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행정구역)] [include(틀:몽골계 민족)]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000,#ddd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지구'''}}} || ||<-3> {{{#ff0 '''{{{+1 [ruby(博尔塔拉, ruby=Bó'ěrtǎlā)][ruby(蒙古, ruby=Měnggǔ)][ruby(自治州, ruby=Zìzhìzhōu)][br]ᠪᠣᠷᠣᠲᠠᠯ᠎ᠠ ᠮᠣᠩᠭᠣᠯ ᠥᠪᠡᠷᠲᠡᠭᠡᠨ ᠵᠠᠰᠠᠬᠤ ᠵᠧᠦ}}}'''[br]보얼타라 몽골 자치주[br]Bortala Mongol Autonomous Prefectur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博尔塔拉蒙古自治州,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주정부 소재지}}}''' || [[신장 위구르 자치구]][br]보얼타라 몽골 자치주[br]보러시 칭더리다제201호[br]新疆维吾尔自治区博尔塔拉蒙古自治州[br]博乐市青得里大街201号 || ||<-2> '''{{{#ffff00 지역}}}''' || [[시베이]] || ||<-2> '''{{{#ffff00 면적}}}''' || 24,934.33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2현급시 2현 || ||<-2> '''{{{#ffff00 시간대}}}''' || UTC+8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488,198명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20명/km² || ||<-2> '''{{{#ffff00 민족 구성}}}''' || [[한족]] 64.96% | [[위구르족]] 13.32%[br][[카자흐족]] 10.01% | [[몽골족]] 5.66% || ||<-2> '''{{{#ffff00 서기}}}''' || 허융후이(何永慧) || ||<-2> '''{{{#ffff00 주장}}}''' || 바잉허시그(巴音克西)^^([[몽골족]])^^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51억 3,600만 ^^(2019)^^ || || '''{{{#ffff00 1인당}}}''' || $10,767 ^^(2019)^^ || ||<|2> '''{{{#ffff00 상징}}}''' || '''{{{#ffff00 구화}}}''' || 없음 || || '''{{{#ffff00 구목}}}''' || 없음 || ||<-2> '''{{{#ffff00 차량번호}}}''' || '''新E'''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博州'''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65'''27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09''' || ||<-2> '''{{{#ffff00 우편번호}}}''' || '''8334'''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XJ-27''' ||}}}}}}}}} || ||<-3> [[http://www.xjboz.gov.cn/|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자치주. 몽골 자치주이지만 몽골인 비중은 5.6%정도로 매우 적고 인구의 과반은 [[한족]]이다. 보얼타라는 몽골어 보르탈라의 음차로, 해석하면 '은회색의 초원'이라는 뜻이다. 동쪽으로 [[타청지구]], 서쪽으로 [[카자흐스탄]] 남쪽으로 [[일리 카자흐 자치주]]와 접하며 동시에 남쪽으로 [[톈산 산맥]]이 지나간다. == 역사 == 과거 [[소그드인]]이 거주하였던 지역으로, [[한나라]] 대에 중국이 점령하여 서역도호부(西域都护府)가 이 지역을 관할하기도 하였다. 한나라로부터 벗어난 후 [[돌궐 제국]]이 통치하다가 [[당나라]]에게 점령되어 요지도독부(瑶池都督府)가 설치되었으며 [[658년]], 이 지역에 쌍하도독부(双河都督府)가 설치되고 이후 [[702년]]에 북정대도호부(北庭大都护府) 소속으로 개편된다. 이후 [[서요]]의 통치를 거쳐 [[몽골 제국]]이 점령하였고, [[차가타이 칸국]]이 이 지역을 다스린다. 몽골제국의 붕괴 이후에는 [[모굴리스탄 칸국]]이 건국되어 이 지역을 다스렸으며 이후 [[준가르]]의 통치를 거쳐 [[청나라]]에 편입된다. [[중화민국]]은 이 지역을 통치하던 차하르영대대신직을 폐지시키고 보러현(博乐县)을 설치하였으며 [[1942년]]에는 원취안현(温泉县)을 추가로 설치한다. [[1954년]], 이 지역에 보얼타라 몽골 자치구(博尔塔拉蒙古族自治区)가 설치되었으며 [[1955년]] 자치주로 변경된다. == 교통 == 관내에 보얼타라 아라산커우 공항(博乐阿拉山口机场)이 있으며 국내선 전용이다. 철도의 경우 관내에 보러역(博乐站), 보러둥역(博乐东)이 존재하고 둘 다 베이장철도(北疆铁路)가 지나가지만 보러역의 경우 베이장철도 본선이 아닌 보저우 지선철도(博州支线铁路)가 지나간다. 본래 보러역은 보얼타라역이라는 이름이었고 보러둥역이 보러역이었지만 현재는 명칭이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또, 아라산커우시에 위치한 [[아라산커우역]]은 [[카자흐스탄]]으로 가는 국제열차역으로, 국제열차 자체는 중국 내륙까지 들어가지만 아라산커우역에서 출입국 심사를 한다. [[분류: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자치주]][[분류:중국의 도시]][[분류:중국-몽골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