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하급 일반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펭귄(유희왕))] [목차] == 설명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BoltPenguin-DM2-JP-VG.png]] || 한글판 명칭 ||<-4>'''볼트 펭귄'''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ボルト・ペンギン'''|| || 영어판 명칭 ||<-4>'''Bolt Penguin'''||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4.] || 천둥마족 || 번개족 || 1100 || 800 || ||<-5>양팔의 전기 채찍으로 상대를 마비시켜 목을 졸라 공격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에서부터 등장.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ボルト・ペンギン【ノ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볼트 펭귄, 일어판명칭=ボルト・ペンギン, 영어판명칭=Bolt Penguin, 속성=물, 레벨=3, 공격력=1100, 수비력=800, 종족=번개족, 효과외1=양팔의 전기 채찍으로 상대를 마비시켜 공격한다.)] OCG 최초의 [[펭귄(유희왕)|펭귄]] 몬스터. 종족이 따로 노는 펭귄 중 하나다. 효과도 없는데 공격력이나 수비력이 높은 것도 아니라 사실상 펭귄 덱에서의 활용도는 전무하다. 펭귄 덱을 쓸 의의라고는 대황제 펭귄 정도밖에 없었을 시기에는 토비 펭귄과 일반 몬스터 서포트 공유가 가능한 레벨 3 몬스터라는 차별점 정도는 있었으나, 펭귄 덱이 싱크로 및 리버스 효과 위주의 기믹으로 방향성을 바꾸면서 지금은 채용 가치가 없다. [[어비스 라이징]]에서 새 펭귄 식구가 나온 기념으로 토너먼트 팩에서 등장, 8기 포맷으로 재판되었으며 이를 통해 한국에도 정발되었다. TCG에서는 한참의 시간이 더 흘러 프라이멀 오리진에서야 발매. 여담으로 원래 일본판 카드의 [[플레이버 텍스트]]는 「양팔의 전격 채찍으로 상대를 마비시키고, '''목을 졸라 공격한다.'''」라는 매우 살벌한 것이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노아 편|노아 편]]에서는 [[오오타키 슈조]]가 [[마자키 안즈]]와의 듀얼 중 사용. 수비 표시로 내세워 [[마하 바일로]]에게 공격을 유도한 뒤 파괴됨으로서 [[리벤지 새크리파이스]]의 발동 조건을 충족시켰다. 카드명의 모티브는 [[훔볼트펭귄]]로 추정되지만 생김새는 해당 펭귄과 별로 닮지 않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부스터(유희왕)|BOOSTER2]] || 없음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부스터(유희왕)|Booster R1]] || B1-34 || [[노멀]] || 일본 || 절판 || || [[토너먼트 팩|トーナメントパック2012 Vol.2]] || TP22-JP006 || [[노멀]] || 일본 || 절판 || || [[프라이멀 오리진|Primal Origin]] || PRIO-EN090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토너먼트 팩|토너먼트 팩 Vol.15]] || TP15-KR006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br]절판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펭귄(유희왕), version=297)] [[분류:유희왕/OCG/번개족]][[분류:유희왕/OCG/일반 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