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일체화된 [[유탄발사기]]와 함께 개발된 [[돌격소총]]. 공중폭발탄 사용을 위한 [[사격통제장치]]가 적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개인이 휴대하기에 부적합한 부피 및 중량 등의 기술적인 한계에 부딫혀 훨씬 높은 화력을 갖춘 기존의 [[대전차화기]]를 가지고 다목적 파생형을 운용하는 것이 [[가성비|이득]]이라는 평가가 이어지면서 대부분이 시험 단계에 그쳤다. 시초라 할 수 있는 [[미국]]의 [[XM29 IAWS]]를 타국에서 모방 또는 참고한 사례가 많아 [[OICW(군사사업)|사업명]]인 OICW로 통칭되기도 한다. == 목록 == 결실을 본 계획으로는 XM29에 비해 상당 부분 간략화된 [[대한민국]]의 '''[[K11 복합소총]]'''과 [[중국]]의 '''[[QTS-11]]''' 등이 있다. K11은 이중총열복합소총이라는 목적을 어느 정도 달성했지만 여러 문제점을 드러낸 바 있고, QTS-11의 경우는 제대로 된 복합소총이라 보기 힘든 총기이지만 K11의 영향을 받았다고 평가되고 있다. === [[미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XM29 IAWS)] === [[대한민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K11 복합소총)]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11sws_civil 0.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11_korean.jpg|width=100%]]}}} || 2008년 [[대한민국 국군]]에 채택된 [[K11 복합소총]]이 가장 대표적인 모방형이자 계승작이다. 하지만 실상은 겉만 그럴싸했을 뿐 [[SA80|L85A1]]에 맞먹을 만큼 불량 및 사고가 너무 많았고 한참 동안 이를 하나도 해결하지 못했으며, 결국 2019년 12월 4일 [[방위사업청]]이 최종적으로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0&oid=025&aid=0002957948|개발중단을 결정하며 원판 XM29 IAWS의 길을 따라가고 만다.]] === [[북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orth_korean_oicw-crop.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북한판_복합전투소총_행군사진.png|width=100%]]}}} || 2017년 연병식에서 공개된 무기로 [[88식 보총#98식|98식 보총]] 기반이다. 2020년 이후로 등장하지 않고 있어, 다른나라들처럼 개발을 포기했을꺼라는 추정이 나오고 있다. [[파일:북한 신형 저격소총.png|width=600]] 그러나 2021년 1월 열병식 등장에 이어 10월 11일 평양에서 열린 북한의 [[자위-2021]] 무기전람회에서 신형 볼트액션 [[저격 소총]]옆에 2정이 포착되었다. === [[중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OICW/PLA.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OICW/PLA2.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53f45ee3e92206391 QTS-1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3951462-317a-4cbe-b5ec-2d7331ab6465.jpg|width=100%]]}}} || [[중국]] 역시 독자개발한 복합소총인 '''[[QTS-11]]'''을 내놓았다. 공식 명칭은 ZH-05 戦略歩槍 (전략보총) 이며, 20mm 유탄 발사기와 5.8mm 소총이 결합되었다. 디지털화된 [[사격통제장치]]에 20mm 유탄을 쓰는 특징 등은 [[K11 복합소총|K11]]과 판박이. 소총에는 [[중국 인민해방군|중국군]]이 제식 채용한 5.8mm탄이 사용된다. [[QBZ-03]] 기반이며, 다연발 [[유탄발사기]]가 아닌 단발 유탄발사기를 사용한다. 원래 K11과 동일하게 다연발 탄창을 도입하려 했지만 여러가지 사정으로 무산되어 단발로 설계했다고 한다. [[https://milidom.net/photo/114142|#]]. 최신 버전에서는 열상 조준경을 폐기하고 주간용 조준경과 레이저가 통합된 야간용 광증폭 조준경만 남겨 단가를 낮추고 무게와 부피도 줄였지만, 그만큼 다양한 환경에서의 작전에는 제한이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 [[호주]] === [[파일:external/www.specops.pl/AICW2.jpg|width=580]] [[슈타이어 AUG]]를 사용하던 [[호주]]도 컴퓨터 조준 [[40mm]] 3연발 [[유탄발사기]]와 [[슈타이어 AUG]]를 결합시킨 [[http://en.wikipedia.org/wiki/Advanced_Individual_Combat_Weapon|AICW]](Advanced Individual Combat Weapon) 계획을 진행했지만 2004년에 무산되었다. 사용 [[유탄]]으로는 40mm 이외에도 [[20mm]]나 [[30mm]] 등 여러 [[구경]]을 염두에 두고 개발했었다고 한다. 호주의 AICW의 [[프로토타입|시제품]]은 [[개머리판]] 부분이 지나칠 정도로 거대하게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일단 [[불펍]]식 [[소총]]인 [[슈타이어 AUG]] 특유의 큰 개머리판 위에 [[메탈스톰 슈퍼건|메탈스톰]] 40mm 유탄 3발들이 카트리지를 집어넣는 것이기 때문에 아주 크다. === [[프랑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APOP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APOP2.jpg|width=100%]]}}} || [[프랑스]]는 [[FAMAS]]와 더불어 자국의 [[미래보병체계]]인 FÉLIN의 일부를 구성할 체계로서 [[http://en.wikipedia.org/wiki/PAPOP|PAPOP]](Poly-Arme Polyprojectile)을 개발했지만 [[프로토타입|시제품]] 단계에서 취소되었다. === [[러시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042668_original.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milidom.net/8115dbbaa953d4cd3843c52e1707bb07.jpg|width=100%]]}}} || [[러시아]]는 자국의 [[미래보병체계]]인 [[라트니크]] 3세대의 일부를 구성할 체계로서 개인화기 개발을 하고 있으며, 이중에 사격통제장치와 [[30mm]] 유탄발사기를 갖춘 복합소총도 포함된다. 다만 아직 [[프로토타입|시제품]] 단계로, 작동하는 총기도 권총만 나온 상태고 복합소총은 목업만 존재하며, 사격통제장치만 [[SR-3]]MR, [[AS Val|ASM Val]] 등 구형 총기에 장착해 시험하는 영상만 공개되었다. [[파일:1583327898.gif|width=580]] 그 이외의 사격통제장치로는 [[GP-25|GP-34]] 전용이 있다. 하지만 사진 상으로는 거리나 탄도 표시 정도여서 일체화는 이루어지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 비슷한 경우 == === [[소련]] === [[파일:external/3.bp.blogspot.com/684534.png|width=580]] [[소련]]은 [[AK-74]]의 [[총열]] 왼쪽에 [[12.7mm]] 유탄발사기가 합쳐진 [[80.002]] 개발을 추진했지만, 화력이 낮은 탓에 이를 제식화시키지 않았다. === [[벨기에]] === [[파일:attachment/F2000/F2000_FCS_1.jpg|width=580]] 평범한 [[불펍|불펍식]] [[돌격소총]]인 [[FN F2000|F2000]]은 전용 FN40GL 유탄발사기와 [[사격통제장치]]를 조합할 수 있게 개발되었다는 점에 있어서는 다른 복합소총과도 유사성을 가진다. 하지만 이는 얼마 쓰이지는 못하고 [[Mk.13 EGLM]] 개발 과정에서 획득한 [[https://fnamerica.com/products/e-novation/fn-fcu-mk3/|FCU]] [[적외선]] [[거리 측정기]]로 대체되었다. === [[이스라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I_MPRS_001_04cf06daca600004c7136d795e61484d.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I_MPRS_002_5f638c2fe6cb1deae5558d675717a566.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I_MPRS_003_45cef2a7179d419befa841322b4f252a.jpg|width=100%]]}}} || [[이스라엘]]의 [[방위산업체]]인 [[IMI#s-1|IMI]]에서는 MPRS(Multi Purpose Rifle System, 다목적 소총 시스템)라는 것을 만들었다. 이것은 OICW를 의식한 간이적인 [[FCS]]([[사격통제장치]])와 공중 폭발 [[유탄]]을 [[40mm]] 단발 [[유탄발사기]]와 조합한다는 컨셉의 화기이다. 기존의 [[돌격소총]]과 거기에 언더배럴식으로 부착된 단발 유탄발사기에 사격통제장치를 내장한 [[조준경]]을 조합하는 구조로서, [[프로토타입|시제품]]의 경우에는 [[AR-15]]와 [[M203 유탄발사기]]를 베이스로 하여 제작되었다. 흔히 쓰이는 일반적인 40mm 단발 유탄발사기를 사용하는 관계로 일단 OICW나 K11 등과는 달리 복합소총으로는 분류되지 않는 모양이지만, 디지털화된 사격통제장치를 [[소총]]에 도입한다는 아이디어를 채용한 점에 있어서는 OICW나 K11 등의 복합소총들과도 어느 정도 유사하다고 평가되고 있다. === [[캐나다]] === [[파일:external/www.drdc-rddc.gc.ca/sipes-main.jpg|width=580]] [[호주]]에서 포기한 AICW의 컨셉을 [[콜트(총기회사)|콜트]]의 [[캐나다]] 지사인 콜트 캐나다(구 디마코)가 다시 이어받아서 개발하고 있다. [[불펍]]식 [[소총]]의 [[개머리판]] 위에 [[메탈스톰 슈퍼건|메탈스톰]] 40mm 유탄 3발들이 카트리지를 집어넣는다는 점은 호주에서 개발하던 AICW와 공통된다. 다만 [[사격통제장치]]는 달리지 않는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XM29 IAWS, version=269)] [[분류:복합소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