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러시아 함선)] [include(틀:해상병기/소련과 러시아의 전략 탄도미사일 원자력 잠수함 계보)] [[파일:borei_class_l2.jpg|width=100%]] [[파일:보레이급.5.jpg|width=100%]] ||<-2> {{{#0000CD '''Подводные лодки проекта 955 «Борей», 955А «Борей-А»'''}}} || [목차] == 개요 == || [youtube(ehrOSaCaqtY)] || [youtube(VUdIUdouLv0)] || || 북극해에서 쇄빙선과 함께 항해하는 1번함 유리 돌고루키 || 1번함 유리 돌고루키의 탄도미사일 '[[RSM-56 불라바]]' 4기 연속 발사 영상 || '''보레이급 전략 탄도미사일 원자력추진 잠수함(Подводные лодки проекта 955 (Борей, 09551), 955A (Борей-A, 09552))'''은 [[러시아 해군]]이 건조하여 운용하는 잠수함이다. [[야센급 잠수함|야센급 공격형 원자력 잠수함]]과 함께 운용 및 취역이 진행 중인 차세대 전략 원자력 잠수함으로 2013년 1번함이 취역하였다. 보레이급 잠수함은 [[야센급]]에 적용된 기술을 도입하여 1축 추진 방식 및 [[워터제트|펌프제트]] 채용으로 소음감소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고, 기존 러시아 해군의 전략 원자력잠수함과는 다른 설계개념을 도입하였다. 초기 설계안 Борей형 3척에는 일부 기존의 보수적인 기술적 접근으로 건조되었으나, 이후 현재는 운용 중 개선사항이 반영된 Борей-A형이 건조가 진행중에 있다. 함급의 이름인 '보레이'는 [[그리스 신화]]에서 [[북풍]]의 신인 보레아스를 의미한다. == 제원 == ||<-3> {{{#0039a6 {{{+1 '''프로젝트 955(A)형 잠수함 보레이(A)'''}}}[br]''Подводные лодки проекта 955(А) «Борей(А)»''}}} || ||<-2> '''NATO 코드명''' ||돌고루키급[* Dolgorukiy-class] || ||<-2> '''이전급''' ||[[델타급|델타 IV급]][br][[타이푼급]] || ||<-2> '''계획''' ||14척 || ||<-2> '''배수량''' ||14,720t[*수상][br]24,000t[*수중] || ||<-2> '''전장''' ||170m || ||<-2> '''전폭''' ||13.5m || ||<-2> '''흘수''' ||10m || ||<|3> '''기관''' || '''원자로''' ||OK-650V 1기 || || '''증기 터빈''' ||1기 (50,000SHP) || || '''펌프 제트기''' ||1기 || ||<-2> '''최고 속력''' ||15kn (약 28km/h)[*수상][br]29kn (약 54km/h)[*수중] || ||<-2> '''잠항 심도''' ||400m || ||<-2> '''승조원''' ||107명 || ||<|2> '''무장''' || '''미사일''' ||[[RSM-56 불라바]] [[SLBM]] 16발[* 1발 당 탄두 6개][br]대잠용 [[RPK-2]] 뷰가 ?발 || || '''어뢰 발사관''' ||533mm급 8문[* 955A형은 6문] || == 성능 및 세부 함급 == [[파일:BOREI-II_3d.jpg|width=100%]] 성능적으로 보레이급은 대형화되었지만 자동화 기술이 광범위하게 적용되어 승무원수는 [[델타급 잠수함]]의 중기형인 델타 Ⅲ와 같은 130명이다.[* 기존의 델타 시리즈가 대형화되면서 승무원이 계속 증가한 것에서 추측하면 보레이급은 한층 발전된 자동화 기술이 적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소나 시스템은 바우 소나, 프랭크 어레이 소나, TASS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모두 패시브 모드만을 사용한다. 추진장치는 원자로 스팀터빈 각 2기씩 탑재하고 1축 추진으로 최대속력은 30노트이다. 이전 함급과 비교하면 보레이급은 수중배수량 24,000 톤급으로 설계되어 델타급 잠수함의 후기형인 델타 Ⅳ급보다 큰 선체에 [[타이푼급 잠수함]] 보다는 작은 선체[* 전장은 타이푼급 172.8m, 보레이급 170m로 큰 차이가 없지만, 타이푼급의 전폭은 23.3m로 보레이급보다 무려 10m가 넓다. 이 덕분에 배수량도 타이푼급이 수상과 수중배수량 모두 보레이급의 거의 2배 수준이다.]를 가지고 있다. 다른 국가의 [[SSBN|탄도 미사일 원자력 잠수함(SSBN)]]과 크기를 비교하면 [[미국 해군]]의 수중배수량 18,000 톤 [[오하이오급 잠수함]]이나 [[영국 해군]]의 16,000 톤의 [[뱅가드급 잠수함]]에 비해서 수천톤 단위로 큰 대형화된 선체를 가지고 있다. [[파일:i016219160175.gif]] 탑재된 무장에서는 주력 공격수단인 탄도미사일 [[RSM-56 불라바]]와 함께 자위용으로 533mm 어뢰발사관 6문을 탑재하고 어뢰외에도 SS-N-15 잠대함 미사일을 운용한다. 초기 설계안에서는 이전 함급이었던 타이푼급 잠수함에 탑재되는 미사일인 R-39(NATO 코드명 SS-N-20)의 개량형인 R-39M(또는 R-39UTTH, NATO 코드명 SS-N-28) 12발을 탑재하기로 계획하였으나, 이 미사일이 첫 3번의 시험에서 실패하고 탑재 계획이 취소됨으로써 육상발사형 미사일인 SS-27 [[토폴-M]]을 함재형으로 개조한 SS-NX-30 [[불라바]](Bulava)를 탑재하는 무장으로 변경되어 건조가 시작되었다. 그로 인해 건조가 진행되던 중 무장을 다시 개조해야할 필요성이 발생해 당초 2000년 진수, 2002년 취역할 예정이었던 계획이 대폭 후퇴하기도 하였다. 주력 공격수단 불라바 탄도미사일은 기존의 R-39M보다 작은 미사일이므로 보레이급의 미사일 탑재량은 이전 전략 탄도미사일 원잠들에 비해 증가된 16발로 늘어났다. 그래도 만만치 않은 크기인지 수직발사관 부분이 개량되었다. 장기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취역이 마무리 되면 노후화된 델타급 잠수함과 타이푼급 잠수함[* 타이푼급 잠수함이 그렇게 거대했던 것은 냉전 당시 소련 해군의 떨어지는 기술력을 만회하기 위한 것이었다. 효율성면에서 좋지 않았기에 언젠가는 보다 '정상적인' 크기의 전략 원자력 잠수함으로 대체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의 전략 탄도미사일 원자력 잠수함 임무를 장차 보레이급이 대신하게 될 것이다. || [youtube(ULOdy8gSzj4)] || || 2020년 3월 현재 취역이 예정된 보레이 II급(Борей-A형) 잠수함 'Князь Владимир(크냐즈 블라디미르: 블라디미르 대공)'[* 3분 50초 부터 Борей-A에서 개선된 부분을 언급한다.] || 보레이급은 크게 최초 건조된 Борей형 3척과 이후 개선에 따라 건조 및 취역이 진행중인 Борей-A형으로 나누어진다. 세부적으로 운영 시 누적된 개선사항에 대한 반영이 이루어 졌으며, 큰 차이로는 함교 부분의 형상이 기존 역경사 모양에서 직선 모양으로 차이를 보여 구분할 수 있다. 주력 공격수단인 RSM-56 불라바 미사일 탑재량이 기존 16발에서 20발로 늘어났다는 보도가 있었지만, [[https://ria.ru/20130220/923813018.html|사실이 아닌 것으로 판명되었다.]] == 운용 == 보레이급 잠수함은 총 10척 계획으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총 6척이 활동중에 있다. 보레이급 잠수함 1번함 유리 돌고루키가 2011년 취역할 예정이었고, 2번함 알렉산드르 네프스키는 2004년 3월에 기공한후, 역시 2011년에 진수, 3번함 블라디미르 모노마흐도 2006년 3월에 기공해서 2013년에 진수됐다. 2011년 6월 28일 보레이급 잠수함 1번함 유리 돌고루키(Юрий Долгорукий)에서 처음으로 실시된 불라바 미사일 발사 시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2021년 7월 31일 타스 통신 보도: 2021년에 보레이급 5번함 이자 보레이-A급 2번함 예언자 올렉함이 실전배치 되며, 2021년 8월 9~10일 부터 보레이-A급 마지막 남은 2척 드미트리 돈스코이와 포템킨 함이 건조 시작에 들어간다. [[https://tass.com/defense/1321251|#]] 2021년 8월 23일 리아노보스티, 스푸트니크, 타스 통신, 이즈베스티야, 인테르팍스 등등 모든 러시아 언론 통신 보도: 세베로드빈스크의 세브마쉬 조선소 에서 보레이급의 마지막 9,10번함 이자 보레이- A급 마지막 7,8번함인 드미트리 돈스코이와 포템킨함이 8월 23일 부터 건조 시작에 착수 했다고 모든 러시아 언론사들이 공식 브리핑 했다. [[https://ria.ru/20210823/borey-1746942670.html|#]] 2021년 9월 5일 통합조선공사 국장 Rakhmanov 는 2021년 말 까지 핵추진 잠수함인 보레이-A급 1대와 야센-M급 1대를 함대로 이전할 것을 공식 브리핑 하였다. 그에 따르면 해군은 Knyaz Oleg 전략 핵 미사일 잠수함과 Novosibirsk 다목적 핵 잠수함을 받게 될 것 이며, 두 잠수함은 현재 해상 에서 각종 테스트를 수행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https://topwar.ru/186739-glava-osk-podtverdil-peredachu-v-sostav-vmf-po-odnomu-boreju-a-i-jasenju-m-do-konca-goda.html?utm_source=yxnews&utm_medium=desktop|#]] == 동형함 == ||<-8> 보레이 I급(проекта 955 «Борей») || || || '''함명''' || '''한국어''' || '''함번''' || '''기공''' || '''취역''' || '''상태''' || '''배치''' || || 1 || Юрий Долгорукий || 유리 돌고루키 || К-535 || 1996년 || 2013년 || 현역 || 북방 함대 || || 2 || Александр Невский ||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 К-550 || 2004년 || 2013년 || 현역 || 태평양 함대 || || 3 || Владимир Мономах || 블라디미르 모노마흐 || К-551 || 2006년 || 2014년 || 현역 || 태평양 함대 || ||<-8> 보레이 II급(проекта 955А «Борей-А») || || || '''함명''' || '''한국어''' || '''함번''' || '''기공''' || '''취역''' || '''상태''' || '''배치''' || || 4 || Князь Владимир || 블라디미르 대공 || К-549 || 2012년 || 2020년 || 현역 || 북방 함대 || || 5 || Князь Олег || 예언자 올렉 || K-552 || 2014년 || 2021년 12월 21일 || 현역 || 태평양 함대 || || 6 || Генералиссимус Суворов || [[알렉산드르 수보로프|대원수 수보로프]] || 알수없음 || 2014년 || 2022년 12월 || 현역 || 태평양 함대 || || 7 || Император Александр III || [[알렉산드르 3세]] || 알수없음 || 2015년 ||2023년 6월 예정 || || 8 || Князь Пожарский || 포자르스키 대공 || 알수없음 || 2016년 || 건조 중 || || 9 || Дми́трий Донско́й || [[드미트리 돈스코이]][* 타이푼급 잠수함의 이름을 이어받는다.] ||<-5> 2021년 8월 23일 건조 시작 || || 10 || Князь Потёмкин || [[포템킨]] 대공 ||<-6> 2021년 8월 23일 건조 시작 || == 평가 == 분명 소련 해체로 박살난 러시아의 [[SSBN]] 전력을 부활시킨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의의가 있다. 그러나 마냥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없는 잠수함이기도 하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ar&no=772251|번역출처]] 미해군 원잠에서 수십년을 복무해온 Sub Brief라는 [[유튜브 크리에이터|유튜버]]가 보레이급에 대해서도 다루었는데 다음과 같다고 한다. * 러시아에서 만든 잠수함 중 가장 정숙하고 조용하다. 그러나 유지/보수의 문제로 미해군 잠수함에 비해 매우 시끄럽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다. * 미해군 원잠은 보레이급을 추적하면서 막대한 음문데이터를 수집했는데 심도를 바꿀 때 마다 특유의 소음으로 식별하기 매우 쉬웠으며 정지하고 있어도 발전기들이 매우 시끄러운 굉음을 내고 있어서 탐지하기 수월했다. * [[SLBM]] 발사에 걸리는 시간은 이전기종인 [[델타급 잠수함]]과 동일한 20분이고 미해군 [[오하이오급 잠수함]]은 10분 이내에 SLBM 사격이 가능하다. 이는 결국 소련 붕괴의 여파로 서방과의 격차가 더 커진 러시아가 어떻게든 격차를 메꾸기 위해 탄생시킨 결과이기 때문이다. 미해군이 보레이급을 탐지-추적하기 수월하다는 점은 러시아 입장에선 국가안보적인 위협이다. 만약 전시상황이라면 미해군 원잠들이 보레이급들을 사냥할 것이고 러시아는 미국에 제2격을 가할 수가 없게 된다. 그런고로 러시아는 제2격 전력의 붕괴를 염려해 [[오스카급 잠수함#s-4|벨고로드급 잠수함]]과 [[하바로프스크급 잠수함]]을 만든 셈이다. 만약 러시아가 보레이급에서 만족했다면 [[포세이돈(수중드론)|스타투스-6]] 대륙간 핵어뢰를 탑재하는 특수목적 잠수함을 만들 이유가 없다. == 모형화 == 현재로서는 보레이-1급의 함선들만 모형화되어 있다. * 1/350 * 브롱코 2011년 발매된 제품이다. * [[트럼페터(모형 메이커)|하비보스]] 역시 2011년 발매된 제품으로, 이후 발매된 [[타이푼급 잠수함|타이푼]]과는 달리 미사일 발사관의 개방 상태를 전방의 2개 발사관만 선택 가능하다. * [[즈베즈다(모형 메이커)|즈베즈다]] 2017년 발매된 제품으로, 하비보스 제품과 마찬가지로 발사관의 개방 상태는 전방 2개 발사관만 선택 가능하다. 간편하게 만들기 좋다고 평가받으며, 바위 모양의 베이스가 포함되어 있다. == 대중매체에서 == [[파일:RF_Yuriy_Dolgorukiy_(K-535).jpg]] 게임 [[모던워십]]에서 3티어 잠수함으로 등장한다. 화력과 기동성은 떨어지지만, 게임 내내 잠수할 수 있을정도의 압도적인 산소용량과 높은 체력, 저렴한 가격 덕분에 강력한 성능의 신규 잠수함들이 출시된 현재에도 이 함선을 애용하는 유저들이 존재한다. == 관련 문서 == * [[국가별 해군]] * [[군사력]] * [[무기 관련 정보]] [각주] [[분류:원자력 잠수함]][[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러시아군/장비]][[분류:2008년 공개]][[분류:2013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