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음성 단일가닥 RNA 바이러스]] ||<-2> '''{{{#000,#fff {{{+1 보르나병바이러스}}}[br]Borna disease viru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보르나병바이러스.jpg|width=100%]]}}} || || '''병명''' ||'''보르나병''' || ||<-2> '''분류''' || || {{{#000 '''미분류'''}}} ||[[바이러스]]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네가르나바이러스문(Negarnaviricota) || || [[생물 분류 단계#아문|{{{#000 '''아문'''}}}]] ||하플로바이러스아문(Haploviricotin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몬지바이러스강(Monjiviricetes)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모노네가바이러스목(Mononegaviral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보르나바이러스과(Bornavir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보르나바이러스속(Orthobornaviru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보르나병바이러스 || ||<-2> '''특징''' || || '''분포 지역'''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 || '''숙주''' ||말, 소, 양, 개, 여우, 고양이, 조류, 설치류, 영장류 || || '''백신''' ||'''실험용 백신(상용화된 백신 없음)''' || [목차] [clearfix] == 개요 == 보르나병바이러스는 인체의 DNA에서 발견된 최초의 비-[[레트로바이러스]] 계열의 바이러스로, [[보르나병]](Borna disease)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다. 약 8,900개의 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단일가닥 RNA 바이러스이고, 6개의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 역사 == 18세기 독일의 수의학 교재에 따르면 보르나병은 말에서 처음 발생했다고 적혀있다. 1900년경 보르나병이 바이러스성 질환이라는 사실이 확인되며 19~20세기 내내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바이러스에 대한 세부 지식은 20세기 후반까지 알지 못했다. 보르나병바이러스는 [[말(동물)|말]]과 [[양(동물)|양]]에게 중증질환을 일으켜 급사하게 할 수 있으나 최근 수십 년간 희귀해졌다. 이유는 불명이나 이 바이러스가 [[땃쥐]]의 자연 숙주일 가능성이 높다. 땃쥐의 개체가 줄어들자 가축에게 노출되는 일이 적어져 그 발생 빈도가 줄어든 거 아니냐는 주장을 하지만 입증되지 않았다. == 증상 == 중증 [[신경질환]]을 일으킨다. 한 실험에서 쥐에게 보르나병바이러스는 주입했더니 이 쥐가 공격적으로 변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쥐들이 공격적인 행동을 할수록, 확산은 더욱 가속화됐다. 흥미로운 사실은 면역이 결핍된 쥐에게 이 바이러스를 주입했더니 아무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상의 사례로 보르나병바이러스가 사람의 일부 신경질환과 관련된 것이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나 지금은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 학문적 의의 == 많은 레트로바이러스 유전자가 사람의 게놈에서 발견되었는데, 보르나병바이러스는 복제 기간에 자신의 RNA 게놈을 DNA 형태로 전환하게 해서 숙주 게놈 속에서 통합하게 한다. 그러나 이 바이러스의 유전자는 사람을 비롯하여 다른 영장류, 박쥐, 코끼리, 어류, 설치류 등의 게놈 속에서 발견되었다. 보르나병바이러스는 RNA 게놈을 DNA로 [[역전사]]하게 하는 레트로바이러스의 도움을 받았을지 모른다는 가설이 있으나 아직은 입증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