사운드트랙 앨범은 세계적으로 4,200만장 이상 팔리면서 70년대에 세워진 종전 OST 앨범 역대 판매 1위 기록이던 [[토요일 밤의 열기]] ([[비 지스]]가 불렀다.)판매를 압도하며 [[기네스북]]에 오른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OST]] 기록을 아직도 가지고 있다.[* 물론 OST에 한정한 기록. 그냥 일반 음반 기록으로 따지면 [[마이클 잭슨]]의 [[Thriller]]가 공식 6600만장 비공식 1억500만장이 팔려 37년이 지난 지금도 1위를 지키고 있다. 2021년까지 역대 음반 판매량에서 5위다.] 한국에서도 공식기록으로 팝 앨범 및 OST 최다 판매 기록인 100만장 이상이 팔렸고 길거리 노점상이나 라디오에서도 주제가인 '''[[I Will Always Love You]]'''[* 원곡은 돌리 파튼이 작사작곡하고 직접 부르기까지 한 곡. [[헤드윅]] 영화버전에도 이 노래가 나온다. 하지만 이 노래 뮤직비디오는 90년대 최악의 뮤직비디오라는 악평을 듣었다.]를 지겨우리 만큼 흔하게 들을 수 있었다. 이 노래는 미국 [[빌보드 핫 100]]에서 14주나 정상을 차지했으며 [[그래미상]]의 올해의 레코드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 사운드트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The Bodyguard: Original Soundtrack Album)] == 기타 == * [[2012년]]에 갑자기 세상을 떠난 휘트니 휴스턴의 전성기 시절을 볼 수 있던 영화로 이 영화에서 연인으로 나온 케빈 코스트너도 그녀의 장례식에 참석했다.[* 영화 촬영 당시에는 사이가 그렇게 좋지 않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케빈 코스트너는 이 영화로 시작된 인연이 지금까지 이어진 덕분에 휘트니 휴스턴의 유족들로부터 참석을 바란다는 정중한 요청을 받았다고 하는데 추모사를 맡았다. 그는 '눈물을 닦고 슬픔을 멈추고 가능하면 오랫동안 휘트니가 남긴 달콤한 기적을 기억합시다. 나는 한때 당신의 보디가드였지만 당신은 너무 빨리 가버렸습니다. 하지만 천국으로 가는 길에는 천사들이 보디가드가 되어 줄 것이며 신 앞에서 노래할 때도 당신은 충분히 잘할 것입니다.'라는 자못 감동적인 추모사를 남겼다. * 2012년 영국 웨스트엔드에서 뮤지컬로 만들어져 초연했고, 2017년 아시아 최초로 한국에서도 공연, 약 9만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 감독인 믹 잭슨은 영국인인데 이 영화가 그의 최고 대박작이다. 이후 화산 폭발을 다룬 재난영화 [[볼케이노(영화)|볼케이노]]를 감독했다. 더불어, [[그 날 이후]] 항목에도 있는 1987년 [[KBS 1TV]]로 더빙 방영한 드라마 <그날 그 이후>(Threads, 1984)를 연출한 바 있다. * 전세계적으로 유명한 저 영화 포스터에서 케빈 코스트너에게 안겨 있는 여성은 휘트니 휴스턴이 아니다. 개봉 후 27년 후에 케빈 코스트너에 의해 밝혀진 바에 따르면, 당시 휘트니 휴스턴은 집에 간 상황이었기 때문에 대역으로 사진을 찍었고, 그래서 휘트니 휴스턴의 얼굴이 나오지 않았다고 한다. 이 사진에 대해 케빈 코스트너와 사진작가 벤 글라스는 맘에 들어했지만, 제작사인 워너브라더스는 휘트니 휴스턴의 얼굴이 나오지 않는다는 이유로 탐탁치 않아 해서 휘트니 휴스턴의 얼굴이 보이는 포스터를 다시 편집했지만 케빈 코스트너는 결국 처음 사진을 선택했다고 한다. * 원래 제작진은 'I Will Always Love You' 말고 다른 곡을 주제가로 하려고 했다고 한다. 원래는 지미 러핀의 ‘[[What Becomes of the Brokenhearted]]‘를 쓰려고 했으나, 마침 이 노래가 1991년 영화 [[후라이드 그린 토마토]]에 삽입이 되어서 똑같이 쓰기가 곤란한 상황이 되었다. 그때 케빈 코스트너가 [[돌리 파튼]]이 작사, 작곡했던 ‘I Will Always Love You’를 추천했다고 한다. * 리메이크 제작이 기획 중이다.[[https://variety.com/2021/film/news/the-bodyguard-remake-whitney-houston-matthew-lopez-1235065438/|#]] 이제 막 유명해지기 시작한 젊은 라틴 여성 가수/배우가 주인공이고 하룻밤 사이에 유명해지면서 어떻게 삶이 바뀌는지 보여주며 그에 따라 신변보호가 필요해지는 시점을 그린다고 한다.[[https://www.dailymail.co.uk/tvshowbiz/article-10042995/The-Bodyguard-remake-writer-says-lead-role-played-Whitney-Houston-young-Latina.html|#]] 하지만, 마스크라든지 여러 영화 리메이크 논의만 되고 몇 해가 지나도록 일절 소식이 없듯이 어찌될지 모른다. * 레이첼과 프랭크가 일본 영화를 보는 장면이 있고, 둘이 본 영화가 [[요짐보(영화)|요짐보]]인데, 요짐보는 보디가드와 의미가 통한다. 덤으로 [[일본도]]에 대한 찬사를 하면서 당시까지 할리우드에 남아있던 일뽕 분위기를 슬며시 보여준다. * 영화가 초 대박이 나자 홍콩에서 이름까지 똑같이 리메이크--불법 복제--[* 당시에는 국가간에 저작권협약이 안되었을때라 가능했다.] 되었는데, 한국에서는 주인공인 이연걸이 한창 한국에서 인기를 끌때라 [[보디가드(홍콩 영화)|이연걸의 보디가드]]로 이름을 바꿔 개봉했다. * 1993년 당시 MBC 대표 예능 프로그램인 <특종TV연예>에서 영화 패러디극을 하는 코너가 있었는데, 여기서 [[김원준]]이 케빈 코스트너 역을, [[이영자]]가 휘트니 휴스턴 역을 맡았다(...) 그런데 김원준이 워낙 잘생기다 보니 패러디극이 코믹하기보단 진짜 멋있게 나왔고 전국구로 유명해지는 계기가 되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보디가드, version=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