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대한민국의 보건/간호 특성화고등학교)] [include(틀:부산광역시의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부경보건고 전경.png|width=100%]]}}}|| || {{{#white '''학교 전경'''}}} || ||||<:>
'''{{{+1 부경보건고등학교}}}[br]釜慶保健高等學校[br]Bukung Health High School''' || ||||<:> [[파일:부경보건고 로고.png|width=80%]] || ||||<:> [include(틀:지도, 장소= (부경보건고등학교), 너비=100%, 높이=100%)] || || '''개교''' || [[1977년]] || || '''유형'''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 || '''성별''' || [[남녀공학]] || || '''형태''' || [[사립]] || || '''교장''' || 권영호 || || '''교훈''' || "참된 교육·착한 심성·밝은 생활" || || '''교화''' || [[장미]] || || '''교목''' || [[소나무]] || || '''관할 교육청''' || [[부산광역시교육청]] || || '''주소''' || [[부산광역시]] [[사하구]] [[두송로]] 53 ([[장림동]]) || || '''홈페이지''' || [[http://school.busanedu.net/bk-h/main.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광역시]] [[사하구]] [[장림동]]에 있는 보건/간호계열의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비슷한 교명인 [[부산보건고등학교]](구,[[한국테크노과학고등학교]])와는 달리 [[특성화고등학교]]가 아니다. ==# 연혁 #== ||
'''날짜''' || '''연혁''' || || '''2021.09.01''' ||제 7대 권영호 교장선생님 취임 || || '''2020.01.07''' ||제 41회 졸업식 (졸업생 총 24,640명) || || '''2019.02.12''' ||제 40회 졸업식 (졸업생 총 23,173명) || || '''2018.02.13''' ||제 39회 졸업식 || || '''2017.02.15''' ||제 38회 졸업식 || || '''2016.02.12''' ||제 37회 졸업식 || || '''2015.02.11''' ||제 36회 졸업식 (졸업생 총 22,760명) || || '''2014.02.06''' ||제 35회 졸업식 (졸업생 총 22,386명) || || '''2013.02.07''' ||제 34회 졸업식 (졸업생 총 22,019명) || || '''2012.02.09''' ||제 33회 졸업식 (졸업생 398명, 총 21,547명) || || '''2011.02.10''' ||제 32회 졸업식 (졸업생 386명, 총 21,149명) || || '''2010.03.01''' ||제 6대 조문수 교장선생님 취임 || || '''2010.02.10''' ||제 31회 졸업식 (졸업생 352명, 총 20,763명) || || '''2007.03.01''' ||제 5대 권성태 교장선생님 취임 || || '''2007.02.16''' ||제 28회 졸업식 (졸업생 357 명 총 19,723명) || || '''2006.09.22''' ||학칙 변경(아동복지보육과 개설) || || '''2006.02.20''' ||제 27회 졸업식 (졸업생 647명 (1년 3학기제 299명포함)총 19.886명) || || '''2005.08.23''' ||[[중국]] [[지린성]] [[연길]] 백산 실험학교(실업고등학교)와 자매 결연 || || '''2005.02.18''' ||제 26회 졸업식 (졸업생 496명 (1년 3학기제 222명포함)총 19,239명) || || '''2004.07.26''' ||"[[부경보건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 '''2004.02.19''' ||제 25회 졸업식 (졸업생 334명 (1년 3학기제 63명포함)총 18,743명) || || '''2003.10.13''' ||학칙변경 : 간호과, 응급구조과 신설 || || '''2003.03.01''' ||제 4대 한인자 교장선생님 취임 || || '''2003.02.01''' ||제 24회 졸업식 (졸업생 446명 (1년 3학기제 85명포함) 총 18,494명) || || '''2002.06.18''' ||"부경정보과학고등학교"로 교명 및 학칙변경,남녀공학, 미용과, 사이버정보과신설 || || '''2002.02.15''' ||제 23회 졸업식 (졸업생 574명, 총 18,048명) || || '''2001.02.13''' ||제 22회 졸업식 (졸업생 770명, 총 17,474명) || || '''2000.02.11''' ||제 21회 졸업식 (졸업생 477명) || || '''1997.10.10''' ||"경희정보여자고등학교"로 교명 및 학칙 변경(주간 39학급, 야간 3학급) || || '''1995.12.29''' ||"경희여자상업고등학교"로 교명 및 학칙 변경 || || '''1992.02.17''' ||증축교사 18개 특별교실(총 65개 교실) 및 주차장 완공 || || '''1990.03.01''' ||제3대 권성태 교장선생님 취임 || || '''1989.03.01''' ||제2대 주도일 교장선생님 취임 || || '''1989.02.28''' ||전면 학력인정 (대통령령 제12633호) || || '''1987.04.23''' ||신축교사 준공 이전(47개 교실) (부산광역시 사하구 장림2동 60 13) || || '''1987.04.21''' ||학칙 변경 (주간 39학급, 야간 39학급)|| || '''1986.11.24''' ||문교부지정 학력인정 사회교육시설 부산경희여자상업학교(주간30학급, 야간30학급) || || '''1981.02.14''' ||신축교사 준공 이전 (35개 교실) ([[부산직할시]] [[사상구|북구]] [[괘법동]] 561 1) || || '''1980.01.12''' ||제 1회 졸업식 (졸업생 427명)|| || '''1977.06.01''' ||개교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개금동]]) 설립자 겸 초대교장 권성태 선생님 취임 || == 학과 == === 간호과 === 간호과는 학교를 대표하는 학과이며, 학교에서 '''가장 많은 인원을 차지하는 학과'''이다. 2학년 방학때 병원 현장실습을 나가며, 3학년 때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주관하는 간호조무사 국가고시를 쳐서 [[간호조무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사실상 모든 학생이 [[간호조무사]] 자격증 취득을 원칙으로 한다.] 본인의 의지에 따라 병원코디네이터 자격증 등을 따로 취득할 수 있다. === 응급구조과 === 응급구조과는 응급처치(심폐소생술)전문강사 자격증, 스포츠마사지 자격증, 수상안전구조원, 수상구조사[*국가자격증] 등을 취득할 수 있으며, [[응급구조학과]], [[물리치료학과]], [[경찰행정학과]], 소방안전관련학과, [[부사관학과]], 군정보사관학과, 군첨단과학기술학과 등에 진학할 수 있다. === 아동복지보육과 === 아동복지보육과는 종이접기지도사 초급 자격증, 풍선아트지도사 3급 자격증, 동화구연지도사 2급 및 3급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으며, [[유아교육과]], 아동복지보육과, [[사회복지과]], [[언어치료학과]], 아동미술치료학과, 아동심리학과 등에 진학할 수 있다. === 미용예술과 === 미용예술과는 메이크업 자격증, 미용기능사(헤어, 피부, 네일)자격증 [*국가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고 [[미용사]] 면허증이 무시험 자동 발급되며, 미용예술과, 피부미용학과, 뷰티디자인과, 뷰티케어학과, 헤어디자인학과, 웨딩플래너학과 등에 진학할 수 있다. == 학교 특징 == === [[스쿨버스]] === 부경보건고등학교는 스쿨버스가 존재한다. 학교 접근성이 워낙 떨어져서[* 영남중학교나 신장림역 버스 정류장에서 다대로277번길을 따라 한참을 걸어올라가야 도착한다.] 외부 [[전세버스]]와 계약을 맺고 스쿨버스를 운영하고 있다. [[스쿨버스]]로 다닐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스쿨버스]]는 [[부산광역시]] 거의 전 지역(가덕도 제외)을 포함해서[* 가장 외곽 지역이라 할 수 있는 [[정관신도시]]까지 버스가 다닌다(!)] [[창원시]][* 진해구 포함], [[김해시]], [[장유(지역)|장유동]], --[[거제시]]-- [* 거제지역 학생 수 감소로 폐지 ], [[양산시]]([[웅상]]포함)등등의 지역을 곳곳으로 다녀 타 지역 [[학생]]들도 무리없이 통학할 수 있다. 다만 통학버스를 이용하려면 분기별로 납부하는 학교운영지원비에서 추가로 통학버스 요금을 더 지불해야 한다. 2022년도에 [[전세버스]] 춘하추동관광이 버스가 자꾸 멈추고, 시동이 꺼지는 등 버스에 문제가 많아 2023년도에 전체적으로 버스가 다 바뀌었다. 버스가 바뀐 후 학생들 몇명의 평가는 나쁘지 않지만, 몇명은 버스가 전의 차에 비해 더 작아졌거나 승차 장소를 지나쳐 간다는 평도 있어서 문제는 아직 조금도 남아있는 것 같다. === [[입학]] [[장학금]] === ||
'''구분''' || '''자격''' || '''장학금''' || || '''입학 성적 (수석)''' || [[중학교]] [[내신]] '''40%''' 이내 || '''200만원''' || || '''입학 성적 (차석)''' || [[중학교]] [[내신]] '''50%''' 이내 || '''100만원''' || || '''입학 성적 (15명)''' || [[중학교]] [[내신]] '''70%''' 이내 || '''50만원''' || 가끔 입학 성적 장학금과 대학 진학을 목표로 내신 관리를 하는 학생들이 있다.[* 20%대의 최상위권 학생들도 관련 학과 진학을 목표로 오는 경우도 있다. 사실상 내신 20% 정도라면 일반계 고등학교는 물론이며, 일부 [[특수지 고등학교]]나 [[마이스터고등학교]]도 무리 없이 진학할 수 있는 성적이다.] == 학교 시설 == 전체적인 학교 [[시설]]은 좋지 못하다. 거의 모든 학교에 다 있는 [[강당]]이 없어서 [[강당]]을 쓸 일이 생기면 근처에 있는 [[장림여자중학교]]의 [[강당]]을 같이 쓴다는 얘기도 있다. 2021년 방학 동안 화장실 리모델링 공사를 하여 화장실이 깔끔해졌다. [* 원래는 화장실이 서쪽에 여자화장실 동쪽에 남자화장실이 따로 멀리 떨어져 있었지만 공사로 서쪽 동쪽 모두 남자 여자 화장실이 생겼다. 1,2,5층 재외.] [[매점]]과 [[자판기]]가 있다. [[매점]]은 현재 [[코로나19]]로 인해 개장하지 않고 있다. [[자판기]]에는 [[음료수]]가 있다. 가격은 새로운 [[음료수]]가 생기면서 500원에서 800원 짜리 [[음료수]]가 있다. 2022년부터 4층 양쪽 맨 끝 교실에 남자, 여자 탈의실 겸 사물함(피팅룸)이 생겼다.[* 학교를 정면으로 봤을때 기준으로 왼쪽은 여자 피팅룸 오른쪽은 남자 피팅룸.피팅룸 내부에는 1,2,3,학년 사물함이 모두 모여있고 일부 공간 커튼을 쳐서 옷을 갈아입는 탈의실을 만들었다. ] 2022학년도 2학기 부터 [[매점]]이 다시 문을 열었다! [* 그런데 카드결제를 거부하는 경우가 많다.]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
정류소 || 버스번호 || || 부경보건고등학교 || [[부산 버스 사하3]] || === 철도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장림역]][* [[장림역]] 2번 출구에서 걸어서 올라가거나 마을버스([[부산 버스 사하3]])를 이용할 수 있다.] == 기타 == * 보견 계열 학교 특성상 전체적으로 [[여초]] 현상이 심한 편이다. 특히 간호과와 아동복지교육과는 거의 절대다수가 여학생들이다.[* 이는 [[간호조무사]]와 [[유아교사]]가 전체적으로 여성을 선호하는 경향이 매우 강하기 때문이다.] 다만 응급구조과 같은 경우에는 남학생들의 비율이 더 많다. * 학교가 해발고도가 꽤 높은 [[봉화산#s-9]] 자락에 들어서 있어서 접근성이 매우 떨어진다. 때문에 [[스쿨버스]]로 통학하는 학생들이 제법 많다. 도보로 통학하기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영남중학교(부산)|영남중학교]], [[신장림역]] 버스 정류장[* [[부산 버스 2|2번]], [[부산 버스 11|11번]], [[부산 버스 96|96번]], [[부산 버스 103|103번]], [[부산 버스 338|338번]], [[부산 버스 1000|1000번]], [[부산 버스 사하8|사하8번]], [[부산 버스 사하15|사하15번]]이 정차한다.]에서 [[다대로]]277번길을 따라 한참을 걸어올라가야 도착한다. [[사하3번]]이 바로 앞까지 이어주긴 하지만, 배차간격이 길다. * 다른 학교보다 스마트폰을 엄격하게 걷는다, 아마 학교 내부에서 외부로 알려지지 않은 스마트폰에 관련된 큰 사건이 있는듯 하다. * 부경보건고 [[https://m.dcinside.com/board/busanhealthhigh|마이너 갤러리]]가 생겼다! [[분류:부산광역시의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분류:1977년 개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