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음이의어]][[분류:군 용어]] [목차] == [[保]][[全]] == 온전하게 보호하여 유지함. (예) 생태계의 보전. 전통문화의 보전.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보존, top2=복원)] == [[補]][[塡]] == 부족이나 결손을 보충하여 채움. (예) 적자의 보전. 피해의 보전. 손실보전 == [[군사용어]] == || [[파일:external/www.imfdb.org/TGK-TankBattleA.jpg]] || || [[태극기 휘날리며]] 막바지에 묘사된 [[피의 능선 전투|두밀령 전투]] 모습. || [[步]]([[보병]]) + [[戰]]([[전차]])를 합친 단어이다. 일반적으로 제병협동 중 보병과 전차를 이용한 "보전협동" 혹은 그 준말인"보전"의 형태로 쓰인다. 보전협동은 [[바카닉 테란|보병과 전차가 함께 다니면서]] 상호보완하는 전술이다. 보병은 그 머릿수와 장애물 및 험지 돌파능력으로써 [[수색]]·[[정찰]] 및 거점방어 등 전술적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으나 보유 화력과 방호능력이 취약하여 간단히 무력화될 수 있으며, 전차는 강력한 장갑과 화력, 전자장비를 운용하지만 상대적으로 소규모이며 체급상 험지돌파력이 더 낮기에 시야와 기동 가능 구역이 제한되고 기동이 불가능할 때 고가치 표적으로 전락하기 쉽다. 예컨대 산악지형의 경우, 전차는 산악 도로로 밖에 다닐 수 없어 도로가 차단되면 전진이 막히고, 퇴로까지 차단되면 사실상 고정포대가 되어 일방적으로 얻어맞을 수밖에 없다. 보병은 그들대로 전차 등 장갑차량의 지원 없이는 산악도로를 비롯한 제한된 진로 상에 배치된 기관총 등 고화력 무기를 퍼붓는 [[벙커#1.4|특화점]]이나 간접지원을 하는 적 [[포병]]의 화력진지, 작정하고 지어놓은 [[중대전술기지|야전축성진지]] 등에 돈좌되어 갈려나가기 일쑤이다. 따라서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닌 보병과 전차가 함께 작전을 수행하면서 서로를 엄호하고 지원하여 이러한 장해물을 극복하는 것이 이 전술의 목적이다. 전차 개념이 정립되어 [[주력 전차]](+ [[경전차]])로 통합되기 이전에는 전차 활용을 두고서 다양한 견해와 분류가 있었는데, 이러한 보전협동을 중점으로 개발·운용된 전차는 [[보병전차]]로 분류되었다. 전장에서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전차가 보병들 뒤에서 전차포로 직접화력지원을 하기도 하며, 반대로 전차를 [[탱커]]로 앞세우고 보병들이 뒤따르며 공격하기도 한다. 아직 적과 접촉하여 교전 중인 상황이 아닐 때는 보병의 피로도 경감과 유사시 전차 엄호를 목적으로 [[탱크 데산트]] 상태로 가기도 한다.[* 기계화가 충분히 이루어졌다면 당연히 [[보병전투차]]나 [[병력수송장갑차]] 등을 이용할 것이지만, 보전협동은 [[기계화보병|기계화]]·[[차량화보병]]이 아닌 [[알보병|일반 보병]]하고도 언제든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까닭에 [[보병#s-4]] 병과 장교라도 [[기갑]]을 비롯한 타 병과에 대한 이해가 높아야 비로소 지휘관으로서 역량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다.] == [[보성전문학교]]의 줄임말 == [[고려대학교]]의 전신인 [[보성전문학교]]의 줄임말. [[보성전문학교]] 문서로. == [[몬스터 헌터 크로스]]의 보전 [[우라간킨]] == [[우라간킨#s-1.2]] 문서로. == [[중국]]의 지명 莆田 == [[푸톈시]] 문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