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용성대군파 종주)]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21F55, #D3286E 20%, #D3286E 80%, #A21F55); color: #FFD400" '''용성대군파 제2대 종주'''}}}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조선 인조의 손자[br]{{{+1 복평군 | 福平君}}}'''}}}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복평군묘.jpg|width=100%]]}}} || ||<-2> {{{#ffd400 {{{-2 복평군묘 전경}}} }}} || || '''출생''' ||[[1648년]] [[11월 6일]] || || '''사망''' ||[[1700년]] [[8월 14일]] (향년 52세) || || '''묘소'''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포천)|신북면]] 신평리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전주 이씨]] || || '''휘''' ||원(棩) → 연(㮒)[* 사촌형 [[현종(조선)|현종]]의 [[휘]] 역시 '棩'이라 현종 즉위 후 '㮒'으로 [[개명]]했다.] || ||<|2> '''부모''' ||친부 - [[인평대군]][br]친모 - 복천부부인 [[오(성씨)|동복 오씨]][br](福川府夫人 同福 吳氏) || ||양부 [[용성대군]] || || '''형제자매''' ||6남 2녀 중 6남 || || '''배우자''' ||군부인 [[전주 최씨]][br](郡夫人 全州 崔氏) || || '''자녀''' ||{{{#!folding 슬하 5남 2녀 [ 펼치기 · 접기 ] 장남 - 완계군 이찬(完溪君 李粲) 차남 - 완천군 이엽(完川君 李燁) 3남 - 완양군 이홍(完陽君 李烘) 4남 - 완원군 이식(完源君 李烒) 5남 - 완릉군 이경(完陵君 李烱) 장녀 - 신한상(申漢相)의 처 차녀 - 최성대(崔盛大)의 처 }}} || || '''작호''' ||'''복평군(福平君)'''[* 봉호는 어머니의 본관지인 전라도 동복현(同福縣. 현재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에서 유래했다.] || || '''시호''' ||효익공(孝翼公)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의 왕족. [[인조]]의 3남 [[인평대군]]의 6남이자 [[용성대군]]의 [[양자(가족)|양자]]이다. == 생애 == === 초반 === 1648년([[인조]] 26년) 11월 6일에[* 음력 9월 22일.] 태어났다. 10살에 아버지 [[인평대군]]과 어머니 오씨 부인을 잃었고, 얼마 뒤 즉위한 사촌형 [[현종(조선)|현종]][* 인평대군의 형 [[효종(조선)|효종]]의 아들.]이 고아가 된 복평군 형제를 궁에 들여서 키웠다.[* 인평대군의 자녀는 총 6남 4녀이다. 그 중 2남, 4남, 3녀, 4녀는 [[요절]]했고 당시 살아있던 자녀는 총 4남 2녀였다. 큰아들 [[복녕군]]과 3남 [[복창군]]은 이미 봉군되었고 혼인했기 때문에, 1녀, 2녀, 5남 [[복선군]], 6남 복평군이 궁에서 자랐다.] 공식 기록에서 처음 나타나는 건 1666년(현종 7년) 3월 26일 자 《[[승정원일기]]》 기사이다. [[현종(조선)|현종]]이 대비를 모시고 [[온양행궁|온양]]에 행차할 때 대비가 탄 수레를 모시며 호종하는 역할을 했다고 나온다.[[http://sjw.history.go.kr/id/SJW-C07030260-00600|#]] 1669년(현종 10년) 3월의 행차에도 역시 따랐다.[[http://sillok.history.go.kr/id/krb_11003015_001|#]] 1668년(현종 9년)에는 형 [[복창군]], [[복선군]]과 함께 [[사냥]]으로 백성들에게 민폐를 끼쳐 추고받았다.[[http://sillok.history.go.kr/id/kra_10902022_001|#]] 이후로도 [[기우제]]에 참여하지 않았다하여 탄핵을 받았고[[http://sillok.history.go.kr/id/kra_10904017_002|#]] 1671년(현종 12년)에는 행동이 바르지 못하다 하여 다시 추고를 받았다.[[http://sillok.history.go.kr/id/kra_11207017_001|#]] 1672년(현종 13년)에는 사은사로 [[청나라]] [[베이징]]에 다녀왔고[[http://sillok.history.go.kr/id/kra_11309022_001|#]] 1673년(현종 14년)에는 청나라 책들에[* 《황명통기(皇明通紀)》, 《십육조광기(十六朝廣紀)》, 《양조종신록(兩朝從信錄)》 등이었다고 한다.] 인조반정 관련 내용이 잘못 적혔다하여 [[현종(조선)|현종]]에게 대응해야한다고 형 [[복창군]], [[복선군]]과 함께 상소했다.[[http://sillok.history.go.kr/id/krb_11402011_003|#]] === 숙종 시기 === 1674년(숙종 즉위년)에 사촌형 현종이 승하하고 당조카 [[숙종(조선)|숙종]]이 즉위했다. 숙종이 왕이 된 후 복평군은 여러 큼직한 사건에 휘말렸다. 결국 1680년(숙종 6년) [[허견]] 옥사 사건에 엮여 유배를 갔고 그의 두 형 [[복선군]]과 [[복창군]]은 사형당했다. 자세한 것은 홍수의 변과 '''[[경신환국#s-3.3|삼복의 변]](三福의 變)''' 참조. == 사망 == 1700년(숙종 26년) 8월 14일에[* 음력 6월 30일.] 세상을 떠났다. 향년 53세.[* 당시 나이 셈법인 [[세는나이]] 기준. [[만 나이]]로는 51세이다.] === 사망년도에 관한 논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는 흔히 알려진 1680년(숙종 6년)에 일어난 [[삼복의 옥]]때 다른 형제들과 같이 유배지에서 사사당한 것으로 적혀있다.[[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B%B3%B5%ED%8F%89%EA%B5%B0&ridx=0&tot=4358|#]] 두산백과에서는 약간 다르게 유배된 후 2년뒤인 1682년 유배지에서 사사되었다고 적혔다.[[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03133&cid=40942&categoryId=33383|#]] 그러나 1900년(광무 3년)에 제작한 [[http://visualjoseon.aks.ac.kr/viewer/view?itemId=jb&gubun=pa&dataId=K24725_007%5E%EC%9A%A9%EC%84%B1%EB%8C%80%EA%B5%B0%ED%8C%8C%5E%EC%9A%A9%EC%84%B1%EB%8C%80%EA%B5%B0%ED%8C%8C|《선원속보 - 인조대왕자손록, 숙종대왕자손록, 장조의황제자손록 권7》]]에는 1700년(숙종 경진년)에 사망한 것으로 나와있다. 또한,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 기사에도 1690년대에 복평군이 살아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http://sillok.history.go.kr/id/ksa_11603029_001|#]][[http://sillok.history.go.kr/id/ksa_11907013_001|#]][[http://sjw.history.go.kr/id/SJW-D19080050-01000|#]] 이로 보아 무슨 이유인지 다른 두 형과 함께 사형당하지 않고 유배를 가서 1700년에 사망한 것이 맞는 듯 하다. == 묘소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복평군묘.jpg|width=100%]]}}} || || {{{#gold '''복평군의 묘'''}}} || [[무덤|묘]]는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신평리 [[인평대군]] 묘 근처에 있다. 1763년(영조 39년)에 [[홍봉한]]의 건의로 [[영조]]가 복평군의 관작을 복구시켰다.[[http://sillok.history.go.kr/id/kua_13904026_005|#]] 1864년(고종 1년) 8월 10일에[* 음력 7월 9일.] [[고종(대한제국)|고종]]이 [[시호]] ‘효익(孝翼)’을 내렸고[[http://sillok.history.go.kr/id/kza_10107009_003|#]], 1871년(고종 8년) 9월 15일에는[* 음력 8월 1일.] 복평군을 인평대군의 동생 [[용성대군]]의 [[양자(가족)|양자]]로 삼으라고 명했다.[[http://sillok.history.go.kr/id/kza_10908001_001|#]] == 가족 관계 == * 부 : [[인평대군]] 이요(麟坪大君 李㴭, 1622 ~ 1658) * 모 : 복천부부인 [[오씨|동복 오씨]](福川府夫人 同福 吳氏, 1622 ~ 1658) - 감사 증 우의정 오단(監司 贈 右議政 呉端)의 딸 * 형 : [[복녕군]] 이욱(福寧君 李栯, 1639 ~ 1670) * 형 : [[복창군]] 이정(福昌君 李楨, 1641 ~ 1680) - [[삼복의 옥]]에 연루되어 처형됨 * 형 : [[복선군]] 이남(福善君 李柟, 1647 ~ 1680) * 동생 : 이금온(李金溫, 1654 ~ ?) * 동생 : [[해주 정씨|정중만]](鄭重萬)의 처 * 양부 : [[용성대군]] 이곤(龍城大君 李滾) * 정부인 : 군부인 [[전주 최씨]](郡夫人 全州 崔氏) - 최영세(崔永世)의 딸 * 첩부인 : 성씨 미상 * 서장남 : 완계군 이찬(完溪君 李粲) * 며느리 : 김해 허씨(金海 許氏) - 허수(許洙)의 딸 * 손자 : 낙춘군 이전(洛春君 李㙉) * 손녀 : [[장수 황씨|황사설]](黄思說)의 처 * 서차남 : 완천군 이엽(完川君 李燁) * 며느리 : [[남천 서씨]](南川 徐氏) * 손자 : 전흥군 이념(全興君 李埝) * 손자 : 전춘군 이계(全春君 李堦) * 서3남 : 완양군 이홍(完陽君 李烘) * 며느리 : [[평양 조씨]](平壤 趙氏) - 조종렬(趙宗烈)의 딸 * 손녀 : 최진상(崔鎮常)의 처 * 며느리 : [[진주 강씨]](晉州 姜氏) - 강성빙(姜聖聘)의 딸 * 손자 : 악성군 이단(樂城君 李壇) * 손자 : 악림군 이연(樂林君 李埏) * 손녀 : 최경명(崔敬命)의 처 * 서4남 : 완원군 이식(完源君 李烒) - 형 [[복창군]]에게 출계 * 서5남 : 완릉군 이경(完陵君 李烱) - 형 [[복선군]]에게 출계 * 서장녀 : 신한상(申漢相)에게 출가 * 서차녀 : 최성대(崔盛大)에게 출가 === 후손 === 좌랑을 지낸 최영세의 딸과 혼인했으나 슬하에 자녀를 두지 못했다. 그래서 복평군의 자녀는 전부 [[서자|서출]]이다.[[http://sillok.history.go.kr/id/wza_13707004_001|#]][[http://visualjoseon.aks.ac.kr/viewer/view?itemId=jb&gubun=pa&dataId=K24725_007%5E%EC%9A%A9%EC%84%B1%EB%8C%80%EA%B5%B0%ED%8C%8C%5E%EC%9A%A9%EC%84%B1%EB%8C%80%EA%B5%B0%ED%8C%8C|#]] 슬하에 5남 2녀를 두었다. 장남은 완계군 이찬(完溪君 李粲), 차남은 완천군 이엽(完川君 李燁), 3남은 완양부정 이홍(完陽副正 李烘), 4남은 완원군 이식(完源君 李烒), 5남은 완릉군 이경(完陵君 李烱)이다. 이 중 완원군은 복평군의 둘째 형 [[복창군]]에게, 완릉군은 셋째 형인 [[복선군]]의 [[양자(가족)|양자]]로 입적했다. 장녀는 신한용과, 차녀는 최성대와 혼인했다.[[http://visualjoseon.aks.ac.kr/viewer/view?itemId=jb&gubun=pa&dataId=K24725_007%5E%EC%9A%A9%EC%84%B1%EB%8C%80%EA%B5%B0%ED%8C%8C%5E%EC%9A%A9%EC%84%B1%EB%8C%80%EA%B5%B0%ED%8C%8C|#]] 복평군의 9대 종손이 [[신소설]]의 창시자로 불리며 소설 《자유종》으로 유명한 문학가이자 언론인인 [[이해조]]이다.[* 시인 [[고은(시인)|고은]]은 이해조 비문에 '복평군의 십대 종손'으로 썼으나 계대를 보면 9대 종손이 맞다.[[http://blog.daum.net/freebell/13360965|관련 포스팅.]]] 그리고 이해조의 손녀이자 복평군의 11대손이 기독교 여성운동과 한국 여성노동운동의 대모 [[이우정(1923)|이우정]] 전 국회의원이다.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인평대군, version=303, paragraph=6, title2=용성대군, version2=52, paragraph2=5)] [[분류:조선의 왕자군]][[분류:조선의 왕족]][[분류:1648년 출생]][[분류:1700년 사망]][[분류:전주 이씨 용성대군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