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봉화 북지리 석조반가상1.gif]] [목차] == 개요 == 奉化 北枝里 石造半跏像.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 북지리에서 출토된 7세기 경 [[신라]]시대의 [[불상]]. 현재 [[경북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대한민국의 보물|대한민국 보물]] 제997호로 지정되어 있다. == 내용 == [[파일:봉화 북지리 석조반가상3.jpg]] [[삼국시대]] 말기 또는 [[통일신라]] 초기에 만들어진 [[한국]]의 반가사유상으로, 원래는 아담한 목조 법당에 멀쩡히 봉안되어 있었는데, [[조선]] 후기에 이르러 어떠한 사람의 손에 의하여 파괴된 사실이 발굴 조사에서 밝혀졌다. 그로 인해 현재 불상의 상반신이 깨져 없어졌고 다리 부분도 일부 파손되어 있다. 파괴되기 전 원본의 경우 그 크기가 약 4m에 가까울 것으로 보이며, 현존하는 반가사유상 중에서는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작품으로 등록되었다. 단순히 구리나 쇠로 금형을 뜬 것이 아니라 석조를 일일이 손으로 깎아 만든 것임에도 불구하고 남아 있는 부분의 예술성이 대단하여 당시 [[신라]]의 석조 기술이 세계적으로도 매우 높은 수준이었음을 보여준다. || [[파일:봉화 북지리 석조반가상2.jpg]] || || [[파일:봉화 북지리 석조반가상4.jpg]] || 이 반가상은 양식면에서 국보로 지정된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과 거의 흡사하므로, 차후 상반신 복원에 중요한 단서가 된다. 정교한 조각기법으로 제작된 보기 드문 수작(秀作)으로, 하체에 표현된 법의(法衣)는 매우 얇아서 두 다리의 윤곽선이 그대로 드러나며, 오른쪽 다리 밑에서 3단으로 형성된 옷주름이 유려하게 흐르며, 그 선들이 선명하게 도드라져 있어 생동감을 준다. 이와 거의 비슷한 형태를 한 [[경주 송화산 석조반가사유상]]이 [[경주시]] 서쪽의 송화산 기슭에 위치한 [[김유신]]의 재실(齋室) 금산재(金山齋)에서 발견되어 [[국립경주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또한 이 불상이 있던 곳 바로 옆에서 발견된 [[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이 현재 [[대한민국의 국보|대한민국 국보]] 제201호로 지정되어 있다. 지금으로부터 1,300여년 전에 [[신라]]에서 만들어진 거대 반가사유상으로, 역사적 가치가 매우 높은 유물이다. == 외부 링크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7215&cid=46659&categoryId=46659|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봉화 북지리 석조반가상]]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03539&cid=40942&categoryId=33375|두산백과 : 봉화 북지리 석조반가상]]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55395&cid=42840&categoryId=42845|답사여행의 길잡이 10 - 경북북부 : 북지리 출토 석조반가상]] * [[https://ko.wikipedia.org/wiki/봉화_북지리_석조반가상|한국어 위키백과 : 봉화 북지리 석조반가상]] == 보물 제997호 ==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09970000,22&pageNo=5_1_1_0|문화재청 홈페이지 : 봉화 북지리 석조반가상 (奉化 北枝里 石造半跏像)]] >북지리의 마애불좌상 옆에 있던 것을 1966년 경북대학교로 옮겨다 놓은 것이다. 높이 1.6m 가량에 상반신은 깨져 없어지고, 하반신과 다른 돌로 만든 둥근 연꽃무늬 발받침대만이 남아 있지만, 우수한 조각기법으로 만들어진 작품이다. > >상반신은 옷을 벗은 듯 하고 하체에 표현된 옷은 매우 얇다. 왼쪽 무릎 위에 올려 놓은 오른쪽 다리는 매우 크고 무릎을 높이 솟게 하여 강조하고 있다. 올려 놓은 다리 밑에는 3단으로 옷주름이 부드럽게 흐르는데 그 선이 분명하다. 이들 옆에는 커다란 사각형의 고리와 화려한 구슬 장식이 있다. 불상의 뒷면은 옷주름만 단순하게 표현하고 있어 앞면을 위주로 조각했음을 알 수 있다. 발받침대는 약 70cm의 원반형으로 아래로 향한 연꽃이 7잎 새겨져 있다. > >이 반가상은 양식면에서 국보 제83호 금동보살반가상과 비교될 수 있으며, 왼손의 위치, 오른쪽 무릎의 팽창, 사실적인 옷주름, 화려한 구슬 장식 등에서 뛰어난 조각기법을 나타낸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당당하며 볼륨이 강조된 독특하고도 사실적인 표현수법을 보여주는 7세기 중엽의 작품으로 여겨진다. [[분류:신라의 공예]][[분류:경상북도의 불상]][[분류:석조 불상]][[분류:반가부좌상]][[분류:경북대학교박물관 소장품]][[분류:대한민국의 보물]][[분류:봉화군의 문화재]][[분류:대구광역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