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교야구 주말리그/부산·제주)] ||<-2> [[파일:nEeEqjt.jpg]] || ||<-2> '''[[부경고등학교]] 야구부'''[* 경남상업고등학교 야구부(1954~2003)에서 2004년 일반계 전환과 동시에 교명 변경.][br](Bukyeong High School) || || '''창단''' || [[1945년]] || || '''소속 리그''' || 부산권 || || '''감독''' || [[채종범]] || || '''우승 기록'''[* 4대 메이저 + 협회장기] || 3회 || || '''홈페이지''' || [[https://www.facebook.com/%EB%B6%80%EA%B2%BD%EA%B3%A0%EB%93%B1%ED%95%99%EA%B5%90-%EC%95%BC%EA%B5%AC%EB%B6%80-1619734714941545/|페이스북]] || ||<-2> [include(틀:지도, 장소=부경고등학교, 너비=100%, 높이=225px)] || || '''대회''' || '''우승''' || '''준우승''' || '''4강''' || ||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대통령배]]''' ||2회(1991, 98) || - ||1회(1990) || ||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청룡기]]''' ||1회(1991) || - ||1회(1997) || ||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황금사자기]]''' || - ||1회(1994) ||1회(1971) || ||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봉황대기]]''' || - || - ||2회(1987, 94) || || '''[[신세계 이마트배 전국고교야구대회|이마트배]]''' || - || - || - || ||<-5>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ffffff 1991년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 || [[충암고등학교 야구부|충암고등학교]] || → || '''경남상업고등학교''' || → || [[부산고등학교 야구부|부산고등학교]] || ||<-5>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ffffff 1991년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경남고등학교 야구부|경남고등학교]] || → || '''경남상업고등학교''' || → || [[공주고등학교 야구부|공주고등학교]] || ||<-5>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ffffff 1998년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 || [[천안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등학교]] || → || '''경남상업고등학교''' || → || [[부산고등학교 야구부|부산고등학교]] || [목차] == 개요 == [[부산광역시]] [[서구(부산)|서구]] 소재 [[부경고등학교]]에 위치한 [[야구]]부. == 연혁 == 1945년 창단하였지만, 30년 가량은 이렇다 할 성적을 내지 못했던 팀이었다. 그러다가 1970년대 들어서면서 조금씩 기지개를 펴는데 비록 서울에서 열리는 메이저 무대에서는 1971년 황금사자기 4강만 기록했지만, 고향인 부산에서 열린 [[화랑대기]]에서 [[최동원]]의 [[경남고등학교 야구부|경남고]]를 누르고 우승하면서 처음으로 고교무대에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그리고 여전히 메이저 무대에서는 이름은 날리지 못하고, 어쩌다 8강 정도에 드는 정도였지만, 1987년에 또 다시 화랑대기 우승과 봉황대기 4강을 기록하면서 조금씩 경남상고 야구부의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 [[파일:/image/295/2008/06/24/%25B0%25FB%25C0%25E7%25BC%25BA.jpg|width=400]] || ||창단 43년만에 팀에 우승기를 선사한 에이스 곽재성[* 그러나 그는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한 코치진의 파벌주의와 술집에서의 폭행 건으로 군에 입대하게 된 이후 별다른 활약을 보이지 못하고 은퇴하게 된다. [[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295&aid=0000000049|인터뷰]].] || 이후 1991년, 이른바 전설의 92학번들이 고등학교 3학년이었던 바로 그 해에 경남상고는 최고의 순간을 맞이했다. 에이스 곽재성, No.2 좌완투수 [[차명주]]를 위시한 투수진에 화려하지는 않아도 정말 단단한 팀을 구축하여 고교 무대의 정상을 하나가 아니라 두 개나 쟁취했다. 그 해 첫 대회인 대통령배에서는 조성민, 강혁 등을 포함하는 화려한 스타군단 신일고를 결승에서 꺾으며 우승했고, 청룡기에서는 [[박재홍(야구)|박재홍]]이 이끄는 [[광주제일고등학교 야구부|광주일고]]와의 결승에서 승리해 우승하면서 2관왕의 영광을 안았다. 1994년 고교 무대 최고의 투수이자, [[이영민 타격상]]의 주인공인 [[김건덕]]을 앞세워 봉황대기 4강과 황금사자기 결승에 올라갔지만, 아쉽게도 두 번 모두 [[덕수고등학교 야구부|덕수상고]]에게 패하면서 정상을 밟지 못했다. 이 해 열린 세계청소년선수권 대회에서 한국의 우승을 이끌고 대회 MVP가 된 김건덕은 고교 무대에서 입은 혹사의 영향으로 대학에서는 이렇다 할 활약을 보이지 못한 가운데[* 한양대 진학 당시 지친 몸을 추스리기 위해 1년 동안은 마운드에 서지 않기로 되어 있었으나 국제대회에 참가하면서 다시 공을 던진 것이 결국 몸에 탈을 일으켰고 이후로는 지명타자로만 출전하게 되었다.] 프로 무대도 밟지 못하고 사라지며 혹사로 스러진 비극적인 고교 에이스의 상징이 되고 말았다. 이후 김건덕은 춘천고와 모교인 이곳 부경고를 거쳐 부산 사상리틀야구단 감독을 맡다가 2016년 11월 17일 갑작스런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향년 40세.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529&aid=0000005301|하늘 그라운드로 떠난 ‘비운의 천재’ 김건덕]] [* 어찌된 상황이냐면 사망일인 17일 오전 11시쯤에 가슴통증을 호소해 스스로 구급차에 몸을 실었는데 갑작스레 악화되어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그래도 경남상고의 전력은 강해서 1998년 [[김사율]]과 [[이택근]]의 배터리를 앞세워 다시 대통령배 결승에 올랐고, 동향의 [[경남고 야구부|경남고]]에게 연장 12회초 7:6으로 뒤졌지만, 극적인 끝내기 2점 홈런[* 홈런을 친 선수는 김호영, 홈런을 허용한 투수는 [[송승준]]이었다.]이 나오면서 우승을 차지하며 1990년대를 풍미한 자신들의 영광어린 기억을 하나 더 남겼다.[* 송승준이 말하길 이 당시 경남상고는 훈련량이 많아 특공대 같았다고..경남고는 훈련이 오후 4시에 끝나고, 경남상고는 훈련이 밤 10~11시에 끝났다고 한다. 경남고 선수들이 훈련을 마치고 경남상고 담벼락에 매달려 '니들 뭐하노?'하면 경남상고는 훈련중이었다고..' 송승준과 친구들은 경남상고 앞 카페에서 여학생들과 파르페를 마시면서 즐겁게 놀고 밤 9시쯤 카페를 나설 때 경남상고는 라이트까지 켜가며 밤 10~11시까지 운동했다고 술회했다.] 하지만 이 1990년대의 영광어린 시대를 끝으로 경남상고 야구부는 흔들렸다. 학교는 일반계로 전환하여 부경고로 변했지만, 스카우트 경쟁에서 경남-부산 양 학교에 밀리더니, 급기야 [[김응룡]] 사장을 위시한 막강한 동문의 파워를 앞세운 개성고에게도 스카우트 싸움에서 패하면서 학교의 기량이 급속도로 무너졌다. 2007년에는 해체 직전까지 갔지만, 간신히 해체는 막았는데, 여전히 성적이 좋은 편은 아니다. 2013년 대통령배 8강 진출이 2000년대 들어서 가장 좋은 성적일 정도. 2009년에는 [[인창고등학교(경기)/야구부|구리인창고]]의 [[김태훈(1990)|김태훈]]에게 고교야구 역사상 처음으로 전국대회 본선 [[퍼펙트 게임(야구)|퍼펙트 게임]]을 당하는 굴욕을 맛보기도 했다. 여기에 2000년대 후반 두 차례 왕중왕전을 평정하며 고교 무대의 강호로 떠오른 축구부에 조금 더 지원이 가는 추세라는 것도 야구부 입장에서는 선수 수급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 대목이다. 2019년 현재 축구부가 동문 측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는 나머지 야구부는 아오안 찬밥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2020년 시즌인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우승후보 충암고를 꺾고 16강전에 진출했다. 동향의 부산고는 32강전에서 율곡고에, 경남고는 1회전 부전승의 어드밴티지에도 불구하고 32강전에서 경기상고에게 덜미를 잡혔다.[[http://www.spotvnews.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362392|#]] 16강에서 [[강원고등학교 야구부|강원고등학교]]를 10:9로 꺾고 8강에 진출하였다. 8강 상대는 [[배명고등학교 야구부|배명고등학교]]를 꺾고 올라온 [[김해고등학교 야구부|김해고]]다. 8강전에서 0-8 콜드게임패를 당해 준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 출신 선수[* [[나무위키]] 등록 선수 한정.] == || '''{{{#white 이름}}}''' || '''{{{#white 포지션}}}''' || '''{{{#white 프로입단}}}''' || '''{{{#white 경력}}}''' || || [[권두조]] || 내야수 || 1982년 원년멤버 ||중앙대-제일은행-[[롯데 자이언츠|롯데]](1982~1983)-[[삼미 슈퍼스타즈|삼미]]/[[청보 핀토스|청보]](1984~1987)|| || [[이문한]] || 투수 || [[한국프로야구/1984년/신인드래프트|1984년 1차지명]] ||동국대-[[롯데 자이언츠|롯데]](1984~1988)-[[삼성 라이온즈|삼성]](1989~1991)|| || [[강성우]] || 포수 || [[한국프로야구/1992년/신인드래프트|1992년 1차지명]] ||단국대-[[롯데 자이언츠|롯데]](1992~2000)-[[SK 와이번스|SK]](2001~2005)|| || '''[[차명주]]''' || 투수 || [[한국프로야구/1996년/신인드래프트|1996년 1차지명]] ||한양대-[[롯데 자이언츠|롯데]](1996~1998)-[[두산 베어스|두산]](1999~2004)-[[한화 이글스|한화]](2004~2006)|| || [[안명성]]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1996년/신인드래프트|1996년 2차 4라운드]] ||한양대-[[현대 유니콘스|현대]](1996~1998)|| || '''[[장문석]]''' || 투수 || [[한국프로야구/1997년/신인드래프트|1997년 2차 1라운드]] ||동아대-[[LG 트윈스|LG]](1997~2005)-[[KIA 타이거즈|KIA]](2006~2009)|| || [[채종국]]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1998년/신인드래프트|1998년 2차 3라운드]] ||연세대-[[현대 유니콘스|현대]](1998~2007)-[[SK 와이번스|SK]](2007)-[[LG 트윈스|LG]](2008)|| || [[장원영(야구)|장원영]]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0년/신인드래프트|2000년 2차 4라운드]] ||제주관광대-[[두산 베어스|두산]](2000~2002)|| || '''[[김사율]]''' || 투수 || [[한국프로야구/1999년/신인드래프트|1999년 2차 1라운드]] ||[[롯데 자이언츠|롯데]](1999~2014)-[[kt wiz|KT]](2015~2018)|| || '''[[이택근]]''' || 외야수 || [[한국프로야구/1998년/신인드래프트|1999년 2차 3라운드]] ||고려대-[[현대 유니콘스|현대]](2003~2007)-[[넥센 히어로즈|히어로즈]](2008~2009)-[[LG 트윈스|LG]](2010~2011)-[[넥센 히어로즈|넥센-키움]](2012~2020)|| || [[김덕윤(야구)|김덕윤]]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1년/신인드래프트|2001년 2차 1라운드]] ||[[삼성 라이온즈|삼성]](2001~2006)-[[두산 베어스|두산]](2006~2008)|| || '''[[김경언]]''' || 외야수 || [[한국프로야구/2001년/신인드래프트|2001년 2차 2라운드]] ||[[해태 타이거즈|해태]]/[[KIA 타이거즈|KIA]](2001~2010)-[[한화 이글스|한화]](2010~2017)|| || [[송산]] || 포수 || [[한국프로야구/2001년/신인드래프트|2001년 2차 5라운드]] ||단국대-[[KIA 타이거즈|KIA]](2005~2013)|| || [[백승룡]]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2001년/신인드래프트|2001년 2차 5라운드]] ||경성대-[[한화 이글스|한화]](2005~2013)-[[넥센 히어로즈|넥센]](2014~2015)|| || [[정대훈]]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8년/신인드래프트|2008년 2차 5라운드]] ||동의대-[[한화 이글스|한화]](2008~2017)|| || '''[[정우람]]'''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4년/신인드래프트|2004년 2차 2라운드]] ||[[SK 와이번스|SK]](2004~2015)-[[한화 이글스|한화]](2016~)|| || '''[[전유수]]'''[* 전승윤에서 전유수로 개명.]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5년/신인드래프트|2005년 2차 8라운드]] ||[[현대 유니콘스|현대]](2005~2007)-[[넥센 히어로즈|넥센]](2008~2012)-[[SK 와이번스|SK]](2012~2018)-[[kt wiz|KT]](2019~2022)|| || '''[[진해수]]'''[* 2009년 말 진민호에서 개명.]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5년/신인드래프트|2005년 2차 7라운드]] ||[[KIA 타이거즈|KIA]](2006~2013)-[[SK 와이번스|SK]](2013~2015)-[[LG 트윈스|LG]](2015~2023)-[[롯데 자이언츠|롯데]](2024~)|| || [[이용욱(야구)|이용욱]] || 외야수 || 2014년 [[육성선수]] ||대불대-[[고양 원더스|고양]](2013~2014)-[[삼성 라이온즈|삼성]](2014~2015)-[[질롱 코리아|질롱]](2018/19) || || [[박진우(야구선수)|박진우]] || 투수 || 2013년 [[육성선수]] ||건국대-[[NC 다이노스|NC]](2013~2015)-[[두산 베어스|두산]](2016~2017)-[[NC 다이노스|NC]](2018~2021)|| || [[강로한]][* 강동수에서 강로한으로 개명.]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2015년/신인드래프트|2015년 2차 7라운드]] ||경남대-[[롯데 자이언츠|롯데]](2015~2022)|| || [[김재유]] || 외야수 || 2015년 [[육성선수]] ||동의대-[[롯데 자이언츠|롯데]](2015~2023)|| || [[홍성무]]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5년/신인드래프트|2015년 KT 특별우선지명]] ||동의대-[[kt wiz|KT]](2015~2018)-[[NC 다이노스|NC]](2019~2020)|| || '''[[김태훈(1992)|김태훈]]'''[* 김동준에서 김태훈으로 개명.]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2년/신인드래프트|2012년 9라운드]] ||[[넥센 히어로즈|넥센/키움]](2012~2023)-[[삼성 라이온즈|삼성]](2023~)|| || [[문성용]] || 포수 || 2016년 [[육성선수]] ||건국대-[[NC 다이노스|NC]](2016~2020)|| || [[안주형]] || 내야수 || 2016년 [[육성선수]] ||영남대-[[삼성 라이온즈|삼성]](2016~)|| || [[김호민]] || 투수 || [[KBO 리그/2017년/신인드래프트|2017년 2차 8라운드]] ||동아대-[[NC 다이노스|NC]](2017~2020)|| || [[강정현(야구선수)|강정현]] || 투수 || [[KBO 리그/2019년/신인드래프트|2019년 2차 4라운드]] ||강릉영동대-원광대-[[LG 트윈스|LG]](2019~2022)|| || [[강태율]][* 강동관에서 강태율로 개명.] || 포수 || [[한국프로야구/2015년/신인드래프트|2015년 1차 지명]] ||[[롯데 자이언츠|롯데]](2015~)|| || [[천현재]] || 포수 || 2022년 [[육성선수]] 입단 ||성균관대-[[두산 베어스|두산]](2022~)|| || [[하준수(야구선수)|하준수]] || 투수 || [[KBO 리그/2019년/신인드래프트|2019년 2차 6라운드]] ||[[NC 다이노스|NC]](2019~)|| || [[권동현]] || 투수 || [[KBO 리그/2021년/신인드래프트|2021년 2차 10라운드]] ||[[롯데 자이언츠|롯데]](2021)|| || [[엄장윤]] || 포수 || [[KBO 리그/2022년/신인드래프트|2022년 2차 8라운드]] ||[[롯데 자이언츠|롯데]](2022~) || || [[이성민(2002)|이성민]] || 투수 || [[KBO 리그/2022년/신인드래프트|2022년 2차 7라운드]] ||[[한화 이글스|한화]](2022~)|| == 둘러보기 == [include(틀: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역대 우승 고교)] [include(틀: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역대 우승 고교)]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고교야구]][[분류:부산광역시 연고 구단]][[분류:1945년 창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