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신경계]]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부교감신경계.jp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1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PSNS) / [[副]][[交]][[感]][[神]][[經]][[系]]}}} [[교감신경계]]와 함께 [[자율신경계]]의 한 축을 이루는 신경계통으로, 주로 정신이 안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에너지]]를 보존하여 긴장과 피로를 회복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자율신경계에 속하므로 기본적으로는 의식적인 통제가 불가능한 불수의계(involuntary system)이다. == 구조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교감부교감신경절전후.png|width=100%]]}}} || || '''부교감신경과 교감신경의 모식도''' || 부교감신경계에서 하나의 신경 경로는 하나의 [[신경절]](ganglion)을 사이에 두고 [[절전신경]](신경절전섬유, preganglionic neuron)과 [[절후신경]](신경절후섬유, postganglionic neuron)의 두 신경섬유로 구성된다. 부교감신경계는 교감신경계와 정반대로, 절전신경의 길이가 절후신경보다 길다. 이는 대체로 절전신경이 끝나는 부교감신경절이 [[척수]]에서는 멀고 작용하는 각각의 기관(그림의 target organ, 표적 장기) 쪽에 가까운 곳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부교감신경의 절전신경은 교감신경의 절전신경과 똑같이 [[아세틸콜린]]을 분비하는 [[콜린성 뉴런]](cholinergic neuron)이다. 절후신경은 대부분이 콜린성이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부교감신경구조.png|width=100%]]}}} || || '''부교감신경계의 전체 구조''' || 부교감신경계 절전신경이 시작하는 곳은 엉치척수인 S2, S3, S4와 3번, 7번, 9번, 10번 뇌신경핵에서 시작되는 뇌엉치(craniosacral) 부문이다. 뇌신경핵에서 시작된 부교감신경 절전신경은 각각의 [[뇌신경]]을 타고 효과 기관 근처까지 이동하고, 엉치척수에서 시작한 절전신경은 [[골반신경]](pelvic nerve)과 함께 이동한다. 그 후 절전신경은 효과 기관의 근처나 안에 존재하는 [[신경절]]에 [[시냅스]]한다. 앞서도 얘기했듯 절후신경은 대체로 콜린성이며, [[아세틸콜린]]을 포함한 [[일산화질소]], [[혈관작용창자펩티드]](vasoactive intestinal peptide, VIP) 등의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한다. 각각의 표적 기관, 장기로의 경로는 다음과 같다. * [[중간뇌]](midbrain)의 [[덧눈돌림신경핵]](accessory oculomotor nucleus; [[에딩거-베스트팔 핵]], Edinger-Westphal nucleus) - 3번 뇌신경([[눈돌림신경]], oculomotor nerve) - [[섬모체신경절]](ciliary ganglion) - 이후 [[눈(신체)|눈]]에서 [[동공조임근]](pupillary constrictor muscle)과 [[섬모체근]](ciliary muscle) 등에 분포. * [[다리뇌]](pons)의 [[눈물분비핵]](lacrimal nucleus) - 7번 뇌신경([[얼굴신경]], facial nerve) - [[날개입천장신경절]](pterygopalatine ganglion) - [[눈물샘]](lacrimal gland)와 [[코샘]](nasal gland)에 분포. * 다리뇌의 [[위침분비핵]](superior salivatory nucleus) - 7번 뇌신경 - [[턱밑신경절]](submandibular ganglion) - [[턱밑샘]](submandibular gland)과 [[혀밑샘]](sublingual gland)에 분포. * [[숨뇌]](medulla oblongata)의 [[아래침분비핵]](inferior salivatory nucleus) - 9번 뇌신경([[혀인두신경]], glossopharyngeal nerve) - [[귀신경절]](otic ganglion) - [[귀밑샘]](parotid gland)에 분포. * 숨뇌의 [[미주신경등쪽핵]](dorsal nucleus of vagus nerve) - 10번 뇌신경([[미주신경]], vagus nerve) - 이후 [[심장]], [[기관지]], [[위(소화기관)|위]], [[작은창자]], 상부 [[큰창자]] 등에 분포. * S2, S3, S4 엉치척수 - [[골반내장신경]](pelvic sphlanchnic nerve) - 이후 하부 큰창자, [[방광]], [[생식기]] 등에 분포.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신경계수용체양상.jpg|width=100%]]}}} || || '''신경계의 수용체 종류''' || 한편, 부교감신경의 절전신경과 절후신경은 모두 콜린성이지만, 각자의 아세틸콜린이 작용하는 [[수용체]]는 다르다. 절전신경의 아세틸콜린은 [[니코틴수용체]](nicotinic receptor)에 작용하지만, 절후신경에서 분비된 아세틸콜린은 표적 기관의 [[무스카린수용체]](muscarinic receptor)에 작용한다. == 기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자율신경계기능.jpg|width=100%]]}}} || ||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의 기능 비교'''[* 그림에서 교감신경계가 침 분비를 억제한다고 되어 있으나, 오히려 교감신경계 활성화 역시 침의 분비를 증가시킨다.] || 구체적인 표적 기관들과 그 기관들에서의 작용 방향은 다음과 같다. 작용하는 수용체는 모두 무스카린수용체(mAchR)이므로 따로 표기하지 않았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1px" ||
표적 기관 || 작용 방향 || || [[눈(신체)|눈]] || || || [[눈물샘]][br](lacrimal gland) || [[눈물]] 분비 증가 || || [[섬모체근]][br](ciliary m.) || 수축, 가까운 곳이 잘 보이게 됨 || || [[동공조임근]][br](pupillary constrictor m.) || 수축하여 동공을 수축시킴[br]축동(miosis) || || [[심장]] || || || [[동방결절]][br](SA node) || 작용 감소, [[심박수]] 감소 || || [[방실결절]][br](AV node) || 신호 전도 속도 감소 || || 심근 수축력 || 심방에서만 감소 || || [[소화계]] || || || [[침샘]]의 [[침]] 분비 || 증가[* 작용 기전에 차이는 있으나 결과적으로는 부교감신경계와 교감신경계가 둘 다 침 분비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 || 위장관벽 [[평활근]] || 수축하여 음식물의 이동을 도움 || || 위장의 [[조임근]] || 이완하여 음식물이 이동할 수 있게 함 || || [[위산]]과 [[췌장]]에서의 분비 || 증가하여 소화 속도를 빠르게 함 || || [[방광]] || || || 방광벽의 [[배뇨근]][br](detrusor m.) || 수축하여 소변이 방광에서 나가도록 함 || || [[속요도조임근]][br](internal urethral sphincter) || 이완하여 소변이 나갈 출구를 엶 || || 그 외 || || || [[기관지]] || 수축 || || 남성 [[생식기]] || [[발기]] 조절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