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 Boogie-Woogie}}} == 음악의 일종 == 1870년대 아프리카에서 끌려온 노예들의 음악의 영향을 받은 음악의 일종으로, 1920년대 후반 등장하여 3-40년대 본격적으로 유행하였다. 단순한 멜로디와 빠른 템포의 경쾌한 리듬이 반복된다. 피아노를 기반으로 한[* 물론 다른 악기나 오케스트라와 협업을 하기도 한다.] 블루스 계열의 음악이며, [[로커빌리]]티(Rockability, 로큰롤의 뿌리), 타악기적 성향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보통 부기우기 곡은 춤곡으로 많이 활용되었다. '부기우기'라는 명칭의 유래는 확실치 않으나 많은 언어학자들은 아프리카에서 유래하였다고 추정한다. 서아프리카 말로 '춤추다', 또는 '북치다'라는 단어에서 온 것으로 추정하는 설들이 있다. [[록 음악]]계열에서는 자신들의 뿌리가 부기우기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물론 다른 악기로도 연주가 가능은 하지만, 부기우기는 주로 [[기타]], [[피아노]]로 연주된다.빈티지 [[재즈]] 공연 시에 [[래그타임]] 등 타 세부 장르들과 같이 연주된다. 부기우기 음악을 [[일렉트릭 기타]]로 Gain을 넣어 연주하면 바로 로큰롤, 록음악으로 장르가 바뀌게 되는 독특한 음악이다. 1970년대에는 아예 [[펑크(음악)|펑크(Funk)]]나 [[디스코]]와 섞이기도 했다. === 관련 영상 === || [youtube(fNM44t7mcBw)] || [youtube(wvx_UsJ2U5c)] || [youtube(yQlAVy-aos0)] || || [youtube(REAP66zFhxU)] || || [[레드 제플린]] - Boogie with Stu || || [youtube(KDqLU5XkMkU)] || || Буги-вуги каждый день(매일매일 부기우기를) - Зоопарк([[마이크 나우멘코|주파르크]]) || || [youtube(PL-eI3AdOIg)] || || [[T.Rex]] - I Love to Boogie || == [[스윙댄스]]의 일종 == || [youtube(Bx743aah7o8)] || 빠른 블루스 피아노, 부기우기 피아노 반주에 맞추어 추는 [[스윙댄스]]의 일종. 부기우기 등 [[로커빌리]]티 계열 음악에서 추는 춤이다.스탭과 바운스가 다를 뿐 [[린디합]]과 같이 스윙아웃, [[에어리얼]] 등이 전부 가능하며 독자노선을 취해온 춤 장르이다. 북미지역에서 시작되어 보급되었다. == 여담 == * [[여신전생 시리즈]]의 [[진 여신전생 3 녹턴]]에서 이 용어명과 동일한 물리 스킬이 등장한다. 무려 [[14대 쿠즈노하 라이도우]]가 총기 스킬로 애용하며, 적 1체를 대상으로 자신의 콜트 라이트닝으로 2~5회 공격한다. * [[밀가루 커넥션]]으로 알려진 만화가 [[이익선]]은 밀가루 커넥션이 연재되던 도중 [[소년 챔프]]에 1970년대 명랑만화 패러디로 "어린이의 벗 부기우기"라는 작중작 시리즈를 집어넣은 적이 있다. 주인공 이름부터가 '부기'와 '우기' 콤비(...) * [[주술회전]]에 등장하는 [[토도 아오이]]가 사용하는 술식 이름 "부기우기", 정확히는 불의유희(不義遊戯)라 쓰고 부기우기라고 읽는다. == 기타 문서 == * NHK 연속TV소설의 드라마 <[[부기우기(드라마)]]> * 보이그룹 [[CRAVITY]]의 영어 싱글 1집 〈[[Boogie Woogie]]〉 [[분류:부기우기]][[분류:춤]][[분류:동음이의어]]