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천문학]][[분류:성운]] [include(틀:항성 및 은하천문학)] [목차] ||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파일:Bok_globules_in_IC2944.jpg|width=100%]]}}} || || '''[[전리수소영역]]인 [[IC 2944]] 내부의 보크 구상체들'''[* 뿌옇게 보이는 것은 전리수소영역(발광성운)이 구상체 '''앞에''' 있어서 그렇게 보이는 것.] || ||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파일:Bok_globule-fingerofgod.jpg|width=100%]]}}} || || '''[[용골자리 성운]]의 반항하는 손가락(Defiant Finger)[* 신의 손가락(finger of god)이라고도 하는데, [[미켈란젤로]]의 [[천지창조]]에 등장하는 그 손가락이다.]''' || ||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파일:123108main_image_feature_371_ys_full.jpg|width=100%]]}}} || || '''보크 구상체 안에서 태어나고 있는 원시별'''(예상)[* [[파일:A_star_forming_globule_of_dust_and_gas_pillars.jpg|width=80%]]실제사진([[ESA]]제공)] || == 개요 == {{{+1 Bok globule}}} '''보크 구상체'''는 짙은 먼지와 가스로 이루어진 작은 암흑성운의 일종으로, 이 안에서는 [[원시별]]이 태어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크 구상체는 주로 [[전리수소영역]] 내에서 발견되며, 그 크기는 보통 1 [[광년]] 정도에 질량은 [[태양]]의 10~50배 정도이다. == 상세 == 주요 성분은 [[수소]] 분자 및 산화탄소, 헬륨과 그리고 1퍼센트 정도의 규산염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보크 구상체는 자체적인 중력 수축을 통해 내부 중심부에 원시별을 만들며, 구상체 내부의 원시별은 주로 [[쌍성]] 혹은 다중성으로써 형성된다. 구상체는 우주에서 가장 차가운 지역 중 하나로 꼽히는데 그 온도가 3 [[켈빈]] 수준에 불과할 정도이다. 물론 중심 원시별 주변은 굉장히 뜨겁다. 보크 구상체는 아직까지도 많은 연구가 필요한 천체이다. 두꺼운 먼지층이 [[가시광선]] 관측을 봉쇄하기 때문에 내부 구조에 대해 잘 알지 못하며, 구상체의 구성 양상과 가스 밀도는 아직 미스터리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근적외선 영역 [[전자기파]]의 소광 현상을 통해 기둥밀도를 도출하거나, 구상체의 특성을 밝혀줄 [[항성]]을 연구하는 정도가 지금까지 이 천체를 탐구하기 위해 사용된 방법들이다. == 관측 역사 == 보크 구상체는 1940년 천문학자 바트 보크가 최초로 발견했다. 보크 구상체라는 이름 또한 발견자의 이름을 따온 것이다. 1947년 보크와 E. F. 리얼리는 논문에서 이러한 구상체 내부에서 가스가 중력 수축을 일으켜 [[항성]]과 [[성단]]을 만들고 있다는 주장을 했지만, 보크 구상체 내부는 [[가시광선]]으로 볼 수가 없으며, 당시의 관측 기술로는 이러한 점을 해결하는게 매우 어려웠기 때문에 이러한 보크의 주장을 입증할 방법이 없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로 보크 구상체들을 [[적외선]] 영역으로 관측한 결과 구상체 내부에서 별들이 태어나고 있음이 밝혀졌으며, 관측이 더 심화되면서 구상체 중심부에서 생겨나는 원시별 표면으로 물질들이 낙하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