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보수주의)] [include(틀:보수주의)] [목차] == [[자유보수주의]] == === [[재정 보수주의]] === == [[사회보수주의]] == 많은 경우 사회보수주의는 강경보수나 극우에 가까운 경향이 있지만 네덜란드 [[기독민주애원당]]이나 노르웨이 기독교민주당 같은 기독교 사회주의와 사회적 보수주의가 결합한 [[공화주의]] 중도~중도우파의 사례도 존재한다. 일본의 중도~중도우파 사회보수주의 정당인 [[공명당]]도 인문사회주의(人間性社会主義)를 내세우고 있다. == [[전통적 보수주의]] == === [[국민보수주의]] === 대체로 우익의 이념이다. === [[고보수주의]] === 미국 고유의 전통적 보수주의를 지칭하는 말이다. 신보수주의 등장 이전까지 미국의 주류 보수주의 이념이었다. === [[아시아적 가치]] === 아시아의 개발 독재자들이 주창한 가족주의, 전통주의, 권위주의, 보수주의에 기반한 사상 == [[신보수주의]] == 1970년대 이후 전세계적으로 대유행을 한 국제주의적 성향의 보수주의다. [[국제민주연합]]의 사상적 토대라고 볼 수도 있다. 한국에서는 200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폭넓게 수용되었다. ==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 == [[자유지상주의]]([[고전적 자유주의]]) 사상과 [[문화적 보수주의]], [[헌법적 보수주의]] 사상을 동시에 추구한다. == 종교적 보수주의 == 기독교 우파에서도 나왔다시피 모든 기독교 우파가 강경한 우파의 성향을 가진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 정교분리를 인정하고 세속화된 기독교 민주주의의 경우에는 중도우파~우파의 성향을 가지고 있다. === [[기독교 민주주의]] === 초창기 한국의 기독교 정당들이 이런 이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지금의 기독교 정당들은 기독교 우파로 급진화된 상태다. === [[불교 민주주의]] === 한때 한국에서 이 이념을 들고 나왔던 불교 정당들이 있었다. 그러나 조선시대 이후로 지속된 정교분리적인 사회분위기 탓이 큰 호응을 얻지 못했고 해외에는 서구권 선진국을 중심으로 기독교 민주주의 정당들이 많아서 벤치마킹하고 배울 것이 많은데 비해 불교 민주주의는 마이너한 편이다. === [[이슬람 민주주의]] === === 종교적 [[근본주의]] === ==== [[기독교 우파]] ==== 정교분리를 부정하는 반세속주의적인 협의의 기독교 우파를 지칭한다. 최근 대한민국의 기독교 정당의 주류이념이다. 기독자유당이 6공화국 최초로 우회적인 방법으로 원내 진입에 성공했다. ==== [[이슬람주의]] ==== ==== [[힌두트바]] ==== == 기타 == === [[녹색 보수주의]] === 모든 녹색 보수주의자들이 자유보수주의 성향을 보이는 것은 아니다. [[금주당]]과 [[멕시코 환경주의 녹색당]]은 사회보수주의적 경향이 강하다. === [[가부장적 보수주의]] === '''온정적 보수주의'''라고도 한다. 국가와 사회의 약자에 대한 책무와 포용을 강조하는 이념이다. 독일의 [[오토 폰 비스마르크]]의 [[국가사회주의(오토 폰 비스마르크)|국가 사회주의 프로그램]][* [[나치즘]]과는 다르다.]도 그렇고 신보수주의 등장 이전에는 나름 메이저했지만 신보수주의 등장 이후로 멸칭이 되었다. 하지만 2007년 리먼 브라더스 사태가 불러온 경제적인 위기 이후에 유럽을 시작으로 전세계적으로 퍼져나가고 있다. 한국에서 사용하는 [[따뜻한 보수]]라는 표어와 연결된다. ==== [[일국 보수주의]] ==== One-nation conservatism. [[벤자민 디즈레일리]], [[네빌 체임벌린]], [[윈스턴 처칠]] 등으로 대표되는 영국 고유의 온정적 보수주의 이념분파다. 자세한 것은 [[일국 보수주의]] 문서 참고. === [[진보적 보수주의]] === 보수주의와 진보주의의 가치가 혼합된 이념으로 사회의 개혁은 필요하지만 보수주의적으로 사고하면서 개혁의 속도를 조절해야한다고 주장한다. 개혁보수와 가장 의미가 비슷해 보인다. 원래는 18세기 계몽주의 시절에나 쓰이던 오래된 이념이었고 대표적인 인물로 미국의 공화당의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가 있다. 캐나다의 경우 이 이념을 따르는 진보보수당이 존재했다. 2009년 [[보수당(영국)|보수당]]의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가 진보적 보수주의 프로젝트를 추진하였고 이후 [[테레사 메이]] 영국 총리도 스스로를 진보적 보수주의자라고 자칭하면서 사용한다. 다만 [[데이비드 캐머런]]의 경우 사회문화적 측면에서의 진보적 성향이 두드러지는 편으로, 이와 달리 경제에 있어서는 강력한 [[재정보수주의]]와 [[경제적 자유주의]] 노선에 입각하여 정부지출 억제, 감세, 규제완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데이비드 캐머런#s-2.4]] 항목 참조. === [[권위주의]]적 보수주의 === 극우 이념이다. [[국민보수주의]]와 헷갈릴 수도 있는데 권위주의적 보수주의는 민주주의성을 약하게 만드는 방향으로 가는 국가주의적인 이념이고 [[국민보수주의]]는 [[전통적 보수주의]]를 계승했다는 점이 다르다고 한다.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많은 권위주의적 보수주의는 내셔널리즘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국민보수주의적 성향을 가지기도 한다. ==== 군주주의 ==== 과거의 왕정 국가에서 왕정의 유지를 주장하고 공화정에 반대하는 세력들을 보수 세력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공화국의 군주주의자들은 왕정으로의 복고를 주장하기에 보수주의자들이 아닌 반동주의자들이다. == 나라별 보수주의 == ===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 === [[미국의 보수주의]] === === [[홍콩의 보수주의]] === === [[영국의 보수주의]] === [[분류:보수주의/분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