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gold '''조선 인조의 손자'''[br]{{{+1 '''복창군[br]福昌君'''}}}}}} || ||<-2> '''[[봉호|{{{#gold 봉호}}}]]''' ||복창군(福昌君)[* 봉호는 어머니의 본관지인 전라도 동복현(同福縣. 현재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에서 유래했다.] || ||<-2> '''[[본관|{{{#gold 본관}}}]]''' ||[[전주 이씨]] || ||<-2> '''[[이름|{{{#gold 이름}}}]]''' ||정(楨) || ||<-2> '''{{{#gold 생부}}}''' ||[[인평대군]] || ||<-2> '''{{{#gold 생모}}}''' ||복천부부인 [[오씨|동복 오씨]][br](福川府夫人 同福 吳氏) || ||<-2> '''{{{#gold 부인}}}''' ||군부인 [[창원 황씨]][br](郡夫人 昌原 黃氏) || ||<-2> '''{{{#gold 자녀}}}''' ||1남 1녀[* 후술하겠지만 [[양자(가족)|양자]]이다.] || ||<-2> '''{{{#gold 묘소}}}'''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신평리 || ||<|2> '''{{{#gold 생몰[br]기간}}}''' || '''[[음력|{{{#gold 음력}}}]]''' ||[[신사(간지)|신사년]] [[12월 29일]] ~ [[경신#s-1|경신년]] [[4월 26일]] || || '''[[태양력|{{{#gold 양력}}}]]''' ||[[1642년]] [[1월 29일]] ~ [[1680년]] [[5월 24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후기의 왕족. [[인평대군]]의 3남이다.[* 2남과 4남은 일찍 죽어서 성인이 된 아들 중에서는 차남이다.] == 생애 == === 초반 === 봉군된 시기는 정확히 모르나 [[http://sjw.history.go.kr/id/SJW-B10010220-02500|《승정원일기》의 이 기사를 보면]] 늦어도 1659년(효종 10년) 이전인 듯 하다. 1662년(현종 3년)에는 숭헌대부 품계를 받았다.[[http://sillok.history.go.kr/id/kra_10302014_001|#]] 1665년(현종 6년)에는 [[내수사]][* 조선시대에 임금의 비밀 사유 재산인 [[내탕금]]을 관리하는 기구. 내사(內司)라고도 한다.]에 바치는 용천 지역의 포와 공물 수백 석의 이익을 빼앗았다하여 추고받았다.[[http://sillok.history.go.kr/id/kra_10612030_002|#]] 1668년(현종 9년)에는 [[http://sjw.history.go.kr/id/SJW-C09010290-00700|#]] 동생 [[복선군]], [[복평군]]과 함께 [[사냥]]으로 백성들에게 민폐를 끼쳐 추고받았고[[http://sillok.history.go.kr/id/kra_10902022_001|#]], 그해 6월부터 11월까지[* 음력 5월 ~ 10월.] [[청나라]]에 진하 겸 사은사로 다녀왔다.[[http://sillok.history.go.kr/id/kra_10905018_001|#]][[http://sillok.history.go.kr/id/kra_10910011_005|#]] 1673년(현종 14년)에는 청나라 책들에[* 《황명통기(皇明通紀)》, 《십육조광기(十六朝廣紀)》, 《양조종신록(兩朝從信錄)》 등이었다고 한다.] 인조반정 관련 내용이 잘못 적혔다하여 [[현종(조선)|현종]]에게 대응해야한다고 동생 [[복선군]], [[복평군]]과 함께 [[상소]]했다.[[http://sillok.history.go.kr/id/krb_11402011_003|#]] 그리고 이듬해인 1674년(현종 15년) 9월[* 음력 8월.]에 사촌형 [[현종(조선)|현종]]의 임종을 지켜보았다. === 숙종 시기 === [[현종(조선)|현종]]이 승하 후 당조카 [[숙종(조선)|숙종]]이 즉위했다. 이후 복창군은 현종 비 [[명성왕후|명성왕후 김씨]]와 [[서인]]들의 견제를 받았다. 숙종이 왕이 될 때 나이가 불과 14세였던 데다, 흔히 알려진 강한 이미지와 달리 몸이 꽤 허약했기 때문에, 자칫하다간 [[계유정난]]같은 사태가 생길까봐 불안했던 것이다. 현종과 숙종은 [[외아들]]이라 [[형제|남자형제]]가 없었고, 그렇다면 왕위를 넘볼만한 가장 가까운 왕족은 당숙(현종의 숙부 [[인평대군]]의 아들들)인 복창군 형제였다. 더군다나 명성왕후는 서인 측인데 복창군은 [[남인]]과 가까워서 더욱 위협적이었다. 숙종 초반인 1675년(숙종 1년)에는 사은사, 동지사로 다시 [[청나라]]에 다녀오는 등[[http://sillok.history.go.kr/id/ksa_10011007_001|#]] 별 무리 없이 활동했으나, 복창군이 청나라에 갔다오자마자 [[명성왕후]]의 아버지 [[김우명]]이 복창군과 그의 동생 [[복평군]]이 궁녀와 사통했다는 고발을 하기에 이르렀다. 이를 ‘홍수의 변’으로 부른다. 자세한 것은 [[명성왕후#s-3|명성왕후]] 및 [[경신환국#s-3.1|홍수의 변]] 문서 참조. 이 일로 복창군은 전라도 영암으로 유배갔으나 [[숙종(조선)|숙종]]과 [[남인]]들의 비호로 몇 달 만에 풀려났다. 그러나 1680년(숙종 6년)에 [[명성왕후]]의 사촌오빠 [[김석주]]의 사주를 받은 정원로가 “[[허견]]이 복선군을 옹립하려 했다”고 고변했고, 결국 이에 엮여 [[거제도]]에 위리안치 당했다가 그해 5월 24일에[* 음력 4월 26일.] [[사사]]당했다.[[http://sillok.history.go.kr/id/ksa_10604012_007|#]] 향년 40세.[* 당시 나이 셈법인 [[세는나이]] 기준. [[만 나이]]로는 38세이다.] 자세한 내용은 '''[[경신환국#s-3.3|삼복의 변]](三福의 變)''' 참조. == 사후 == 복창군 사사 이전에 큰동생 [[복선군]]은 [[진도군|진도]]로 유배갔다가 교수형당했고, 작은동생 [[복평군]]은 [[교동도]]로 [[귀양]]갔다가 훗날 풀려나 1700년(숙종 26년)까지 살았다. 복창군의 딸은 이 사건으로 남편에게 이혼당하고 혼자 살게 되었는데 숙종이 내수사에 명해 먹을거리를 내리게 하였다. 복창군은 죽은 형 [[복녕군]]의 아들 [[의원군]] 이혁을 양자로 삼았으나 죄가 연좌되지 않도록 파양시켰다. 이후 1689년에 관작이 신원됨에 따라, 양자 완원군 이식으로 하여금 복창군의 제사를 받들게 했다. 1864년(고종 1년)에 [[고종(대한제국)|고종]]이 벼슬을 회복시켜주었다. [[무덤|묘]]는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신평리 [[인평대군]] 묘 서편에 있다. == 가족 관계 == * 부 : [[인평대군]] 이요(麟坪大君 李㴭, 1622 ~ 1658) * 모 : 복천부부인 [[오씨|동복 오씨]](福川府夫人 同福 吳氏, 1622 ~ 1658) - 감사 증 우의정 오단(監司 贈 右議政 呉端)의 딸 * 형 : [[복녕군]] 이욱(福寧君 李栯, 1639 ~ 1670) * 동생 : [[복선군]] 이남(福善君 李柟, 1647 ~ 1680) - [[삼복의 옥]]에 연루되어 처형됨 * 동생 : [[복평군]] 이연(福平君 李棩, 1648 ~ 1700) - 숙부 [[용성대군]]에게 입적 * 동생 : 이금온(李金溫, 1654 ~ ?) * 동생 : [[해주 정씨|정중만]](鄭重萬)의 처 * 부인 : 군부인 [[창원 황씨]](郡夫人 昌原 黃氏, ? ~ 1673) - 황도명(黃道明)의 딸, [[김육]]의 외손녀이며 [[명성왕후]]의 고종 사촌 * 장녀 : 정부인 [[전주 이씨]](貞夫人 全州 李氏) * 사위 : [[청송 심씨|심중량]](沈仲良, 1658 ~ 1725) - 심재(沈梓)의 아들 * 양자 : [[의원군]] 이혁(義原君 李爀, 1661 ~ 1722) - 큰형인 [[복녕군]]의 아들로 복창군이 처형되자 [[숙종(조선)|숙종]]이 연좌시키지 않게 하기 위해 파양시킴 * 양자 : 완원군 이식(完源君 李烒) - 동생 [[복평군]]의 4남 * 며느리 : [[무송 윤씨]](茂松 尹氏) - 윤주(尹周)의 딸 * 손자 : 무림군 이당(茂林君 李塘) * 손자 : 무춘군 이육(茂春君 李堉) * 손녀 : [[창원 유씨|유처중]](俞䖏中)의 처 * 손녀 : [[창원 윤씨|윤순]](尹廵)의 처 * 손녀 : [[안동 권씨|권항중]](權恒重)의 처 == 매체에서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BS 장희빈 복창군.png|width=100%]]}}} || || {{{#gold '''〈장희빈〉의 복창군'''}}} || 1995년 [[SBS]] 〈[[장희빈(SBS)|장희빈]]〉에서는 [[김형일(배우)|김형일]]이 연기했다.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복선군, version=12)] [[분류:조선의 왕자군]][[분류:1642년 출생]][[분류:1680년 사망]][[분류:전주 이씨 인평대군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