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멧돼지]], Boar == 게임 [[메이플스토리]]에 등장하는 와일드 보어나 파이어 보어가 이 뜻을 의미한다. == [[민족]] == [[네덜란드]]에서 남아프리카로 [[이주]]한 [[유럽]]계 [[백인]]을 가리키는 말. [[보어인]] 참조. == 문장의 구성 요소 補語, Complement == [[문장]]에서 [[주어]], [[서술어]], [[목적어]]를 보완하여 완전한 형태를 이룰 수 있게 해 주는 요소. [[한국어]] 학교문법에서는 '[[되다]]'와 '아니다'의 앞에 출현한 '-이/가'만을 보어로 여기지만 이것은 각 언어마다 다르다. [[영어]]에서는 제 2형식(S+V+C[* 다만 주격 보어.]) 문장과 제 5형식(S+V+O+C[* 다만 목적격 보어.]) 문장에서[* 사역동사로 서술된 문장 모두. make와 have의 사역동사 용법이다.] C에 해당하는 것이 보어. 고전 [[한문]]에선 주어 서술어 목적어 빼고 남은 구성요소를 전부 보어라고 쓸어담는다. 보어 역할을 하는 [[절(언어)|절]]을 보어절, 혹은 보절(補節, complement clause)이라고 한다. 서구 문법론에서 절은 주로 관계절(relative clause)와 보절로 크게 나눈다. 놀랍게도 '''보어의 존재 자체'''가 해당언어의 문법적 오류에 가깝다. 예를들어 영어의 주격보어를 생각해보자. 꽃이 아름답다. 주어 + 서술어 Flower is beautiful 주어 + 서술어(Be 동사) + 주격보어 [[BE]] 동사는 동사이지만 동사로서의 뜻이 없다. 하지만 굳이 동사를 쓰는 이유는, 1. 영어의 시제,격,인칭 변화는 동사가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문장에는 반드시 동사를 집어넣어야한다. 2. 영어에서 동사는 서술어야하며, 동시에 서술어는 동사만이 될 수 있다. 즉 동사 <=> 서술어다. 3. 그러므로 문법1를 맞추기 위해 넣은 뜻이 없는 [[Be]]동사가 서술어가 된다. 4. 그런데 주어를 설명해주고 있는건 Beautiful이므로 이 녀석이 실제 서술어라서 다른 문법성분을 줄 수가 없다. 5. 에라이 모르겠다. Beautiful 넌 보어 이같은 방식을 따라서 생기는 것이다. 따라서 보어의 정의가 매우 애매해진다. 솔직하게 말해 문법끼리 부딫히는 지점의 오류라고 말할 수도 없고, 뭔가를 보충해주는 말이라고 대충 얼머무린다. 국어 역시도 똑같은데, 되다, 를 생각해보자. 나는 선생님이 되었다. 주어 + 보어 + 서술어 I became a teacher 주어 + 서술어 + 보어 국어의 경우 1. 과거 시제를 말해주는 서술격 -었 조사가 붙는 단어가 서술어다. 2. 그런데 나에 대해 설명해주는 실제 서술어는 선생님이다. 3. 그러므로 선생님이가 보어가 되고, -었이 서술어가 된다. 영어의 경우 1. 영어의 경우 동사가 무조건 서술어이다. 2. became이 동사니까 서술어이다. 3. 그런데 나에 대해 설명해주는 실제 의미상의 서술어는 teacher이다. 4. 그러니까 teacher는 보어 즉 실제 문장성분상 의미상 주어를 설명해주고 있는 단어는 보어이다. 하지만 문법구조의 문제상 서술어를 서술어를 부르지 못할때 [[홍길동]]이 된 서술어는 보어라는 성분을 얻는다. 영어에서 보어가 난무하는 이유는 국어에서 "나는 잘생겼다."등 형용사를 서술어를 취하는 모든 문장이 모조리 다 보어처리되기 때문이다. 보면 알겠지만, 신랄하게 말해서 뭔가 애매한걸 짬처리하는 용도로 쓰인다. == [[보어물]](vore) == 한 캐릭터가 다른 캐릭터를 통째로 집어삼키는 내용을 다루는 장르다. 자세한 내용은 [[보어물|문서]] 참조. == 인명 == === [[닐스 보어]] === 양자론의 기초를 다져주고 보어모형으로 유명한 물리학자 [[닐스 보어]]. === [[저스틴 보어]] === 前 [[LG 트윈스]]의 외국인 타자. == [[자동차]] 용어(Bore) == [[반켈 엔진]]을 제외한 [[내연기관]]의 실린더의 직경. 내연기관의 배기량은 원주율 × (보어/2)^2 × 스트로크(행정) × 기통수 이다. 보어가 스트로크보다 큰 엔진은 고회전을 중시하는 설계, 반대는 저속토크 위주의 설계이며, 보어와 스트로크가 같은 엔진을 스퀘어 엔진이라고 한다. 엔진 실린더 내벽을 깎아내어 보어를 키우는 것을 [[보어 업]]이라고 한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문장성분]][[분류:영어 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