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한의 보건의료시설)] ||<-2> {{{-2 '''[[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평양시|{{{#white 평양시}}}]]의 [[종합병원|{{{#white 종합병원}}}]]'''}}}[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북한|[[파일:북한 국장_White.svg|height=60]]]]||'''{{{+1 봉화병원[br]烽火病院}}}[br]{{{-2 Ponghwa Clinic and Hospital}}}''' || }}} || || '''다른 이름''' ||1호 진료소[br]봉화진료소 || || '''설립''' ||[[1971년]] || || '''병원장''' ||''미상'' || || '''진료과''' ||일반과[br]특별1/2/3과 || || '''직원수''' ||''미상'' || || '''상위 조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보건성|보건성 치료예방국]] || ||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39.03547218994084%2c125.7436551058342, 너비=100%, 높이=250)]}}} ---- {{{#!wiki style="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40001; color: white" '''[[북한|[[파일:북한 국장.svg|width=20]]]] 봉화병원'''}}} {{{-2 ([[평양시]] [[보통강구역]] 신원동)}}}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의 [[병원|특별병원]]. [[평양시]] [[보통강구역]] 신원동에 있다. 봉화진료소의 세부 정보에 대해서는 기사 참조. [[https://www.joongang.co.kr/article/3297190|기사{{{-2 (중앙일보)}}}]] 근처에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중앙계급교양관]], [[류경호텔]], [[류경정주영체육관]], [[서장회관]], [[인민문화궁전]], [[보통강]], [[평양교예극장]], [[호위사령부|호위사령부 청사]] 등의 시설물이 있다. == 역사 == [[1968년]] [[김일성]]의 지시에 의해 공사에 들어가서 3년이 지난 [[1971년]]에 완공했다. [[2003년]]부터 [[2005년]]까지, 그리고 [[2009년]]부터 [[2010년]]까지 두 차례에 걸쳐서 확장공사를 진행했다. [[2022년]] [[현철해]] 관련 기록영화에서 이 병원으로 추정되는 병원의 모습이 등장했다. 직접 '봉화병원'이라 언급하진 않았으나 외관과 지형지물로 볼 때 이 병원이 유력하다. 전반적인 시설이나 입원실은 수수하며, 의료 장비는 최신 장비로 되어 있다. == 진료과 == * '''일반과''': 당 부장 등이 이용한다. * 내과 * 외과 * 특수과 * 산부인과 * 소아과 * '''특별1과''' [[김정은]]과 그 일가족만 이용할 수 있는 진료과. * '''특별2과''' 내각 총리, 당 정치국 위원과 후보위원 등 본인과 그 가족이 이용하는 진료과. * '''특별3과''' 당 중앙위 비서, 내각 부총리 등 본인과 그 가족이 이용하는 진료과. == 관련 인물 == * [[리락빈]]: 전 봉화진료소 소장 [[분류:보통강구역]][[분류:북한의 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