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896년 출생]][[분류:1944년 사망]][[분류:독일의 백작]][[분류:제1차 세계 대전/군인]][[분류:독일제국군/군인]][[분류:나치당원]][[분류:독일의 정치인]][[분류:슈투름압타일룽/인물]][[분류:친위대(나치 독일)/인물]][[분류:질서경찰/인물]][[분류:작센안할트 주 출신 인물]][[분류:교수형된 인물]] [include(틀:슈츠슈타펠/장성급 지휘관)] ||<-2> {{{#ffffff,#dddddd '''슈츠슈타펠 상급집단지도자[br]{{{+1 볼프하인리히 그라프 폰 헬도르프}}}'''[br]Wolf-Heinrich Juilus Otto Bernhard Fritz Hermann Ferdinand Graf von Helldorf}}}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폰 헬도르프 대장.jpg|width=100%]]}}}|||| ||<#666> {{{#FFF 이름}}} ||<(>'''Wolf-Heinrich Juilus Otto Bernhard Fritz Hermann Ferdinand Graf von Helldorf'''[br] 볼프 하인리히 율리우스 오토 베른하르트 프리츠 헤르만 페르디난트 폰 헬도르프 백작|| ||<#666> {{{#FFF 출생}}} ||<(>[[1896년]] [[10월 14일]], [[프로이센 왕국]] 메르제부르크 || ||<#666> {{{#FFF 사망}}} ||<(>[[1944년]] [[8월 15일]], [[나치 독일]] 베를린 || ||<#666> {{{#FFF 복무}}} ||<(>[[슈츠슈타펠]] (1933년 ~ 1944년) || ||<#666> {{{#FFF 최종계급}}} ||<(>[[슈투름압타일룽]] [[대장(계급)|대장]] (상급집단지도자) [br] [[슈츠슈타펠]] [[대장(계급)|대장]] (상급집단지도자) [br] [[질서경찰]] [[대장(계급)|대장]] || ||<#666> {{{#FFF 주요 참전}}} ||<(>[[제1차 세계 대전]]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헬도르프2.jpg|width=100%]] || || '''[[파울 요제프 괴벨스|괴벨스]]'''와 악수하는 '''폰 헬도르프 백작''' || [[독일|나치 독일]]의 백작, 정치인, 친위대 및 돌격대 상급집단지도자, [[질서경찰|경찰]][[대장]]이다. == 초기 행적 == [[프로이센 왕국]] 작센의 메르제부르크에서 기병대위의 아들로 태어난 헬도르프는 집안이 마이센 백작가에 해당하는 귀족가문이었다. [[1914년]]에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튤링겐 경기병 연대에 입대해 소위로 기관총 중대를 지휘하여 1, 2급 철십자 훈장을 수상한 헬도르프는 전후 의용군에 참가해 공산주의자를 상대로 가두투쟁을 벌였다. [[1920년]]에 군주주의자들이 일으킨 컵 봉기에 참가했지만 봉기실패로 인해 [[이탈리아 왕국]]으로 도망간 헬도르프는 4년을 이탈리아에서 보냈다. [[1924년]]에 독일로 귀국한 그는 [[나치당]]이 전년에 일으킨 [[뮌헨 폭동]]의 실패로 해산된 것을 알고는 [[에른스트 룀]]이 구 의용군 대원을 모아 창설한 프론트반에 참가해 룀의 측근이 되었다. 룀의 신뢰는 두터워 룀이 [[히틀러]]와 반목하여 프론트반을 사임시 후계자로 헬도르프를 지명했었다. == [[나치당]] 입당 == || [[파일:헬도르프1.jpg|width=100%]] || || [[SA]][[중장]] 폰 헬도르프 백작 || [[1926년]]에 [[나치당]]에 입당한 헬도르프는 남미에서 돌아온 룀이 [[1931년]] [[1월]]에 돌격대 참모장으로 임명되자 [[1931년]] 봄에 돌격대 지도자로 임명되어 [[1932년]]에 프로이센주 의회선거에서 당선되어 주 의원이 되었다. [[히틀러]]가 수상이 되자 헬도르프는 [[1933년]] [[3월]]에 [[포츠담]]의 경찰국장으로 임명되었다. == 대관구 지도자 == [[1933년]]에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돌격대 지도자의 직위와 함께 친위대 소장계급으로 브란덴부르크 대관구 친위대 지도자로도 임명된 헬도르프는 [[1933년]]에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1935년]] [[7월]]부터 베를린 경찰청장으로 임명된 그는 [[1944년]] [[7월]]까지 그 자리를 유지했다. 헬도르프는 [[파울 요제프 괴벨스|괴벨스]]와 절친한 사이가 되었고 베를린 경찰청장이라는 자신의 직위를 이용해 [[반유대주의]]를 부채질했다. 특히 1938년 [[수정의 밤]]에는 유대인들을 린치하는 깡패들은 모른채하고 반대로 이에 저항하는 유대인을 범죄자로 몰아 체포하고 이런 행위에서 발생한 재산 손실 등은 전부 유대인이 배상하도록 하는 등 악질적인 모습을 보였다. ==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과 최후 == 이렇게 뼛속까지 나치였던 그는 놀랍게도 [[1944년]] [[7월 20일]]에 일어난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에 연루되었다. 괴벨스와 절친한 친구일 정도의 골수 나치였기 때문에 암살 음모에 참여 한 사유는 불명이나 역시 친했던 [[아르투어 네베]]와 같은 이유일 것으로 추정된다. 헬도르프는 체포 후 [[롤란트 프라이슬러]]의 법정에서 사형이 선고되었고 플로렌체 형무소에서 피아노줄로 [[교수형]]에 처해졌다. == 여담 == 영화 [[작전명 발키리]]에서 슈타우펜베르크의 봉기군에 가담하는 장면에 잠깐 등장한다. [[Hearts of Iron IV]]의 모드인 [[The New Order: Last Days of Europe]]에서 [[소련 군정청|모스코비엔]] 붕괴 후 등장하는 파울루스부르크 비상대책정부의 지도자로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